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40087937A -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937A
KR20040087937A KR1020040023955A KR20040023955A KR20040087937A KR 20040087937 A KR20040087937 A KR 20040087937A KR 1020040023955 A KR1020040023955 A KR 1020040023955A KR 20040023955 A KR20040023955 A KR 20040023955A KR 20040087937 A KR20040087937 A KR 20040087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anel
sealing
drying member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와사키요시히로
나이토다케미
오오시타이사무
노나카요시타카
마스다다이스케
Original Assignee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호꾸 파이오니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7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93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includ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패널 내부의 건조 부재가 표시면 측에서 보이는 외관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유기 EL 패널(10)은 지지 기판(11)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12)를 형성한다. 밀봉 부재(13)를 접착제(15)를 통해 지지 기판(11)에 접합시킴으로써, 유기 EL 소자(12)를 지지 기판(11)과 밀봉 부재(13)로 둘러싸는 밀봉 공간을 형성한다. 밀봉 공간 내에는 밀봉 부재(13)의 지지 기판(11)과의 대향면에 착색한 건조 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EL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EL(ElectroLuminescence)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패널은 지지 기판 상에, 제1 전극을 형성하고, 그 위에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2 전극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이 유기 EL 소자를 단위면 발광 요소로서 평면 기판 상에 배열시킨 것이다.
이 유기 EL 패널은 전술한 유기층 및 전극이 외기에 노출되면 특성이 열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유기층과 전극과의 계면에 수분이 침입함으로써, 전자의 주입이 방해를 받아, 미발광 영역으로서의 다크 스폿이 발생하거나, 전극이 부식되는 현상에 의한 것으로, 유기 EL 소자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기 EL 소자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밀봉 기술이 불가결하다. 이 밀봉 기술에는, 전극 및 유기층이 형성된 지지 기판 상에, 이 전극 및 유기층을 덮는 밀봉 부재를 접착제를 통해 접합시키는 수단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EL 패널의 종래 기술(일본 특허 공개 평9-148066호 공보 참조)을 도 1에 도시한다. 유기 EL 패널(유기 EL 소자)(1)은 지지 기판이 되는 유리 기판(2), ITO 전극(3)과 유기 발광 재료층(4)과 음극(5)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6), 밀봉 부재가 되는 유리 밀봉관(7), 건조 부재(8) 및 밀봉재(9)로 구성되어 있다.
건조 부재(8)는, 유리 밀봉관(7)에 의해 밀봉한 후에, 그 안에 존재하는 초기 수분 및 시간 경과적으로 방출 또는 침입해 온 수분을 흡수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는 유기층은 열에 약하고, 밀봉 전에 가열 처리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초기 수분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의 유기 EL 재료를 이용한 패널에서는, 이러한 건조 부재(8)를 밀봉 부재 내에 구비하지 않을 수 없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9-148066호 공보에는 건조 부재(8)로서 화학적으로 수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흡습하더라도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이 건조 부재(8)를 유리 밀봉관(7)의 내면(유리 기판과의 대향면)에 점착재를 이용하여 부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기 EL 패널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지지 기판[유리 기판(2)] 측을 투명 기판으로 하여, 그 지지 기판 측에서 빛을 추출하는 방식(하부 에미션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경우, 지지 기판 등으로부터 패널의 내부[지지 기판과 밀봉 부재(유리 밀봉관(7))로 둘러싸인 밀봉 공간]에 외광이 입사하여, 이것이 밀봉 부재의 내면(지지 기판과의 대향면) 혹은 그 내면에 부착된 건조 부재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지지 기판의 표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현상이 생긴다. 또한, 유기 EL 소자에서 발광한 빛은 그 대부분이 지지 기판의 발광면에서 출사되도록 설정되어 있지만, 그 중의 일부의 빛은 패널 내에서 미광(迷光)으로 되어, 전술한 외광과 마찬가지로 밀봉 부재의 내면 혹은 그 내면에 부착된 건조 부재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지지 기판의 표시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패널 내에 입사한 외광이나 유기 EL 소자로부터의 미광이 밀봉 부재의 내면 혹은 건조 부재의 표면에서 반사하여 표시면 측으로부터 출사되면, 유기 EL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한 표시의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 밀봉 부재의 내면 혹은 건조 부재의 표면에서 반사한 빛이 표시면 측에서 출사되면, 표시면에서 직접적으로 혹은 지지 기판을 비스듬히 본 경우 등에, 패널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건조 부재가 보이는 경우가 있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도 생긴다. 그리고, 이러한 외관 문제점을 불량품으로 간주하는 경우에는 외광 입사나 미광 발생을 정밀도 좋게 방지하여, 건조 부재의 부착 위치 등의 정밀도를 향상시켜야 하기 때문에, 제품 수율이 떨어져 제품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과제의 일례로 한다. 즉,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표시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패널 내부의 건조 부재가 표시면 측에서 보이는 외관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켜 제품 비용을 저하시키는 것 등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패널 또는 그 제조 방법은 이하의 각 독립 청구항에 따른 구성을 적어도 구비한다.
[청구항 1] 지지 기판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고, 그 유기 EL 소자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밀봉 부재를 접합시킨 유기 EL 패널로서, 상기 밀봉 부재에서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대향면에 착색한 건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
[청구항 6] 지지 기판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는 소자 형성 공정과, 상기 유기 EL 소자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밀봉 부재를 상기 지지 기판에 접합시키는 밀봉 공정을 갖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밀봉 공정에 앞서서 상기 밀봉 부재에서의 상기 지지 기판의 대향면에 착색한 건조 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
도 1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패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패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패널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 유기 EL 패널
11 : 지지 기판
12 : 유기 EL 소자
13, 21, 31 : 밀봉 부재
14 : 건조 부재
15 : 접착제
15A : 스페이서
16, 21, 31, 41, 51 : 밀봉 부재
21A, 31A : 밀봉 오목부
31B : 부착 오목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패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 유기 EL 패널(10, 20, 30)은 지지 기판(11)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12)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밀봉 부재(13, 21, 31)를 접착제(15)를 통해 지지 기판(11)에 접합시킴으로써, 유기 EL 소자(12)를 지지 기판(11)과 밀봉 부재(13, 21, 31)로 둘러싸인 밀봉 공간으로 덮어, 이것을 외기로부터 차단하고 있다. 이 밀봉 부재(13, 21, 31) 내에는 지지 기판(11)과의 대향면에 유기 EL 소자(12)와 격리하여 건조 부재(1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유기 EL 패널(10)에 있어서는, 평판의 밀봉 부재(13)가 이용되고 있으며, 접착제(15) 내에 스페이서(15A)를 혼입함으로써전술한 밀봉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도 3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유기 EL 패널(20)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21)의 지지 기판(11) 측에 밀봉 오목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 기판(11)과 밀봉 오목부(21A) 사이에 전술한 밀봉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도 4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의 유기 EL 패널(30)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31)의 지지 기판(11) 측에 밀봉 오목부(31A)가 형성되어 지지 기판(11)과 밀봉 오목부(31A) 사이에 전술한 밀봉 공간이 형성되고, 또한, 밀봉 오목부(31A) 내에 건조 부재(14)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오목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부착 오목부(31B)는 건조 부재(14)의 낙하를 막기 위해서 투습성 필름(32)으로 막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패널(10, 20, 30)에는, 건조 부재(14)로서 빛 흡수성의 색으로 착색한 것을 이용한다. 빛 흡수성의 색은 가시광 영역의 파장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흑색, 회색, 짙은 갈색 등이 가시광의 전체 파장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는 것이 적합하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흑색 또는 대략 회색으로 착색된 것을 이용한다.
이 건조 부재(14)는 밀봉 부재(13, 21, 31)의 접착 후에, 이 안에 존재하는 초기 수분 및 시간 경과적으로 방출 또는 침입해 온 수분을 흡수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흡습성 성형체를 이용하여, 그 성형체 내에 안료를 분산시킴으로써 전술한 착색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밀봉 부재(13, 21, 31)는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금속혹은 수지 등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지만, 일 실시 형태로서는 유리제 기판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 형태의 유기 EL 패널(10, 20, 30)에 의하면, 지지 기판(11) 측으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서 표시하여, 지지 기판(11) 상에 표시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착색된 건조 부재(14)를 밀봉 부재(13, 21, 31)에서의 지지 기판(11)과의 대향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패널 내에 입사한 외광이나 유기 EL 소자(12)로부터의 미광을 이 착색된 건조 부재(14)가 흡수하게 되어, 이들 빛이 반사되어 표시면 측에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기 EL 소자(12)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한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지 기판(11) 측에서 패널 내부에 설치된 건조 부재(14)가 보이는 외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밀봉 부재(13, 21, 31) 내면에서의 반사를 막기 위해서는, 밀봉 부재 내면에 빛 흡수성의 도료를 도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별도로 밀봉 부재 내면을 도장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되는 동시에, 도포된 도료로부터 밀봉 공간 내에 유기 EL 소자(12)의 열화 인자(수분이나 유기 재료)가 발생하여 유기 EL 소자(12)의 수명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건조 부재(14)를 착색함으로써, 제조 공정에서의 공정수에는 영향이 없고, 또한, 밀봉 공간 내에 유기 EL 소자(12)의 열화 인자를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그리고, 특히, 건조 부재(14)의 색을 가시광 흡수율이 높은 흑색 또는 회색으로 함으로써, 전술한 외광 또는 미광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전체 파장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로써, 특히 컬러 표시를 하는 유기 EL 패널에 있어서 그 표시면의 콘트라스트 및 외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 건조 부재(14)를 흡습성 성형체로 형성하여, 그 안에 안료를 분산시킴으로써 전술한 착색을 실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부재(14)의 종류 혹은 재료에 상관없이 필요한 색으로 착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건조 부재(14)의 흡습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술한 작용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밀봉 부재(13, 21, 31)를 유리제 기판으로 사용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작용에 더하여 다음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즉, 첫째로는, 지지 기판(11)으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리제 기판과 동일한 재료로 밀봉 부재(13, 21, 31)를 형성하기 때문에, 지지 기판(11)과 밀봉 부재(13, 21, 31)의 열팽창 계수가 같아져, 온도 변화에 대한 패널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로는, 유리제 기판은 금속제 등의 밀봉 부재에 비해서 표면의 평활성이 높기 때문에 접착제(15)와의 계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수분 등이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밀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로는, 유리제 기판으로 밀봉 부재(13, 21, 31)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제의 밀봉 부재를 채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패널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그 개략적인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먼저, 소자 형성 공정(S1A)에서는, 지지 기판(11) 상에, 제1 전극, 유기층, 제2 전극을 적층한 유기 EL소자(12)를 형성하고,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12)를 형성한다. 여기서, 유기 EL 소자의 형성에는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주지의 성막 공정 및 패턴 형성 공정이 채용된다.
또, 한편으로, 건조 부재 부착 공정(S1B)에서는 밀봉 부재(13, 21, 31)에 대하여 건조 부재(14)를 부착한다. 이 건조 부재 부착 공정(S1B)에서는 미리 안료의 분산 등으로 착색된 건조 부재(14)를 준비하여, 이것을 통상의 건조 부재 부착 공정과 같은 식으로 밀봉 부재(13, 21, 31)의 내면[지지 기판(11)과의 대향면]에 부착한다.
그리고 밀봉 공정(S2)에서는 지지 기판(11)의 주변 또는 밀봉 부재(13, 21, 31)의 접착면에 접착제(15)가 도포되고, 지지 기판(11) 상에 밀봉 부재(13, 21, 31)가 접착되어 유기 EL 소자(12)의 밀봉이 이루어진다. 그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검사 공정(S3)을 거쳐, 실시 형태의 유기 EL 패널(10, 20, 30)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종래의 패널 제조 방법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전술한 바와 같이 고 콘트라스트로 외관 문제점이 없는 유기 EL 패널(10, 20, 30)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 EL 패널과 그 제조 방법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지지 기판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고, 그 유기 EL 소자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는밀봉 부재를 접합시킨 유기 EL 패널로서, 상기 밀봉 부재에서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대향면에 착색한 건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지지 기판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는 소자 형성 공정과, 그 유기 EL 소자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밀봉 부재를 상기 지지 기판에 접합시키는 밀봉 공정을 갖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밀봉 공정에 앞서서 상기 밀봉 부재에서의 상기 지지 기판의 대향면에 착색한 건조 부재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패널 내에 입사한 외광이나 유기 EL 소자로부터의 미광을 착색된 건조 부재가 흡수하기 때문에, 이들 빛이 반사되어 표시면 측에서 출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한 표시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지 기판 측에서 패널 내부에 설치된 건조 부재가 보이는 외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점을 제조 정밀도와는 무관하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저 콘트라스트 혹은 외관 문제점에 의해서 불량품이 되는 제품의 수율을 간단하고 쉽게 향상시킬 수 있어, 제품 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종래의 패널 제조 방법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효한 유기 EL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둘째로는, 전술한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빛 흡수성의 색, 특히 대략 흑색 또는 대략 회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술한 특징에 더하여, 전술한 외광 또는 미광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전파장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어, 전술한 작용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특히 컬러 표시를 하는 유기 EL 패널에 있어서 그 표시면의 콘트라스트 및 외관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셋째로는, 전술한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흡습성 성형체이며, 이 흡습성 성형체 내에 안료를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착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술한 특징에 더하여, 건조 부재의 종류 혹은 재료에 상관없이 필요한 색으로 착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건조 부재의 흡습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전술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넷째로는, 전술한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유리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전술한 특징에 더하여, 온도 변화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높고, 밀봉 성능이 높아, 박형화 및 경량화가 이루어지는 유기 EL 패널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 부재에 관한 구체예를 설명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 한다.
[건조 부재] 건조 부재(14)로서는, 물리적 건조제(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카본, 카본나노튜브 등), 후술하는 화학적인 흡습제, 유기 금속 착체를 석유계 용매(톨루엔, 크실렌, 지방족 유기 용매 등)에 용해한 건조제 등을 단체(單體)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 나타내는 흡습성 성형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흡습성 성형체란, 흡습제를 수지 성분(바인더)에 분산시킨 성형체이다. 흡습제로서는 적어도 수분을 흡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면 되는데, 특히 화학적으로 수분을 흡착하는 동시에 흡습하더라도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화합물인 것이 좋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금속 산화물, 금속의 무기산염 ·유기산염 등을 들 수 있는데, 특히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 및 황산염의 적어도 1종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산화칼슘(CaO), 산화바륨(BaO), 산화마그네슘(MgO) 등을 들 수 있다. 황산염으로서는, 예컨대 황산리튬(Li2SO4),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코발트(CoSO4), 황산갈륨(Ga2(SO4)3), 황산티탄(Ti(SO4)2), 황산니켈(NiSO4)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흡습제로서 흡습성을 갖는 유기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수지 성분(바인더)으로서는 흡습제의 수분 제거 작용을 방해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기체 투과성이 높은 재료(즉, 배리어성이 낮은 재료, 특히 기체 투과성 수지)를 이용한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폴리아크릴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등의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등의 외에,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흡습제 및 수지 성분의 함유량은 이들의 종류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되는데, 통상은 흡습제 및 수지 성분의 합계량을 100 중량%로 하여 흡습제 30∼85 중량% 정도 및 수지 성분 70∼15 중량% 정도로 하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습제 40∼80 중량% 정도 및 수지 성분 60∼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흡습제 50∼70 중량% 정도 및 수지 성분 50∼30 중량%로 하는 것이 좋다.
흡습성 성형체는 이들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경우, 흡습제, 가스 흡착제 등은 미리 충분히 건조시킨 후에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성분과의 혼합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흡습성 성형체는 흡습제 및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성형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제 등의 제3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흡습성 성형체를 제조함으로써, 이들 제3 성분이 성형체 중에 잔존함에 의한 폐해(예컨대, 잔존한 용제가 흡습제에 흡착되어 흡착제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혹은 잔존한 용제가 밀봉 부재 내에서 시간 경과적으로 휘발함에 의한 폐해)를 피할 수 있다.
밀봉 부재(13, 21, 31)에의 부착에 있어서는 밀봉 부재 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흡습성 성형체와 밀봉 부재를 공지의 점착제, 접착제(바람직하게는 무용제형 접착제) 등으로 점착하는 방법, 흡습성 성형체를 밀봉 부재에 열 융착시키는 방법, 비스 등의 고정 부재로 성형체를 밀봉 부재에 고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을 위해 분산되는 안료는 무기계 및 유기계에 구애되지 않지만, 유기 EL 소자에 대한 열화 인자를 배출하지 않는 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상책이다.
[밀봉 부재] 밀봉 부재(13, 21, 31)는 바람직하게는 유리(소다 유리 혹은 무알칼리 유리)제의 기판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밀봉 오목부(21A, 31A)는 예컨대, 프레스 성형, 에칭, 블러스트 처리 등의 가공을 실시하여 형성된다.
[접착제] 접착제(15)는 열 경화형, 화학 경화형(이액 혼합), 빛(자외선) 경화형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고, 재료로서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경화형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착제에, 1∼100 ㎛ 입자 지름의 스페이서(유리나 플라스틱의 스페이서가 바람직함)를 적량 혼합(0.1∼0.5 중량% 정도)하여, 디스펜서 등을 사용하여 도포한다.
[유기 EL 소자] 지지 기판(11) 상에 형성되어,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12)의 구체적 구조 및 재료예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a) 지지 기판;
지지 기판(11)으로서는 투명성을 갖는 평판형, 필름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로서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을 이용할 수 있다.
(b) 전극;
지지 기판(11) 측으로부터 빛을 출사시키는 방식(하부 에미션 방식)을 전제로 하는 경우에는, 지지 기판(11) 측의 전극은 투명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양극으로, 다른 쪽의 전극은 금속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으로 한다. 적용되는 양극 재료로서는 ITO, ZnO 등을 이용하고, 증착, 스퍼터링 등의 성막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음극으로서는, 일 함수가 작은 금속, 금속 산화물, 금속 플루오르화물, 합금등, 구체적으로는, Al, In, Mg 등의 단층 구조, LiO2/Al 등의 적층 구조를 이용하여, 증착, 스퍼터링 등의 성막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c) 유기층;
유기층은 지지 기판(11) 측의 전극을 양극, 다른 쪽의 전극을 음극으로 한 경우에는, 정공 수송층/발광층/전자 수송층의 적층 구성이 일반적이지만, 발광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은 각각 1층뿐만 아니라 여러 층 적층하여 설치하더라도 좋으며,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은 어느 쪽의 층을 생략하더라도, 양쪽 층을 생략하여 발광층만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또, 유기층으로서는 정공 주입층, 전자 주입층, 정공 장벽층, 전자 장벽층 등의 유기 기능층을 용도에 따라서 삽입할 수 있다.
유기층의 재료는 유기 EL 소자(12)의 용도에 맞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 예를 나타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공 수송층은 정공 이동도가 높은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며, 그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의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 등의 포르피린 화합물,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NPB) 등의 방향족 제3아민, 4-(디-p-톨릴아미노)-4'-[4-(디-p-톨릴아미노)스티릴]스틸벤젠 등의 스틸벤 화합물이나, 트리아졸 유도체, 스티릴아민 화합물 등의 유기 재료가 이용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고분자 중에 저분자의 정공 수송용의 유기 재료를 분산시킨 고분자 분산계의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발광층은 공지의 발광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예로서는, 4,4'-비스(2,2'-디페닐비닐)-비페닐(DPVBi) 등의 방향족 디메틸리딘 화합물, 1,4-비스(2-메틸스티릴)벤젠 등의 스티릴벤젠 화합물, 3-(4-비페닐)-4-페닐-5-t-부틸페닐-1,2,4-트리아졸(TAZ) 등의 트리아졸 유도체, 안트라퀴논 유도체, 플로오레논 유도체 등의 형광성 유기 재료, (8-히드록시퀴노리나토)알루미늄 착체(Alq3) 등의 형광성 유기 금속 화합물,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PV)계, 폴리플루오렌계, 폴리비닐카르바졸(PVK)계 등의 고분자 재료, 백금 착체나 이리듐 착체 등의 삼중항 여기자로부터의 인광을 발광에 이용할 수 있는 유기 재료(일본 특허 공표 2001-520450)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발광 재료만으로 구성한 것이라도 좋고, 정공 수송 재료, 전자 수송 재료, 첨가제(도너, 억셉터 등) 또는 발광성 도펀트 등이 함유되더라도 좋다. 또한, 이들이 고분자 재료 또는 무기 재료 중에 분산되더라도 좋다.
전자 수송층은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발광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면 되며, 그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의 화합물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니트로 치환 플루오레논 유도체, 안트라퀴노디메탄 유도체 등의 유기 재료, 8-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 메탈프탈로시아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은 스핀 코팅법, 디핑법 등의 도포법, 잉크젯법, 스크린인쇄법 등의 인쇄법 등의 습식 프로세스, 또는 증착법, 레이저 전사법 등의 건식 프로세스로 형성할 수 있다.
[유기 EL 패널의 각종 방식에 관해서] 유기 EL 소자(12)는 단일 구조의 유기 EL 소자라도 좋고, 원하는 패턴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화소를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그 표시 방식은 단색 발광이라도 2색 이상의 복수 색 발광이라도 좋으며, 특히 복수 색 발광의 유기 EL 패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RGB에 대응한 3종류의 발광 기능층을 형성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2색 이상의 발광 기능층을 형성하는 방식(분할 도포 방식), 백색이나 청색 등의 단색의 발광 기능층에 컬러 필터나 형광 재료에 의한 색 변환층을 조합시킨 방식(CF 방식, CCM 방식), 단색의 발광 기능층의 발광 영역에 전자파를 조사하는 등으로 복수 발광을 실현하는 방식(포토 브리칭 방식)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 유기 EL 소자의 구동 방식은 패시브 구동 방식 또는 액티브 구동 방식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표시면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패널 내부의 건조 부재가 표시면 측에서 보이는 외관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켜 제품 비용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지지 기판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고, 그 유기 EL 소자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밀봉 부재를 접합시킨 유기 EL 패널로서, 상기 밀봉 부재에서의 상기 지지 기판과의 대향면에 착색한 건조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빛 흡수성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대략 흑색 또는 대략 회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흡습성 성형체이며, 그 흡습성 성형체 내에 안료를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착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유리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
  6. 지지 기판 상에, 1쌍의 전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층을 협지한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는 소자 형성 공정과, 그 유기 EL 소자를 외기로부터 차단하는 밀봉 부재를 상기 지지 기판에 접합시키는 밀봉 공정을 갖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밀봉 공정에 앞서서 상기 밀봉 부재에서의 상기 지지 기판의 대향면에 착색한 건조 부재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빛 흡수성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대략 흑색 또는 대략 회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부재는 흡습성 성형체이며, 그 흡습성 성형체 내에 안료를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착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유리제 기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040023955A 2003-04-08 2004-04-08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eased KR20040087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4242A JP2004311246A (ja) 2003-04-08 2003-04-08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3-00104242 2003-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937A true KR20040087937A (ko) 2004-10-15

Family

ID=33467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955A Ceased KR20040087937A (ko) 2003-04-08 2004-04-08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311246A (ko)
KR (1) KR20040087937A (ko)
CN (1) CN100438120C (ko)
TW (1) TWI24936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546B2 (en) 2005-03-30 2011-01-1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22968B1 (ko) * 2006-04-25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6628A1 (ja) 2002-07-08 2004-01-15 Dynic Corporation 吸湿性成形体
KR20120079319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0715B1 (ko) * 2014-12-29 2022-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자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GB2538083A (en) * 2015-05-06 2016-11-09 Cambridge Display Tech Ltd High contrast light emitting device
CN107170906B (zh) * 2017-07-19 2020-03-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封框胶结构、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411198B2 (en) * 2019-06-18 2022-08-09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CN110429206B (zh) * 2019-08-07 2021-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盖板、显示装置、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封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695A (ja) * 1984-10-18 1986-05-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Elパネル
JPS63105495A (ja) * 1986-10-22 1988-05-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JPH02197071A (ja) * 1989-01-26 1990-08-03 Sharp Corp 薄膜elパネル
JPH04267096A (ja) * 1991-02-21 1992-09-22 Sharp Corp 薄膜elパネル
CA2381230A1 (en) * 1999-09-03 2001-03-15 Uniax Corporation Encapsul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DE19959957A1 (de) * 1999-12-13 2001-06-21 Sued Chemie Ag Plättchenförmige Preßkörper
JP3409764B2 (ja) * 1999-12-28 2003-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3017242A (ja) * 2001-07-03 2003-01-17 Saes Getters Jap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546B2 (en) 2005-03-30 2011-01-1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22968B1 (ko) * 2006-04-25 201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49366B (en) 2006-02-11
CN100438120C (zh) 2008-11-26
TW200421917A (en) 2004-10-16
CN1536939A (zh) 2004-10-13
JP2004311246A (ja)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0721B2 (en) Organic EL element and organic EL display panel
US687846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used in a display device
KR100366526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장치의 밀봉 구조
KR101086881B1 (ko) 광투과성 게터층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14569A1 (en) Organic EL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03345B1 (ko)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평판 표시장치, 및 평판표시장치의 패널
JP2000030858A (ja) 有機el表示装置
WO1998034437A1 (fr) Afficheur a electroluminescence organique
KR20110015205A (ko) 봉지기판,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64670A (ko) 게터 조성물 및 상기 게터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
JP2000100558A (ja) 発光装置
US20050156519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panel
KR100711879B1 (ko)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6597A (ko) 유기 el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0100560A (ja) 発光装置
KR20040087937A (ko)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49638A (ko) 발광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05063976A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27142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2050471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85840A (ja) シート状乾燥部材、有機elパネル、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60023652A (ko) 막 흡수제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봉지기술
KR200257245Y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WO2009099009A1 (ja) 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90450A (ko)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4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