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785B1 -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하는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하는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7785B1 KR102177785B1 KR1020140033084A KR20140033084A KR102177785B1 KR 102177785 B1 KR102177785 B1 KR 102177785B1 KR 1020140033084 A KR1020140033084 A KR 1020140033084A KR 20140033084 A KR20140033084 A KR 20140033084A KR 102177785 B1 KR102177785 B1 KR 1021777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
- leu
- thr
- val
- g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은 CellTiter Glo assay를 통하여 측정한 EBC1 폐암 세포주에서의 항 c-Met 항체 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률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Caspase-3/7 Glo assay를 통하여 측정한 EBC1 폐암 세포주에서의 항 c-Met 항체 처리에 따른 세포 사멸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EBC1 폐암 세포주에서의 항 c-Met 항체 처리에 따른 유전자의 상대적 전사체 양 변화를 qPCR을 통해 검증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5e는 EBC1 폐암 세포주에서의 항체 ((L3-1Y) 농도에 따른 선별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qPCR을 통해 측정 및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5a: CASP10, 5b: TNFRSF21, 5c: TP53, 5d: BCL2L1, 및 5e: BCL2).
도 6a 내지 6e는 도 5a 내지 5e와 상이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EBC1 폐암 세포주에서의 항체 농도에 따른 선별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qPCR을 통해 측정 및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6a: CASP10, 6b: TNFRSF21, 6c: TP53, 6d: BCL2L1, 및 6e: BCL2).
도 7은 Caspase-3/7 Glo assay를 통하여 측정한 Hs746T 위암 세포에서의 항 c-Met 항체 처리에 따른 세포 사멸 비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8c는 Hs746T 위암 세포주에서의 항체 농도에 따른 선별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qPCR을 통해 측정 및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8a : TNFRSF21, 8b : BCL2L1, 8c : BCL2).
도 9a 및 9b는 Western blotting을 통하여 EBC1 폐암 세포에서 항 c-Met 항체 (9a: L3-1Y; 9b: L3-1Y/IgG2) 처리에 따른 선별된 유전자가 암호화하는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10a 내지 10e는 EBC1 폐암 세포주에서의 항체 (L3-1Y/IgG2) 농도에 따른 선별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qPCR을 통해 측정 및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10a: CASP10, 10b: TNFRSF21, 10c: TP53, 10d: BCL2L1, 및 10e: BCL2).
CDR | 아미노산 서열 |
CDR-H1 | DYYMS(서열번호 1) |
CDR-H2 | FIRNKANGYTTEYSASVKG(서열번호 2) |
CDR-H3 | DNWFAY(서열번호 3) |
CDR-L1 | KSSQSLLASGNQNNYLA(서열번호 10) |
CDR-L2 | WASTRVS(서열번호 11) |
CDR-L3 | QQSYSAPLT(서열번호 12) |
클론 이름 | 도출된 라이브러리 | CDR 서열 |
H11-4 | CDR-H1 | PEYYMS(서열번호 22) |
YC151 | CDR-H1 | PDYYMS(서열번호 23) |
YC193 | CDR-H1 | SDYYMS(서열번호 24) |
YC244 | CDR-H2 | RNNANGNT(서열번호 25) |
YC321 | CDR-H2 | RNKVNGYT(서열번호 26) |
YC354 | CDR-H3 | DNWLSY(서열번호 27) |
YC374 | CDR-H3 | DNWLTY(서열번호 28) |
L1-1 | CDR-L1 | KSSHSLLASGNQNNYLA(서열번호 29) |
L1-3 | CDR-L1 | KSSRSLLSSGNHKNYLA(서열번호 30) |
L1-4 | CDR-L1 | KSSKSLLASGNQNNYLA(서열번호 31) |
L1-12 | CDR-L1 | KSSRSLLASGNQNNYLA(서열번호 32) |
L1-22 | CDR-L1 | KSSHSLLASGNQNNYLA(서열번호 33) |
L2-9 | CDR-L2 | WASKRVS(서열번호 34) |
L2-12 | CDR-L2 | WGSTRVS(서열번호 35) |
L2-16 | CDR-L2 | WGSTRVP(서열번호 36) |
L3-1 | CDR-L3 | QQSYSRPYT(서열번호 13) |
L3-2 | CDR-L3 | GQSYSRPLT(서열번호 14) |
L3-3 | CDR-L3 | AQSYSHPFS(서열번호 15) |
L3-5 | CDR-L3 | QQSYSRPFT(서열번호 16) |
L3-32 | CDR-L3 | QQSYSKPFT(서열번호 37) |
Representative Public ID | Gene Title | Gene Symbol | Fold change (compared to medium) |
NM_000875 | Insulin-like growth factor 1 receptor | IGF1R | 2.56 |
NM_003806 | Harakiri, BCL2 interacting protein (contains only BH3 domain) | HRK | 2.41 |
NM_014452 |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21 | TNFRSF21 | 2.34 |
NM_001230 | Caspase 10, apoptosis-related cysteine peptidase | CASP10 | 2.31 |
NM_000546 | Tumor protein p53 | TP53 | 2.10 |
NM_000633 | B-cell CLL/lymphoma 2 | BCL2 | 0.33 |
NM_003844 |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0a | TNFRSF10A | 0.37 |
NM_138578 | BCL2-like 1 | BCL2L1 | 0.40 |
NM_002546 |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11b | TNFRSF11B | 0.44 |
Representative Public ID | Gene Symbol | PCR primer sequence (5' -> 3') | ||
sense | antisense | Universal Probe # | ||
NM_003806 | HRK | tactggccttggctgtgc (서열번호 109) | cacagggttttcaccaacct (서열번호 110) |
#71 |
NM_014452 | TNFRSF21 | gcacatggaaacccatgaa (서열번호 111) |
agaagagttggattctgttgagttc (서열번호 112) |
#69 |
NM_001230 | CASP10 | cccaggctatgtatcctttcg (서열번호 113) |
gatggataagatgtcttcatgtcttg (서열번호 114) |
#69 |
NM_000546 | TP53 | aggccttggaactcaaggat (서열번호 115) |
ccctttttggacttcaggtg (서열번호 116) |
#12 |
NM_000633 | BCL2 | tacctgaaccggcacctg (서열번호 117) |
gccgtacagttccacaaagg (서열번호 118) |
#75 |
NM_138578 | BCL2L1 | agccttggatccaggagaa (서열번호 119) |
agcggttgaagcgttcct (서열번호 120) |
#66 |
Representative Public ID | Gene Symbol | PCR primer sequence (5' -> 3') | ||
sense primer | antisense primer | Universal Probe # | ||
NM_014452 | TNFRSF21 | cccttctccgctgtgactc (서열번호 121) |
cgcaacactgtgtccttcttt (서열번호 122) |
#42 |
NM_001230 | CASP10 | caaggaagccgagtcgtatc (서열번호 123) |
gtggttccgattcatcctgta (서열번호 124) |
#55 |
NM_000546 | TP53 | ctctccccagccaaagaag (서열번호 125) |
ctctcggaacatctcgaagc (서열번호 126) |
#58 |
NM_000633 | BCL2 | acagaggatcatgctgtacttaaaaa (서열번호 127) |
ttatttcatgaggcacgttattattag (서열번호 128) |
#6 |
NM_138578 | BCL2L1 | gctgagttaccggcatcc (서열번호 129) |
ttctgaagggagagaaagagattc (서열번호 130) |
#10 |
Claims (19)
- BCL2L1 (BCL2-like 1) 유전자,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 또는 이의 조합을 포함하는,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조성물로서,
상기 c-Met 항체는 c-Met 단백질의 SEMA 도메인(서열번호 79) 내의 연속하는 5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부위를 에피토프로 인식하는 것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CL2L1 유전자는 NM_138578, NM_001191, NM_001260717, NM_009743, NM_001033670, NM_001033671, NM_001033672, 및 NM_03153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조성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 c-Met 항체의 효능은 항 c-Met 항체의 세포 사멸(apoptosis) 유도 효능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TNFRSF21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superfamily, member 21) 유전자, CASP10 (Caspase 10) 유전자, TP53 (Tumor protein p53) 유전자, BCL2 (B-cell CLL/lymphoma 2) 유전자, 및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조성물.
- BCL2L1 유전자,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 또는 이의 조합을 검출하는 검출 물질을 포함하는,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키트로서,
상기 c-Met 항체는 c-Met 단백질의 SEMA 도메인(서열번호 79) 내의 연속하는 5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부위를 에피토프로 인식하는 것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물질은.
상기 BCL2L1 유전자 내의 연속하는 10 내지 100개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상기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압타머,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과 결합하는 항체, 및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과 결합하는 압타머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BCL2L1 유전자는 NM_138578, NM_001191, NM_001260717, NM_009743, NM_001033670, NM_001033671, NM_001033672, 및 NM_03153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키트. -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 c-Met 항체의 효능은 항 c-Met 항체의 세포 사멸(apoptosis) 유도 효능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키트. - 제5항에 있어서, TNFRSF21 유전자, CASP10 유전자, TP53 유전자, BCL2 유전자, 및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키트. - 세포 시료에 항 c-Met 항체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항 c-Met 항체가 처리된 세포 시료에서의 BCL2L1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항 c-Met 항체가 처리된 세포 시료에서의 BCL2L1 유전자의 발현이 항 c-Met 항체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세포 시료, 또는 상기 세포 시료가 유래된 환자에 대하여 상기 항 c-Met 항체가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Met 항체는 c-Met 단백질의 SEMA 도메인(서열번호 79) 내의 연속하는 5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부위를 에피토프로 인식하는 것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CL2L1 유전자는 NM_138578, NM_000657, NM_009741, NM_177410, 및 NM_01699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자의 전사체, 상기 전사체에 대응하는 cDNA,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수행되는 것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 c-Met 항체의 효능은 항 c-Met 항체의 세포 사멸(apoptosis) 유도 효능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는 TNFRSF21 유전자, CASP10 유전자, TP53 유전자, 및 BCL2 유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추가로 측정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추가로 항 c-Met 항체가 처리된 세포 시료에서의 TNFRSF21 유전자, CASP10 유전자, 및 TP53 유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이 항 c-Met 항체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거나, BCL2 유전자의 발현이 항 c-Met 항체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상기 세포 시료, 또는 상기 세포 시료가 유래된 환자에 대하여 상기 항 c-Met 항체가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항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 세포 시료에 항 c-Met 항체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항 c-Met 항체가 처리된 세포 시료에서의 BCL2L1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Met 항체는 c-Met 단백질의 SEMA 도메인(서열번호 79) 내의 연속하는 5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부위를 에피토프로 인식하는 것인,
항 c-Met 항체 적용 대상의 선별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CL2L1 유전자는 NM_138578, NM_001191, NM_001260717, NM_009743, NM_001033670, NM_001033671, NM_001033672, 및 NM_031535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항 c-Met 항체 적용 대상의 선별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전자의 전사체, 상기 전사체에 대응하는 cDNA, 또는 상기 유전자에 의하여 암호화되는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여 수행되는 것인,
항 c-Met 항체 적용 대상의 선별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 c-Met 항체의 효능은 항 c-Met 항체의 세포 사멸(apoptosis) 유도 효능인,
항 c-Met 항체 적용 대상의 선별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TNFRSF21 유전자, CASP10 유전자, TP53 유전자, 및 BCL2 유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추가로 측정하는 것인,
항 c-Met 항체 적용 대상의 선별에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229,073 US9535055B2 (en) | 2013-03-28 | 2014-03-28 | Marker for determining effects of anti-c-Met antibody and method of determining effects of anti-c-Met antibody using the mar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875 | 2013-03-28 | ||
KR20130033875 | 2013-03-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798A KR20140118798A (ko) | 2014-10-08 |
KR102177785B1 true KR102177785B1 (ko) | 2020-11-12 |
Family
ID=5199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3084A Active KR102177785B1 (ko) | 2013-03-28 | 2014-03-21 | c-Met 항체의 효능 검사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하는 c-Met 항체의 효능 검사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778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378B1 (ko) * | 2009-10-30 | 2016-11-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Me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그의 용도 |
-
2014
- 2014-03-21 KR KR1020140033084A patent/KR102177785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George R. Blumenschein Jr et al., 'Targeting the Hepatocyte Growth Factor-cMET Axis in Cancer Therapy', J Clin Oncol., 2012, Vol. 30, pp 3287-3296. 1부.* |
Hae-Yun Jung et al., 'The Blocking of c-Met Signaling Induces Apoptosis through the Increase of p53 Protein in Lung Cancer', Cancer Res Treat., 2012, Vol. 44, pp 251-26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798A (ko) | 201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6367B1 (ko) | DARPin을 포함하는 이중 특이 키메라 단백질 | |
KR102127408B1 (ko) | 항 Her3 scFv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항 c-Met/항 Her3 이중 특이 항체 | |
KR102089591B1 (ko) | 항 EGFR scFv 단편 및 이를 포함하는 항 c-Met/항 EGFR 이중 특이 항체 | |
KR102049990B1 (ko) | c-Met 항체 및 VEGF 결합 단편이 연결된 융합 단백질 | |
KR102049991B1 (ko) | 항 c-Met/항 Her2 이중 특이 항체 | |
KR20130037153A (ko) | 항 c-Met 항체 및 그의 용도 | |
KR102029137B1 (ko) | EGFR 길항제 및 항 c-Met 항체를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
KR102074421B1 (ko) | 항 c-Met/항 EGFR 이중 특이 항체 | |
KR102186363B1 (ko) | c-Met 저해제 및 베타-카테닌 저해제를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
KR101938699B1 (ko) | Lrig1의 항 c―met 항체 적용 대상 환자 선별을 위한 용도 | |
KR101938698B1 (ko) | Cbl의 항 c-met 항체 적용 대상 환자 선별을 위한 바이오마커로서의 용도 | |
KR102390359B1 (ko) | 폴리펩타이드, 이를 포함하는 항 VEGF 항체 및 항 c-Met/항 VEGF 이중 특이 항체 | |
KR102223502B1 (ko) | 항 c-Met/항 EGFR/항 Her3 다중 특이 항체 및 이의 이용 | |
KR102254201B1 (ko) | 항 c-Met 항체 및 소라페닙을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
KR102192591B1 (ko) | c-Met 저해제 및 c-Myc 저해제를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
KR102089766B1 (ko) | 혈관신생 저해제 및 항 c-Met 항체를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
KR102309881B1 (ko) | c-Met 및 EGFR의 이중 저해제 및 IGF-1R 저해제를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
KR20160015076A (ko) | c-Met 저해제의 효능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Hsp90 | |
KR101985299B1 (ko) | 항-c-Met/항-Nrp1 이중 특이 항체 | |
KR20150088433A (ko) | c-Met 저해제의 효능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TFF1 | |
KR102338678B1 (ko) | 항 c-Met 항체 효과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 |
KR102309882B1 (ko) | c-Met 저해제 및 IGF-1R 저해제를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약학 조성물 | |
KR102190220B1 (ko) | 타겟 특이적 세포막 단백질 제거용 조성물 | |
KR102067613B1 (ko) | 항 c-Met 항체 및 항 her2 항체를 포함하는 병용 투여용 조성물 | |
KR102291465B1 (ko) | c-Met 저해제의 효능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TFF1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