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871Y1 -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0871Y1 KR200250871Y1 KR2020010021556U KR20010021556U KR200250871Y1 KR 200250871 Y1 KR200250871 Y1 KR 200250871Y1 KR 2020010021556 U KR2020010021556 U KR 2020010021556U KR 20010021556 U KR20010021556 U KR 20010021556U KR 200250871 Y1 KR200250871 Y1 KR 20025087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roof
- processing surface
- headlining
- skin
- skin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시에 심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하부금형과 표피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헤드라이닝의 심재성형과 표피재 접착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선루프 가공면을 가진 하부금형과, 선루프가공면이 상기 하부금형의 선루프 가공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져서 선루프 가공면에서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성형 및 접착가공시에, 상기 선루프 가공면의 이격공간에 의하여 선루프 가공면에서 표피재와 심재가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선루프 가공면에서 심재와 표피재가 박리됨과 동시에 심재와 표피재가 성형 및 접착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이 제조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시에 심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하부금형과 표피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헤드라이닝의 심재성형과 표피재 접착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선루프 가공면을 가진 하부금형과, 선루프가공면이 상기 하부금형의 선루프 가공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져서 선루프 가공면에서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성형 및 접착가공시에, 상기 선루프 가공면의 이격공간에 의하여 선루프 가공면에서 표피재와 심재가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헤드라이닝은 자동차의 천정부분에 결합되는 내장재로써, 일반적으로 지지몸체인 심재와 장식기재인 표피재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심재와 표피재를 접착 가공시키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 방법은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성형 및 접착을 동시에 실시하는 방법이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심재를 오븐등에 가열시킨 후, 표피재와 함께 금형시킴으로써 심재가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구조로 성형됨과 동시에 심재에 보존된 잠열이 상기 표피재의 표면에 코팅된 열융해성 접착제를 녹여 심재의 표면에 접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첫번째 방법에 의하면 상기 심재와 표피재를 접착시킨 후,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모양으로 재단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재단작업(이하 업계내에서 널리 알려진 용어인 '트림 피어싱 : TRIM AND PIERCING' 작업이라고 함)은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외곽선을 따라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물을 절단하는 작업외에 자동차의 선루프가 형성되는 부분의 천공 및 재단작업을 포함하게 된다.
도1은 상기 첫번째 방법으로 제작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첫번째 방식에 의하면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을 제조하기 위하여 트림 피어싱(A) 한 부분이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구조를 보이며 외부로 노출되어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업계내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이 후술하는 두번째 방법이다.
자동차 헤드라이닝을 제조하는 두번째 방법은 먼저 상기 심재를 열간금형하여 성형한 후, 상기 심재에 보존된 잠열을 이용하여 표피재를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두번째 방법을 도2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상기 두번째 방법의 기술적 요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자동차 헤드라이닝 공정을 간략히 표현한 공정도이다.
도2a는 열간금형(10,11)으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심재를 만드는 열간금형 이전의 모습이고 도2b는 상기 심재가 성형된 열간금형 이후의 모습이다.
도2a의 과정이 끝나면 도2b와 같이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심재(55)가 성형되는데, 상기 심재(55)에는 열간금형 과정에서 가해진 열이 그대로 보존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열은 통상 200℃ 정도인 것이 보통이다.
도2c는 상기 심재의 상측에 표피재(50)를 위치시키고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을 위하여 가압시키는 냉간금형(40,41)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심재(55)에 보존된 열은 상기 표피재(50)의 하측에 코팅된 핫멜트필름을 녹혀 상기 표피재(50)에 접착력이 발생되게 하고, 상기 냉간금형의 가압력은 심재(55)와 표피재(50)의 접착압력을 제공시키게 된다.
도2d는 상기 도2c의 과정으로 생산되는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물이 도시된 것이다.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심재는 자동차 헤드라이닝과 같은 구조체를 이루고, 상기 표피재는 심재보다 조금 큰 사이즈로 접착되어 진다.
여기서 도2e와 같이 상기 표피재를 심재의 테두리부를 따라 접어 접착함으로써, 심재가 절단에 의하여 노출되는 부분이 표피재에 의하여 덮혀지게 되어 미려한 자동차 헤드라이닝이 생산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상설한 두번째 방법은 '폴더백' 이라고 하여 업계내에서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방식의 장단점을 요약하기로 한다.
상기 첫번째 방법은 심재와 표피재가 동시에 성형되어 제작공정이 간단한 이점이 있으나,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 성형물의 트림 피어싱(A)된 부분에서 접착구조가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선루프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접착구조가 차체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적당한 마감처리 없이는 사용하기 곤란하였다.
상기 마감처리를 위하여 적당한 마감재를 이용하는 방법이나 심재와 표피재를 박리시킨 후, 상기 심재와 표피재를 서로 다른 크기로 재단시켜, 표피재로 상기 심재를 덮는 방법등이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공정상 이를 개선시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 상기 두번째 방법이다.
즉, 상기한 두번째 방법은 선루프가 형성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지적한 첫번째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시되었다.
상기한 두번째 방법에 있어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은 먼저 열간금형으로 심재를 성형하고 이를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형상에 따라 트림 피어싱(선루프부 포함) 한 후, 냉간금형으로 상기 표피재를 접착하고, 상기 표피재를 적당한 크기로 재단한 후 접곡 접착시켜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구조가 노출되는 부분을 표피재로 감싸는 작업(이하 폴더백 이라 한다)에 의하여 완성된다.
상기 폴더백을 위하여 심재에 접착된 표피재의 선루프부는 폴더백에 적합한 크기로 트림 피어싱되며 특히 이 과정에서 부드러운 폴더백을 위하여 표피재의 모서리부에 칼집이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두번째 방법은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열간금형과 냉간금형을 차례대로 진행시켜야 하므로 공정이 추가되어 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선루프가 형성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제조시에 심재와 표피재가 동시에 접착 및 성형되게하여 작업공정을 줄이고, 선루프부에서 심재와 표피재를 박리 성형시켜 선루프부의 폴더백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방식에 의해 제조된 자동차 헤드라이닝 단면도.
도2는 종래기술방식의 자동차 헤드라이닝 장치의 작용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5는 본 고안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또 다른 실시예.
도6은 진공챔버와 압축공기 안내도관이 동시에 설치되는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부금형 110 : 심재
100a : 하부금형 선루프가공면 200 : 상부금형
220 : 표피재 300 : 이격공간
400 : 압축공기 안내도관 410 : 실린더
455 : 통구 500 : 압력챔버
550 : 안내도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시에 심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하부금형과 표피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헤드라이닝의 심재성형과 표피재 접착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선루프 가공면을 가진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선루프 가공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는 선루프 가공면을 선루프가공면에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성형 및 접착가공시에, 상기 선루프 가공면에서 상하부금형간의 이격공간에 의하여 선루프 가공면에서 표피재와 심재가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은 표피재와 심재의 성형 및 접착가공시에 상기 이격공간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선루프 가공면 외주변의 압착거리가 타 심재 및 표피재의 성형 및 접착 가공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은 내측에 진공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챔버와, 상기 선루프 가공면과 상기 진공챔버를 연결시켜, 상기 진공챔버의 진공 흡인력을 상기 선루프 가공면으로 안내시키는 다수개의 안내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표피재 및 심재가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선루프가공면측으로 흡인되어 상기 선루프 가공면에서 표피재와 심재의 박리가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은 상기 상부금형의 내측에서 상기 선루프 가공면으로 연결되는 통구와, 상기 통구에 안내되어 상기 하상금형의 내측에서 선루프 가공면으로 운동되면서 상기 표피재를 관통시켜 상기 이격공간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압축공기 주입도관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이 표피재를 성형 및 접착시킬 때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을 상기 통구를 통하여 이격공간 내측으로 운동시키고, 성형 및 접착 종료후에는 상기 통구를 통하여 하부금형의 내측으로 운동시키는 안내도관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선루프 가공면에서 심재와 표피재가 박리 성형될 때,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심재와 표피재가 냉각 및 박리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에 따라 하나의 작업공정이 줄어들어 생산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자세한 공정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접착이 이루어 지는 데 필요한 기본 조건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심재와 표피재가 접착되기 위하여는 심재와 표피재가 서로 맞붙을 수있는 압착력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표피재에 코딩된 접착성분을 녹이는 열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선루프가공면에서 상기한 두가지 접착조건을 제거시켜 심재와 표피재가 접착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선루프 가공면(100a)을 가진 하부금형(100)과, 선루프가공면(200a)이 상기 하부금형의 선루프 가공면(100a)과 소정의 이격거리(F)를 가져서 선루프가공면(200a)에서 하부금형과 소정의 이격공간(300)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금형(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금형의 선루프 가공면은 심재(110)와 표피재(220)의 성형 및 접착이 이루어지면 차체지붕의 선루프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절단하여 내는 곳이다.
도3에 도시된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에 의하면 상기 심재(110)와 표피재(220)는 선루프 가공면(100a, 200a)에서 이격공간(300)에 의하여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으로부터 압착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즉, 상기 이격공간(300)에 의하여 금형의 압착력에 의한 힘은 상기 표피재(220)와 심재(11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선루프부에는 심재(110)와 표피재(220)가 접착되는 제1 기본 조건인 압착력이 1차적으로 차단된다.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4에서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은 내측에 진공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챔버(50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의 선루프 가공면(100a, 200a)과 상기 진공챔버(500)를 연결시키는 다수개의 안내도관(5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챔버(500)가 내장되는 금형은 이미 널지 알려진 공지기술이므로 진공챔버(5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안내도관(55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안내도관(550)은 상기 진공챔버(500)의 흡인력을 심재(110)와 표피재(220)의 표면으로 전달시켜 상기 선루프가공면(100a, 200a)에 밀착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피재(220) 및 심재(110)는 하부금형(100) 및 상부금형(200)의 선루프가공면(100a, 200a)측으로 흡인되어 상기 선루프가공면(100a, 200a)에서 표피재(220)와 심재(110)가 박리 되어 표피재(220)와 심재(110) 사이로 이격공간(300)이 형성된다.
이는 진공흡인력이 상기 표피재 또는 심재와 선루프가공면 사이에 잔존되는 공기를 흡인시킴으로써, 표피재(220) 및 심재(110)가 각 금형의 선루프가공면(100a, 200a)측으로 밀착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진공흡인력은 심재와 표피재에 2차적으로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압착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5에는 상기 상부금형의 내측에서 상기 선루프 가공면(200a)으로 연결되는통구(455)와 상기 통구(455)에 안내되어 상기 상부금형의 내측에서 선루프 가공면(200a)으로 운동되면서 상기 표피재(110)를 관통시켜 상기 이격공간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압축공기 주입도관(400)과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이 표피재를 성형 및 접착시킬 때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을 상기 통구(455)를 통하여 이격공간 내측으로 운동시키고, 성형 및 접착 종료후에는 상기 통구를 통하여 상부금형의 내측으로 운동시키는 실린더(410)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 통구(455)와 압축공기 주입도관(400)과 실린더(410)에 관하여 상설하기로 한다.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은 상기 통구(455)에 안내되어 운동된다.
즉, 상기 통구는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을 안내시키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은 외부의 압축공기를 안내시키는 도관이다.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은 상기 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통구(455)를 따라 운동하게 되고, 내부도관은 금형외부의 압축공기 챔버(미도시)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압축공기를 이격공간(300) 내측으로 안내시키게 된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은 상기 표피재(220)와 심재(110) 사이로 형성되는 이격공간(300)으로 압력공기가 주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은,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심재(110)와 표피재(220)가 박리되어 심재(110)와 표피재(220) 사이에 이격공간(300)이 형성되면, 상기 표피재(220)를 관통하여 이격공간(300)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압축공기가이격공간(300) 내측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은 끝을 바늘형으로 형성시켜 표피재 관통이 쉽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이격공간(300)의 공기는 상기 진공흡인력의 영향으로 기압이 낮은 상태이다.
이때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400)이 상기 표피재(220)를 관통하여 이격공간(300) 내부로 높은 기압의 공기가 주입시키면 상기 표피재(220)와 심재(110)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선루프가공면측 방향의 팽창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팽창력은 선루프가공면에서 심재(110)와 표피재(220)의 박리를 고정화 시킬 뿐만 아니라, 심재(110)와 표피재(220)에 냉각효과를 가하게 되어 표피재(220) 표면상의 접착성분이 접착력을 발하지 못하게 한다.
즉, 심재와 표피재가 접착되는 조건인 압착력과 열을 제거하여 박리시키는 것이다.
도6은 상기 진공챔버와 압축공기 안내도관이 동시에 설치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진공챔버와 압축공기 안내도관이 동시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팽창력의 효율을 위하여 상기 진공챔버(500)의 개폐와 압축공기의 주입시점을 정밀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의 개폐와 압축공기 주입도관의 운동 및 압축공기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이 필요하다.
상기 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410)는 압축공기 주입도관을 선루프가공면의 이격공간(300)내를 출입 운동시킨다.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의 운동은 상기 진공챔버의 진공력이 차단될 때 이격공간으로 돌출되고, 심재와 표피재가 성형완료될 때 상기 하부금형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진공챔버의 흡인력과 압축공기의 팽창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하기 위함이며, 금형완료후 제조물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하기 편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 설명한 진공흡입이나 압축공기의 주입을 위하여 상기 이격공간의 기밀은 매우 정밀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즉, 상기 압축공기가 주입될 때는 진공챔버(500)를 닫음으로써 내부 팽창력이 외부로 소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따라서 상기 이격공간의 기밀유지를 위하여 상기 선루프 가공면의 외주변(W)에는 별단의 기밀유지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금형(100)과 상부금형(200)은 상기 선루프가공면의 외주변에서 통상의 심재(110)와 표피재(220)의 압착거리보다 짧은 금형거리를 가지도록 하여 하부금형(100)이 상부금형(200)에 안착될 때, 상기 외주변 내측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7은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의하여 생산되는 헤드라이닝의 선루프부의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루프부는 심재(110)와 표피재(220)가 박리되어 성형되므로 심재(110)와 표피재(220)의 재단선을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심재(110)를 선루프형으로 재단시키고 표피재(220)는 심재(110)에 폴더백시키기 적합하도록 여유를 두고 재단할 수 있다.
도7의 트림 피어싱선(A)을 따라 자동차 헤드라이닝을 재단하면 선루프부에서 심재(110)와 표피재(220)의 크기가 다른 자동차 헤드라이닝이 제조된다.
상기 표피재(220)를 도7b와 같이 심재(110)를 감싸며 폴더백시킴으로써, 도7c 와 같은 선루프부의 재단면을 마감시킨 자동차 헤드라이닝이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을 요약하면 본고안은 도7과 같이 선루프 가공면에서 심재와 표피재가 박리되는 심재와 표피재가 성형 및 접착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을 제조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즉, 상기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의하여 심재와 표피재가 열간금형에 의하여 성형 및 접착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선루프부에 폴더백을 실시할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이 제조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심재와 표피재가 성형 및 접착되면서 폴더백을 실시할 수 있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이 제조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폴더백으로 마감처리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이 제조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 제조공정이 줄어들어 생산효율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시에 심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하부금형과 표피재면을 압착가공시키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헤드라이닝의 심재성형과 표피재 접착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에 있어서,자동차 헤드라이닝의 선루프 가공면을 가진 하부금형과;선루프가공면이 상기 하부금형의 선루프 가공면과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져서 선루프 가공면에서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금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상기 심재와 표피재의 성형 및 접착가공시에, 상기 선루프 가공면의 이격공간에 의하여 선루프 가공면에서 표피재와 심재가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은표피재와 심재의 성형 및 접착가공시에 상기 이격공간 내부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선루프 가공면의 외주변 압착거리가 타 심재 및 표피재의 성형 및 접착 가공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은내측에 진공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진공챔버와;상기 선루프 가공면과 상기 진공챔버를 연결시켜, 상기 진공챔버의 진공 흡인력을 상기 선루프 가공면으로 안내시키는 다수개의 안내도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상기 표피재 및 심재가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의 선루프가공면측으로 흡인되어 상기 선루프 가공면에서 표피재와 심재의 박리가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은상기 상부금형의 내측에서 상기 선루프 가공면으로 연결되는 통구와;상기 통구에 안내되어 상기 하부금형의 내측에서 선루프 가공면으로 운동되면서 상기 표피재를 관통시켜 상기 이격공간의 내측으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압축공기 주입도관과;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이 표피재를 성형 및 접착시킬 때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을 상기 통구를 통하여 이격공간 내측으로 운동시키고, 성형 및 접착 종료후에는 상기 통구를 통하여 하부금형의 내측으로 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상기 선루프 가공면에서 심재와 표피재가 박리 성형될 때, 상기 압축공기 주입도관으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상기 심재와 표피재가 냉각 및 박리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556U KR200250871Y1 (ko) | 2001-07-16 | 2001-07-16 |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556U KR200250871Y1 (ko) | 2001-07-16 | 2001-07-16 |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0871Y1 true KR200250871Y1 (ko) | 2001-11-17 |
Family
ID=7306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1556U KR200250871Y1 (ko) | 2001-07-16 | 2001-07-16 |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0871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3092B1 (ko) * | 2020-08-14 | 2021-11-11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357488B1 (ko) | 2020-09-18 | 2022-02-07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헤드라이닝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의해 제조된 배선이 일체화된 헤드라이닝 |
KR20230060630A (ko) * | 2021-10-27 | 2023-05-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
-
2001
- 2001-07-16 KR KR2020010021556U patent/KR20025087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23092B1 (ko) * | 2020-08-14 | 2021-11-11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2357488B1 (ko) | 2020-09-18 | 2022-02-07 |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 헤드라이닝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의해 제조된 배선이 일체화된 헤드라이닝 |
KR20230060630A (ko) * | 2021-10-27 | 2023-05-08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
KR102553281B1 (ko) | 2021-10-27 | 2023-07-10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내장재 제조 장치 및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68474A (en) | Method of producing resin molded article | |
US6174488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a laminated molded assembly | |
KR200250871Y1 (ko) | 자동차 헤드라이닝 제조장치 | |
KR100451029B1 (ko) | 천이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방법 및 그 장치 | |
CN100519130C (zh) | 带表皮的发泡成形体的成形方法及其装置 | |
US9050746B2 (en) | IMD mold, injection molding apparatus having such an IMD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a film-decorated plastic part | |
US20040043683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trim part under low pressure operating conditions | |
JP2015229244A (ja) | 長尺体付き内装部品の真空成形型及びその真空成形方法 | |
JP3254623B2 (ja) | 表皮を表面の一部に有する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 |
JP4110770B2 (ja) | ボード製品の成形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成形装置 | |
JP2015123589A (ja) | 自動車内装品の製造方法 | |
JPH0911344A (ja) | 部分表皮成形品の製造方法 | |
JP7276100B2 (ja) | 車両用内装部品の製造方法 | |
JP6223806B2 (ja) | 成形品の製造方法 | |
JP2023160366A (ja) | 内装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JP4403928B2 (ja) | 加飾樹脂成形品及び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 |
JP2003112327A (ja) | ウレタン表皮およびその成形方法 | |
JP4854416B2 (ja) | 合成樹脂積層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KR100856754B1 (ko) | 천 인서트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 |
JP4592432B2 (ja) |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 |
JP3810498B2 (ja) | 表皮貼込み成形型及びこれを用いた表皮貼込み成形方法 | |
JP2001334555A (ja) | 貼合わせ成形用金型装置および貼合わせ成形方法 | |
KR0145140B1 (ko) |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 |
JPH07276425A (ja) | 樹脂製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用金型装置 | |
KR20160123664A (ko) | 표피재의 커팅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성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