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69656B1 -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656B1
KR102369656B1 KR1020200108152A KR20200108152A KR102369656B1 KR 102369656 B1 KR102369656 B1 KR 102369656B1 KR 1020200108152 A KR1020200108152 A KR 1020200108152A KR 20200108152 A KR20200108152 A KR 20200108152A KR 102369656 B1 KR102369656 B1 KR 102369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and
iot terminal
base station
iot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8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10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6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65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32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는, IoT 단말의 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정보 저장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수신부;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어명령 송신부;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결과 수신부; 기지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기지국별 용량정보 및 연결된 IoT 단말의 Cell ID, 제어명령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상기 처리결과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기지국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분배하여 기지국 별로 현재 처리 중인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처리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업스케쥴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에서 IoT 단말을 실시간에 가깝게 일괄제어 처리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IoT 단말의 제어명령을 처리하고, IoT 단말에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IoT device control commands using cell access monitoring,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단말들의 제어명령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서비스 서버들로부터 발생되는 다수의 IoT 단말 제어명령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화혁명을 거쳐,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초연결 혁명이 진행 중이다. 사물에서 일어나는 모든 데이터를 적기에 수집하고 분석 및 예측하여 보다 정교하고 유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프라 기술이 사물인터넷이며, 사물인터넷으로 인하여 가전제품은 물론 스마트 빌딩, 지능형 자동차, 모든 동식물까지 인터넷에 연결되는 초연결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을 구성하는 단말은 크게 3개의 계층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센서나 액츄에이터 등의 사물인터넷의 신경계인 Things 단말, Things 단말들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급 단말과 그리고 수집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 및 처리를 담당하는 서버급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대규모의 Things 단말이 하나의 게이트웨이급 단말과 연결되고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연결되는 구조로 사물인터넷 서비스가 수행된다. Things 단말들은 자율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호연동하여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게 하는 저사양/저전력 기반의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hings 기기로는 도로의 가로등과 같이 국가 인프라 성격의 LED(Light-Emitting Diode) 전등과 소비자 수요 지향의 댁내 LED 조명, 계량기, 의료진단, 원격 주차, 기기 제어를 위한 단말들이 있다.
IoT 단말들이 와이파이 또는 유선을 통해 인터넷과 접속하게 되면 한정된 공간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며 이동에도 제약이 있고 보안성도 취약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LTE 네트워크 또는 5G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다.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LTE 네트워크 또는 5G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별도의 IoT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 필요없이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며, 먼 외곽지역에서도 서비스 가능하고 보안성도 확보할 수 있다.
협대역 IoT(NB-IoT :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는 Resource Block 하나에 해당하는 대역폭인 200 kHz 를 활용하여 IoT 기기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한다. 대역폭이 좁은 만큼 전송속도는 낮지만 전력 소모량은 적으며, 저용량 데이터를 가끔씩 전송하는 IoT 서비스 특성에 따라 좁은 대역폭으로 많은 단말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NB-IoT 는 기지국 통신 반경을 키워 1㎢내 5만대 이상의 단말을 지원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사용자가 기기를 수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수명도 매우 길고 가격도 저렴하며, 저전력 광역망(Low Power Wide Area Network, LPWA)을 지원한다.
LPWA 을 지원하는 IoT 로는 Cat M1가 있으며, Cat M1은 미국의 AT&T 나 Verizon 이 도입한 기술로서, 채널 대역폭이 1.4MHz 이며, LET 대역 내 가변적으로 사용가능하고, 300kbps 이하의 전송속도를 제공하고, 저용량 사진과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실시간/이동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NB IoT나 Cat.M1 방식의 무선통신 IoT 단말은 네트워크(NW) 기지국의 제어 명령 처리 용량(Capacity)이 고려 되어야, 원활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가 기지국에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들 전체를 재부팅하는 재부팅 명령 같은 일괄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없어서, 단말 별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어명령을 처리했다. 즉, 단말 별 제어 기능으로 커버를 해야 했으며, 제어가 필요한 IoT 단말이 다수 인 경우, 처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6852, 2018.12.2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서비스 서버들로부터 발생되는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는,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정보 저장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수신부;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어명령 송신부;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결과 수신부; 상기 기지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기지국별 용량정보 및 연결된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 상기 제어명령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상기 처리결과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기지국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분배하여 기지국 별로 현재 처리 중인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처리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업스케쥴러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상기 IoT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각 기지국에게 전송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큐(Queue)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은 상기 IoT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으로 전달되고, 상기 기지국은 IoT 단말제어명령을 IoT 플랫폼을 통해 IoT 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복수의 기지국에 대해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테이블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이 때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상기 일괄 제어명령을 IoT 단말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고, 큐에 저장된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은, IoT 단말로부터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된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해당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별 용량정보, IoT 단말의 Cell ID,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은 기지국 별로 분류하여 기지국 별로 할당된 큐(Queue)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은 서비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일괄 제어명령을 IoT 단말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큐에 저장된 작업을 순차적으로 상응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은 상기 IoT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IoT 단말; 가입된 IoT 단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IoT 단말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단말의 제어명령을 통합 관리하는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IoT 단말은 셀 식별정보(Cell ID)를 주기적으로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부터 전달받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결과를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 보고하며,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는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정보 저장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수신부;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어명령 송신부;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결과 수신부; 상기 기지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기지국별 용량정보 및 연결된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 상기 제어명령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상기 처리결과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기지국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분배하여 기지국 별로 현재 처리 중인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처리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업스케쥴러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은 기지국 별로 분류하여 기지국 별로 할당된 큐(Queue)에 저장하고, 복수의 기지국에 대해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테이블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일괄 제어명령을 IoT 단말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고, 큐에 저장된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IoT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등록된 IoT 단말의 현재 접속된 Cell ID를 동적(Dynamic)으로 관리하고 처리함으로써 서비스 서버에서 IoT 단말을 실시간에 가깝게 일괄제어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중인 IoT 단말이 Cell 이동이 발생하면 셀 이동에 따른 큐(Queue) 처리를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IoT 단말의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NW(네트워크)에 있는 기지국의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기지국과 서비스 서버를 전체적으로 관리함으로써 NB IoT나 Cat. M1 방식 등의 무선통신 IoT 단말에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의 작업 스케쥴러에서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 및 관리하는 큐 및 작업통합관리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일실시예는, 복수의 IoT 단말(134, 144), 복수의 서비스 서버(120) 및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복수의 IoT 단말(134, 144)은 기지국(132, 142)이 관리하는 셀(130, 140)의 셀 식별정보(Cell ID)를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부터 전달받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결과를 상기 통합관리 서버로 보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서버(120) 또는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110)가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할 수 있다.
복수의 서비스 서버(120)는 가입된 IoT 단말들(134, 144)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IoT 단말들(134, 144)을 제어한다. IoT 단말 제어명령의 예로는 IoT 단말의 개별부팅, IoT 단말 전체 일괄 재부팅, IoT 단말의 전송 주기 변경, IoT 단말의 sleep 모드 사용여부를 결정하는 정책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IoT 단말 제어명령은 상기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110)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IoT단말(134, 144)의 제어명령을 통합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110)는 기지국 정보 저장부(210), 제어명령수신부(220), 제어명령 송신부(230), 처리결과 수신부(240) 및 작업스케쥴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지국 정보 저장부(210)는 IoT 단말(134, 144)의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명령수신부(220)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134, 144)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명령 송신부(230)는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132, 142)으로 전달한다. 처리결과 수신부(240)는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한다.
작업스케쥴러(250)는 기지국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된 기지국별 용량정보 및 연결된 IoT 단말(134, 144)의 셀 식별정보(Cell ID), 제어명령수신부(220)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처리결과 수신부(240)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기지국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분배하여 기지국 별로 현재 처리 중인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처리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작업스케쥴러(250)는 IoT 단말(134, 144)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스케쥴러(250)는 각 기지국(132, 142)에게 전송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큐(Queue)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은 IoT 단말(134, 144)이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132, 142)으로 전달되고, 기지국(132, 142)은 IoT 단말제어명령을 IoT 플랫폼(150)을 통해 IoT 단말(134)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스케쥴러(250)는 복수의 기지국(132, 142)에 대해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테이블로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스케쥴러(120)는 제어명령 수신부(220)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134, 144)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일괄 제어명령을 IoT 단말(134, 144)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고, 큐에 저장된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의 작업 스케쥴러(250)에서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 및 관리하는 큐 및 작업통합관리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큐(Queue)는 전체 네트워크의 자원을 기지국 단위로 작업 스케쥴링(Job scheduling)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작업통합관리 테이블(30)의 컬럼(Column, 열, 310)은 수집된 Cell ID를 기초로 분류된 기지국을 나타내고, 로우(Row, 행, 320)은 기지국 별로 할당된 큐(Queue)를 나타내며, 누적된 작업(job)의 순서를 알 수 있다. 즉, 제어명령수신부(220)가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기지국 별로 분류하여 기지국마다 할당된 큐에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큐의 입력은 서버에서 일괄 제어가 도착 하였을 때, 각각 단말의 CTN과 같은 구분 정보를 보고, 사전에 동기화 된 접속 정보를 활용하여 배정된 큐에 할당한다. 각각의 CTN 별로 어떤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는 실시간으로 관리 된다. 그리고 큐의 맨 위의 작업(job)이 처리가 완료되면 다음 것으로 처리 순서가 넘어가고 처리된 작업(job)은 테이블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단말의 이동으로 인해 접속 중인 기지국 단위가 변경되면 잡(Job)이 배정된 큐에도 업데이트(Update)를 한다. 큐에 업데이트 할 항목이 처리 중이거나 처리가 완료 되었다면 업데이트 할 필요가 없다. 디바이스에 요청 처리가 완료된 잡은 큐에서 삭제처리 한다. 큐에는 항상 미처리 잡(Job)만 존재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IoT 단말이 기지국 4444가 관리하는 셀을 벗어나 기지국 5555가 관리하는 셀로 이동하면 IoT 단말 제어명령(H, 330)도 기지국 5555의 해당하는 큐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H(330)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은 기지국 4444에서는 G 작업 다음 순서이므로 대기상태에 있었으나, 기지국 5555로 이동하면서 작업 처리 순서에 변경이 있어 대기하지 않고 바로 처리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IoT 단말(134, 144)로부터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된 IoT 단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IoT 단말정보와 기지국 마다 IoT 단말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110)의 기지국 정보 저장부(210)에 저장한다 (S410단계).
제어명령수신부(220)가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S420단계), 작업스케쥴러(250)는 상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별로 분류하여 작업통합관리 테이블(30)의 해당 기지국의 큐에 저장한다 (S430단계).
작업스케쥴러(250)는 기지국의 IoT 제어명령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작업통합관리 테이블(30)의 Queue에 저장되어 있는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S440단계).
IoT 단말(134, 144)이 제어명령을 실행하면, 그 결과를 제어명령 통합관리서버(110)으로 보고하고, 처리결과수신부(240)는 IoT 단말(134, 144)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한다 (S450단계).
그리고 나서, 작업 스케쥴러(250)는 상기 기지국별 용량정보, IoT 단말의 Cell ID,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재분배한다 (S460단계).
한편,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110)의 제어명령수신부(220)는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작업스케쥴러(250)는 IoT 단말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고, 상기 큐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상응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IoT 단말(134, 144)이 이동하는 경우, 즉, IoT 단말이 현재 연결된 기지국의 셀을 벗어나 다른 기지국이 관리하는 셀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IoT 단말 제어명령도 상기 이동된 기지국에 해당하는 큐로 이동시킴으로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의 일 구현 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명령 통합관리서버(510)가 서비스 서버(520)로부터 IoT 디바이스 제어명령에 대한 일괄제어 요청을 수신하면, IoT 디바이스 별로 제어명령을 분류하여 작업통합관리 테이블(30)의 해당 기지국의 큐에 저장한다. 제어명령 통합관리서버(510)는 기지국을 통해 큐의 누적 상태에 따라 큐에 저장된 IoT 디바이스 제어명령을 IoT 디바이스(540)로 직접 전송하거나 기지국을 통해 IoT 플랫폼(550)을 거쳐 IoT 디바이스(53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IoT 디바이스(530, 540) 단말이 기지국 4444가 관리하는 셀을 벗어나 기지국 5555가 관리하는 셀로 이동하면 IoT 디바이스 제어명령(H)도 기지국 5555의 해당하는 큐로 이동시켜 IoT 디바이스 제어명령을 Dynamic하게 관리 및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정보 처리 기능을 갖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 120 : 서비스 서버
130 : 셀(zone) 132 : 기지국
134 : IoT 단말 140 : 셀(zone)
142 : 기지국 144 : IoT 단말
150 : IoT 플랫폼 210 : 기지국 정보 저장부
220 : 제어명령 수신부 230 : 제어명령 송신부
240 : 처리결과 수신부 250 : 작업 스케쥴러
30 : 작업통합관리 테이블 510 :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
520 : 서비스 서버 530 : IoT 디바이스
540 : IoT 디바이스 550 : IoT 플랫폼

Claims (14)

  1.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정보 저장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수신부;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어명령 송신부;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결과 수신부;
    상기 기지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기지국별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 및 연결된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 상기 제어명령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상기 처리결과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기지국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분배하여 기지국 별로 현재 처리 중인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처리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업스케쥴러를 포함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상기 IoT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각 기지국에게 전송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큐(Queue)를 이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은 상기 IoT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으로 전달되고,
    상기 기지국은 IoT 단말제어명령을 IoT 플랫폼을 통해 IoT 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복수의 기지국에 대해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테이블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작업스케쥴러는
    상기 일괄 제어명령을 IoT 단말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고, 큐에 저장된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7. 복수의 IoT 단말;
    가입된 IoT 단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IoT 단말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 및
    상기 복수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단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통합 관리하는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IoT 단말은
    셀 식별정보(Cell ID)를 주기적으로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부터 전달받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결과를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로 보고하며,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는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되어 있는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기지국 정보 저장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제어명령수신부;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제어명령 송신부;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결과 수신부;
    상기 기지국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기지국별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 및 연결된 IoT 단말의 셀 식별정보(Cell ID), 상기 제어명령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상기 처리결과 수신부로부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기지국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분배하여 기지국 별로 현재 처리 중인 IoT 단말 제어명령 및 처리할 IoT 단말 제어명령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작업스케쥴러를 포함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은 기지국 별로 분류하여 기지국 별로 할당된 큐(Queue)에 저장하고, 복수의 기지국에 대해 기지국 별로 큐(Queue)에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테이블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일괄 제어명령을 IoT 단말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고, 큐에 저장된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는
    상기 IoT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시스템.
  11. 복수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IoT단말의 제어명령을 통합 관리하는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가 기지국 정보 저장부, 제어명령 수신부, 제어명령 송신부, 처리결과 수신부 및 작업스케쥴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명령 통합관리 서버에 의한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정보 저장부가 IoT 단말로부터 셀 식별정보(Cell ID)를 수집하여 기지국 별로 연결된 IoT 단말 정보와 기지국 별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 수신부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업스케쥴러가 상기 수신한 IoT 단말 제어명령을 기지국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 송신부가 상기 저장된 IoT 단말 제어명령을 순차적으로 해당 기지국으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처리결과 수신부가 IoT 단말로부터 IoT단말 제어명령 실행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스케쥴러가 상기 기지국별 제어명령 처리 용량 정보, IoT 단말의 Cell ID,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 상기 IoT 단말 제어명령의 실행결과를 기초로 Cell ID를 기준으로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된 IoT 단말 제어명령은 상기 작업스케쥴러에 의해 기지국 별로 분류되어 기지국 별로 할당된 큐(Queue)에 저장되고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명령수신부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복수의 IoT 단말에 대한 일괄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작업스케쥴러가 상기 일괄 제어명령을 IoT 단말로부터 수집된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분류해서 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송신부가 상기 큐에 저장된 작업을 순차적으로 상응하는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oT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작업스케쥴러가 상기 이동된 IoT 단말의 Cell ID를 이용하여 기지국 별로 처리할 작업(job)을 재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다수의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방법.
KR1020200108152A 2020-08-26 2020-08-26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Active KR102369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52A KR102369656B1 (ko) 2020-08-26 2020-08-26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8152A KR102369656B1 (ko) 2020-08-26 2020-08-26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656B1 true KR102369656B1 (ko) 2022-03-02

Family

ID=8081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8152A Active KR102369656B1 (ko) 2020-08-26 2020-08-26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6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116308A1 (ko) * 2023-12-01 2025-06-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632A (ja) * 2015-04-03 2018-05-24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伝送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JP2018107802A (ja) * 2016-12-22 2018-07-05 フォルクスヴァーゲ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移動無線セル内における移動無線ネットワーク加入者局間の通信を整理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本発明に係る方法を使用する場合における移動無線ネットワーク加入者局及び移動無線ネットワーク管理ユニット
KR20180136852A (ko) 2017-06-15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5g 기지국의 복수의 동기신호를 고려한 rrm 방법 및 장치
KR101969521B1 (ko) * 2017-10-26 2019-08-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용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13632A (ja) * 2015-04-03 2018-05-24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データ伝送方法、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JP2018107802A (ja) * 2016-12-22 2018-07-05 フォルクスヴァーゲン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移動無線セル内における移動無線ネットワーク加入者局間の通信を整理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本発明に係る方法を使用する場合における移動無線ネットワーク加入者局及び移動無線ネットワーク管理ユニット
KR20180136852A (ko) 2017-06-15 201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5g 기지국의 복수의 동기신호를 고려한 rrm 방법 및 장치
KR101969521B1 (ko) * 2017-10-26 2019-08-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사물인터넷용 단말과 모바일 단말의 접속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기지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116308A1 (ko) * 2023-12-01 2025-06-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536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lligent distribution of workloads to multi-access edge compute nodes on a communication network
Venticinque et al. A methodology for deployment of IoT application in fog
Sheikh Sofla et al. Towards effective offloading mechanisms in fog computing
US11252031B2 (en) Coordinated management of IoT device power consumption and network congestion
CN113726846B (zh) 边缘云系统、资源调度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8751420B2 (en) Generic reasoner distribution of resources using a plurality of shallow reasoners, and a predictor server
Stojmenovic Fog computing: A cloud to the ground support for smart things and machine-to-machine networks
US114635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multi-access edge allo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N111212106B (zh) 一种工业互联网环境中边缘计算任务处理与调度方法及装置
US8335854B2 (en) Performing services on behalf of low-power devices
US10942786B2 (en) Network management
US1204781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ordination of network traffic between wireless network devices and computing platforms
KR20220001797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분석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001941A1 (zh) 网元管理方法、网管系统、独立计算节点、计算机设备、存储介质
KR102369656B1 (ko) 셀 접속 모니터링을 이용한 IoT 단말 제어 명령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과 그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CN117076117A (zh) 一种基于新通信架构的媒体会场智能调度方法及系统
JP5672312B2 (ja) 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US10805829B2 (en) BLE-based location services in high density deployments
Pandian Enhanced network performance and mobility management of IoT multi networks
US11678290B2 (en) Wireless connection monitoring, classification, and priority
EP3804232B1 (en) Data sample template (dst) management for enabling fog-based data processing
CN113938813B (zh) 一种任务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Nakayama Network-side task allocation for mobile crowdsensing
Al-Razgan et al. [Retracted] A Computational Offloading Method for Edge Server Computing and Resource Allocation Management
CN102611578A (zh) 一种多网络设备环境下的网络设备数据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