[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120001478U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478U
KR20120001478U KR2020100008789U KR20100008789U KR20120001478U KR 20120001478 U KR20120001478 U KR 20120001478U KR 2020100008789 U KR2020100008789 U KR 2020100008789U KR 20100008789 U KR20100008789 U KR 20100008789U KR 20120001478 U KR20120001478 U KR 201200014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ce
seating portion
housing
l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338Y1 (ko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33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4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33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넥터는 하우징(50)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터미널안착부(5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내부에는 랜스(56)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56)는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 내면에서 돌출된 연결부(58)와 상기 연결부(58)의 선단에 후단이 연결되고 터미널안착부(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부(60)로 구성된다. 상기 랜스(56)는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랜스(56)의 후단에 해당되는 하우징(50)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연장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리테이너공간(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공간(54)에는 리테이너(64)가 설치되어 터미널(66)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66)을 터미널안착부(52)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거나 하우징(50)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랜스의 후단부가 터미널안착부의 양측 내면에 연결되어 형성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된 하우징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터미널이 리셉터클 터미널인 경우 또는 탭 터미널인 경우에 따라 각각 암 커넥터와 숫 커넥터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상기 터미널에 일반적으로 각각 와이어가 연결되어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커넥터끼리 서로 결합됨에 의해 부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10)의 골격과 외관을 하우징(12)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2)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부(1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입구에 해당되는 하우징(12)의 일단부에는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13)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12')에는 터미널(16)이 일단 고정되면 임의로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랜스(lance)(14)가,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하우징(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과 형상의 특징에 의해 탄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랜스(14)는 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터미널(16)의 일측에 걸어져 터미널(16)이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랜스(14)는 터미널(16)의 삽입시 잠시 탄성변형 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된다.
상기 랜스(14)의 선단부에는 걸이턱(1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14')이 상기 랜스(14)의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4)는 터미널(16)의 결합공(미도시)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터미널(16)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금속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16)은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부(12')에 위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랜스(14)는 상기 하우징(12)의 터미널안착부(12') 내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랜스(14)는 상기 터미널안착부(12')의 내면에서 외팔보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랜스(14)가 터미널안착부(12')에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기 위해서는 랜스(14)의 길이가 일정 이상으로 되어야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랜스(14)가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에 상기 터미널안착부(12') 내에서 상기 랜스(14)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져 상기 터미널(16)을 상기 랜스(14)만으로 지지하여야 한다. 즉, 별도의 리테이너를 상기 하우징(12)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하우징(12)의 전후 길이를 더 길게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의 터미널안착부에 형성되는 랜스가 차지하는 영역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 터미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면서도 하우징의 소형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터미널안착부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 내면에서 연장된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부의 후단 양측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랜스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 상기 랜스의 길이부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에 일측이 걸어져 고정되어 설치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면에 직교하게 돌출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된다.
상기 연결부의 선단은 상기 길이부의 후단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부의 후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리테이너공간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리테이너공간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 개구되고 리테이너가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한다.
상기 랜스는 상기 연결부와 길이부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커넥터는 터미널안착부에 터미널을 고정시키는 랜스를 터미널안착부에 연결하기 위해 랜스의 후단부 양측에 연결레그를 두어 터미널안착부의 양측면과 일체가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랜스의 후단부에 해당되는 터미널안착부의 공간에 상대적으로 여유가 생겨 별도의 리테이너를 둘 수 있게 되어 터미널을 보다 견고하게 터미널안착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리테이너를 사용하더라도 랜스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하우징 전체의 크기가 커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이 커지지 않으면서도 터미널을 견고하게 터미널안착부 내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있는 랜스를 터미널안착부의 바닥쪽에서 본 부분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5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5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하우징(50)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터미널안착부(52)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5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66)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리테이너공간(54)이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공간(54)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50)의 하면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리테이너공간(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테이너(64)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52)에는 각각 랜스(56)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56)는 터미널(66)의 일측에 걸어져 터미널(66)이 터미널안착부(52)내에서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56)는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면에서 돌출되어 연결부(5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8)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면에 직교하게 돌출된다.
상기 양측의 연결부(58)의 선단은 길이부(60)에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부(58)의 선단은 각각 상기 길이부(60)의 후단 양측면에 연결된다. 상기 길이부(60)는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형성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길이부(60)의 선단에는 걸이턱(6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62)은 터미널(66)의 일측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58)와 길이부(60)로 구성되는 랜스(56)는 전체적으로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일측 벽면에서 반대쪽 벽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의해 터미널(66)이 터미널안착부(52)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이턱(62)이 터미널(66)의 일측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8)와 길이부(60) 모두 또는 적어도 상기 길이부(60)라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공간(54)에는 리테이너(64)가 설치되어 터미널(66)을 지지한다. 상기 리테이너(64)는 상기 랜스(56)와 함께 터미널(6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테이너(64)는 상기 리테이너공간(54)에 외부로부터 삽입되어 터미널(66)을 지지한다. 상기 리테이너(64)는 일반적으로 절연성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리테니어(64)의 상세 구성은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편의상 생략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내부에는 터미널(66)이 상기 랜스(56)와 리테이너(6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66)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66)의 후단에는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하우징(50)의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터미널(66)의 구체구성도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편의상 상세한 구조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부호는 위의 실시예와 본 실시예에서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다른 것은 다른 부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50)의 내부에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52)에 구비되는 랜스(56)에서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벽에 연결되는 연결부(58')의 구성이 상이하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랜스(56)의 연결부(58')가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면과 직교하게 돌출되지 않고,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면에서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선단 방향을 향해 소정의 각도, 즉 예각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랜스(56)의 연결부(58')는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선단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랜스(56)의 길이부(6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58')가 형성되면 전체 랜스(56)의 길이가 탄성변형이 가능할 정도로 만들어진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58)가 터미널안착부(52)의 양측면에 직교하게 돌출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랜스(56)의 길이가 짧아지지만 상기 연결부(58)를 포함한 전체 길이가 탄성변형이 가능할 정도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길이부(60)의 후단에는 절결부(60')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60')에 의해 상기 길이부(60)의 길이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하지만, 상기 절결부(6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58')가 터미널안착부(52)의 측면에서 터미널안착부(52)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에 의해 상기 길이부(60)와 연결부(58')가 연결되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지 않아 전체 랜스(56)의 탄성변형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도록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50)의 터미널안착부(52)에는 상기 터미널(66)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66)은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후단으로부터 삽입되는데, 상기 터미널(66)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56)는 상기 터미널안착부(52)의 내면쪽으로 밀려 탄성변형된다. 상기 랜스(56)가 탄성변형된 상태는 상기 터미널(66)의 결합부(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랜스(56)의 길이부(60)이 선단을 통과하는 순간 복원된다.
상기 랜스(56)의 탄성변형상태가 복원되어 상기 걸이턱(62)이 상기 터미널(66)의 일측에 걸어지면 상기 랜스(56)에 의해 상기 터미널(66)이 터미널안착부(52)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랜스(56)의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랜스(56)가 그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하우징(50)의 터미널안착부(52)에 형성되는 랜스(56)가 터미널안착부(52)의 연장방향으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되면서도 충분히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터미널안착부(52) 내부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확보된 공간을 사용하여 리테이너공간(54)을 만들거나 전체적으로 하우징(5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공간(54)에 상기 리테이너(64)가 삽입됨에 의해 상기 터미널(66)은 상기 랜스(56)와 리테이너(64)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어 보다 견고하게 상기 터미널안착부(52) 내에 지지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랜스(56)의 연결부(58')가 터미널안착부(52)의 내면에 대해 터미널안착부(52)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연결부(58')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길이부(60)의 길이를 대신 상대적으로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부(60)의 길이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그것보다 짧게 하면서도 전체 랜스(56)의 길이를 같게 유지할 수 있고 상기 길이부(60) 후단에 인접한 공간을 할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고안에서 상기 리테이너(64)와 리테이너공간(54)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리테이너(64)와 리테이너공간(54)이 없이도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체 하우징(50)의 길이를 리테이너공간(54)이 없어진 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50: 하우징 52: 터미널안착부
54: 리테이너공간 56: 랜스
58: 연결부 60: 길이부
62: 걸이턱 64: 리테이너
66: 터미널

Claims (6)

  1. 터미널안착부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 내면에서 연장된 연결부의 선단이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부의 후단 양측에 연결되어 구성되는 랜스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내부에 상기 랜스의 길이부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에 일측이 걸어져 고정되어 설치되고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면에 직교하게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선단은 상기 길이부의 후단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부의 후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의 후단에 해당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리테이너공간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리테이너공간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형성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면으로 개구되고 리테이너가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는 상기 연결부와 길이부가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선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100008789U 2010-08-24 2010-08-24 커넥터 Expired - Lifetime KR200476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89U KR200476338Y1 (ko) 2010-08-24 2010-08-24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789U KR200476338Y1 (ko) 2010-08-24 2010-08-24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78U true KR20120001478U (ko) 2012-03-06
KR200476338Y1 KR200476338Y1 (ko) 2015-02-16

Family

ID=4617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789U Expired - Lifetime KR200476338Y1 (ko) 2010-08-24 2010-08-24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33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0339A (ko) 2018-09-12 2020-03-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0235A (ja) * 1997-07-22 1999-0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2175851A (ja) * 2000-12-07 2002-06-21 Yazaki Corp コネクタ
KR200448119Y1 (ko) * 2007-11-21 201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338Y1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CN101359788A (zh) 连接器及连接器端子构造
KR101680273B1 (ko) 커넥터용 플러그 터미널
KR200437689Y1 (ko) 커넥터
KR200442350Y1 (ko)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
CN103444004A (zh) 连接器
KR100955052B1 (ko) 커넥터
KR101578125B1 (ko) 커넥터
KR20120001478U (ko) 커넥터
KR20110076582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KR20080003684U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20090006701U (ko) 수직형 터미널조립체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51653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조립체
KR200442919Y1 (ko) 커넥터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200466410Y1 (ko) 커넥터
KR100842725B1 (ko) 내진동 커넥터
KR200444896Y1 (ko) 커넥터
KR200467965Y1 (ko) 커넥터
KR101493986B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090129229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2917Y1 (ko) 수직형 터미널조립체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120072066A (ko) 커넥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824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4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50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