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76681B1 -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681B1
KR101976681B1 KR1020190005795A KR20190005795A KR101976681B1 KR 101976681 B1 KR101976681 B1 KR 101976681B1 KR 1020190005795 A KR1020190005795 A KR 1020190005795A KR 20190005795 A KR20190005795 A KR 20190005795A KR 101976681 B1 KR101976681 B1 KR 101976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natural extract
natural
extract
partic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완
박영철
이경호
김형우
Original Assignee
(주)세림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림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세림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9000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5/00Separating processes involving the treatment of liquids with solid sorbents;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0Vacuum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자파동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을 진동시켜 상기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와 기타 유기물질입자를 분리한 후 필터링을 통해 상기 이취원인물질입자가 1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1 이취저감 단계; 상기 제1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감압증류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2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2 이취저감 단계; 및 상기 제2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3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3 이취저감 단계;를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OFF-FLAVOR REDUCING TECHNIQUE FOR NATURAL EXTRACTS}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능성 화장품, 피부 외용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들이 가지고 있는 천연물 특유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일고 있는 자연 지향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추세에 따라 화장품에 들 어 가는 유효성분도 화학물질뿐만 아니라 식물 또는 동물유래의 천연물이 그 유용성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화장품에 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자연주의의 바람을 타고, 생약을 포함한 식물성 원료에서 해양원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천연소재를 이용한 화장품의 개발이 이루어져 천연화장품, 한방화장품의 전성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물로는, 현재 일본 공정서인 ‘화장품원료기준’, ‘화장품종별배합성분규격’에 총 272품목의 식물 추출성분 67품목의 식물유가 수재되어 있고, 기타 각 사가 독자적으로 사용 실적을 얻고 있는 물질까지 합치면 400품목 이상의 식물성분이 화장품에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화장품의 주요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던 것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 여성들의 피부에 적합한 한방이나 생약성분의 신소재를 개발하여 제품화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고 있다.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들은 대게 각각의 성분들이 가지는 베이스체취를 가지고 있으며, 천연 화장품은 스킨, 로션, 기능성 제품 등 제품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개 여러 가지의 천연 추출물이 배합되는데, 여기서 여러 천연 추출물이 갖는 각각의 베이스체취가 혼합되어 천연 화장품 특유의 이취가 발생한다.
이러한 천연 화장품 특유의 이취는 사람에 따라 다양하게 받아들여지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불쾌하거나 역한 냄새로 받아들여지며,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아무리 좋은 효과를 갖은 화장품이더라도 좋지 않은 냄새가 난다면 사용자들이 구매를 망설이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화장품 업계에서는 천연 화장품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다.
이러한 천연 화장품의 이취를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현재에는 향기 마스킹(Masking)법을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에 다른 향기를 입혀 기존의 이취를 희석하는 방법과, 화학적인 처리 또는 필터를 통해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는 방법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향기 마스킹 방법만을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없애기 위해서는 비교적 많은 양의 향료가 사용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향료 첨가물은 극소량이라도 사람에 따라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료 첨가물의 향기와 천연 추출물의 이취가 반응하여 또 다른 이취로 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화학적인 처리나 필터를 통해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할 경우 천연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도 같이 파괴되거나 제거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는 데 있어서, 천연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을 보존한 채 사용자들에게 거부감을 주는 이취만을 저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하여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56083(2007.03.08. 공개)는 탈취된 식물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친수성 휘발 성분으로 게다가 불쾌한 냄새를 부여하는 성분을 악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원료 식물유(a)와 다른 식용유지(b)와의 혼합 유지를 얻은 후, 상기 혼합 유지를 기상 중에 흡착제를 지지한 상태에서 감압 증류 하여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56083은 감압증류법을 이용하여 식물 추출물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탈취기술내용과 일부 유사점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1차적으로 파동을 통해 천연 추출물 내에서 냄새원인 물질을 저감하는 기술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351호(2009.11.05. 공개)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유해성 이물질과 가스 및 악취를 저감하는 공기 정화기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기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 공기가 압축과정을 거치면서 와류형태로 집진챔버에 유입되어 유해성 이물질이 집진되고, 다시 여과필터를 통과하면서 미세분진 등이 제거된 다음, 조밀한 간격으로 설치된 다수의 금속판 사이를 통과하면서 기체의 유속에너지로 발생하는 파동에너지로 인하여 유해성 가스와 악취가 저감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8249호(2004.01.28. 공개)는 이온칩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기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온칩(ionchip)의 파이-물질이 방출하는 파이-파(π-wave)를 이용하여 음식물쓰레기 소멸기내의 악취를 제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351호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8249호는 파(wave)를 이용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에서 파동을 이용하는 것과 일부 유사점이 있어 보이나, 선행기술문헌들은 유속에너지로 금속판을 진동시켜 발생하는 파동에너지 및 엔트로피를 감속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진 파이-파를 이용하여 냄새를 제거한다고만 기재되어 있을 뿐, 본 발명과 같이 파동 에너지를 통해 천연 추출물 내 입자들을 분리 및 미세화 시켜 냄새의 원인이 되는 인자만을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차이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7-56083(2007.03.08.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5351호(2009.11.05.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08249호(2004.01.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초저주파, 음파 또는 초음파 영역의 파동을 발생시키는 파동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와 기타 유기물질입자를 분리한 후 필터링을 통해 상기 이취원인물질입자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동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를 1차적으로 저감한 후, 감압증류법을 이용하여 남아있는 저분자 냄새물질 및 휘발성 냄새물질을 포함하는 이취원인물질입자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압증류법을 이용하여 저분자 냄새물질 및 휘발성 냄새물질을 저감한 후 추가적으로 활성탄을 이용하는 필터링을 통해 천연 추출물 내 잔존 이취원인물질입자를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자파동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을 진동시켜 상기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와 기타 유기물질입자를 분리한 후 필터링을 통해 상기 이취원인물질입자가 1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1 이취저감 단계; 상기 제1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감압 증류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2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2 이취저감 단계; 및 상기 제2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3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3 이취저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3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에 다른 향기를 입히는 향기 마스킹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목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양자파동발생장치의 주파수는 10Hz ~ 200 kHz 범위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취저감 단계에서의 감압증류는 30 ~ 5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제3 이취저감 단계에서의 활성탄은 목초액 100 ml 당 2 ~ 20g의 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활성탄의 입경은 10 ~ 500㎛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이취가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자파동을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을 진동시켜 천연 추출물에서 냄새원인물질입자와 유효물질입자를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천연 추출물에서 유효물질입자는 유지한 채 냄새원인물질입자만을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양자파동을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에서 냄새원인물질입자를 1차로 저감한 이후 감압증류 및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천연 추출물 내에 남아있는 저분자 냄새물질, 휘발성 냄새물질 등을 포함하는 잔존 이취원인물질입자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복수의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 추출물의 탈취단계를 수행한 후, 향기 마스킹을 통해 소정의 향기를 입힘으로써, 적은 양의 향료를 사용하고도 사용자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향기를 마스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a) 처리하지 않은 목초액의 및 (b) 실시예 1에 따른 목초액의 성분의 GC-MS 를 통한 냄새 유발 성분의 분석결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에서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는 냄새를 저감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천연물질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 화장품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천연 추출물은 목초액, 갈조추출물, 감초추출물, 고삼추출물, 고추틴크, 구아검, 굴추출물, 닭벼슬추출물, 당약추출물, 동유, 들국화추출물, 딸기추출물, 로즈마리추출물, 로커스트빈검, 마카데미아넛 오일, 트리카리아추출물, 면실유, 미네랄오일, 밀납, 밀전분, 밍크오일, 변성식용전분, 비피두스추출물, 사플로워오일, 상백피추출물, 세이지추출물, 수세미추출물, 스쿠알렌, 식물성스쿠알렌, 실크가루, 쌀전분, 쑥추출물, 인삼추출물, 작약추출물, 장미수, 참기름, 창포추출물, 천궁추출물, 치자추출물, 카라야검, 카렌듀라추출물, 코코넛오일, 콘키오린가루, 콩기름, 파슬리추출물, 파마자유, 하이페리쿰추출물, 헨나추출물, 호스테일추출물, 호호바오일, 참깨추출물, 감태추출물, 로버참나무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노각 추출물, 혼합식물추출물, 화분추출물, 황토, 효모추출물 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천연 추출물들은 각각 특유의 베이스체취를 가지고 있고, 복수의 천연 추출물을 배합할 경우 또 다른 이취가 발생한다. 특히 목초액 등의 경우에는 그 강한 이취로 인하여 목초액 등을 함유한 경우의 높은 효과에도 불구하고 최종 소비자들이 목초액 등을 적용한 제품을 선택하기 어렵게 하는 거부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에서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은, 양자파동발생장치를 이용한 입자 분리 기술, 감압증류법,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링 및 향기 마스킹(Masking)법을 이용하여 천연 화장품 및 피부 외용제의 원료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는 냄새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은 3 단계의 이취저감 단계를 거쳐 이취를 저감한 후, 선택적으로 향기 마스킹법을 사용하여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고 향기를 입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은 양자파동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을 진동시켜 상기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와 기타 유기물질입자를 분리한 후 필터링을 통해 상기 이취원인물질입자가 1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1 이취저감 단계; 상기 제1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감압 증류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2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2 이취저감 단계; 및 상기 제2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3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3 이취저감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은 먼저, 양자파동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을 진동시켜 상기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 등을 기타 유기물질입자를 분리하면서, 분리된 이취원인물질입자는 이취원인물질입자들끼리 뭉치게 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큰 입자상태가 되도록 유도하고, 이와 같이 큰 입자상태가 된 이취원인물질입자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함으로써, 1차적으로 이취원인물질입자가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동은 10Hz ~ 200 kHz의 범위의 주파수의 파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동은 단일 영역의 파동을 조사할 수도 있고, 복수 영역의 파동으로 파동의 주파수를 변경하여 가면서 조사하여 순차적으로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와 기타 유기물질입자를 분리 및 미세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이취저감 단계는 진공을 이용한 감압증류 단계이다. 상기 감압증류는 30 ~ 70℃의 범위에서 실시된다.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감압증류에 의해걸리는 시간이 길어지거나 이취 저감이 불충분할 수 있으며, 높을 경우 이취 성분 외에 유효성분까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감압증류는 상기 온도에서 목초액의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여 끓기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로 압력이 낮춰진 상태에서 진행된다. 이 때의 압력은 500 ~ 730 torr의 압력 범위일 수 있다.
이후 제3 이취저감 단계는 활성탄을 이용하여 이취 성분을 흡착하여 저감하는 단계이다. 상기 활성탄은 코코넛 껍질, 석탄, 나무 등을 고온에서 탄화시켜 만들 수 있으며, 내부에 미세한 구멍이 무수히 많다. 상기 활성탄은 과립형활성탄(Granular Activated Carbon)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물 활성탄(biological activated carbon)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활성탄의 입경은 10~500㎛ 이다. 상기 활성탄의 목초액 100ml당 2~20g의 비율로 사용한다.
상기 제3 이취저감 단계에서는 목초액과 활성탄을 하나의 용기에 투입한 뒤소정 기간 동안 정치하여 둘 수 있으며, 교반을 실시하여도 좋다. 상기 활성탄 처리 기간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하루 이상 처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일 이상의 시간동안 활성탄과 목초액을 혼합하여 둔다.
상기 단계 후에는 거름 종이 등의 필터를 이용하여 활성탄을 걸러내고 이취가 저감된 목초액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 실시예 -
이취 저감을 위한 천연추출물로서 목초 원액을 강원참숯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1) 양자파동발생장치(제1 이취저감)
목초 원액 400 ml를 양자파동발생장치에 투입하여 제1 이취저감 단계를 수행하였다.
상기 양자 파동시의 온도 및 압력은 상온, 상압으로 두었으며, 양자파동의 주파수 범위는 10Hz ~ 20kHz의 주파수 중 5개의 주파수를 번갈아 계속하여 조사하되 각각 20초식 전사하여 사이클을 구성하고, 상기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총 30분간 파동을 전사하였다. 조사한 파동의 주파수는 300Hz → 600Hz → 6000Hz → 12000Hz → 18000Hz 의 순서로 변형하였다. 상기 파동 후에 목초액내에 약간의 입자가 형성되는 것이 관측되었다. 상기 양자파동 전사장치 후의 처리된 목초 원액은 현대 마이크로의 No. 2 필터지를 통과시켜 필터링 하였다.
(2) 갑압증류(제2 이취저감)
상기 양자파동발생장치를 거친 목초원액을 40℃로 유지되는 항온조에 침지된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상기 플라스크의 입구는 진공펌프와 연결하였다. 상기 진공펌프에 의한 진공도는 3-way 밸브를 사용하여 상기 플라스크 안의 목초액 내부에서 기포가 발생하여 끓는 현상이 발생하기 직전의 상태로 조절하면서 30분 동안 감압 증류하였다. 증류탱크로부터 유출되어 나오는 기체는 냉각수가 통과하는 냉각코일이 설치된 응축기로 응축시켜 저감하였다.
(3) 활성탄 여과(제3 이취저감)
상기 감압증류 후의 목초원액을 200㎛의 미립활성탄과 같이 플라스크에 투입한 뒤, 상온에서 10일 동안 정치하였다.
상기 후에 거름 종이를 이용하여 활성탄과 분리하여 정제된 목초액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1) 양자파동발생장치(제1 이취저감) 및 (2) 갑압증류(제2 이취저감)을 수행하여 정제된 목초액을 수득한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2) 갑압증류(제2 이취저감) 및 (3) 활성탄(제3 이취저감)을 수행하여 정제된 목초액을 수득한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1) 양자파동발생장치(제1 이취저감) 및 (3) 활성탄(제3 이취저감)을 수행하여 정제된 목초액을 수득한다.
비교예 4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은 목초 원액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이취저감 관능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4에서 얻은 처리된 목초액에 대하여, 악취의 유무에 대하여 신발피혁연구원에 의뢰하여 하기 표 1에서 제시한 평가 기준에 따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05484285-pat00001
Figure 112019005484285-pat00002
실험결과, 실시예 1에 따른 목초액은 빙초산 1% 수용액 수준의 우수한 관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제방법이 신 냄새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예 2: 이취성분 실험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4에서 얻은 목초액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GC-MS로 검출하였다. 이중 목초액의 이취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물질인 벤즈알데히드(Benzaldehyde), 2-퓨란카르복스알데히드(2-Furancarboxaldehyde), 아세트산(acetic acid)의 함량을 정량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별로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05484285-pat00003
본 실험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양자파동발생장치와 감압증류, 활성탄 필터를 모두 실시한 실시예 1에서는 목초액에서 냄새 유발성분으로 분류되는 물질들의 검출량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반면에 활성탄 과정을 거치지 않은 비교예1에서는 상당량 냄새 유발 성분 물질들이 여전히 검출되었으며, 양자파동발생장치 단계를 생략한 비교예2나, 감압증류를 생략한 비교예3에서는 비교예1에 비하여는 그 양이 줄었으나, 여전히 냄새유발 성분물질들이 다량 검출되었다.
실험예 3: 아토피 증상의 예방 또는 완화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4에서 얻은 목초액을 조성으로 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준비하였으며, 아토피에 의한 피부 가려움증 증세가 있는 20세에서 50세 사이의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모두 남자 5명, 여자 5명의 각 10명씩 할당하여 수행하였으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비교예 4에서 얻은 목초액을 조성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1일 3회씩 7주간 바르게 하여 피부 개선 정도를 평가하여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05484285-pat00004
위의 표 4 나타낸 것처럼, 피부 가려움에 대한 평가 결과, 실시예 1과 비교예 4의 실험대상자들은 대부분 피부 가려움 증상이 개선되었다고 답하였으며, 목초액에 대한 악취유발 성분 저감과정을 진행하지 않은 비교예4와 대비하여도 유의미한 정도로 그 효과가 차이가 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정제된 목초액내 아토피 피부염에 치료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유효 성분이 각 정제단계에서 제거되지 않고, 악취를 유발하는 성분만 선택적으로 저감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양자파동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천연 추출물을 진동시켜 상기 천연 추출물 내 이취원인물질입자와 기타 유기물질입자를 분리한 후 필터링을 통해 상기 이취원인물질입자가 1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1 이취저감 단계;
    상기 제1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감압 증류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2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2 이취저감 단계; 및
    상기 제2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을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이취원인물질입자가 3차로 저감된 천연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3 이취저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취저감 단계에서 수득한 천연 추출물에 다른 향기를 입히는 향기 마스킹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은 목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파동발생장치의 주파수는 10Hz ~ 200khz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취저감 단계에서의 감압증류는 30 ~ 50℃의 온도범위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취저감 단계에서의 활성탄은 목초액 100 ml 당 2 ~ 20g의 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취저감 단계에서의 활성탄은 입경이 10 ~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의 이취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
  8. 삭제
KR1020190005795A 2019-01-16 2019-01-16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 Active KR101976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95A KR101976681B1 (ko) 2019-01-16 2019-01-16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795A KR101976681B1 (ko) 2019-01-16 2019-01-16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681B1 true KR101976681B1 (ko) 2019-05-09

Family

ID=6654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795A Active KR101976681B1 (ko) 2019-01-16 2019-01-16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681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743A (ja) * 1997-09-05 1999-03-26 Manag Wave:Kk 木酢液精製法
JPH11269469A (ja) * 1998-03-24 1999-10-05 Kaihatsu Koji Kk 高品質木酢液原料の製造方法
KR20040008249A (ko) 2004-01-06 2004-01-28 권상학 이온칩[ionchip]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기내의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KR20060007104A (ko) * 2004-07-19 2006-01-24 이도중 암 치료 및 예방, 항균 및 항산화의 효과를 갖는 목초액유기물
JP2007056083A (ja) 2005-08-23 2007-03-08 Morinaga & Co Ltd 脱臭された植物油の製造方法
KR100728613B1 (ko) * 2006-02-10 2007-06-14 허관 목초액 조성물의 이용 방법 및 장치
KR20070080437A (ko) * 2006-02-07 2007-08-10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20090115351A (ko) 2008-05-02 2009-11-05 (주)피시스 공기 정화기
KR101021088B1 (ko) * 2007-06-05 2011-03-14 주식회사 젠트로 조목초액의 정제방법, 이로부터 정제된 목초액, 및 상기정제된 목초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구강 청결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743A (ja) * 1997-09-05 1999-03-26 Manag Wave:Kk 木酢液精製法
JPH11269469A (ja) * 1998-03-24 1999-10-05 Kaihatsu Koji Kk 高品質木酢液原料の製造方法
KR20040008249A (ko) 2004-01-06 2004-01-28 권상학 이온칩[ionchip]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기내의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KR20060007104A (ko) * 2004-07-19 2006-01-24 이도중 암 치료 및 예방, 항균 및 항산화의 효과를 갖는 목초액유기물
JP2007056083A (ja) 2005-08-23 2007-03-08 Morinaga & Co Ltd 脱臭された植物油の製造方法
KR20070080437A (ko) * 2006-02-07 2007-08-10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100728613B1 (ko) * 2006-02-10 2007-06-14 허관 목초액 조성물의 이용 방법 및 장치
KR101021088B1 (ko) * 2007-06-05 2011-03-14 주식회사 젠트로 조목초액의 정제방법, 이로부터 정제된 목초액, 및 상기정제된 목초액을 함유하는 화장품 및 구강 청결제
KR20090115351A (ko) 2008-05-02 2009-11-05 (주)피시스 공기 정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57734B2 (ja) 鎮静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CN101693853A (zh) 一种植物精油提取装置及用该装置制备竹叶精油的方法
JPH0757733B2 (ja)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CN103349790A (zh) 一种去除异味的天然植物提取液净化剂的制备方法
KR101976681B1 (ko) 천연 추출물의 이취 저감 기술
KR102183861B1 (ko)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WO2020226167A1 (ja) 揮散成分吸着用担体
JP3561829B2 (ja) 消臭剤組成物
JP2000079158A (ja) 消臭剤
JP4794024B2 (ja) 生理臭消臭用組成物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JPH10108900A (ja) 大麦由来の天然系消臭剤
CN109758598A (zh) 一种草本植物提取液净化剂的制备方法
JP3665899B2 (ja) ドクダミ科植物を原材料とする消臭剤
CN116391018A (zh) 从固体天然材料中通过杂环溶剂提取获得的香料浸膏和净油
JP3661095B2 (ja) 消臭剤
JP2979606B2 (ja) 消臭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27104B2 (ja) 便意を増進する香料組成物及び付香製品
JP5478679B2 (ja) 便意を増進する香料組成物及び付香製品
JPH11255631A (ja) 芳香性の改善された香木の製造方法
CN118374315B (zh) 一种含有青蒿的日化香精精油及其制备方法
JP2002322023A (ja) 月桃精油除去液とその製造方法
CN107397838A (zh) 一种山茶果皮安神香及其制备方法
CN108753449A (zh) 中草药型动物油脂脱腥剂、制备方法及其应用
JPH0731669A (ja) 液体消臭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