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200239406Y1 - 가정용 구강 세정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구강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406Y1
KR200239406Y1 KR2020010010894U KR20010010894U KR200239406Y1 KR 200239406 Y1 KR200239406 Y1 KR 200239406Y1 KR 2020010010894 U KR2020010010894 U KR 2020010010894U KR 20010010894 U KR20010010894 U KR 20010010894U KR 200239406 Y1 KR200239406 Y1 KR 200239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washing water
flow
discharge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병령
Original Assignee
케이앤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앤티(주) filed Critical 케이앤티(주)
Priority to KR2020010010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4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40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에서 고압의 세정수를 이용하여 칫솔이 닿지 않는 치아와 치아 사이 및 입안의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정함과 동시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치아와 잇몸에 자극을 주어 마사지 역할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조 일측에 치약 및 칫솔이 수납되게 구획되고 타측에 세정노즐이 수납되게 구획되며 하단 일측에 돌설된 철재 받침대에 펌프와 연결된 세정손잡이가 입설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부에 설치된 세정수 배출수단의 실린더 선단에 부착되고 양측에 인입로 및 배출로가 형성되되 인입로에 유동홈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 상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인입로 및 배출로가 형성되되 배출로에 유동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삽재되고 양측에 대칭되게 유동막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인입로와 배출로를 차단시키는 유로개폐판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구강 세정기{Oral cavity washer for home}
본 고안은 가정에서 고압의 세정수를 이용하여 칫솔이 닿지 않는 치아와 치아 사이 및 입안의 구석구석까지 깨끗하게 세정함과 동시에 분사되는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치아와 잇몸에 자극을 주어 마사지 역할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한 가정용 구강세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치아사이의 이물질을 세정할 수 있는 구강세정기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대부분 세정수를 가압하여 구강으로 분사시키는 가압펌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비싸 중산층 이하의 가정에서는 사용함에 경제적인 부담이 따라 보편화되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펌프에서 세정수를 가압하여 분사노즐로 배출함에 있어서 자동으로 흡입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었고 가정용의 경우 제품의 부피가 작고 펌프의 용량이 작아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지 못해 효과적인 세정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었다.
더구나 세정기 자체에 여분의 분사노즐이나 치약, 칫솔 등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별도의 치약, 칫솔 보관함을 동시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가중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세정수를 분사시키는 배출수단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시킬 수 있어 세정효과가 우수하고 세정수의 인입, 배출이 원활하여 오동작이 발생치 않으며 분리형의 분사노즐과 치약, 칫솔 등의 부속물을 함께 수납시킬 수 있는 한편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가정에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구강 세정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동모터와 펌프로 구성된 세정수 배출수단의 작동으로 수조에 저장된 세정수를 인입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간헐적으로 고압분사시키는 구강세정기에 있어서,
수조 일측에 치약 및 칫솔이 수납되게 구획되고 타측에 세정노즐이 수납되게 구획되며 하단 일측에 돌설된 철재 받침대에 펌프와 연결된 세정손잡이가 입설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된 세정수 배출수단의 실린더 선단에 부착되고 양측에 인입로 및 배출로가 형성되되 인입로에 유동홈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하판 상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인입로 및 배출로가 형성되되 배출로에 유동홈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삽재되고 양측에 대칭되게 유동막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인입로와 배출로를 차단시키는 유로개폐판을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구강 세정기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세정수 배출수단의 정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 세정수 배출수단의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세정수 인입 및 배출 작동상태 단면도
도 6 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 구강 세정기의 평면도
도 8 은 본 고안 세정손잡이와 분사노즐의 결합상태도
도 9 는 본 고안 세정손잡이와 분사노즐의 결합상태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수조 2: 분사노즐 4: 세정손잡이
10: 세정수배출수단 12: 펌프 20: 몸체
22: 받침판 30: 하판 31,41: 유입로
32,42: 배출로 33,43: 유동홈 40: 상판
50: 유로개폐판 51: 유동막 52: 절개부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조(1)에 저장된 세정수를 구동모터(11)와 펌프(12)로 구성된 세정수 배출수단(10)에 의해 인입하여 분사노즐(2)을 통해 고압분사시키는 공지된 형태의 구강세정기에 있어서, 가정용으로 사용할 수 있고 개인별 전용사용이 가능하도록 다량의 분사노즐(2)을 수납시킬 수 있으며 치약(3)이나 칫솔(5)등의 부속물도 함께 수납시킬 수 있는 다용도 복합수납 기능의 몸체(2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20)에 설치된 세정수 배출수단(10)의 세정수 인입과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보다 효과적인 세정작업이 실시되는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이를 위한 몸체(20)는 직면체의 구조로 배면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판(21)이 형성되고, 중앙에 수조(1)가 수납되며, 수조(1) 일측에는 치약(3) 및 칫솔(5)이 동시 수납될 수 있도록 일정범위로 구획되는 한편, 타측에는 여분의 세정노즐(2)을 수납할 수 있게 구획되며, 하단에 돌설된 철재 받침대(22)에는 펌프(11)와 연결되고 저부에 영구자석이 부착된 세정손잡이(4)가 자력에 의해 입설되므로써 세정손잡이(4)의 안정적인 배치가 가능하고 하나의 몸체(20)에 구강에 필요한 모든 부속물을 수납시킬 수 있게 되어 공간활용 면적이 넓고 말끔한 정돈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조(1)는 세정수의 잔여량을 육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더욱 정확한 양을 계량하기 위해 전면에 눈금이 표기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몸체(20) 내부 일측에 설치되는 세정수 배출수단(10)은 펌프(12)의 유입측이 수조(1)의 유출구(1a)가 결합되는 유입구(6)와 유입호스(7)로 연결되고 배출측은 세정손잡이(4)와 배출호스(8)로 연결되며 세정손잡이(4)의 끼움공(4a)에는 분사노즐(2)이 끼워져 착탈될 수 있게 된다. 분사노즐(2)은 투명재질로 일측에 착탈홈(2a)이 형성되어 세정손잡이(4)의 끼움공(4a)에 설치된스프링핀(4b)이 착탈홈(2a)을 압착시키므로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한 세정손잡이(4)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되고 세정손잡이(4)는 통공(4c)이 형성된 수량조절밸브(4d)가 설치되어 수량조절밸브(4d)를 회전시킴에 따라 세정손잡이(4)에 형성된 배출공(4e)을 차단하므로써 분사되는 세정수의 수량을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정손잡이(4)는 미사용시 저부에 부착된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철재 받침대(22)에 안정되게 거치 된다.
한편 모터(11)는 속도조절이 용이한 DC모터가 사용되어 펌프(12)의 구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어댑터를 이용해 일반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11)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12)는 모터축(14)의 회전력을 기어(15)로 전달받아 회전축(16)이 저속회전되고 회전축(16)에는 선단에 볼(17)이 형성된 편심로드(18)가 설치되되 편심로드(18)는 선단에 패킹(19a)이 형성된 피스톤(19)이 결합되고 피스톤(19)은 실린더(13) 내부에서 편심로드(18)의 편심운동에 의해 간헐적으로 좌,우 반복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19)의 왕복운동에 의해 펌프(12)는 수조(1)에 저장된 세정수를 실린더(13)내로 유입한 후 분사노즐(2)을 통해 외부로 분사시키는 공지된 형태이다.
한편 펌프(12) 작동에 있어서, 세정수의 원활한 인입과 배출을 위해 실린더(13) 선단에 설치되는 하판(30)은 도 5와 같이 양측에 세정수가 인입되는 인입로(31)와 세정수가 실린더(13)내부를 거쳐 분사노즐(2)로 배출되는 배출로(32)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로(31)에는 유동홈(33)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30)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40)은 양측에 인입로(41) 및 배출로(42)가 형성되되 상판(30)과 상반되게 배출로(42)에 유동홈(43)이 형성되며 상기 하판(30)과 상판(40) 사이에는 유로개폐판(50)이 삽재된다.
유로개폐판(50)은 도 6와 같이 양단이 라운드진 판상의 형태로 양측에 대칭되게 유동막(51)이 형성되고 유동막(51) 둘레면엔 유동막(51)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절개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막(51)이 선택적으로 인입로(41)와 배출로(32)를 차단시켜 원활한 세정수의 인입과 배출이 이루어 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평상시 유로개폐판(50)은 일측의 유동막(51)이 상판(40)의 인입로(41)로 막아주고 타측의 유동막(51)은 하판(30) 배출로(32)를 막아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펌프(12)의 흡입력이 작용되면 자연적으로 인입로(41)측 유동막(51)이 유동홈(33)으로 유동하면서 인입로(41)가 개방되면서 세정수가 실린더(13)내부로 유입되고, 실린더(13)내로 유입된 세정수는 피스톤(19)의 압력에 의해 배출로(32)측 유동막(51)을 밀어내어 배출로(32)가 개방되면서 고압의 세정수가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자연적으로 세정수는 인입로(41)의 유동막(51)을 상부로 밀어내어 인입로(41)를 자동으로 차단시키므로써 수조(1)내로 세정수가 역류됨을 방지하게 된다.
즉 펌프(12)작동시 유로개폐판(50)에 의해 자동으로 인입로(41) 및 배출로(32)가 개폐되므로써 오동작없이 원활하게 작동되고 세정수가 역류되는 일이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로(32)로 배출되는 세정수는 세정손잡이(4)를 거쳐 분사노즐(2)을 통해 간헐적으로 분사되므로써 미처 칫솔이 닿지 않는 치아사이와 입안 구석구석을 깨끗하게 세정시킬 수 있어 양치질이 곤란한 거동불편자나 환자들에게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게다가 세정수의 고압분사력에 의해 잇몸을 마사지 하는 역할을 동시 수행하므로써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세정수배출수단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오동작 없이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시키므로써 구강을 청결하게 세정시킬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하여 일반 가정용으로 적합하며 분사노즐이 착탈되므로써 개인별 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위생적인 한편 분사노즐을 비롯해 치약이나 칫솔등의 부속물을 함께 수납시킬 수 있어 욕실의 말끔한 정리정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구동모터(11)와 펌프(12)로 구성된 세정수 배출수단(10)의 작동으로 수조(1)에 저장된 세정수를 인입하여 분사노즐(2)을 통해 간헐적으로 고압분사시키는 구강세정기에 있어서,
    수조(1) 일측에 치약(3) 및 칫솔(5)이 수납되게 구획되고 타측에 세정노즐(2)이 수납되게 구획되며 하단 일측에 돌설된 철재 받침대(22)에 펌프(11)와 연결된 세정손잡이(4)가 입설되는 몸체(20)와,
    상기 몸체(20) 내부 일측에 설치된 세정수 배출수단(10)의 실린더(13) 선단에 부착되고 양측에 인입로(31) 및 배출로(32)가 형성되되 인입로(31)에 유동홈(33)이 형성된 하판(30)과,
    상기 하판(30) 상부에 결합되고 양측에 인입로(41) 및 배출로(42)가 형성되되 배출로(42)에 유동홈(43)이 형성된 상판(40)과,
    상기 상판(40)과 하판(30) 사이에 삽재되고 양측에 대칭되게 유동막(51)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인입로(41)와 배출로(32)를 차단시키는 유로개폐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구강세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로개폐판(50)은 일측의 유동막(51)이 상판(40) 인입로(41)를 막아주고 타측의 유동막(51)은 하판(30) 배출로(32)를 막아주는 한편, 펌프(12) 작동에 의해세정수 인입시 인입로(41)측 유동막(51)이 유동홈(33)으로 유동하면서 인입로(41)가 개방되어 세정수가 실린더(13)로 유입되고, 세정수 배출시 배출로(32)측 유동막(51)이 유동홈(43)으로 유동하면서 배출로(32)가 개방되어 세정수가 배출되는 동시에 인입로(41)측 유동막(51)은 자연적으로 인입로(41)를 차단하여 수조(1)내로 세정수가 역류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구강세정기.
KR2020010010894U 2001-04-17 2001-04-17 가정용 구강 세정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39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94U KR200239406Y1 (ko) 2001-04-17 2001-04-17 가정용 구강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94U KR200239406Y1 (ko) 2001-04-17 2001-04-17 가정용 구강 세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406Y1 true KR200239406Y1 (ko) 2001-10-11

Family

ID=7309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39406Y1 (ko) 2001-04-17 2001-04-17 가정용 구강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4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43B1 (ko) * 2008-10-30 2010-05-18 안재섭 구강 세정장치
KR101410048B1 (ko) * 2013-03-21 2014-06-20 안승희 구강살균세정기
WO2019066471A1 (ko) * 2017-09-28 2019-04-04 정영걸 구강 세정기에 부착되는 세정 브러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43B1 (ko) * 2008-10-30 2010-05-18 안재섭 구강 세정장치
KR101410048B1 (ko) * 2013-03-21 2014-06-20 안승희 구강살균세정기
WO2019066471A1 (ko) * 2017-09-28 2019-04-04 정영걸 구강 세정기에 부착되는 세정 브러쉬
US11547203B2 (en) 2017-09-28 2023-01-10 Young Girl JEUNG Cleaning brush attached to oral irrig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574B1 (ko) 무선제어 기능을 갖는 구강 세정기
KR100911039B1 (ko) 공기분사식 휴대용 치간 칫솔
US6047429A (en) Toothbrush with water jet
KR101255572B1 (ko) 이종액체 혼합분사 방식에 의한 세정 살균 기능을 갖는 구강 세정기
US4412823A (en) Oral cavity cleaner
US4979504A (en) Oral irrigator
US20060010624A1 (en) Personal hygiene device and method
KR200472508Y1 (ko) 구강세정기의 탈부착되는 이중 덮개구조
JP7433379B2 (ja) 水流の切り替え機能を有する歯洗浄器
KR101255575B1 (ko) 칫솔모 헤드에 워터젯이 구비되는 구강세정기용 핸드 세정구
KR101475948B1 (ko) 구강세정기용 세정액 펌핑장치
CN112891003A (zh) 冲牙刷牙一体化喷头、多功能冲牙器及清洁使用方法
US12343739B2 (en) Multipurpose shower head
KR100696069B1 (ko) 샤워헤드 겸용 워터픽
KR101443195B1 (ko) 수압 조절기능을 갖는 구강세정기
KR200239406Y1 (ko) 가정용 구강 세정기
KR101323023B1 (ko) 워터 스케일러
JPH0636614U (ja) 口腔洗浄器
JP2011500130A (ja) 空気噴射式携帯デンタルフロス
KR101255573B1 (ko) 구강 세정기용 왕복동 또는 맥동식 유체 가압 펌핑장치
JP3875745B2 (ja) 電動歯ブラシ
CN211834822U (zh) 喷雾式冲牙器
JPH08117254A (ja) 口腔洗浄器
KR200373719Y1 (ko) 치아세정장치
CN222708418U (zh) 一种喷砂洁牙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4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7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4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