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32276B1 -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276B1
KR102332276B1 KR1020150012360A KR20150012360A KR102332276B1 KR 102332276 B1 KR102332276 B1 KR 102332276B1 KR 1020150012360 A KR1020150012360 A KR 1020150012360A KR 20150012360 A KR20150012360 A KR 20150012360A KR 102332276 B1 KR102332276 B1 KR 102332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pixels
node
control signal
o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2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141A (ko
Inventor
김성호
김광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276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2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01L27/3211
    • H01L27/3246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OLED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적색 픽셀들, 녹색 픽셀들 및 청색 픽셀들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적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1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적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1 센싱부와, 상기 녹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2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녹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2 센싱부와, 상기 청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3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청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3 센싱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For Sensing Degrad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자발광 소자인 OLED는 애노드전극 및 캐소드전극과, 이들 사이에 형성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OLED를 각각 포함한 픽셀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픽셀들의 휘도를 조절한다. 픽셀들 각각은 자신의 게이트전극과 소스전극 사이에 걸리는 전압(Vgs)에 따라 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하는 구동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하며, 구동전류에 비례하는 OLED의 발광량으로 표시 계조(휘도)를 조절한다.
통상 OLED는 발광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서 OLED의 동작점 전압(문턱전압)이 증가하고 발광효율이 감소하는 열화 특성이 있다. 각 픽셀의 OLED에 인가되는 전류 누적치는 해당 픽셀에서 구현된 계조 누적치에 비례하므로, 상기와 같은 OLED 열화 정도는 픽셀마다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픽셀들 간 OLED 열화 편차는 휘도 편차를 야기하고, 이것이 심화되면 영상 고착화(Image Sticking)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OLED 열화를 센싱하고, OLED 열화 정도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의 계조값을 부정하여 OLED 열화 편차를 최소화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모든 픽셀들을 개별적으로 센싱하였기 때문에 센싱부의 회로 로직 및 동작이 복잡하고, 센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OLED 열화를 센싱하기 위한 회로 로직 및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OLED 열화를 센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구동회로의 로직 사이즈를 줄이고, 센싱부의 형성 공정을 쉽게 하고 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OLED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적색 픽셀들, 녹색 픽셀들 및 청색 픽셀들을 갖는 표시패널과, 상기 적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1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적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1 센싱부와, 상기 녹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2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녹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2 센싱부와, 상기 청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3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청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된 제3 센싱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센싱부는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적색 픽셀들을 동시에 센싱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녹색 픽셀들을 동시에 센싱하며, 상기 제3 센싱부는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청색 픽셀들을 동시에 센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비 표시영역 상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부는 각각, 제1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초기화전압의 입력단과 제1 노드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1 센싱 스위치와, 제2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기준전압의 입력단과 제2 노드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2 센싱 스위치와, 상기 제2 노드와 저전위 전원전압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 센싱 커패시터와, 제3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3 센싱 스위치와, 제4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제2 노드와 센싱전압의 출력단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4 센싱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센싱부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적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적색 픽셀들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센싱부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녹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녹색 픽셀들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센싱부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청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청색 픽셀들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되고, 동일 표시라인에 배치된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는 스캔신호에 따라 동시에 스위칭된다.
상기 표시패널의 1 표시라인을 센싱하기 위한 1 센싱 구간은 제1 내지 제3 기간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제어신호가 온 레벨로 입력되고, 상기 제2 기간에서 상기 제3 센싱 제어신호와 상기 스캔신호가 온 레벨로 입력되며, 상기 제3 기간에서 상기 제4 센싱 제어신호가 온 레벨로 입력된다.
본 발명은 3개의 센싱부만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의 모든 픽셀들을 센싱함으로써, 센싱에 필요한 센싱부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로직 사이즈 및 센싱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OLED 열화에 대한 위치별 특성을 고려하여, 3개의 센싱부를 이용하여 픽셀들을 각 표시라인 단위로 동시에 센싱함으로써 OLED 열화를 센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싱부들을 표시패널의 비 표시영역상에 형성하되, 픽셀 어레이 형성 공정을 통해 픽셀 어레이와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구동회로의 로직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센싱부의 형성 공정을 쉽게 하고 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에 형성된 픽셀 어레이와 센싱부들 간의 접속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동일 컬러를 구현하는 픽셀들에 공통 접속되는 센싱부의 구체적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1 표시라인을 센싱하기 위한 1 센싱 구간 동안 해당 픽셀와 센싱부의 동작 설명을 위한 구동 파형도.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보여주고, 도 2는 도 1의 표시패널에 형성된 픽셀 어레이와 센싱부들 간의 접속 구조를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타이밍 콘트롤러(11), 데이터 구동회로(12), 게이트 구동회로(13), 레벨 쉬프터(14) 및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를 구비한다.
표시패널(10)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들(15)과, 다수의 게이트라인들(16)이 교차되고, 이 교차영역마다 픽셀들(P)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픽셀들(P)은 적색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적색 픽셀들(RP), 녹색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녹색 픽셀들(GP), 및 청색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청색 픽셀들(BP)을 포함한다.
각 픽셀(P)은 m(m은 자연수) 개의 데이터라인들(151~15m)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며, n(n은 자연수)개의 게이트라인들(161~16n)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적색 픽셀들(RP)은 제1 센싱라인(17A)을 통해 제1 센싱부(21)에 연결되고, 녹색 픽셀들(GP)은 제2 센싱라인(17B)을 통해 제2 센싱부(22)에 연결되며, 청색 픽셀들(BP)은 제3 센싱라인(17C)을 통해 제3 센싱부(23)에 연결된다.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RP,GP,BP) 각각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공급부로부터 고전위 전원전압과 저전위 전원전압을 공급받는다.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RP,GP,BP) 각각은 외부 보상을 위해 OLED와 스위치 TFT(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P) 내의 TFT들은 p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TFT들의 반도체층은, 아몰포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OLED 열화 센싱을 위한 센싱 구동과 화상 표시를 위한 노멀 구동을 서로 구분할 수 있다. 센싱 구동은 시스템 전원이 온 된 직후부터 노멀 구동이 시작되기 전의 파워 온 시퀀스 중에 수행되거나 또는, 노멀 구동이 완료된 직후부터 시스템 전원이 오프 되기 전의 파워 오프 시퀀스 중에 수행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도트클럭신호(D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의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회로(1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DC)와,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제어신호(CON)를 생성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데이터 구동회로(12)와 게이트 구동회로(13) 각각의 동작을 센싱 구동시와 노멀 구동시에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를 센싱 구동시에만 동작시킬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노멀 구동시에는 화상 표시를 위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회로(12)에 전송하는 데 반해, 센싱 구동시에는 화상 표시와 상관없는 데이터 패턴을 데이터 구동회로(12)에 전송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센싱 구동시에 데이터 구동회로(12)로부터 전송받은 디지털 센싱값(SD)을 기반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RP,GP,BP)의 OLED 열화를 계산하고, 계산된 열화값을 기반으로 입력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변조한 후, 노멀 구동시에 상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데이터 구동회로(12)에 공급함으로써 픽셀들 간 OLED 열화 편차로 인한 표시품위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노멀 구동시, 데이터 제어신호(DDC)를 기반으로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화상 표시용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한 후, 그 화상 표시용 데이터전압을 데이터라인들(151~15m)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센싱 구동시, 데이터 제어신호(DDC)를 기반으로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패턴을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한 후 데이터라인들(151~15m)에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센싱 구동시, 표시패널(10)의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로부터 센싱 전압을 입력받고, 그 센싱 전압을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센싱값(SD)을 변환한 후, 디지털 센싱값(SD)을 타이밍 콘트롤러(11)에 전송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노멀 구동시,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기반으로 스캔신호를 생성한 후 이 스캔 신호를 게이트라인들에 라인 순차 방식(L#1~L#n)에 따라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센싱 구동시,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기반으로 스캔신호(SCAN1~SCANn)를 생성한 후 이 스캔 신호(SCAN1~SCANn)를 게이트라인들(161~16n)에 라인 순차 방식(L#1~L#n)에 따라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GIP(Gate-driver In Panel) 방식에 따라 표시패널(1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OLED 열화 편차는 적색, 녹색, 청색 픽셀들(RP,GP,BP) 간에 서로 다르므로, 컬러별로 열화를 개별 센싱하기 위해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가 구비된다. 제1 센싱부(21)는 적색 픽셀들(RP)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1 센싱 라인(17A)을 통해 적색 픽셀들(RP)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제2 센싱부(22)는 녹색 픽셀들(GP)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2 센싱 라인(17B)을 통해 녹색 픽셀들(GP)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제3 센싱부(23)는 청색 픽셀들(BP)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3 센싱 라인(17C)을 통해 청색 픽셀들(BP)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OLED 열화는 데이터 구동회로(12)와의 거리에 따른 수직 특성을 보이므로, 동일 컬러의 픽셀들에 있어 OLED 열화 편차는 동일 표시라인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고, 서로 다른 표시라인들에서 크다. 그런데, 종래 기술들은 OLED 열화에 대한 상기와 같은 위치별 특성을 고려함이 없이 각 픽셀을 개별적으로 센싱하였기 때문에 센싱부의 회로 로직 및 동작이 복잡하고, 센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센싱부(21,22,23)만을 이용하여 표시패널(10)의 모든 픽셀들을 센싱함으로써, 센싱에 필요한 센싱부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로직 사이즈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특히, 본 발명은 OLED 열화에 대한 상기와 같은 위치별 특성을 고려하여, 3개의 센싱부(21,22,23)를 이용하여 픽셀들(P)을 각 표시라인 단위로 동시에 센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제1 센싱부(21)를 이용하여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적색 픽셀들(RP)을 동시에 센싱하고, 제2 센싱부(22)를 이용하여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녹색 픽셀들(GP)을 동시에 센싱하며, 제3 센싱부(23)를 이용하여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청색 픽셀들(BP)을 동시에 센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센싱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고, 센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픽셀의 개수가 많은 고해상도 표시패널에 적용될 때 효과가 커진다.
본 발명에서 센싱부들(21,22,23)의 개수 및 로직 사이즈는 작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는 표시패널(10)의 비 표시영역(NA) 상에 형성되기에 용이하다. 센싱부들(21,22,23)은 픽셀 어레이 형성 공정을 통해 픽셀 어레이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 상승이 최소화된다. 또한, 센싱부들(21,22,23)을 표시패널(10)에 형성하면, 기존에 데이터 구동회로(12)에 내장하던 것에 비해 데이터 구동회로(12)의 사이즈 및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 구동회로(12)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센싱부들(21,22,23)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레벨 쉬프터(14)는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입력되는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레벨의 센싱 제어신호(CON)를 TFT 구동에 적합한 전압 레벨로 부스팅하여 제1 내지 제4 센싱 제어신호(도 4의 A,B,C,D 참조)를 생성한다. 레벨 쉬프터(14)는 제1 내지 제4 센싱 제어신호를 센싱 구동시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에 공급한다.
도 3은 동일 컬러를 구현하는 픽셀들에 공통 접속되는 센싱부의 구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4는 1 표시라인을 센싱하기 위한 1 센싱 구간 동안 해당 픽셀와 센싱부의 동작 설명을 위한 구동 파형을 보여준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RP,GP,BP) 각각은 OLED, 구동 TFT(DT), 스위치 TFT(ST), 및 스위치 회로(SWC) 등을 구비할 수 있다.
OLED는 구동 TFT(DT)에 접속된 애노드전극과, 저전위 전원전압(EVSS)의 입력단에 접속된 캐소드전극과,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화합물층을 포함한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으로 이루어진다.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 되어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결과 발광층(EML)이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구동 TFT(DT)는 게이트-소스 간 전압에 따라 O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한다. 구동 TFT(DT)는 스위치 회로(SWC)에 접속된 게이트전극, 고전위 전원전압(EVDD)의 입력단에 접속된 드레인전극, 및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스위치 TFT(ST)는 센싱 구동시 스캔신호(SCAN)에 따라 스위칭되어 OLED의 애노드전극과 센싱부 간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한다. 스위치 TFT(ST)는 게이트라인(15)에 접속된 게이트전극,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 드레인전극, 및 센싱부에 접속된 소스전극을 포함한다.
스위치 회로(SW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TFT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회로(SWC)는, 노멀 구동시 데이터전압을 기초로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을 프로그래밍하고, 센싱 구동시 데이터패턴을 기초로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스위치 회로(SWC)를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게이트라인을 통해 별도의 스캔신호가 더 공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는 각각, 제1 내지 제4 센싱 스위치(S1~S4)와 센싱 커패시터(Ca)를 구비한다.
제1 센싱 스위치(S1)는 제1 센싱 제어신호(A)에 따라 스위칭되어 초기화전압(Vinit)의 입력단과 제1 노드(N1)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제1 센싱 스위치(S1)의 게이트전극은 제1 센싱 제어신호(A)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초기화전압(Vinit)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소스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된다.
제2 센싱 스위치(S2)는 제2 센싱 제어신호(B)에 따라 스위칭되어 기준전압(Vref)의 입력단과 제2 노드(N2)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제2 센싱 스위치(S2)의 게이트전극은 제2 센싱 제어신호(B)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기준전압(Vref)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소스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된다.
센싱 커패시터(Ca)는 제2 노드와 저전위 전원전압(EVSS)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다.
제3 센싱 스위치(S3)는 제3 센싱 제어신호(C)에 따라 스위칭되어 제1 노드(N1)와 제2 노드(N2)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제3 센싱 스위치(S3)의 게이트전극은 제3 센싱 제어신호(C)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되며, 소스전극은 제1 노드(N1)에 접속된다.
제4 센싱 스위치(S4)는 제4 센싱 제어신호(D)에 따라 스위칭되어 제2 노드(N2)와 센싱전압(Vsen)의 출력단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킨다. 제4 센싱 스위치(S4)의 게이트전극은 제4 센싱 제어신호(D)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드레인전극은 제2 노드(N2)에 접속되며, 소스전극은 센싱전압(Vsen)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여기서, 제1 센싱부(21)의 제1 노드(N1)는, 적색 픽셀들(RP)의 각 스위치 TFT(ST)를 통해 적색 픽셀들(RP)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제2 센싱부(22)의 제1 노드(N1)는, 녹색 픽셀들(GP)의 각 스위치 TFT(ST)를 통해 녹색 픽셀들(GP)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제3 센싱부(23)의 제1 노드(N1)는, 청색 픽셀들(BP)의 각 스위치 TFT(ST)를 통해 청색 픽셀들(BP)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동일 표시라인에 배치된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RP,GP,BP)의 각 스위치 TFT(ST)는 스캔신호(SCAN)에 따라 동시에 스위칭되어 온 또는 오프된다.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 각각의 센싱전압(Vsen)의 출력단은 신호 배선을 통해 데이터 구동회로(12)내에 구비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에 연결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C)는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로부터의 센싱전압(Vsen)을 순차적으로 디지털 처리하여 디지털 센싱값(SD)을 출력한다.
본 발명은 센싱 구동시, OLED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각 표시라인에 도 4와 같은 1 센싱 구간(1T)을 할당한다. 표시패널의 1 표시라인(도 2의 L#1~L#n 중 어느 하나)을 센싱하기 위한 1 센싱 구간(1T)은 제1 내지 제3 기간(①②③)으로 나뉘어진다.
제1 기간(①)에서 제1 및 제2 센싱 제어신호(A,B)는 온 레벨로 입력되고, 스캔신호(SCAN), 제3 및 제4 센싱 제어신호(C,D)는 오프 레벨로 입력된다. 온 레벨의 제1 센싱 제어신호(A)에 따라 제1 센싱 스위치(S1)가 턴 온 되면, 제1 노드(N1)가 초기화전압(Vinit)으로 초기화된다. 온 레벨의 제2 센싱 제어신호(B)에 따라 제2 센싱 스위치(S2)가 턴 온 되면, 기준전압(Vref)이 제1 노드(N1)를 통해 센싱 커패시터(Ca)에 저장된다. 여기서, 기준전압(Vref)은 픽셀들의 OLED 동작점(즉, OLED 문턱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미리 설정된다.
제2 기간(②)에서 스캔신호(SCAN)와 제3 센싱 제어신호(C)는 온 레벨로 입력되고, 제1, 제2 및 제4 센싱 제어신호(A,B,D)는 오프 레벨로 입력된다. 온 레벨의 스캔신호(SCAN)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RP,GP,BP)의 스위치 TFT(ST)가 턴 온 되면, 제1 내지 제3 센싱부(21,22,23)의 각 제1 노드(N1)는 제1 내지 제3 센싱라인(17A,17B,17C)과 스위치 TFT(ST)을 통해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RP,GP,BP)의 OLED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센싱 스위치(S1)는 오프 되어 초기화전압(Vinit)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온 레벨의 제3 센싱 제어신호(C)에 따라 제3 센싱 스위치(S3)가 턴 온 되면, 센싱 커패시터(Ca)에 저장되어 있던 기준전압(Vref)은 OLED에 인가되어 OLED를 발광시키면서 OLED의 동작점(OLED 문턱전압)까지 낮아진다. 결국, 제2 기간(②)에서 센싱 커패시터(Ca)에 남아 있는 전압은 OLED의 문턱전압이 되게 된다.
제3 기간(③)에서 제4 센싱 제어신호(D)만이 온 레벨로 입력되고, 나머지 신호들(SCAN,A,B,C)은 오프 레벨로 입력된다. 온 레벨의 제4 센싱 제어신호(D)에 따라 제4 센싱 스위치(S4)가 턴 온 되면, 센싱 커패시터(Ca)에 남아 있는 OLED의 문턱전압은 센싱전압(Vsen)으로서 센싱전압 출력단에 인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개의 센싱부만을 이용하여 표시패널의 모든 픽셀들을 센싱함으로써, 센싱에 필요한 센싱부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로직 사이즈 및 센싱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OLED 열화에 대한 위치별 특성을 고려하여, 3개의 센싱부를 이용하여 픽셀들을 각 표시라인 단위로 동시에 센싱함으로써 OLED 열화를 센싱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싱부들을 표시패널의 비 표시영역상에 형성하되, 픽셀 어레이 형성 공정을 통해 픽셀 어레이와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데이터 구동회로의 로직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센싱부의 형성 공정을 쉽게 하고 그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 표시패널 11 : 타이밍 콘트롤러
12 : 데이터 구동회로 13 : 게이트 구동회로
14 : 레벨 쉬프터 21,22,23 : 센싱부

Claims (6)

  1. OLED를 각각 포함한 다수의 적색 픽셀들, 녹색 픽셀들 및 청색 픽셀들을 갖는 표시패널;
    상기 적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1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적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적색 픽셀들을 동시에 센싱하는 제1 센싱부;
    상기 녹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2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녹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녹색 픽셀들을 동시에 센싱하는 제2 센싱부; 및
    상기 청색 픽셀들에 포함된 OLED들의 열화를 센싱하기 위해 제3 센싱 라인을 통해 상기 청색 픽셀들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동일 표시라인에 위치하는 청색 픽셀들을 동시에 센싱하는 제3 센싱부를 구비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비 표시영역 상에 위치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센싱부는 각각,
    제1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초기화전압의 입력단과 제1 노드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1 센싱 스위치;
    제2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기준전압의 입력단과 제2 노드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2 센싱 스위치;
    상기 제2 노드와 저전위 전원전압의 입력단 사이에 접속된 센싱 커패시터;
    제3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노드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3 센싱 스위치; 및
    제4 센싱 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제2 노드와 센싱전압의 출력단 사이의 전류 흐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4 센싱 스위치를 포함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싱부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적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적색 픽셀들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센싱부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녹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녹색 픽셀들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3 센싱부의 상기 제1 노드는, 상기 청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를 통해 상기 청색 픽셀들의 각 OLED의 애노드전극에 접속되고,
    동일 표시라인에 배치된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픽셀들의 각 스위치 TFT는 스캔신호에 따라 동시에 스위칭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1 표시라인을 센싱하기 위한 1 센싱 구간은 제1, 제2 및 제3 기간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제1 기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센싱 제어신호가 온 레벨로 입력되고, 상기 제2 기간에서 상기 제3 센싱 제어신호와 상기 스캔신호가 온 레벨로 입력되며, 상기 제3 기간에서 상기 제4 센싱 제어신호가 온 레벨로 입력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50012360A 2015-01-26 2015-01-26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ctive KR102332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360A KR102332276B1 (ko) 2015-01-26 2015-01-26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360A KR102332276B1 (ko) 2015-01-26 2015-01-26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141A KR20160092141A (ko) 2016-08-04
KR102332276B1 true KR102332276B1 (ko) 2021-12-01

Family

ID=56709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360A Active KR102332276B1 (ko) 2015-01-26 2015-01-26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2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601B1 (ko) * 2018-11-20 2024-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로 소자의 특성을 센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769B1 (ko) * 2008-01-21 2010-07-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04285B1 (ko) * 2012-12-21 2019-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42531B1 (ko) * 2013-06-27 2019-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141A (ko) 201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754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57790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열화 센싱 방법
CN106297659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驱动方法以及像素单元
US1036085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US974784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108122541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驱动特性的补偿方法
KR2015007781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4876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소자에 대한 열화 센싱 방법
KR2015007603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TW201743313A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驅動方法
KR20190003035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69683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71184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0890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70081020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의 열화 센싱 방법
KR102675922B1 (ko) 픽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046138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304599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7867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672835B1 (ko) 픽셀 회로와 이를 이용한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55315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332276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열화를 센싱할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36936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80007822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열화 센싱 방법
KR102328985B1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2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