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54306Y1 - 구기연습장치 - Google Patents

구기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306Y1
KR200454306Y1 KR2020110002161U KR20110002161U KR200454306Y1 KR 200454306 Y1 KR200454306 Y1 KR 200454306Y1 KR 2020110002161 U KR2020110002161 U KR 2020110002161U KR 20110002161 U KR20110002161 U KR 20110002161U KR 200454306 Y1 KR200454306 Y1 KR 2004543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winding roll
case
wire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주
Original Assignee
김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주 filed Critical 김영주
Priority to KR2020110002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3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3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30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5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volley-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자서 축구나 배구와 같은 구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구기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는 백(10)에 자신이 연습하고자 할 공(1)을 넣고 홀더(100)를 허리에 찬 상태에서 공(1)을 차면, 와이어(20)에 의해 공(1)이 원래자리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축구나 배구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구기를 연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홀더(100)를 허리에 차게 되므로, 사용자가 계속 자리를 바꾸더라도 공(1)이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돌아오게 되므로, 축구의 드리블 등과 같이 계속 움직이면서 하는 연습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구기연습장치{BALL GAME PRACTICING DEVICE}
본 고안은 벽이 없는 곳에서도 혼자서 축구나 배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구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구기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나 배구 등과 같은 구기는 사용하는 공의 크기가 다른 구기에 비해 크고 탄력이 높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혼자서 축구나 배구를 연습할 때는 벽을 이용하여 공이 벽에 부딪혀 튀어나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공에 벽에 부딪힌 공이 엉뚱한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공을 주우러 다니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테니스공의 경우, 테니스공에 고무줄의 일단을 연결하고 고무줄의 타단을 무거운 물체에 묶어 고정함으로써, 테니스공이 고무줄의 탄성에 의해 원래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연습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습장치는 고무줄이 테니스공에 일체로 연결되어, 테니스 이외에 축구나 배구연습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축구나 배구의 경우 사용자가 위치를 계속 옮겨가면서 연습을 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테니스 연습장치는 와이어를 무거운 물체에 묶어 고정하므로, 사용자가 자리를 옮겨가며 연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벽이 없는 곳에서도 혼자서 축구나 배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구기연습을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구기연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축구공이나 배구공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백(10)과, 상기 백(10)에 연결된 탄성이 있는 와이어(20)와, 일측에 구비된 벨트(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몸에 감을 수 있도록 된 홀더(100)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100)는 일측에 상기 벨트(30)가 결합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20)가 감겨지는 권취롤(120)과, 상기 권취롤(120)에 연결된 태엽(130,14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롤(120)에서 풀려나온 와이어(20)가 관통하는 인출공(1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연습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회전축(112)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롤(120)은 상기 회전축(112)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121a)가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21b)이 형성된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121)의 슬리브(12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20)가 감겨지는 권취롤본체(122)를 포함하며, 상기 태엽(130,140)은 양단이 상기 회전축(112)과 디스크(121)에 각각 고정된 제1 태엽(130)과, 양단이 상기 권취롤본체(122)와 슬리브(121a)에 연결되는 제2 태엽(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상기 디스크(121)의 걸림홈(121b)에 결합되는 고정돌부(15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된 버튼(152)이 돌출형성된 고정레버(150)와, 상기 고정레버(150)에 연결되어 고정레버(150)의 고정돌부(151)가 걸림홈(121b)에 결합되도록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태엽(140)은 상기 제1 태엽(130)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연습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일측에 구비된 기어부(122b)에 연결되는 발전기(42)와,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43)와,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측정수단(44)과,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45)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5)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46)로 구성된 측정유닛(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5)은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공(1)을 차는 힘 또는 속도를 연산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6)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구기연습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는 백(10)에 자신이 연습하고자 할 공(1)을 넣고 홀더(100)를 허리에 찬 상태에서 공(1)을 차면, 와이어(20)에 의해 공(1)이 홀더(100)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축구나 배구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구기를 연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홀더(100)를 허리에 차게 되므로, 사용자가 계속 자리를 바꾸더라도 공(1)이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돌아오게 되므로, 축구의 드리블 등과 같이 계속 움직이면서 하는 연습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의 홀더를 도시한 평단면 분해도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의 측정유닛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구기연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축구공(1)을 이용하여 혼자 축구연습을 할 수 있도록 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구기연습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구공(1)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백(10)과, 상기 백(10)에 연결된 탄성이 있는 와이어(20)와, 일측에 구비된 벨트(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몸에 감을 수 있도록 된 홀더(100)와, 상기 홀더(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공(1)을 차는 힘 또는 공(1)의 속도를 측정하는 측정유닛(4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백(10)은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그물망이나, 일측에 지퍼가 구비된 원형의 백(10)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20)는 탄성이 있으면서 질긴 고무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백(10)의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 홀더(100)는 일측에 상기 벨트(30)가 결합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20)가 감겨지는 권취롤(120)과, 상기 권취롤(120)에 연결된 태엽(130,140)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레버(150)와, 상기 고정레버(150)에 연결된 스프링(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분할제작되어 나사(111)에 의해 상호 결합고정되며, 내부에는 좌우를 가로지르는 회전축(11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상기 와이어(20)가 통과하는 인출공(113)과, 상기 고정레버(150)가 결합되는 관통공(114)이 형성된다. 상기 벨트(30)는 케이스(110)의 후단부에 구비된 결합공(116)에 끼워지며 단부에 도시안된 클립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몸에 감은 상태로 클립을 결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권취롤(120)은 상기 회전축(112)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121a)가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21b)이 형성된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121)의 슬리브(12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20)가 감겨지는 권취롤본체(1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권취롤본체(122)에는 상기 디스크(121)의 슬리브(121a)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슬리브(122a)가 구비된다.
상기 태엽(130,140)은 양단이 상기 회전축(112)과 디스크(121)에 각각 고정된 제1 태엽(130)과, 양단이 상기 권취롤본체(122)와 슬리브(121a)에 연결되는 제2 태엽(1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슬리브(121a)에 비해 직경이 큰 제1 지지통체(115)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121)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슬리브(122a)에 비해 직경이 큰 제2 지지통체(121c)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태엽(130)은 양단이 상기 제1 지지통체(115)와 디스크(121)의 내주면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2 태엽(140)은 양단이 상기 제2 지지통체(121c)와 권취롤본체(122)의 내주면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태엽(140)은 상기 제1 태엽(130)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게 제작된다.
상기 고정레버(150)는 일단에는 상기 디스크(121)의 걸림홈(121b)에 결합되는 고정돌부(15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된 버튼(152)이 돌출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돌부(151)가 걸림홈(121b)에 결합되도록 케이스(1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버튼(152)이 상기 관통공(114)을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레버(150)의 버튼(152)을 누르면 고정레버(150)가 회동되면서 고정돌부(151)가 걸림홈(121b)으로부터 이격되어 디스크(121)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디스크(12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기 고정레버(150)를 놓으면, 스프링(160)에 의해 고정레버(150)가 회동되어 고정돌부(151)가 디스크(121)의 걸림홈(121b)에 맞물려 디스크(12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스프링(160)은 토션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양단이 상기 고정레버(15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각각 연결되어, 고정레버(150)의 고정돌부(151)가 걸림홈(121b)에 결합되도록 탄성가압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레버(150)의 버튼(152)을 룰러 디스크(121)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에서 와이어(20)를 당겨 풀려내면, 상기 권취롤(120) 즉, 상기 디스크(121)와 권취롤본체(122)가 함께 회전하면서 권취롤본체(122)에 감겨진 와이어(20)가 풀려가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태엽(130)은 압축된다. 그리고, 와이어(20)를 적당한 길이로 풀러낸 후 상기 고정레버(150)를 놓으면, 스프링(160)에 의해 고정레버(150)가 회동되어 고정돌부(151)가 디스크(121)의 걸림홈(121b)에 맞물려 디스크(121)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백(10)에 축구공(1)을 넣어 와이어(20)에 연결한 후, 백(10)에 담겨진 축구공(1)을 차면서 축구연습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롤본체(122)는 상기 디스크(121)의 슬리브(12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태엽(1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공(1)을 차서 상기 와이어(20)가 당겨지면 상기 권취롤본체(122)가 제2 태엽(1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와이어(20)가 급격하게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상기 고정레버(150)의 버튼(152)을 누르면 디스크(121)의 고정이 해제되고 제1 태엽(130)의 탄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121)와 권취롤본체(122)가 역회전되어 와이어(20)를 원래상태로 감게 된다.
상기 측정유닛(40)은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일측에 연결되는 발전기(42)와,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43)와,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측정수단(44)과,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45)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5)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46)로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42)는 구동축(42a)에 구비된 구동기어(42b)가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일측에 구비된 기어부(122b)에 연결되는 것으로, 와이어(20)가 당겨져 권취롤본체(122)가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구동되어 발전을 한다. 이때, 상기 기어부(122b)는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측면에 권취롤본체(122)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기어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축전지(43)는 일반적인 콘덴서를 이용한다.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은 상기 발전기(42)에 연결되어 발전기(42)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즉,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되는 전력은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에 비례하므로, 발전기(42)에서 출력되는 전기의 전류량(A) 또는 전압(V)을 측정하여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45)은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공(1)을 차는 힘 또는 공(1)의 속도를 연산하고, 연산된 연산값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6)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공(1)을 차서 와이어(20)가 당겨지면 이에 추종하여 상기 권취롤본체(122)가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공(1)을 찰 때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회전속도와 권취롤본체(122)의 지름을 연산하여 공(1)의 속도를 연산할 수 있으며, 제2 태엽(140)의 탄성계수와 공(1)의 속도를 연산하여 공(1)을 차는 힘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6)는 LCD 디스플레이장치(46)를 이용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면번호 47은 상기 케이스(1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5)에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조작스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백(10)에 축구공(1)을 집어넣은 후 상기 고정레버(150)의 버튼(152)을 누른 상태에서 필요한 길이만큼 와이어(20)를 잡아당겨 빼내고 고정레버(150)를 놓으면 고정레버(150)의 고정돌부(151)가 걸림홈(121b)에 결합되어 권취롤(1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백(10)에 담겨진 축구공(1)을 차면서 혼자서 축구연습을 할 수 있다. 이때, 축구공(1)에 의해 와이어(20)가 당겨져 상기 권취롤본체(122)가 회전되면, 상기 발전기(42)가 작동되어 축전지(43)에 전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스위치(47)를 조작하여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축구공(1)을 차면 상기 제어유닛(45)이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축구공(1)의 속도와 공(1)을 차는 힘을 연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6)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연습이 끝나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레버(150)의 버튼(152)을 누르면, 걸림홈(121b)과 고정돌부(151)의 결합이 해제되고, 상기 제1 태엽(130)의 힘에 의해 권취롤(120)이 역회전되면서 와이어(20)를 감아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구기연습장치는 백(10)에 축구공(1)을 넣고 홀더(100)를 허리에 찬 상태에서 공(1)을 차면, 와이어(20)에 의해 공(1)이 홀더(100)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혼자서도 축구연습을 할 수 있으며, 벨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홀더(100)를 허리에 차게 되므로, 사용자가 계속 자리를 바꾸더라도 공(1)이 사용자가 있는 위치로 돌아오게 되므로, 축구의 드리블 등과 같이 계속 움직이면서 하는 연습도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백(10)에 축구공 이외에도 배구공이나 기타 다양한 종류의 공(1)을 넣어 연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구기운동의 연습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권취롤(120)이 회전축(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태엽(130)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121)와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태엽(140)에 의해 지지되는 권취롤본체(122)로 구성되고, 케이스(110)에 구비된 고정레버(150)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크(121)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권취롤(120) 전체를 회전시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길이만큼 와이어(20)를 풀어낸 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디스크(121)가 고정된 상태에서 권취롤본체(122)가 제2 태엽(140)에 지지되어 상대적으로 더 회전되어, 공(1)을 찰 때 발생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일측에 구비된 기어부(122b)에 연결되는 발전기(42)와,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43)와,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측정수단(44)과,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45)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5)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46)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공(1)을 차는 힘 또는 속도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은 상기 발전기(42)에 연결되어 발전기(42)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류측정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권취롤본체(122)에 별도의 회전센서를 결합하여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기술된 구성과 효과를 가진 본 고안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은 다음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되어진다.
10 : 백 20 : 와이어
30 : 벨트 40 : 측정유닛
100 : 홀더

Claims (3)

  1. 축구공이나 배구공 등을 담을 수 있도록 된 백(10)과, 상기 백(10)에 연결된 탄성이 있는 와이어(20)와, 일측에 구비된 벨트(3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몸에 감을 수 있도록 된 홀더(100)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100)는 일측에 상기 벨트(30)가 결합된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 상기 와이어(20)가 감겨지는 권취롤(120)과, 상기 권취롤(120)에 연결된 태엽(130,14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는 상기 권취롤(120)에서 풀려나온 와이어(20)가 관통하는 인출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회전축(112)이 구비되며, 상기 권취롤(120)은 상기 회전축(112)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리브(121a)가 구비되며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홈(121b)이 형성된 디스크(121)와, 상기 디스크(121)의 슬리브(12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둘레면에는 상기 와이어(20)가 감겨지는 권취롤본체(122)를 포함하며,
    상기 태엽(130,140)은 양단이 상기 회전축(112)과 디스크(121)에 각각 고정된 제1 태엽(130)과, 양단이 상기 권취롤본체(122)와 슬리브(121a)에 연결되는 제2 태엽(1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상기 디스크(121)의 걸림홈(121b)에 결합되는 고정돌부(151)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된 버튼(152)이 돌출형성된 고정레버(150)와, 상기 고정레버(150)에 연결되어 고정레버(150)의 고정돌부(151)가 걸림홈(121b)에 결합되도록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태엽(140)은 상기 제1 태엽(130)에 비해 탄성계수가 높게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기연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일측에 구비된 기어부(122b)에 연결되는 발전기(42)와,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지(43)와, 상기 권취롤본체(122)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측정수단(44)과, 상기 발전기(42)에서 출력된 전원으로 구동되며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45)과,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유닛(45)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46)로 구성된 측정유닛(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45)은 상기 회전속도측정수단(44)의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공(1)을 차는 힘 또는 속도를 연산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6)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구기연습장치
  3. 삭제
KR2020110002161U 2011-03-16 2011-03-16 구기연습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4543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61U KR200454306Y1 (ko) 2011-03-16 2011-03-16 구기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161U KR200454306Y1 (ko) 2011-03-16 2011-03-16 구기연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306Y1 true KR200454306Y1 (ko) 2011-06-29

Family

ID=4448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161U Expired - Lifetime KR200454306Y1 (ko) 2011-03-16 2011-03-16 구기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30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865A (ja) * 1995-04-13 1996-10-29 Killion Darryl サッカー練習装置
JPH09239086A (ja) * 1996-03-11 1997-09-16 Nippon Koutai Kk 球技練習具
KR200199701Y1 (ko) 2000-05-12 2000-10-02 조병관 축구공 홀더
KR20010099701A (ko) * 1999-08-18 2001-11-09 구타라기 켄 열분산 핀을 포함하는 히트 싱크 및 열 분산 핀을고정시키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865A (ja) * 1995-04-13 1996-10-29 Killion Darryl サッカー練習装置
JPH09239086A (ja) * 1996-03-11 1997-09-16 Nippon Koutai Kk 球技練習具
KR20010099701A (ko) * 1999-08-18 2001-11-09 구타라기 켄 열분산 핀을 포함하는 히트 싱크 및 열 분산 핀을고정시키는 방법
KR200199701Y1 (ko) 2000-05-12 2000-10-02 조병관 축구공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1303B2 (en) Wheeled exercise device
US20150196811A1 (en) Interactive ball
US9089755B2 (en) Golf practice mat
US20090197711A1 (en) Lacrosse ball and stick practic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359481B1 (ko) 골프스윙연습기
US9199154B2 (en) Pitching machine
US20100240476A1 (en) Retractably tethered hockey puck and sports balls
KR200454306Y1 (ko) 구기연습장치
US20080182678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US7364164B2 (en) Reconfigurable golf game
KR101302770B1 (ko) 골프용품 수납장치
US3165930A (en) Golf game device
KR102172876B1 (ko) 골프용품 수납장치
KR20210060304A (ko) 풍속 및 풍향 측정용 볼마커 및 이를 포함하는 골프 액세서리 세트
US20100017983A1 (en) Combination-type golf club cleaner of removing extraneous substances on golf club
KR20110090244A (ko) 접철부가 구성된 운동기구
KR20170004049A (ko) 체육 코트 카펫 설치 장치 및 그 코트 카펫 설치 방법
KR100859362B1 (ko) 체육관 바닥 보호 덮개 자동 깔기 및 학습도구 보관 장치
JP5303509B2 (ja) ゴルフ練習具
CN206304313U (zh) 一种羽毛球训练场用羽毛球收集装置
KR100711859B1 (ko) 휴대용 골프 연습기
CN109350940A (zh) 一种基于自动计量的羽毛球拍
CN220736118U (zh) 一种多功能耐磨球拍包
TWI357826B (en) Training apparatus for hitting a ball
CN219376022U (zh) 一种可拆卸式健身球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3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6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6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6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