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547086B1 -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7086B1
KR102547086B1 KR1020180081199A KR20180081199A KR102547086B1 KR 102547086 B1 KR102547086 B1 KR 102547086B1 KR 1020180081199 A KR1020180081199 A KR 1020180081199A KR 20180081199 A KR20180081199 A KR 20180081199A KR 102547086 B1 KR102547086 B1 KR 10254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i
signal
data
lock
tim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283A (ko
Inventor
김민기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70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0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EPI 클럭, 컨트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EPI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전송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EPI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EPI 클럭을 기준으로 내부 클럭을 복원하고, 상기 컨트롤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수신 상태를 반영하는 락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피드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피드백되는 상기 락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증가시키는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해 짐에 따라 TV, 모니터뿐만 아니라, 노트북컴퓨터, PDA 등의 휴대용 컴퓨터나 휴대 전화 단말기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게이트 드라이브 IC, 소스 드라이브 IC 및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등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소스 드라이브 IC 측에, 영상 데이터, 영상 데이터의 샘플링을 위한 클럭, 소스 드라이브 IC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 등을 공급한다.
여기서, 타이밍 컨트롤러와 소스 드라이브 IC는 점 대 점 방식(EPI)으로 연결될 수 있다. EPI 인터페이스 방식은 별도의 클럭 배선쌍을 연결하지 않고, 데이터 배선 쌍을 통해 패킷 형태의 클럭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함께 전송하는 방식이다. 소스 드라이버 IC들은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클럭 신호와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데이터 라인에 출력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출력이 안정된 상태에서는 락 신호(Lock signal, LOCK)를 타이밍 컨트롤러에 피드백(Feedback)하고, 문제가 발생하면 언락 신호를(Unlock) 피드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락 신호가 수신되면 소스 드라이브 IC 측에 컨트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언락 신호가 수신되면 소스 드라이브 IC들이 클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클럭 트레이닝 패턴신호를 출력한다.
그런데, 종래의 EPI 인터페이스의 경우 외부 노이즈(Noise)의 유입을 감안하여 EPI 데이터를 출력 레벨을 높게 설정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많은 전력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EPI 데이터의 출력보다 더 큰 노이즈(Noise)가 유입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의 데이터 출력 전압은 일정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사라지지 않는 한 데이터 전송은 지속적으로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노이즈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타이밍 컨트롤러에서 소스 드라이브 IC로 출력되는 EPI 데이터의 전송 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EPI 데이터 전송 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EPI 클럭, 컨트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EPI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전송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EPI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EPI 클럭을 기준으로 내부 클럭을 복원하고, 상기 컨트롤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수신 상태를 반영하는 락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피드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피드백되는 상기 락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증가시키는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은 타이밍 컨트롤러와 소스 드라이브 IC 간의 EPI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EPI 데이터의 정상 수신이 불가한 상황으로 확인된 경우 EPI 데이터의 신호의 출력 전압이 증가되도록 부스팅하여 외부로부터 노이즈(Noise)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EPI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EPI 데이터의 신호의 출력 전압을 부스팅한 이후에, 노이즈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EPI 데이터의 신호의 출력 전압을 정상 전압으로 복원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노이즈 유입 시에도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한편 EMI 및 WWAN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데이터 전송을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8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의 EPI 출력 제어를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EPI 출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물질을 포함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무기발광 물질을 포함한 무기발광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명세서와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타이밍 컨트롤러(TCON),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 및 게이트 드라이브 IC들(GIC)을 구비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과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 들 간에는 EPI(Embedded Clock Point-Point Interface)(이하, 간단히 'EPI'라 함)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EPI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아래의 (1) 내지 (3)의 인터페이스 규정을 만족한다.
(1) 타이밍 컨트롤러의 송신단과 소스 드라이브 IC들의 수신단 사이에 배선 공유 없이 데이터 배선쌍을 경유하여 타이밍 컨트롤러의 송신단과 소스 드라이브 IC들의 수신단을 점 대 점 방식으로 연결한다.
(2) 타이밍 컨트롤러와 소스 드라이브 IC들 사이에 별도의 클럭 배선쌍을 연결하지 않는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클럭신호가 내장된 비디오 데이터 및 컨트롤 데이터를 소스 드라이브 IC들로 전송한다.
(3) 소스 드라이브 IC들 각각에 내부 클럭 발생회로가 내장되어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는 프리엠블 패턴신호(pre-amble pattern 또는 clock tracking pattern, 본 설명에서는 EPI 클럭이라 함)을 소스 드라이브 IC들에 전송하고, 소스 드라이브 IC들의 내부 클럭 발생회로는 프리엠블 패턴신호를 기준으로 그 출력의 위상을 고정(Lock)한 후에 위상 고정 상태를 지시하는 락 신호(Lock signal)를 타이밍 컨트롤러에 피드백(Feedback) 입력한다. 이를 위하여, 피드백 신호 배선을 타이밍 컨트롤러와, 마지막으로 락 신호를 발생하는 소스 드라이브 IC 사이에 연결한다.
표시패널(100)에는 데이터라인 및 게이트라인의 교차 구조에 의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픽셀(PXL)들을 포함한다. 픽셀(PXL)들은 게이트 드라이브 IC(GIC)에서 공급되는 게이트펄스에 따라 턴-온되고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로부터 데이터전압을 공급받는다. 도 1에서, 실선은 EPI 클럭, 컨트롤 데이터,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EPI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데이터 배선 쌍이다. 점선은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 간에 연결된 락 신호(EPI_LOCK)의 피드백 신호 배선이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외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 Hsync), 외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메인 클럭(CLK) 등의 외부 타이밍 신호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점 대 점(point to point)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스 드라이브IC들(SIC#1~SIC#6) 각각에 직렬로 접속된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전술한 EPI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만족하도록 동작하여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에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여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과 게이트 드라이브 IC(GIC)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EPI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서 정해진 신호 전송 규격에 따라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에 EPI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EPI 데이터 신호는, EPI 클럭, 컨트롤 데이터,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 등을 차신호쌍으로 변환한 것으로서,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EPI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로 직렬 전송할 수 있다.
EPI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서,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컨트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EPI 클럭을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로 전송한다. 소스 드라이브 IC(SIC)의 내부 클럭 발생회로는 EPI 클럭을 기준으로 클럭 트래이닝(Clock training) 동작을 수행하여 출력 위상과 주파수를 고정하여 타이밍 컨트롤러(TCON)와의 데이터 링크를 확립하고, 락 신호(EPI_LOCK)를 타이밍 컨트롤러(TCON)에 전송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피드백 입력된 락 신호를 수신하면 모든 소스 드라이브 IC(SIC)들에서 내부 클럭 발생회로의 위상이 고정된 것으로 판단하여 컨트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를 소스 드라이브 IC(SIC)들로 전송하기 시작한다. 소스 드라이브 IC(SIC)들 중 어느 하나라도 내장된 내부 클럭 발생회로가 언락되면 락 신호를 반전시켜 출력하거나 토글(toggle)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소스 드라이브 IC(SIC)가 다시 클럭 신호의 위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EPI 클럭을 재전송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은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외부 클럭신호가 각각 내장된 EPI 클럭, 컨트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등을 입력 받는다.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은 외부 클럭신호를 내부 클럭 발생회로에 입력하여 비디오 데이터의 RGB 비트수ㅧ2 개의 내부 클럭신호들을 발생한다. 내부 클럭 발생회로는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PLL"이라 함) 또는 지연 락 루프(Delay Locked loop, 이하 "DLL"이라 함)를 이용하여 내부 클럭신호들을 출력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은 내부 클럭신호 타이밍에 맞추어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 비트들을 샘플링한 후에 샘플링된 RGB 비트들을 병렬 데이터로 변환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은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입력되는 컨트롤 데이터를 코드 맵핑 방식으로 디코딩하여 소스 컨트롤 데이터와 게이트 컨트롤 데이터를 복원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은 복원된 소스 컨트롤 데이터에 응답하여 입력 영상의 비디오 데이터를 정극성/부극성 아날로그 비디오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액정표시패널(LCP)의 데이터라인들(DL)에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은 게이트 컨트롤 데이터를 게이트 드라이브 IC(GIC) 중 하나 이상에 전송할 수 있다.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은 이전 단 소스 드라이브 IC로부터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EPI_LOCK)와 EPI 클럭이 입력되면 클럭 트레이닝을 통해 내부 클럭 발생회로의 출력을 발생하고 그 출력의 위상과 주파수가 고정(Lock)되어 CDR(Clock Data Recovery) 기능이 안정화되면, 다음 단 소스 드라이브 IC로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를 전송한다. 모든 소스 드라이브 IC들의 CDR 기능이 안정되면 마지막 소스 드라이브 IC(SIC#6)는 하이 로직 레벨의 락 신호(EPI_LOCK)를 락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타이밍 컨트롤러(TCON)로 전송한다. 컨트롤 데이터는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출력 타이밍, 데이터전압의 극성 등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컨트롤 데이터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락 신호(EPI_LOCK)를 모니터링하여 락 신호(EPI_LOCK)가 반전되는 토글(toggle) 여부를 판단한다. 정상 동작 상태에서,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이 안정하게 동작하는 경우 락 신호(EPI_LOCK)는 로직 하이 레벨(혹은, 로직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이에 반해, 외부로부터 노이즈(Noise)가 유입되는 경우 락 신호(EPI_LOCK)가 반전되어 로직 하이와 로직 로우가 반복되는 토글(toggle) 상태로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락 신호(EPI_LOCK)가 토글(toggle)형태로 감지되는 경우 부스팅 모드(Boosting Mode)를 활성화 시킨다. 부스팅 모드(Boosting Mode)에서 데이터 배선쌍으로 출력되는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이 상향 조정된다. 이에,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되어 외부 노이즈를 극복할 수 있다.
부스팅 모드가 활성화되면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락 신호(EPI_LOCK)를 모니터링하여 락 신호(EPI_LOCK)의 토글(toggle) 여부를 확인하고, 락 신호(EPI_LOCK)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부스팅 모드(Boosting Mode)를 비활성화 하여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모드 전압으로 하향 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전송 환경에 갑작스런 외부 노이즈의 발생으로 인해 정상적인 EPI 데이터 전송이 불가할 경우, 출력 부스팅을 통해 정상적인 EPI 데이터 전송에 주력하고, 이후 외부 노이즈가 제거되면 EPI 데이터 전송에 적합한 정상 모드 출력으로 회귀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타이밍 컨트롤러(TCON)와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 간의 EPI 데이터 전송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락 신호(EPI_LOCK)의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하고,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의 정상적인 EPI 데이터 수신이 불가한 상황이 확인되었을 때(예. EPI_LOCK 토글, 반전, 등), 타이밍 컨트롤러(TCON)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부스팅 하여 외부 노이즈를 극복할 수 있는 레벨로 변경한다. 이후 정상적인 EPI 데이터 전송 상태가 지속될 경우, 이전의 전송을 위한 차동 출력 전압 레벨로 복귀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EPI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은 모니터링부(410), 출력모드 제어부(420), EPI 출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10)는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락 신호(EPI_LOCK)를 모니터링하여 소스 드라이브 IC(SIC#1~SIC#6)에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는 경우 소스 드라이브 IC(SIC#1~SIC#6)는 락 신호(EPI_LOCK)를 제1 로직 레벨(하이 레벨 혹은, 로우 레벨)로 출력한다. 반면, 외부로부터 노이즈(Noise)가 유입되어 EPI 데이터가 정상수신 되지 않는 경우 소스 드라이브 IC(SIC#1~SIC#6)는 락 신호(EPI_LOCK)를 제2 로직 레벨로 반전하여 출력하거나, 로직 하이와 로직 로우가 반복되는 토글(toggle)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410)는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락 신호(EPI_LOCK)를 통해 소스 드라이브 IC(SIC#1~SIC#6)에서의 EPI 데이터 수신 상태를 판단하고,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모드 제어부(420)에 판단결과를 송신한다.
출력모드 제어부(420)는 소스 드라이브 IC(SIC#1~SIC#6)에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증가시키는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시킨다. 이러한 출력모드 제어부(420)는 모드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와, 부스팅 모드의 동작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프레임 카운터(frame coun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스팅 모드 활성화 시 출력모드 제어부(420)는 EPI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EPI 출력부(EPI Transmitter)(430)를 제어하여, EPI 데이터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부스팅 모드 전압으로 증가시킨다. 차동 출력 전압(VOD)의 증가치는 시스템 스펙의 최대값(MAX)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출력모드 제어부(420)는 모니터링부(410)를 통해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부스팅 모드를 비활성화 한다. 부스팅 모드 비활성화 시 출력모드 제어부(420)는 EPI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EPI 출력부(430)를 제어하여, EPI 데이터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정상 모드 전압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EPI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표시장치에서, 외부 노이즈로 인한 화질 저하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에 한해 EPI 데이터 송신 출력을 노이즈 극복이 가능한 전력으로 부스팅한 후, 노이즈가 제거되면 다시 정상 모드 전압으로 출력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표시장치가 탑재된 기기의 EMI, WWAN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락 신호(EPI_LOCK)를 모니터링하여(S110), 락 신호(EPI_LOCK)가 반전되는 토글(toggle) 여부를 판단한다(S120). 정상 동작 상태에서, 소스 드라이브 IC들(SIC#1~SIC#6)이 안정하게 동작하는 경우 락 신호(EPI_LOCK)는 로직 하이 레벨(혹은, 로직 로우 레벨)을 유지한다. 반면, 외부로부터 노이즈(Noise)가 유입되어 소스 드라이브 IC(SIC#1~SIC#6)에 EPI 데이터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락 신호(EPI_LOCK)가 반전되어 로직 하이와 로직 로우가 반복되는 토글(toggle)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락 신호(EPI_LOCK)가 토글(toggle)형태로 감지되는 경우 부스팅 모드(Boosting Mode)를 활성화 시킨다(S130).
부스팅 모드(Boosting Mode)에서 데이터 배선쌍으로 출력되는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이 상향 조정된다(S140). 이에,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 레벨이 증가되어 외부 노이즈를 극복할 수 있다.
부스팅 모드가 활성화되면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피드백 신호 배선을 통해 입력되는 락 신호(EPI_LOCK)를 모니터링하여 부스팅 모드를 종료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S150).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락 신호(EPI_LOCK)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부스팅 모드(Boosting Mode)를 비활성화한다(S160).
부스팅 모드가 종료되면, 타이밍 컨트롤러(TCON)은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모드 전압으로 하향 조정한다(S170).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상 동작 상태(N-Driving)일 경우, 락 신호(EPI_LOCK)는 로직 하이 레벨로 입력되고,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도 최적의 출력(ex. 200mV)으로 송신된다.
노이즈(Noise)가 유입되어 소스 드라이브 IC(SIC#1~SIC#6)에 EPI 데이터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못하는 경우, 락 신호(EPI_LOCK)는 로직 로우 레벨로 입력된다.
락 신호(EPI_LOCK)가 로직 로우 레벨로 입력되면 부스팅 구동모드(B-Driving)가 활성화되어,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이 최대 출력(ex. 450mV)으로 송신된다. 즉,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이즈를 극복할 수 있는 레벨로 변경하여 출력하고, 이후 정상적인 EPI 데이터 전송 상태가 지속될 경우, 이전의 전송을 위한 차동 출력 전압 레벨(ex. 200mV)로 복귀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락 신호(EPI_LOCK)가 토글하는 경우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여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이 최대 출력(Max_VOD)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락 신호(EPI_LOCK)가 토글하지 않는 경우(ex. 60-1023Frame) 부스팅 모드를 비활성화 하여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출력(Normal_VOD)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Vertical Active 구간에 매 프레임(Frame) 단위로 락 신호(EPI_LOCK)의 노이즈 유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락 신호(EPI_LOCK)가 특정 값 이상 토글하는 경우(Option : Max. 255 EA), 혹은 락 신호(EPI_LOCK)가 특정 시간 이상 로직 로우(Low)를 유지할 경우(Option : Max. 255 Line), 혹은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노이즈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로우 신호의 입력 시간, 입력 전압과는 관계 없이 락 신호(EPI_LOCK)가 로직 로우(Low)로 입력되는 것만으로도 노이즈가 유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노이즈 유입이 판단되면(Noise Detection),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여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이 최대 출력(Max_VOD)으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부스팅 모드가 활성화되는 시점은 case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유입이 판단(Noise Detection)된 직후일 수 있으며, 혹은, case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 유입이 판단(Noise Detection)된 후 수직 신호(Vertical Blank)가 입력됨과 함께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EPI 출력 파형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버티컬 액티브(Vertical Active) 구간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락 신호(EPI_LOCK)가 정상 상태를 유지할 경우 부스팅 모드를 비활성화 하여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출력(Normal_VOD)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버티컬 액티브(Vertical Active) 구간에서 기 설정된 시간, 예컨대 60~1023 frame 동안 락 신호(EPI_LOCK)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노이즈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최대 출력(Max_VOD)으로 설정되어 있던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출력(Normal_VOD)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출력(Normal_VOD)으로 복원하는 시점은 락 신호(EPI_LOCK)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버티컬 액티브(Verticla Active) 구간 이후의 버티컬 블랭크(Veritical Blank) 시점일 수 있다.
여기서,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출력(Normal_VOD)으로 복원하지 않는 경우(복원 미수행시) 차동 출력 전압(VOD)은 최대 출력(Max_VOD)으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엔 노이즈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불필요하게 높은 출력으로 EPI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므로 전력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노이즈가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노멀 출력(Normal_VOD)으로 복원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컨트롤러(TCON)의 EPI 출력 제어를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PI 출력 제어를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TCON)는 소스 드라이브 IC(SIC)에 EPI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EPI 출력부(430), EPI 출력부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제어하는 VOD 제어부(VOD Control) 및 VOD 제어부의 출력을 설정하는 설정부(CFG)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VOD 제어부(VOD Control) 및 VOD 제어부의 출력을 설정하는 설정부(CFG)는 도 2의 구성 중 모니터링부(410) 및 출력모드 제어부(420)의 구성과 대응될 수 있다.
VOD 제어부(VOD Control)는 소스 드라이브 IC(SIC)로부터 피드백되는 락 신호(EPI_LOCK)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락 신호(EPI_LOCK)의 토글 기간을 측정하기 위한 카운터(Counter), 차동 출력 전압(VOD)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기(Selector)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CFG)는 I2C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메모리(EEPROM)로부터 차동 출력 전압(VOD)의 설정값을 독출할 수 있다. 설정부(CFG)는 부스팅 모드 시 설정되는 차동 출력 전압(VOD)의 최대값(VOD Max)과 노멀 모드 시 설정되는 차동 출력 전압(VOD)의 노멀값(VOD Default)을 메모리(EEPROM)로부터 독출하여 VOD 제어부(VOD Control)에 제공한다.
VOD 제어부(VOD Control)는 소스 드라이브 IC(SIC)로부터 피드백되는 락 신호(EPI_LOCK)를 모니터링하여 부스팅 모드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VOD 제어부(VOD Control)는 락 신호(EPI_LOCK)가 특정 값 이상 토글하는 경우, 혹은 락 신호(EPI_LOCK)가 특정 시간 이상 로직 로우(Low)를 유지할 경우, 혹은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로우 신호의 입력 시간, 입력 전압과는 관계 없이 락 신호(EPI_LOCK)가 로직 로우(Low)로 입력되는 것만으로도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한 경우 VOD 제어부(VOD Control)는 설정부(CFG)로부터 수신된 차동 출력 전압(VOD)의 최대값(VOD Max)에 따라 EPI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도록 EPI출력부(430)를 제어한다. 이 후, 락 신호(EPI_LOCK)가 안정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VOD 제어부(VOD Control)는 설정부(CFG)로부터 수신된 차동 출력 전압(VOD)의 노멀값(VOD Default)에 따라 EPI 데이터 신호가 출력되도록 EPI출력부(430)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타이밍 컨트롤러(TCON)와 소스 드라이브 IC(SIC) 간의 EPI 데이터 전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EPI 데이터의 정상 수신이 불가한 상황으로 확인된 경우 EPI 데이터의 신호의 출력 전압이 증가되도록 부스팅하여 외부로부터 노이즈(Noise)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EPI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EPI 데이터의 신호의 출력 전압을 부스팅한 이후에, 노이즈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EPI 데이터의 신호의 출력 전압을 정상 전압으로 복원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노이즈 유입 시에도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한편 EMI 및 WWAN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표시장치의 EPI 출력을 측정한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휴대전화에 장착된 표시장치에 외부 노이즈가 인가되는 경우 락 신호(EPI_LOCK)의 파형을 측정한 실험 결과이다. EPI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표시장치는 노이즈 환경에서는 EPI 데이터 신호 송수신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소스 드라이브 IC(SIC)는 EPI 데이터 수신이 비정상적임을 알리는 락 신호(EPI_LOCK)를 타이밍 컨트롤러(TCON)에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타이밍 컨트롤러(TCON)로 수신되는 락 신호(EPI_LOCK)는 실험 결과 파형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지속적인 토글 상태로 입력될 수 있다. 통상의 휴대전화에 대한 노이즈 실험 조건에 따르면 토글 신호는 217.39Hz 주파수에 EPI_LOCK Low Width는 약 500us 로 측정되었다.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장치,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면 표시상태를 실험한 결과 파형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장치는 외부 노이즈를 고려하지 않고 EPI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고, 본 발명은 노이즈 발생 시 노이즈를 극복할 수 있도록 EPI 데이터 신호를 부스팅하여 송신한다. 이에, 종래 기술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에 Veye가 32mV인 비정상적인 영상(Abnormal Display)이 표시되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eye가 242mV인 정상화면(Normal Display)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표시패널 410: 모니터링부
420 : 출력모드 제어부 430: EPI 출력부

Claims (10)

  1. 표시패널;
    EPI 클럭, 컨트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EPI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전송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EPI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EPI 클럭을 기준으로 내부 클럭을 복원하고, 상기 컨트롤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수신 상태를 반영하는 락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피드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피드백되는 상기 락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증가시키는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는,
    상기 EPI 데이터 신호가 정상 수신되는 경우 상기 락 신호를 제1 로직 레벨 신호로 출력하고,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로직 레벨과 반대되는 제2 로직 레벨 신호로 출력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는,
    상기 EPI 데이터 신호가 정상 수신되는 경우 상기 락 신호를 제1 로직 레벨 신호로 출력하고,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로직 레벨과 반대되는 제2 로직 레벨 신호가 반복되는 토글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로직 레벨 신호와 상기 제2 로직 레벨 신호의 차이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는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토글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부스팅 모드가 활성화된 후, 피드백되는 상기 락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부스팅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정상 레벨로 감소시키는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는,
    상기 부스팅 모드가 활성화된 후, 피드백되는 상기 락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기설정된 시간 이상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부스팅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정상 레벨로 감소시키는 표시장치.
  8. 표시패널, EPI 클럭, 컨트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EPI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배선쌍을 통해 전송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및 상기 EPI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EPI 클럭을 기준으로 내부 클럭을 복원하고, 상기 컨트롤 데이터 및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패널에 상기 비디오 데이터의 전압을 공급하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수신 상태를 반영하는 락 신호를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로 피드백하는 하나 이상의 소스 드라이브 IC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락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에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증가시키는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부스팅 모드 활성화 후,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부스팅 모드를 종료하여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정상 레벨로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드라이브 IC는,
    상기 EPI 데이터 신호가 정상 수신되는 경우 상기 락 신호를 제1 로직 레벨 신호로 출력하고,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로직 레벨과 반대되는 제2 로직 레벨 신호가 반복되는 토글 신호를 출력하는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PI 데이터가 정상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출력레벨을 증가시키는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토글 신호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상기 부스팅 모드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EPI 데이터 신호의 차동 출력 전압(VOD)을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구동방법.
KR1020180081199A 2018-07-12 2018-07-12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ctive KR10254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99A KR102547086B1 (ko) 2018-07-12 2018-07-12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199A KR102547086B1 (ko) 2018-07-12 2018-07-12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83A KR20200007283A (ko) 2020-01-22
KR102547086B1 true KR102547086B1 (ko) 2023-06-23

Family

ID=6936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199A Active KR102547086B1 (ko) 2018-07-12 2018-07-12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7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978B1 (ko) 2019-12-24 2025-02-11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766420B1 (ko) * 2020-06-19 2025-02-13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KR102687168B1 (ko) * 2020-08-19 2024-07-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651799B1 (ko) * 2020-12-23 2024-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730376B1 (ko) * 2020-12-28 2024-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12951134B (zh) * 2021-04-20 2022-09-20 合肥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钟恢复装置、源极驱动电路、显示面板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949B1 (ko) * 2013-12-30 2020-09-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283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708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151949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32970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8314763B2 (en) Display device transferring data signal with clock
US9583070B2 (e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and associated timing controller of display
US9093020B2 (en) Mode conversion method, and display driving integrated circui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the method
KR102248139B1 (ko) 표시장치
US8390613B2 (en)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s,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s
KR10132598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891710B1 (ko) 클럭 임베디드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 표시장치
KR101323055B1 (ko) 내부 디스플레이 포트 인터페이스 테스트 방법 및 장치
US20100231787A1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10388209B2 (en) Interface circuit
US2008020438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ime controller and source driver
US9508321B2 (en) Source driver less sensitive to electrical noises for display
US1059328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signal transmission applicable to display system
KR20120126312A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20100166129A1 (en) Data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receiving device
KR20100078604A (ko)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장치들
KR102203345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720913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N114446258B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20160089975A (ko)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JP4997398B2 (ja) 差動信号送信回路および差動信号送受信回路
KR101193219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7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