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70002993A -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993A
KR20070002993A KR1020050058710A KR20050058710A KR20070002993A KR 20070002993 A KR20070002993 A KR 20070002993A KR 1020050058710 A KR1020050058710 A KR 1020050058710A KR 20050058710 A KR20050058710 A KR 20050058710A KR 20070002993 A KR20070002993 A KR 2007000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ate
polysilicon
semiconductor device
metal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3835B1 (ko
Inventor
조흥재
임관용
이승룡
성민규
양홍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5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835B1/ko
Publication of KR2007000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8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65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the components including complementary IGFETs, e.g. CMOS devices
    • H10D84/0172Manufacturing their gate conductors
    • H10D84/0177Manufacturing their gate conductors the gate conductors having different materials or different imp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01L21/28017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 H01L21/28026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 H01L21/28035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the insulator being formed after the semiconductor body, the semiconductor being silicon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the final conductor layer next to the insulator being silicon, e.g. polysilicon, with or without impur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후속 게이트재산화 공정시에 게이트전극으로 사용되는 폴리실리콘에 도핑된 도펀트가 외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기판, 상기 반도체기판 상의 게이트산화막, 상기 게이트산화막 상의 상기 NMOSFET 영역에 형성된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MOSFET 영역에 형성된 p+ 폴리실리콘전극, 상기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 폴리실리콘전극 상에 각각 적층된 메탈전극과 게이트하드마스크, 상기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질화층, 및 상기 상기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 폴리실리콘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층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질화층에 의해 게이트재산화공정시 메탈전극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이트재산화, 메탈전극, 질화층, 폴리실리콘전극

Description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 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WITH DUAL POLYSILICON GATE TO PREVENT POLYSILICON DEPLETION EFF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MOSFET의 C-V 커브(Capacitance-Voltage Curve)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보론(Boron)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상부에 텅스텐실리사이드(WSix) 증착유무에 따른 보론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반도체 기판 32 : 필드산화막
33 : 게이트산화막 34a : p+ 폴리실리콘전극
34b : n+ 폴리실리콘전극 37 : 메탈전극
38 : 게이트하드마스크 40 : 질화층
41 : 산화층 42 : 게이트버즈빅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PDE(Poly silicon Depletion Effect)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채널길이도 동시에 매우 짧아지고 있다. 채널길이가 F아짐에 따라 일반적인 트랜지스터 구조에서는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이른바 숏채널효과(Short Channel Effect; SCE)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n+ 폴리실리콘게이트를 갖는 PMOSFET에서는 배리드채널(Buried channel)이 형성되기 때문에 숏채널효과가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NMOSFET에서는 낮은 일함수(4.14eV)를 갖는 n+ 폴리실리콘을, PMOSFET에서는 높은 일함수(∼5.3eV)를 갖는 p+ 폴리실리콘으로 각각 형성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Dual polysilicon gate)가 연구중에 있다. 즉, 폴리실리콘의 일함수를 조절하여 NMOSFET/PMOSFET 모두 표면채널(Surface channel)을 구성하는 것이다.
폴리실리콘의 일함수를 조절하기 위해 폴리실리콘 내에 일정 도펀트를 이온 주입하게 되는데, n+ 폴리실리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Ph 또는 As를 이온주입하고, p+ 폴리실리콘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B 또는 BF2를 이온주입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는 여러가지 단점들이 있는데, 그중 한가지가 폴리실리콘에 도핑된 도펀트들이 후속 공정에서 외확산(Out-diffusion)되어 폴리실리콘공핍현상, 즉 PDE(Poly silicon Depletion Effect) 현상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PMOSFET의 C-V 커브(Capacitance-Voltage Curve)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펀트가 폴리실리콘으로부터 외확산되면 도 1과 같이 C-V 커브에서 축적(Accumulation) 대비 인버전(Inversion) 영역의 캐패시턴스값이 65% 수준으로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트랜지스터가 작동되는 인버전 영역에서의 동작속도가 급격히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소자의 신뢰성이 열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도펀트의 외확산을 일으키는 원인 중에서 가장 큰 것은 게이트재산화(Gate-reoxidation) 공정에서 폴리실리콘 상부에 증착된 전극물질이 산화되면서 산화막을 형성시키기 때문이다. 고온 산화 분위기에서 산화막이 형성될 때, 도펀트들이 전극물질/폴리실리콘의 계면 또는 전극물질의 그레인바운더리(Grain boundary)를 통하여 산화막에 쉽게 파일업(file-up)되기 때문이다.
도 2는 보론(Boron)이 도핑된 폴리실리콘 상부에 텅스텐실리사이드(WSix) 증 착유무에 따른 보론의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이다.
WSix/ 폴리실리콘 구조에서 WSix 상부에 SiO2가 형성되면서 도펀트들이 WSix를 통하여 외확산됨으로써 폴리실리콘 내부에서의 보론 농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폴리실리콘게이트만을 사용하는 경우('X')에 비해 WSix를 사용하는 경우('Y')가 보론 농도가 현저히 낮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후속 게이트재산화 공정시에 게이트전극으로 사용되는 폴리실리콘에 도핑된 도펀트가 외확산하여 초래되는 PD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반도체기판, 상기 반도체기판 상의 게이트산화막, 상기 게이트산화막 상의 도펀트가 주입된 실리콘전극, 상기 실리콘전극 상에 적층된 메탈전극과 게이트하드마스크, 상기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방지층, 및 상기 실리콘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산화방지층은 상기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을 질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는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기판, 상기 반도체기판 상의 게이트산화막, 상기 게이트산화막 상의 상기 NMOSFET 영역에 형성된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MOSFET 영역에 형성된 p+ 폴리실리콘전극, 상기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 폴리실리콘전극 상에 각각 적층된 메탈전극과 게이트하드마스크, 상기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질화층, 및 상기 상기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 폴리실리콘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은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에 도펀트가 주입된 실리콘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전극 상에 메탈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탈전극 상에 게이트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하드마스크와 상기 메탈전극을 패터닝하는 1차 게이트패터닝 단계, 상기 1차 패터닝된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산화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패터닝에 의해 패터닝된 게이트하드마스크를 식각배리어로 상기 실리콘전극을 패터닝하는 2차 게이트패터닝을 진행하여, 상기 NMOSFET 영역과 상기 PMOSFET 영역에 각각 게이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재산화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실리콘전극의 노출된 측벽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산화막(32)에 의해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기판(31), 반도체기판(31) 상의 게이트산화막(33), 게이트산화막(33) 상의 NMOSFET 영역 상에 형성된 n+ 폴리실리콘전극(34b), 게이트산화막(33) 상의 PMOSFET 영역 상에 형성된 p+ 폴리실리콘전극(34a), n+ 폴리실리콘전극(34b)과 p+ 폴리실리콘전극(34a) 상에 각각 형성된 메탈전극(37), 메탈전극(37) 상의 게이트하드마스크(38), 메탈전극(37)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질화층(40), 및 n+ 폴리실리콘전극(34b)과 p+ 폴리실리콘전극(34a)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층(41)을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반도체장치에서, NMOSFET 영역에 형성된 n+ 폴리실리콘전극(34b), 메탈전극(37) 및 게이트하드마스크(38)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는 제1게이트(100)를 구성하고, PMOSFET 영역에 형성된 p+ 폴리실리콘전극(34a), 메탈전극(37) 및 게이트하드마스크(38)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는 제2게이트(200)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1게이트(100)와 제2게이트(200)의 하단 모서리에 게이트버즈빅(Gate bird's beak, 42)이 형성된다.
도 3에서, 메탈전극(37)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질화층(40)은 게이트버즈빅(42)과 산화층(41)을 형성하기 위한 게이트재산화공정시 메탈전극(37)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처럼, 메탈전극(37)의 노출된 측벽에 질화층(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게이트재산화공정시 n+ 폴리실리콘전극(34b)과 p+ 폴리실리콘전극(34a)에 주입되어 있는 도펀트의 외확산을 방지한다. 예컨대, n+ 폴리실리콘전극(34b)에는 인 또는 비소가 주입되어 있고, p+ 폴리실리콘전극(34a)에는 보론(B), 불화보론(BF) 또는 이불화보론(BF2) 중에서 선택되는 도펀트가 주입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펀트들은 질화층(40)에 의해 메탈전극(37)의 산화가 방지되므로 게이트재산화공정시 외확산이 억제된다.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단면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31)의 소정 영역에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을 통해 필드산화막(32)을 형성한다. 이러한 필드산화막(32)은 NMOSFET와 PMOSFET를 분리시킨다. 이하, 실리콘 기판(31)은 설명의 편의상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으로 구분된 것이라고 가정한다.
이어서, 필드산화막(32)이 형성된 실리콘 기판(31)의 표면 상에 게이트산화 공정을 통해 게이트산화막(33)을 5Å∼100Å 두께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게이트산화막(33) 상에 폴리실리콘층(34)을 증착한 후, 폴리실리콘층(34) 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으로 패터닝하여 PMOSFET 영역은 오픈시키고 NMOSFET 영역은 덮는 제1마스크패턴(35)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마스크패턴(35)을 이온주입배리어로 이용하여 3족 원소의 도펀트(또는 p형 도펀트)를 이온주입한다. 이때, 3족 원소의 도펀트는 보론(B), 불화보론(BF) 또는 이불화보론(BF2) 중에서 선택되며, 이온주입시 에너지는 2keV∼30keV, 도즈량은 1E15∼1E16/cm2이다.
상기한 3족 원소의 도펀트의 이온주입은 PMOSFET 영역의 폴리실리콘층(34)에 진행하는 것으로, PMOSFET 영역의 폴리실리콘층(34)은 3족 원소의 도펀트(p형 도펀트)가 도핑된 p+ 폴리실리콘전극(34a)으로 바뀐다. 따라서, 제1마스크패턴(35)에 의해 덮혀 있던 NMOSFET 영역의 폴리실리콘층(34)은 여전히 어떠한 도펀트도 주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남는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스크패턴(35)을 제거한 후, 전면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으로 패터닝하여 PMOSFET 영역은 덮고 나머지 NMOSFET 영역을 오픈시키는 제2마스크패턴(36)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마스크패턴(36)에 의해 오픈된 NMOSFET 영역의 폴리실리콘층(34)에 5족 원소의 도펀트(또는 n형 도펀트)를 이온주입한다. 이때, 5족 원소의 도펀트는 인(Ph) 또는 비소(As) 중에서 선택되며, 이온주입시 에너지는 3keV∼50keV, 도즈량은 1E15∼1E16/cm2이다.
상기한 5족 원소의 도펀트의 이온주입은 PMOSFET 영역을 제외한 NMOSFET 영역 상부의 폴리실리콘층(34)에 진행하는 것으로, NMOSFET 영역의 폴리실리콘층(34) 은 5족 원소의 도펀트(n형 도펀트)가 이온주입된 n+ 폴리실리콘전극(34b)으로 바뀐다.
위와 같이 p+ 폴리실리콘전극(34a) 및 n+ 폴리실리콘전극(34b)을 형성하기 위한 도펀트 이온주입후에는 도펀트의 균일한 분포를 위해 열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감광막패턴(36)을 제거한 후, 전면에 메탈전극(37)과 게이트하드마스크(38)를 차례로 형성한다. 이때, 메탈전극(37)은 게이트의 저항을 낮추기 위한 것으로 텅스텐과 같은 메탈 또는 텅스텐실리사이드와 같은 금속실리사이드로 형성하고, 게이트하드마스크(38)는 실리콘질화막으로 형성한다.
다음으로, 게이트하드마스크(38) 상부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으로 패터닝하여 제3감광막패턴(39)을 형성한다. 이때, 제3감광막패턴(39)은 게이트패터닝을 위한 게이트마스크 역할을 한다.
이어서, 제3감광막패턴(39)를 식각배리어로 하여 게이트하드마스크(38)와 메탈전극(37)을 식각하는 1차 게이트패터닝을 진행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감광막패턴(39)을 제거한 후에, 질화공정을 진행한다.
이때, 질화 공정은 저온의 질화처리가 가능한 플라즈마질화(Plasma nitridation) 공정 또는 고온 질화처리가 가능한 열질화(Thermal nitridation) 공정을 적용한다.
먼저, 플라즈마질화 공정은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고주파의 플라즈마를 이용하고, 소스가스로는 N2, NH3, N2O 또는 NO 중에서 선택되며, 이들 소스가스들의 혼합기체를 주입하거나 플라즈마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Ar, Kr 또는 Xe 중에서 선택되는 래어가스(rare gas)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플라즈마를 형성시키기 위한 파워는 100W∼5kW, 공정 압력은 1torr∼100torr로 한다.
다음으로, 열질화 공정은 퍼니스에서 질화공정을 진행하는 것으로서, 600℃∼1300℃의 고온에서 N2, NH3, N2O 또는 NO 중에서 선택된 가스를 분위기가스로 이용하여 진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질화 공정은 절연물질인 게이트하드마스크(38)는 질화시키지 못하고 선택적으로 메탈전극(37)의 드러난 측벽부분만을 질화시키는데, 이러한 질화 공정에 의해 메탈전극(37)의 드러난 측벽부분이 질화되어 메탈전극(37)의 드러난 측벽에 질화층(40)이 형성된다.
예컨대, 메탈전극(37)이 텅스텐인 경우에는 질화층(40)은 텅스텐질화막이 될 것이고, 메탈전극(37)이 텅스텐실리사이드인 경우에는 질화층(40)은 WSiN이 될 것이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하드마스크(38)를 식각배리어로 하여 메탈전극(37) 아래의 n+ 폴리실리콘전극(34b)과 p+ 폴리실리콘전극(34a)을 식각하는 2차 게이트패터닝을 진행하므로써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 상부에 각각 제1,2게이트(100, 200)를 완성한다. 즉, NMOSFET 영역에는 제1게이트(100)를 형성하고, PMOSFET 영역에는 제2게이트(200)를 형성한다.
위와 같은 제1게이트(100)와 제2게이트(100, 200)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NMOSFET 영역에 형성된 제1게이트(100)는 n+ 폴리실리콘전극(34b), 메탈전극(37) 및 게이트하드마스크(38)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PMOSFET 영역에 형성된 제2게이트(200)는 p+ 폴리실리콘전극(34a), 메탈전극(37) 및 게이트하드마스크(38)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1게이트(100)와 제2게이트(200) 모두 메탈전극(37)의 양측면에 질화층(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재산화(Gate re-oxidation) 공정을 진행한다. 여기서, 게이트재산화 공정은 n+/p+ 폴리실리콘전극(34b/34a)만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게이트재산화 공정에 의해 n+/p+ 폴리실리콘전극(34b/34a)의 노출된 측면이 산화되어 산화층(41)이 형성되고, 아울러 제1게이트(100)와 제2게이트(200) 하단 모서리에 게이트버즈빅(Gate bird's beak, 42)이 형성된다. 게이트버즈빅(42)은 제1,2게이트(100, 200)의 하단 모서리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게이트재산화 공정시에 메탈전극(37)은 측벽에 질화층(40)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질화층(40)에 의해 메탈전극(37)은 산화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후속 공정으로 제1게이트(100)와 제2게이트(200)의 양측벽에 접하는 게이트스페이서를 형성하고, 도펀트의 이온주입을 통해 소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여 NMOSFET와 PMOSFET를 완성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n+/p+ 폴리실리콘전극(34b/34a)의 패터닝전에 메탈전극(37)의 측면에 질화층(40)을 형성하는 질화공정을 미리 진행하므로써 게이트재산화 공정시 게이트버즈빅(42) 형성 및 n+/p+ 폴리실리콘전극(34b/34a) 측면의 산화층(42) 형성을 종래와 같이 진행하면서도 메탈전극(37)의 측벽에 산화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질화공정을 통해 메탈전극(37) 표면에 질화층(40)을 형성하므로써 게이트재산화 공정시 메탈전극(37)이 산화되면서 n+/p+ 폴리실리콘전극(34b/34a)에 주입된 도펀트들이 외확산됨으로써 발생하는 n+/p+ 폴리실리콘전극(34b/34a) 내부의 도펀트 농도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n+/p+ 폴리실리콘전극(34b/34a)으로 도펀트가 주입되지 않은 폴리실리콘층을 형성한 후 후속공정으로 도펀트를 주입하였으나, 실리콘전극은 도펀트가 주입되지 않은 비정질실리콘을 형성한 후 도펀트를 주입하거나, 도펀트가 인시튜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층 또는 도펀트가 인시튜로 도핑된 비정질실리콘층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인시튜로 도핑된 폴리실리콘층 또는 비정질실리콘층은 후속 도펀트의 주입이 필요없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도펀트를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실리콘전극을 패터닝하기 전에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질화공정을 통해 질화층을 형성하므로써 후속 게이트재산화공정시 실리콘전극에 주입되어 있는 도펀트의 외확산을 방지하여 반도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반도체기판;
    상기 반도체기판 상의 게이트산화막;
    상기 게이트산화막 상의 도펀트가 주입된 실리콘전극;
    상기 실리콘전극 상에 적층된 메탈전극과 게이트하드마스크;
    상기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방지층; 및
    상기 실리콘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층은,
    상기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을 질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전극은 텅스텐이고, 상기 산화방지층은 텅스텐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전극은 텅스텐실리사이드이고, 상기 산화방지층은 W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전극은 p형 도펀트가 주입된 p+ 실리콘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펀트는 B, BF2 또는 BF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전극은 n형 도펀트가 주입된 n+ 실리콘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형 도펀트는 Ph 또는 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전극은, 폴리실리콘층 또는 비정질실리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0.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기판;
    상기 반도체기판 상의 게이트산화막;
    상기 게이트산화막 상의 상기 NMOSFET 영역에 형성된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MOSFET 영역에 형성된 p+ 폴리실리콘전극;
    상기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 폴리실리콘전극 상에 각각 적층된 메탈전극과 게이트하드마스크;
    상기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질화층; 및
    상기 상기 n+ 폴리실리콘전극과 상기 p+ 폴리실리콘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형성된 산화층
    을 포함하는 반도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전극은 텅스텐이고, 상기 질화층은 텅스텐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전극은 텅스텐실리사이드이고, 상기 질화층은 W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p+ 폴리실리콘전극은, B, BF2 또는 BF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도펀트가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 폴리실리콘전극은 Ph 또는 As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도펀트가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
  15. NMOSFET 영역과 PMOSFET 영역이 구분된 반도체기판 상에 게이트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절연막 상에 도펀트가 주입된 실리콘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리콘전극 상에 메탈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메탈전극 상에 게이트하드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하드마스크와 상기 메탈전극을 패터닝하는 1차 게이트패터닝 단계;
    상기 1차 패터닝된 메탈전극의 노출된 측벽에 산화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패터닝에 의해 패터닝된 게이트하드마스크를 식각배리어로 상기 실리콘전극을 패터닝하는 2차 게이트패터닝을 진행하여, 상기 NMOSFET 영역과 상기 PMOSFET 영역에 각각 게이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게이트재산화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실리콘전극의 노출된 측벽을 선택적으로 산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질화공정을 통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 공정은,
    플라즈마질화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질화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고주파의 플라즈마를 이용하고, 소스가스로는 N2, NH3, N2O 또는 NO 중에서 선택되는 단독기체 또는 혼합기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의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Ar, Kr 또는 Xe 중에서 선택되는 래어가스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질화에서,
    플라즈마를 형성시키기 위한 파워는 100W∼5kW, 압력은 1torr∼100torr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 공정은,
    열질화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열질화는,
    600℃∼1300℃의 고온에서 N2, NH3, N2O 또는 NO 중에서 선택된 가스를 분위기가스로 이용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PMOSFET 영역에 형성되는 실리콘전극은
    B, BF2 또는 BF 중에서 선택되는 p형 도펀트가 주입된 p+ 폴리실리콘전극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PMOSFET 영역에 형성되는 실리콘전극은,
    Ph 또는 As 중에서 선택되는 n형 도펀트가 주입된 폴리실리콘전극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전극은 텅스텐으로 형성하고, 상기 산화방지층은 텅스텐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전극은 텅스텐실리사이드로 형성하고, 상기 산화방지층은 WSiN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50058710A 2005-06-30 2005-06-30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710A KR100703835B1 (ko) 2005-06-30 2005-06-30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710A KR100703835B1 (ko) 2005-06-30 2005-06-30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993A true KR20070002993A (ko) 2007-01-05
KR100703835B1 KR100703835B1 (ko) 2007-04-06

Family

ID=3786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71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03835B1 (ko) 2005-06-30 2005-06-30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8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06B1 (ko) * 2007-10-31 2009-06-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텅스텐함유막이 포함된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951559B1 (ko) * 2007-01-03 2010-04-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CN104701319A (zh) * 2013-12-10 2015-06-1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cmos器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9423B2 (en) 1998-03-03 2002-04-09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device with a thin gate stack hav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layers
KR100806135B1 (ko) * 2002-05-30 2008-02-2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금속 게이트전극을 갖는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34163B1 (ko) * 2003-02-19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의 형성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559B1 (ko) * 2007-01-03 2010-04-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 방법
KR100902106B1 (ko) * 2007-10-31 2009-06-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텅스텐함유막이 포함된 패턴을 구비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US7825014B2 (en) 2007-10-31 2010-11-02 Hynix Semiconductor Inc.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CN104701319A (zh) * 2013-12-10 2015-06-1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cmos器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3835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323B1 (ko) 반도체 소자의 시모스(cmos)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05068B1 (ko) 반도체 소자의 다중 게이트 산화막 및 이를 포함하는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KR100611784B1 (ko) 다중 게이트절연막을 갖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9670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378688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703835B1 (ko) 폴리실리콘 공핍 현상을 방지한 듀얼 폴리실리콘 게이트를구비하는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95679B1 (ko) Pmos 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100906500B1 (ko) 반도체소자의 게이트 제조방법
KR100753136B1 (ko) 듀얼 폴리실리콘게이트를 구비한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TW200532856A (en) Spacer approach for CMOS device
KR100952578B1 (ko) 평면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KR100691491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 게이트 및 그 형성방법
KR100719145B1 (ko) 아웃디퓨전을 방지한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씨모스 소자 제조방법
KR10099533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02609A (ko) 반도체소자의 듀얼 게이트 형성방법
KR100344840B1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게이트 형성 방법
KR20060037776A (ko) 원자층증착에 의한 게이트스페이서를 구비하는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KR101132298B1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KR2006007749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80060332A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폴리게이트 제조방법
KR20070106161A (ko) 반도체 소자의 듀얼폴리게이트 제조방법
KR20020036555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90114995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0212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10949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