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9990003080U - 진공 척 - Google Patents

진공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080U
KR19990003080U KR2019970016673U KR19970016673U KR19990003080U KR 19990003080 U KR19990003080 U KR 19990003080U KR 2019970016673 U KR2019970016673 U KR 2019970016673U KR 19970016673 U KR19970016673 U KR 19970016673U KR 19990003080 U KR19990003080 U KR 199900030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force
elastic
vacuum chuck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7797Y1 (ko
Inventor
이영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6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7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7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척(Chuck)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에 외부 공기를 진공력에 의하여 흡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흡입공이 관통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 가장 자리에 전자 부품의 표면을 상기 공기 흡입공을 통한 진공력에 의하여 흡착시킴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하여 누름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된 복수의 탄성 파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진공 압력의 저하나 고속 이동에 따른 흔들림 등으로 인한 전자 부품의 불완전한 파지력를 진공 흡착력과 탄성력을 병행 사용하여 보강함으로써 더욱 더 안정되게 부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척(Chuck)
본 고안은 진공 척(Chuck)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 등을 이용하여 한 위치에서 여러 부품 들의 조립 작업을 할 때 진공 흡착력과 탄성 파지력을 병용하여 조립 부품을 안정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는 진공 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척(Chuck)은, 예를 들면,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자동으로 조립할 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 디스크 들을 고정하는 원형의 클램프(Clamp)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을 해당 조립 위치로 부착하여 이동시키도록 로봇 팔의 선단에 장착 사용된다.
도 1 에서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척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서 보면, 종래의 진공 척은, 원통형의 몸체(1) 저면에 복수의 공기 흡입공(2)이 원주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공(2)은 몸체 내의 다른 공기 흡입공(3)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의 상면 중앙에는 도시되지 않은 로봇 팔에 부착 시킬 수 있는 체결공(5)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몸체(1)의 외부로 공기 배출관(5)이 조립된다.
이러한 종래의 진공 척은 도시되지 않은 진공 발생 수단으로부터 진공이 발생되면, 여러 공기 흡입공(2)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며 진공 흡착력이 발생하고, 이 진공 흡착력에 의하여 몸체(1)의 저면에 전자 부품(6)의 평면부를 흡착시켜 소정의 작업 위치로 이동되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진공 척은 단지 진공력만을 이용하여 전자 부품(6)을 흡착하므로 진공 압력의 변화가 생기거나 고속으로 이동할 때에는 흔들리거나 흡착력이 저하되어 상기 부품(6)이 낙하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작업 위치로 이동할 때 로봇의 위치 결정 오차가 생기면 상기 부품(6)이 오조립되거나 심하면 부착되지 않은 채 이동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 흡착력 뿐만 아니라 탄성 파지력을 병행 사용하므로써 전자 부품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진공 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 척은, 저면에 외부 공기를 진공력에 의하여 흡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흡입공이 관통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 가장 자리에 전자 부품의 표면을 상기 공기 흡입공을 통한 진공력에 의하여 흡착시킴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하여 누름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된 복수의 탄성 파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척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척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척의 저면도.
도 4 는 도 2 의 요부인 탄성 파지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척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3 : 공기 흡입공, 6 : 전자 부품,
11 : 몸체, 20 : 탄성 파지 수단,
22 : 지지 부재, 24 : 누름 부재,
26 : 핀 부재, 28 : 탄성 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척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는 도 2 에서 도시된 요부인 탄성 파지 수단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 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는 종래와 동일한 명칭 및 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상기 도면에서, 몸체(1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원주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요홈(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11)의 저면에 복수의 공기 흡입공(2)이 원주면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공(2)은 몸체 내의 다른 공기 흡입공(3)과 연통되어, 상기 공기 흡입공(2)(3)을 통하여 형성된 진공 흡입력에 의하여 전자 부품(6)의 표면을 흡착하도록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의 상면 중앙에는 도시되지 않은 로봇 팔에 장착시킬 수 있는 체결공(5)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외면에는 외부의 진공 발생 수단(도시 안됨)에 의하여 공기 흡입공(2)(3)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시켜 배출되게 하는 공기 배출관(5)이 조립된다.
특히, 몸체(11)의 저면 가장 자리에는 탄성 파지 수단(20)이 다수 구비되어, 공기 흡입공(2)(3)을 통한 진공 흡입력과 병용하여 탄성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 및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파지 수단(20)은 몸체(11)에 나사 등의 체결 수단(23)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는 지지 부재(22)를 포함하는 데, 상기 지지 부재(22)의 상면에는 체결 수단(23)이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22c)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22)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누름 부재(24)가 안착 결합될 수 있는 안착부(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1)에는 탄성 부재(28)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b)과, 핀 부재(26)가 삽입될 수 있는 핀홀(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 파지 수단(20)은 상기 지지 부재(22)와 핀 부재(26)에 의하여 좌우로 요동될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되는 누름 부재(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누름 부재(24)는 지지 부재(22)의 안착부(21)의 삽입홈(22b)과 핀홀(22a)에 대응될 수 있는 다른 삽입홈(24b) 및 핀홀(24a)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진공 척은,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1)가 도시되지 않은 로봇이나 이동 핸드부에 장착되어 전자 부품(6)을 파지하려 할 때, 상기 전자 부품(6)이 탄성 파지 수단(20)의 누름 부재(24)의 외측 선단에 닿는 순간 진공 발생 수단(미도시)의 진공 흡입력에 의하여 공기 흡입공(2)(3)으로 외부의 공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흡입되면서 전자 부품(6)의 표면을 몸체(11)의 저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 때, 지지 부재(22) 및 누름 부재(24)의 삽입홈(22b)(24b) 내에 내장된 탄성 부재(28)가 압축되는 반면에, 이의 복원력에 의하여 점선 화살표 방향으로 부품(6)을 강력하게 파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 파지 수단(20)은 누름 부재(24)와 전자 부품(6)이 처음 맞닿을 때에는 상기 부품(6)을 정확한 위치로 센터링하는 역할도 한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진공 압력의 저하나 고속 이동에 따른 흔들림 등으로 인한 전자 부품의 불완전한 파지력를 진공 흡착력과 탄성력을 병행 사용하여 보강함으로써 더욱 더 안정되게 부품을 고정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저면에 외부 공기를 진공력에 의하여 흡입시킬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흡입공이 관통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저면 가장 자리에 전자 부품의 표면을 상기 공기 흡입공을 통한 진공력에 의하여 흡착시킴과 동시에 탄성력에 의하여 누름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된 복수의 탄성 파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파지 수단은 몸체에 체결 고정된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에 핀 부재에 의하여 요동되도록 힌지 결합된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와 지지 부재 사이에 삽입되어 탄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척.
KR2019970016673U 1997-06-30 1997-06-30 진공 척 Expired - Lifetime KR200157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673U KR200157797Y1 (ko) 1997-06-30 1997-06-30 진공 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673U KR200157797Y1 (ko) 1997-06-30 1997-06-30 진공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80U true KR19990003080U (ko) 1999-01-25
KR200157797Y1 KR200157797Y1 (ko) 1999-10-01

Family

ID=1950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673U Expired - Lifetime KR200157797Y1 (ko) 1997-06-30 1997-06-30 진공 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7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120B1 (ko) * 2009-02-23 2013-11-07 그렌체바흐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유리판 비접촉 파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87123A (ko) * 2015-01-13 2016-07-21 박근노 고형 박판 분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120B1 (ko) * 2009-02-23 2013-11-07 그렌체바흐 마쉬넨바우 게엠베하 유리판 비접촉 파지 장치 및 방법
KR20160087123A (ko) * 2015-01-13 2016-07-21 박근노 고형 박판 분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7797Y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3092A (ja) 部品装着ヘッド
KR19990003080U (ko) 진공 척
KR100625699B1 (ko) 핸드폰케이스 회전 거치대
KR200377613Y1 (ko)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KR100541189B1 (ko) 차량용 핸드폰케이스 거치대
JPH055389U (ja) フローテイングハンド
JP3891655B2 (ja) 部品吸着装置
CN218890872U (zh) 晶圆载台清洁装置
JP3930650B2 (ja) 調心装置
JPWO2007017919A1 (ja) ワーク吸着ヘッド
JP4072745B2 (ja) コンプライアンスユニット
JP4655272B2 (ja) 基板吸着装置とそれを用いた基板搬送装置
WO2001010608A1 (fr) Dispositif de transfert de travail
JP4473072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JP2540904Y2 (ja) 作動部材へのツールの着脱構造
JPH0976168A (ja) ベアリング挿入用治具
JPH088068Y2 (ja) 真空ピンセット装置
KR100493627B1 (ko) 표면실장기용 노즐장치
JP3712560B2 (ja) 吸着把持機構
RU99107989A (ru) Способ наживления и сборки деталей, сопрягаемых по цилиндрическим поверхностям с гарантированным зазор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3960585B2 (ja) フラックス転写機構
KR0124808Y1 (ko) 칩 마운터 헤드의 노즐 장착구조
JP2545441Y2 (ja) 吸着パッド
JP2000233327A (ja) 実装機器
JPH05169385A (ja) 吸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3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7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