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94Y1 - Ginseng box with display function - Google Patents
Ginseng box with display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9494Y1 KR200449494Y1 KR2020080005594U KR20080005594U KR200449494Y1 KR 200449494 Y1 KR200449494 Y1 KR 200449494Y1 KR 2020080005594 U KR2020080005594 U KR 2020080005594U KR 20080005594 U KR20080005594 U KR 20080005594U KR 200449494 Y1 KR200449494 Y1 KR 2004494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nseng
- main body
- support
- plate
- packaging box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13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9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590428 Pan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41 silica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27 silica g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8—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 B65D5/5293—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U- or V-shaped racks on which the items re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에 관한 것으로, 통상 건조되어 포장 보관되는 인삼을 장기간의 유통기간 중에도 부패나 훼손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보관 중에도 자체 구조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일정각도로 간단하게 세워 내용물인 인삼 고유의 자태 및 제품 상태를 편리하게 확인 및 장식물로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인삼 포장함은 개방된 상측 반대쪽의 하측 외면에 지지대수용홈(16)이 요홈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수용홈(16)에는 경사지지대(14)가 회전동작되어 출입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 함본체(10)와; 내부에 인삼(60)이 수용되어 고정 보관되고, 저부쪽 상기 함본체(10)와의 사이에는 일정높이의 이격판(20)이 위치하면서 개방된 상측에는 내용물인 인삼(60)이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투명판(40)이 결속된 보관판(30)과; 하측이 상기 함본체(10)의 상측에 안착 결속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측 내면에는 상기 함본체(10)의 지지대수용홈(16)에 힌지결합된 경사지지대(14)가 각도 조절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대걸림홈(52)이 요홈된 함덮개(50)를 포함하여 제품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nseng packaging box having an exhibition function, and ginseng that is normally dried and packaged can be safely stored without decay or damage even during long periods of distribution, and is simply er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using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Ginseng's unique shape and product status can be conveniently checked and appreciated as a decoration. The ginseng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receiving groove 16 is formed i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open side,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16 is hinged so that the inclined support 14 is rotated in and out. The main body 10; The ginseng 60 is accommodated inside and fixedly stored therein, so that the ginseng 60 of the contents can be observed on the open side while the separation plate 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main body 10. A storage plate 30 to which the transparent plate 40 of the transparent material is bound; The lower side is opened so that it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inclined support 14 hinged to the support base receiving groove 16 of the main body 10 can be erec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A plurality of support locking groove 52 is configured so that the product including the grooved cover 50.
인삼, 함본체, 경사지지대, 이격판, 투명판, 통기공, 보관판 Ginseng, Ham body, inclined supporter, Spacer plate, Clear plate, Ventilator, Storage plate
Description
본 고안은 약용의 건조된 인삼을 상온에서 포장 보관함에 있어 전시기능까지도 부여한 인삼 포장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 건조되어 포장 보관되는 인삼을 장기간의 유통기간 중에도 부패나 훼손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보관 중에도 자체 구조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일정각도로 간단하게 세워 내용물인 인삼 고유의 자태 및 제품 상태를 수시로 확인 및 장식물로서 감상할 수 있도록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inseng packaging box that is also given a display function in the storage and storage of medicinal dried ginseng at room temperature. More specifically, the ginseng that is normally dried and packaged can be safely stored without corruption or damage even during long-term distribution period. It is related to the ginseng packaging box that has an exhibition function so that it can be easily checked at a certain angl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its own structure even during storage, and the appreciation of the ginseng's unique shape and product state as a decoration at any time.
인삼의 과학적 이름은 Panax Ginseng C.A Meyer로서 만병 통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인삼은 다년생 약용식물로서 아시아의 극동지방(북위 30°에서 48° 지역)에 주로 자생한다. 인삼은 근본적으로 재배적지에 대한 선택성이 강한 식물학적 특성이 있어 기후나 토양 등 자연환경이 적당하지 않은 곳에 인삼을 적응시켜 생육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인삼은 습기가 많은 숲속에서 주로 잘 성장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국은 인삼 생육의 최적지이다.The scientific name of ginseng is Panax Ginseng C.A Meyer, meaning panacea. Ginseng is a perennial medicinal plant that grows mostly in the Far East of Asia (30 ° to 48 ° north latitude). Since ginseng has a botanical characteristic with a strong selectivity for cultivation sites, it is very difficult to adapt ginseng to grow in places where th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climate or soil is not suitable. Ginseng grows well in humid forests, so Korea is the best place to grow ginseng.
특히 한국 인삼은 "고려 인삼" 이라고 명명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삼이 강장약으로서 약물사에 등장하게 된 것은 2.000년 전 중국의 전한원시대(BC 48-33)의 문헌인〈급취장>에 처음으로 인삼의 `삼(蔘)`자가 소개되면서 부터이다.In particular, Korean ginseng is named "Korean ginseng" and is highly regarded worldwide. Ginseng appeared in pharmacists as a tonic medicine since the first introduction of ginseng 'Ginseng' in the `` Acute Cookery '', a Chinese book in the Korean Peninsula Era (BC 48-33) 2.000 years ago.
이러한 인삼은 그 뿌리의 약효가 뛰어나 오랜 세월을 두고 인류의 건강을 위해 재배되어 애용되어 왔으며, 그 열매 또한 아름답기 그지없다. 일부는 황숙종이라 하여 노란색의 열매를 맺으나, 대부분은 자경종으로서 선홍색의 아름다운 열매를 맺게 된다.Such ginseng has been cultivated and used for human health for many years because of its excellent root effect, and its fruit is also very beautiful. Some are yellow soybeans, which produce yellow fruit, but most of them are virulent, beautiful fruit of cerise.
한편, 재배한 인삼을 포장하여 유통 판매함에 있어 통상 골판지와 같은 종이 재질이나 보통의 나무판재나 대나무 등의 목재 재질로서 인삼을 포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인삼 포장함(포장케이스)이 만들어져 사용되는데, 보통의 경우 상측이 개방된 함본체에 얇은 종이를 깐 다음 그 위에 일정 개수의 인삼을 내용물로서 수납시키고 별도의 함덮개를 덮어 결속시켜 유통시키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packaging and selling the grown ginseng, a ginseng box (packing case) that is made of paper such as corrugated cardboard or wood, such as ordinary wooden board or bamboo, can be packaged and stored. In the case of a thin paper is placed on the open body of the upper side and then a certain number of ginseng is stored as the contents on top of it and covered with a separate cover and bound to distribute.
그런데 지금까지 인삼의 포장 및 보관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삼 포장함은 인삼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수분 침투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그 기능이 있었을 뿐, 소비자가 해당 인삼을 구입함에 있어 내용물인 인삼 고유의 자체나 정확한 제품 상태를 보기 위해서는 별수 없이 통상 인삼이 수납된 함본체에서 함덮개를 분리시키고 확인한 후에 다시 함덮개를 함본체에 결속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the ginseng packaging box, which has been used as a means of packing and storing ginseng until now, has a function to protect ginseng from external shock, foreign substances, and water intrusion. In order to see the state of itself or the exact product, there was a lot of trouble to remove the cap from the main body containing ginseng, and then bind the cover to the main body again.
따라서 기존의 인삼 포장함은 인삼을 단순히 포장 보관하는 기능만 있어, 결국 소비자는 포장함을 구성하는 함본체에서 함덮개를 분리시켜 육안 확인하는 번거 로움 때문에 인삼 종류와 무게(함량)만을 선택할 수 있을 뿐, 대충 선택한 인삼의 종류와 무게를 포장함에 인쇄된 내용문을 확인하는 정도에서 구매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었다.Therefore, the existing ginseng packaging box has a function of simply packing and storing ginseng, so that consumers can only select ginseng type and weight (content) because of the hassle of removing the cover from the main body of the packaging box and visually checking it. In addition, the purchase was usually made at the level of checking the content printed on the packaging of the selected type and weight of ginseng.
특히 대한민국을 상징하는 약용 제품으로서 점차 그 판매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인삼을 백화점 및 공항 등의 인삼 전용매장에서 조차,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을 포함한 모든 소비자가 단순히 인삼 전용의 포장함에 인쇄된 해당 인삼의 종류 및 무게만을 확인하고자 구매해야 하는 불편은 물론, 인삼의 자체의 고유한 신비로운 자태 및 구매할 해당 인삼의 제품 상태를 정확하고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서도 구매한 후에도 해당 포장함을 통해 인삼 고유의 자태와 장식성을 제공할 수 없다는 불편도 있었다.In particular, ginseng, which is a medicinal product that symbolizes Korea, is gradually exploding in sales, even in ginseng-only stores such as department stores and airports. In addition to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rchase only to check the weight and weight, as well as the unique mysterious state of ginseng itself and the state of the ginseng product to be purchased accurately and easily, even after purchase, the ginseng provides its own shape and decoration There was also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이에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통상 건조되어 포장 보관되는 인삼을 장기간의 유통기간 중에도 부패나 훼손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면서, 간단하게 자체 구조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통상의 장식액자처럼 일정각도로 세워 보관 중인 내부의 내용물인 인삼 고유의 자태 및 제품 상태를 편리하게 수시로 확인 및 장식물로서 감상할 수 있어, 한국을 대표하는 약용 식품인 인삼의 보다 적극적인 판촉 효과를 높이면서도 감상의 기쁨까지도 부여시킨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ginseng, which is usually dried and packaged and stored, can be safely stored without decay or damage even during a long period of distribution, and simply uses its own structural features, like a common decorative frame. Ginseng's intrinsic shape and product status, which are stored inside at a certain angle, can be conveniently checked and viewed as a decoration, increasing the more positive promotion effect of ginseng, Korea's representative medicinal food, and enjoying the joy of appreci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ginseng packaging box with a display func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은, 개방된 상측 반대쪽의 하측 외면에 지지대수용홈이 요홈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수용홈에는 경사지지대가 회전동작되어 출입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 함본체와; 내부에 인삼이 수용되어 고정 보관되고, 저부쪽 상기 함본체와의 사이에는 일정높이의 이격판이 위치하면서 개방된 상측에는 내용물인 인삼이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투명판이 결속된 보관판과; 하측이 상기 함본체의 상측에 안착 결속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상측 내면에는 상기 함본체의 지지대수용홈에 힌지결합된 경사지지대가 각도 조절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대걸림홈이 요홈된 함덮개와, 특히 보관판은 인삼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고정핀이 결합되고, 내부 공간이 통기될 수 있도록 개방 상측에 결속된 투명판에 다수의 통기공이 관통된 구성관계를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Ginseng packaging box having a displa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upper side opposite to the ope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can be entered by rotating the inclined support. A hinge body coupled to be hinged; Ginseng is accommodated inside and fixed, and the storage plate is a transparent plate of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ginseng as the contents can be observed on the open side while the separation plate of a certain height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and the main body; The lower side is open so that it can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support cover and the groove cover the groov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engaging grooves so that the inclined support hinged to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of the main body can be angled In particular, the storage plate is a technical feature of the configuration relationship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are penetrated through the transparent plate bound to the upper side is coupled to the fixing pin from the lower side so that the ginseng can be fixed position, the inner space is ventilated.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은, 통상 건조되어 포장 보관되는 인삼을 장기간의 유통기간 중에도 부패나 훼손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보관기능은 물론, 보관 중에도 함본체와 함덮개에 구성시킨 경사지지대와 지지대걸림홈을 통한 자체 구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인삼이 수용 보관된 함본체를 함덮개에 대해 일정각도로 간단하게 세워 내용물인 인삼 고유의 자태 및 제품 상태를 함본체의 투명판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은 본 고안의 인삼 포장함에 수용 보관된 인삼을 구입한 후에도 이를 거실이나 임의 장소에 놓고 제품 자체를 관상용 인삼이 포함된 장식물로서 감상할 수 있어, 인삼을 포장 보관하는 기본적인 보관기능과 함께 인삼을 포함한 장식물로서의 장식기능까지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작용효과가 기대된다.The ginseng packaging box having the exhibi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storage function that can safely store dried and packaged ginseng without decay or damage even during a long period of distribution, as well as the main body and the lid during storage. Using the inhe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support catching groove, the main body of ginseng housed in the ginseng is simply set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ver, so that the contents of the ginseng inherent in its contents and the state of the product are made. Not only can be conveniently checked, but consumers can buy ginseng stored in the ginseng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lace it in a living room or any place and view the product itself as a decoration containing ornamental ginseng. Along with the basic storage function to store, even as a decoration function including ginseng Various effects that can be provided are expected.
이하, 본 고안의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ttached to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ginseng packaging having a displa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의 인삼 포장함을 구성하는 함본체(10)에 함덮개(50)가 결합되기 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 포장함의 구성관계를 보인 전체 분리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와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인삼(60)이 보관된 함본체(10)를 후측의 경사지지대(14)를 이용하여 다수의 지지대걸림홈(52)이 요홈된 함덮개(50)에 원하는 경사각도로 조립 지지시킨 사용상태와 조립하기 전의 분리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separation state before the
또한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로서 인삼(60)이 수용된 보관판(30)을 단층으로 구성시킨 인삼 포장함의 결합상태 및 사용상태의 각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로서 역시 각각 인삼(60)이 수용된 보관판(30)을 다층으로 구성시킨 인삼 포장함의 결합상태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Figure 5 and Figure 6 shows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mbined state and use state of the ginseng packaging box consisting of a single layer of the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삼 포장함은 기본적으로 인삼(60)이 수용 보관되고 개방된 상측은 내부의 상기 인삼(60)이 쉽게 관찰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투명판(40)으로 결속된 보관판(30)과, 상기 보관판(30)이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이격판(20)과 함께 결속 구성되는 함본체(10) 및 상기 함본체(10)의 개방된 상측에 안착 결속되어 유통시에 밀폐구조를 이루어 내부의 인삼(60)이 보호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함덮개(50)의 조립괸계로서 제품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ginseng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특히 본 고안의 인삼 포장함은 인삼(60)이 수용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포장기능만 있는 기존의 인삼 포장함과는 달리, 보관중에도 함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인삼을 확인 및 감상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경사조절수단 없이 이들 함본체(10)와 함덮개(50)에 자체 구성된 경사조절수단인 경사지지대(14)와 지지대걸림홈(52)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인삼(60)을 일정각도로 세워 관찰 및 감상할 수 있는 전시기능이 제공되는 구성관계를 이룬다.In particular, the ginseng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existing ginseng packaging box that has only the packaging function to accommodate the
우선 함본체(10)는 개방된 상측 반대쪽의 하측 외면에 지지대수용홈(16)이 요홈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수용홈(16)에는 경사지지대(14)가 회전동작되어 출입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된다. 특히 경사지지대(14)는 힌지핀(18)을 매개로 지지대수용홈(16) 내부에 삽입 체결되거나, 또는 외부에 인출되어 함덮개(5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해당 지지대걸림홈(52)에 걸림 지지되면서 경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함본체(10)는 개방된 상측 단부가 안쪽으로 단턱지게 안착돌기(12)가 돌출되어 함덮개(50)의 개방된 하측이 끼워져 안착 체결될 수 있다.First, the
그리고 보관판(30)은 내부 공간에 인삼(60)이 수용되어 고정 보관되고, 저부쪽의 함본체(10) 하측과의 사이에는 일정높이의 이격판(20)을 매개로 안착 설치되어 상기 보관판(30)의 저부가 상기 함본체(10)의 하측에 직접적으로 밀착되지 않고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내용물인 인삼(60)이 보관 중에 혹시라도 습기로 인해 눅눅해지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함 이 바람직하다. 물론 인삼(60)이 보관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쾌적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실리카겔 등의 방습제를 함께 준비시켜도 된다.And the
또한 보관판(30)은 판매되는 해당 인삼(60)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단일 또는 다수로 다양한 제품 형태로 꾸며 장식되어 수용 고정되는데, 이때 이들 인삼(60)을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격판(20) 저부로부터 고정핀(62)을 통과시켜 상기 고정핀(62)의 날카로운 몸체부분이 상기 보관판(30)에 수용된 해당 인삼(60)에 찔려져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핀(62)의 머리부분은 이격판(20)의 일정높이로 돌출된 이격돌기(22)의 공간 속에 숨겨지면서 몸체부분은 인삼(60) 내부로 찔려져서 숨겨질 수 있어, 결국 인삼(60)의 고정수단인 고정핀(62)이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보관판(30)은 개방 상측에 결속되는 투명판(40)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기의 출입이 방해받지 않고 허용되어 통기될 수 있도록 상기 투명판(40)에는 다수의 통기공(42)이 관통된 통기구조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투명판(40)은 기존의 인삼 포장함에서는 전혀 기대할 수 없었던 함본체(10)에서 함덮개(5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장기간 일정각도로 세워 전시하더라도,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수분 등의 불필요한 침입을 최대한 억제시킬수 있으면서 내용물인 인삼(60)을 쉽게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그리고 함덮개(50)는 일정높이의 안착돌기(12)가 돌출된 함본체(10) 상측에 안착 결속될 수 있도록 하측이 개방되고, 반대쪽 상측 내면에는 상기 함본체(10)의 지지대수용홈(16)에 힌지결합된 경사지지대(14)가 각도 조절되어 세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지지대걸림홈(52)이 일정간격을 두고 요홈된다. 즉 도 3 및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개방 상측이 위를 향하도록 전시대 바닥에 놓여진 함덮개(50)의 내부공간 앞쪽에 함본체(10)를 세우고, 상기 함본체(10)의 경사지지대(14)를 원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함덮개(50)의 해당 위치의 지지대걸림홈(52)으로 안착시킴으로서, 별도의 경사조절수단 없이 간단하게 인삼(60)이 수용 보관된 상기 함본체(10)를 함덮개(50)에 일정각도로 세워 전시할 수 있으며, 당연히 함본체(10)의 인삼(60)은 투명판(40)을 통해 소비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관찰할 수 있어 제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인삼(60) 자체의 빼어난 형태 및 상기 인삼(60)이 수용된 포장함 전체 구성 제품을 장식물로서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And the
아울러 본 고안의 인삼 포장함은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함덮개(50)의 외면에 수용 보관되어 전시되는 해당 인삼(60)에 대한 정보 및 각종 홍보(광고) 문안(문양)이 인쇄된 제품설명부(54)을 구성시킴으로서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으로서의 제품 품격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ginseng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product description printed on the information and the various promotional (advertisement) texts (patterns) for the
한편, 본 고안의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은 도 7의 응용 실시예서와 같이, 각각 인삼(60)이 수용된 보관판(30)을 다층으로 구성시킴으로서 인삼 포장함을 구성하는 단일의 함본체(10)에 보다 많은 수량의 인삼(60)을 적층시켜 보관 및 전시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의 함본체(10)는 단일의 보관함(30)을 구성시키는 함본체보다 상대적으로 높이를 크게 하여 형성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ginseng packaging box having a displa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pplication example of FIG. 7, a single main body constituting the ginseng packaging box by configuring the
도 1은 본 고안의 인삼 포장함을 구성하는 함본체에 함덮개가 결합되기 전의 분리상태도.1 is an isolated state before the lid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ginseng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의 분리상태도.Figure 2 is an isolated state of the ginseng packaging box having a displa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삼이 보관된 함본체를 함덮개에 경사지게 조립 지지시켜 전시기능를 갖도록 한 사용상태 및 분리상태도.Figure 3 and Figure 4 is a state of use and separation of the ginseng is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ort the assembly inclined to the box cover to have a display function.
도 5는 본 고안의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의 결합상태 단면구조도.5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ginseng packaging box having a displa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전시기능을 갖는 인삼 포장함의 사용상태 단면구조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state of use of ginseng packaging box having a display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라 인삼을 다단으로 보관 적재시킬 수 있도록 보관판이 다수 구성된 인삼 포장함의 결합상태 단면구조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combined state of the ginseng packaging box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orage plates to be stored and stack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 함본체 12 : 안착돌기10: main body 12: seating protrusion
14 : 경사지지대 16 : 지지대수용홈14: inclined support 16: support receiving groove
18 : 힌지핀 20 : 이격판18: hinge pin 20: spacer plate
22 : 이격돌기 30 : 보관판22: spaced protrusion 30: storage plate
40 : 투명판 42 : 통기공40: transparent plate 42: ventilator
50 : 함덮개 52 : 지지대걸림홈50: cover 52: support locking groove
54 : 제품설명부 60 : 인삼54: Product Description 60: Ginseng
62 : 고정핀62: fixed pin
Claims (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594U KR200449494Y1 (en) | 2008-04-26 | 2008-04-26 | Ginseng box with display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5594U KR200449494Y1 (en) | 2008-04-26 | 2008-04-26 | Ginseng box with display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1129U KR20090011129U (en) | 2009-10-29 |
KR200449494Y1 true KR200449494Y1 (en) | 2010-07-14 |
Family
ID=4155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55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449494Y1 (en) | 2008-04-26 | 2008-04-26 | Ginseng box with display fun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494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483Y1 (en) | 2012-12-07 | 2014-02-28 | 신금철 | case one body type memorial tablet |
KR20190131644A (en) * | 2018-05-17 | 2019-11-27 | (주)엘지하우시스 | Sample book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056118A (en) * | 2020-01-07 | 2020-04-24 |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 Gift display box structur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22724A (en) * | 1996-06-07 | 1997-12-16 | M S:Kk | Packing structure for dry-processed rice |
KR19980015044U (en) * | 1996-09-05 | 1998-06-25 | 손승호 | Match that can enter the nameplate |
KR20040015295A (en) * | 2001-06-29 | 2004-02-18 |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of rolls from a rewinder and rewinder comprising said device |
KR200415295Y1 (en) | 2006-02-07 | 2006-05-03 | (주)토종물산 | Creature case |
-
2008
- 2008-04-26 KR KR2020080005594U patent/KR200449494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322724A (en) * | 1996-06-07 | 1997-12-16 | M S:Kk | Packing structure for dry-processed rice |
KR19980015044U (en) * | 1996-09-05 | 1998-06-25 | 손승호 | Match that can enter the nameplate |
KR20040015295A (en) * | 2001-06-29 | 2004-02-18 |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charging of rolls from a rewinder and rewinder comprising said device |
KR200415295Y1 (en) | 2006-02-07 | 2006-05-03 | (주)토종물산 | Creature cas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483Y1 (en) | 2012-12-07 | 2014-02-28 | 신금철 | case one body type memorial tablet |
KR20190131644A (en) * | 2018-05-17 | 2019-11-27 | (주)엘지하우시스 | Sample book |
KR102101480B1 (en) | 2018-05-17 | 2020-04-16 | (주)엘지하우시스 | Sample boo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1129U (en) | 2009-10-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17240A (en) | Expandable floral greeting card | |
JPS62166818A (en) | Flower container also used as display | |
SK158197A3 (en) | Bouquet presentation device | |
GB2252708A (en) | Flower pot cover | |
KR101079849B1 (en) | Packaging case for seedling plants | |
KR200449494Y1 (en) | Ginseng box with display function | |
JP7209730B2 (en) | Storage units for storing moisture-sensitive products | |
US6793297B2 (en) | Medal display case | |
US2503359A (en) | Ornamental tree display | |
US5239774A (en) | Planter system with change-configuration, pop-out imitator structure | |
US6136393A (en) | Method for packaging and displaying a floral grouping | |
US1577873A (en) | Artificial tree trunk | |
JP3215468U (en) | Herbarium ornaments | |
KR200461235Y1 (en) | Packing Box for Flowering Plant | |
JP3125736U (en) | Ornamental plant set | |
KR200492320Y1 (en) | Cake Box Capable of Storing Toy Storage Box | |
CN101156737A (en) | Supporting apparatus for flower arrangement | |
JP3091687U (en) | Combination container for display | |
KR200244485Y1 (en) | Multi Purpose Packaging Box | |
ES1063727U (en) | Didactic exhibitor for wine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
US7371145B2 (en) | Multipurpose souvenir kit | |
RU168358U1 (en) | GREENING MODULE | |
US7686615B1 (en) | Miniature house with multi-purpose drawer | |
US20120023794A1 (en) | Portable solar light for sports enthusiast | |
JP3187005U (en) | Ornamental container for housing dried pla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4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007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0070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406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