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50063B1 -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63B1
KR101850063B1 KR1020170088351A KR20170088351A KR101850063B1 KR 101850063 B1 KR101850063 B1 KR 101850063B1 KR 1020170088351 A KR1020170088351 A KR 1020170088351A KR 20170088351 A KR20170088351 A KR 20170088351A KR 101850063 B1 KR101850063 B1 KR 10185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utput portion
guiding member
light output
incid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준
양근영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유트로닉스주식회사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트로닉스주식회사, 엑사옵토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트로닉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63B1/ko
Priority to CN201880028959.2A priority patent/CN110914587A/zh
Priority to EP18832391.9A priority patent/EP3608582B1/en
Priority to US16/615,312 priority patent/US10969081B2/en
Priority to PCT/KR2018/007397 priority patent/WO201901347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3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 F21S43/239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ight guide plate-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2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 F21S43/245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emission area emitting light from one or more of its major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21S43/249Light guides with two or more light sources being coupled in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자동차 등과 같이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구조물에 장착되어, 조명, 신호 및 장식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조명용 부재는, 복수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광투과성 도광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1 광출사부, 및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출사부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제1 광출사부와 상기 제2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부재;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와 연결되는 실장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MULTI-SIDE LIGHTING MEMBER AND THREE-DIMENSIONAL LIGHTING ASSEMBL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과 같이 3차원적 구조를 갖는 구조물에 장착되어, 조명, 신호 및 장식 등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내부 및 외부에 다양한 종류의 램프 조립체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램프 조립체는 자연광이 부족한 야간이나 악천후 시에 물체에 대한 운전자의 육안 식별을 돕기 위한 조명기능과, 외부에 자동차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갖는다. 가령, 전조등이나 안개등은 조명에 주목적이 있으며, 방향지시등, 후미등, 브레이크등은 신호에 주목적이 있다. 그 외에도 차량 내/외부에 설치되어 특정 조작장치의 위치를 표시하거나, 차량 상태의 표시 또는 장식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램프 조립체가 사용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LED)는 수은 등의 유해 물질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 오염 유발 원인이 적고, 수명이 길고, 소비전력이 적고, 시인성이 우수하고 눈부심이 적은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갖는다.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등 LED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최근 자동차용 조명 장치에도 LED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령,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1897호에서는 도 1a 및 도 1b와 같이 LED를 이용한 점(point) 발광형 자동차(1)용 보조 브레이크등(3)을 제안하고 있는데, 복수개의 LED(4)를 이격 배치하거나 그룹 별로 배치하여 관계 법규에서 정한 일정 기준 이상의 보조 브레이크등의 점등 폭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복수개 LED의 각 배치 위치가 외부에서 인식하는 브레이크등의 발광패턴에 그대로 반영되어, 브레이크등 상에서 LED의 표면상 위치에 따른 광량의 변화가 매우 크게 나타나게 되므로, 후면에서 브레이크등을 볼 때 각 LED가 위치하는 특정 지점만이 국부적인 점광원의 형태로 두드러지게 시인되게 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선광원이나 면광원은 구현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고자 LED의 개수를 늘려 배치 간격을 좁힐 경우 부품단가의 증가 요인이 되고, 표면에 확산판 등을 배치하더라도 역시 부품단가, 부품 개수 및 전체적 모듈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자동차 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실로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가 출시되고, 주행과 관련된 필수적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평준화가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기능적 요소 외에 디자인적 요소나 감성적 요소 역시 중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자동차용 조명 장치는 그 자동차의 개성 내지 특징을 표현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근래에 들어서는 입체적인 발광 패턴을 가지는 조명 구조체를 이용하여 보다 고급스럽고 다양한 형상의 조명 장치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 방향으로 직진하는 점 발광소자인 LED가 한 개 또는 여러 개 실장되어 구성되는 단일 광원 모듈로는 위와 같은 입체적인 발광 패턴을 가지는 조명 구조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대하여,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광원 모듈을 입체적으로 배열하고 각 광원 모듈에 서로 다른 성질 및 효과를 가지는 부재들을 상호 결합시켜 입체형 발광 패턴을 가지는 조명 구조체를 구현하기도 하나, 이러한 경우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기구적인 한계 등으로 입체형 발광 패턴을 적절하게 구현하지 못하여 종래 조명 구조체와 차별성이 크지 못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최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이용하여 입체형 발광 패턴을 가지는 조명 구조체를 구현하는 방안이 시도되기도 하였으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조단가가 크게 상승할 수 있고, 제동등(stop lamp) 등에서 요구되는 광량 기준치를 맞추기 어려워 별도의 광원이 추가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에서 요구되는 높은 신뢰성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점 등 해결하여야 할 많은 문제점이 남아있는 상태이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1897호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5-00826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자동차 등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고, 균일한 발광패턴을 가지는 이상적인 선광원과 함께 면광원을 포함하는 다면 발광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자동차 업체의 자동차 설계변경, 신차 디자인 등의 경우에도 부품 단가와 부품 복잡도에 대한 우려 없이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화, 경량화, 유연성을 구비한 조명용 부재의 공급을 통해, 자동차 업체에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하기 위해 활용이 가능한 기본적인 소재/부품 인프라의 제공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한 조명용 부재는, 복수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광투과성 도광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1 광출사부, 및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출사부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제1 광출사부와 상기 제2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부재;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와 연결되는 실장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도광 부재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도광 필름의 일측 모서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광출사부는 선광원을 구성하며 상기 제2 광출사부는 면광원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의 배치에 따른 상기 제1 광출사부 상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광출사부는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되어 상기 제1 광출사부로 진행하는 광 중 일부를 출사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광출사부의 표면에는 특정 방향으로 휘도 차이가 나타나도록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되는 베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젤부는 형상, 색상, 표면 처리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광출사부에서의 발광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젤부는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실장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부에는 상기 제2 광출사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부재는 0.1mm이상 4.0mm이하의 두께를 갖는 도광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부재는 2.0mm이상 20.0mm이하의 두께를 갖는 사출 성형된 도광 필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향되며, 상기 제1 광출사부는 상기 도광 부재 평면상에서 상기 광입사부가 이루는 변과 반대쪽의 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출사부는 표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형상의 요철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제1 광출사부 측의 두께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 필름은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광출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필름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입체형 조명 장치는, 상기 기재된 조명용 부재를 복수개 배열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개 배열된 상기 조명용 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은, 복수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광투과성 도광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1 광출사부, 및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출사부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제1 광출사부와 상기 제2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도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을 상기 도광 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광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광 부재는 광투과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내/외부 구조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고, 균일한 발광패턴을 가지는 이상적인 선광원과 함께 면광원을 포함하는 다면 발광 구조를 구현할 수 있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자동차 업체의 자동차 설계변경, 신차 디자인 등의 경우에도 부품 단가와 부품 복잡도에 대한 우려 없이 쉽게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 부품으로서의 범용성을 향상시킨,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진, 모듈화, 경량화, 유연성을 구비한 조명용 부재의 공급을 통해, 자동차 업체에서 고급화되고 다양한 디자인을 쉽게 구현하기 위해 활용이 가능한 기본적인 소재/부품 인프라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의 LED를 이용한 점 발광형 보조 브레이크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복수의 광원 모듈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이용한 조명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부를 더 포함하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의 발광 동작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의 제1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광출사부의 패턴 형성에 따른 발광패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패턴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형성된 제1 광출사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필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부재의 제2 광출사부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를 복수개 배열하여 구성된 입체형 조명 장치의 발광 동작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를 포함하는 도광 부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해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100)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에서 입사되는 광을 가이드하여 각 발광면에서 출사하는 도광 부재(20)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를 실장하는 실장기판(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 부재(20)는, 복수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광투과성 도광 부재(20)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24)와,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상기 광입사부(24)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1 광출사부(22), 및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출사부(22)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23)를 갖고, 상기 제1 광출사부(22)와 상기 제2 광출사부(23)는 상기 광입사부(22)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30)는 상기 광입사부(24)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도광 부재(20)의 광입사면(22)으로 광을 입사시키게 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0)로서 측면 발광(side-view) 타입의 발광다이오드(30)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 상면 발광(top-view) 타입의 발광다이오드(3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장기판(40)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2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실장기판(40)으로서 일반적인 PCB(rigid type)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방열 문제 등을 고려하여 메탈(metal) PCB를 사용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 PCB에 알루미늄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실장기판(4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에서 발광되어 상기 광입사부(24)로 입사된 빛은 상기 광입사부(24)에 대향하는 제1 광출사부(22)로 출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광출사부(22)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23)에서도 빛이 출사하게 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에서는 상기 제1 광출사부(22) 및 상기 제2 광출사부(23)에서 빛을 출사하여 다면 발광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광 부재(20)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광 부재(20)으로서 가시광의 파장 영역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갖는 아크릴계 수지(PMMA)나, 역시 높은 투과율을 가지면서 기계적 강도가 보다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 등의 광투과성 수지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광 필름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보다 얇은 경우에도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PC)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도광 필름은 0.2mm 이상 3.0mm 이하 두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 0.3mm이상 2.0mm이하의 두께 범위의 것이 사용될 경우 기계적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유연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이러한 범위의 광투과성 수지 필름은 사출성형 등 고가의 공정에 의하지 않고서도 롤링(rolling) 등 방법에 의해 쉽게 양산이 가능하므로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조명용 부재(100)의 제조 단가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광입사부(24)는 상기 도광 필름의 일측 모서리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광출사부(22)는 상기 광입사부(24)의 일측 모서리면에 대향하는 타측 모서리면에서 선광원을 구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제2 광출사부(23)는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상기 제1 광출사부(22)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에서 면광원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에서, 상기 도광 부재(200)의 제1 광출사부(22)에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에 따른 상기 제1 광출사부(22) 상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다이오드(30)는 점광원인 바, 상기 발광다이오드(30)에서 발광되어 상기 광입사부(24)를 거쳐 제1 광출사부(22)로 출사되는 빛이 특정 지점에서 강하게 나타나는 불균일한 패턴을 보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출사부(22)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 광출사부(22) 상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1 광출사부(22)에서의 균일한 선발광 패턴을 이용하면 자동차 램프 등에서 요구되는 정지등(stop lamp), 후미등(tail lamp), 방향지시등(turn signal), 후진등 등에서 요구되는 배광 성능 등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에서는, 상기 제2 광출사부(23)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되어 상기 제1 광출사부(22)로 진행하는 광 중 일부를 상기 제2 광출사부(23)로 효과적으로 출사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 광출사부(23)의 표면에는 특정 방향으로 휘도 차이가 나타나도록 패턴이 형성됨으로써 발광패턴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3에서 일측면의 제2 광출사부(23a)와 타측면의 제2 광출사부(23b)의 표면에는 동일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일측면 및 타측면에 서로 다른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특정 방향으로 휘도 차이가 발생하도록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광출사부(23)에서의 면발광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예를 들어, 휘도 증가 또는 특정 무늬나 형상 등의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도광 부재(20)의 좌, 우 측면 또는 양 측면 모두에 두께 0.1mm 내지 2.0mm의 도광 필름 등을 추가로 연접시킬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젤부(60)를 더 포함하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하고 있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100)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와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에서 입사되는 광을 가이드하여 각 발광면에서 출사하는 도광 부재(20),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를 실장하는 실장기판(40)과 함께, 상기 도광 부재(20)의 상부 또는 하부 내지는 상하부에 부착되는 베젤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베젤부(60)는 형상, 색상, 표면 처리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광출사부(23)에서의 발광패턴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젤부(60)는 상기 도광 부재(60)의 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도광 부재(20)의 제2 광출사부(23)에서(즉, 측면에서) 면발광 형태로 출사되는 빛이 인접하는 베젤부(60)를 일부 또는 전체로 투과하거나 반사, 굴절되면서 입체 발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베젤부(60)는 상기 도광 부재(20)의 측면에서 면발광 형태로 발광되는 빛을 입체 발광 효과를 가지도록 다양한 형상, 색상, 표면 처리 등을 이용하여 전환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상기 베젤부(60)가 특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형태의 면발광을 특정한 형태의 면발광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베젤부(60)에는 특정 색상을 적용하거나 또는 베젤 내측면에 무광, 부식 등의 처리를 통해 반사판 또는 반사 필름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반사 필름을 구비하여 입체 발광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베젤부(60)는 상기 도광 부재(20) 및 상기 실장기판(40)을 고정시키는 하우징 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젤부(60)는 일반 사출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겠으나, 이외에 입체 발광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첨가물을 추가하거나 다른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100)의 발광 동작을 보여주는 사진을 예시하고 있다. 도 5(a)에서는 도 4에서 예시하고 있는 베젤부(60)가 구비된 경우의 제2 광출사부(23)에서의 발광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광출사부(23)에서 면발광되는 빛이 상기 베젤부(60)에 의하여 조절되어 최종적으로 발광 형태를 구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b)에서는 상기 도광 부재(20)의 제1 광출사부(22)에서의 발광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제1 광출사부(22)에 형성된 요철에 의하여 발광패턴의 불균일이 완화되어, 균일한 발광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명용 부재(100)에서는 상기 제1 광출사부(22)에서의 균일한 선발광과 함께 상기 제2 광출사부(23)에서의 면발광이 동시에 구현되는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도광 부재(20)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다양한 형태 및 두께의 도광 부재(2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도광 부재(20)는 직선 형상 또는 곡선 형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절단될 수 있으며, 이외에 더 복잡한 형상으로도 절단될 수도 있어 일반적으로 복잡한 3차원적 구조를 갖는 자동차 내/외부의 구조에 맞도록 쉽게 가공될 수 있으며, 이때 사출성형 공정과 같은 고가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양산 적합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고, 자동차 설계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장식적 효과와 시인성을 감안한 자동차 내/외부 조명 디자인의 폭을 매우 넓힐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출성형 공정을 통해서는 최소 두께 3~4mm 이상의 일정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구조물만이 제작 가능하며 얇은 필름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과 같이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적절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얻어진 도광 부재(20)을 사용함으로써 사출성형 공정의 한계를 극복하여 시인성 및 장식적 효과를 보다 극대화한 초슬림 선광원을 포함하는 조명용 부재(100)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도광 부재(20)은 광투과성 수지 필름으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됨으로써 형성된 수개의 절단면(또는 에지)에 의해 형상이 정해질 수 있는데, 도광 부재(20)의 이러한 수개 절단면 중 적어도 한 면이 제1 광출사부(22)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광출사부(22)에 대향하는 적어도 한 면이 광입사부(24)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는, 실장기판(40)과 연결되거나 상기 실장기판(40) 상에 구현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50)은 실장기판(40)과 일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현된 후 결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모듈(50)은 실장기판(40)과 동일한 기판재료 또는 상이한 기판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광출사부(22)에 다양한 패턴을 형성한 도광 부재(20)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를 예시한다.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1 광출사부(22)를 각각, 도 6a에서는 물결 모양의 곡면(82)으로, 도 6b에서는 삼각 형상의 절단면(83)으로, 도 6c에서는 연속 형성된 볼록면(84)으로, 도 6d에서는 연속 형성된 오목면(85)으로, 도 6e에서는 톱니와 유사한 비대칭형 삼각형 절단면(20)으로 형성한 예들을 나타낸다. 제1 광출사부(22) 표면의 이러한 패턴 구조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의 절단 가공 시에 구현하거나, 또는 절단 가공 후 연마 또는 레이저 커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제1 광출사부(22)에 이러한 패턴을 구현할 경우 이상적인 선광원의 구현에 획기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관찰하였다. 도 7a 내지 도 7c는 제1 광출사부(22)의 패턴 형성에 따른 발광패턴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에서는, 도광 부재(20)의 광입사부(24)와 제1 광출사부(22)가 서로 대향하고 있어 광입사부(24)를 통해 입사된 광이 높은 광 전달효율로 제1 광출사부(22)로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간격이 매우 조밀하지 않을 경우 발광다이오드(30)의 배열에 따른 광 패턴이 광출사부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균일한 발광패턴을 확보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도 7a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이격 배치한 경우에 광입사부(24) 및 제1 광출사부(22)에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평평한 표면 상태로 구성한 경우의 제1 광출사부(22)에서 관찰되는 발광패턴을 포착한 사진이다. 이 경우,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위치에 따른 발광 점(spot)들이 그대로 제1 광출사부(22)에 반영되게 되며 발광패턴의 균일성이 양호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광패턴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발광다이오드들의 개수를 늘려 더욱 조밀하게 배열하거나 광확산판과 같은 별도 부품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모두 부품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
도 7b는 도 7a와 다른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광입사부(24)에 패턴을 형성한 경우의 제1 광출사부(22)에서 관찰되는 발광패턴을 포착한 사진이다. 이러한 경우에도, 도 7a의 경우와 유사하게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위치에 따른 발광 점(spot)들이 그대로 제1 광출사부(22)에 반영되게 되며 발광패턴의 균일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반면에, 도 7c는 도 7a와 다른 구조를 동일하게 하고, 광출사부(24)에 패턴을 형성한 경우의 제1 광출사부(22)에서 관찰되는 발광패턴을 포착한 사진이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 위치에 따른 발광 점(spot)들이 거의 관측되지 않았으며, 발광다이오드(30)의 배치가 조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매우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이상적인 선광원의 구현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제1 광출사부(22)에 패턴을 형성한 실시예의 경우, 조명용 부재(100)의 도광 부재(20)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도 도광 부재(20)와 평행한 방향으로는 발광패턴 균일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도광 부재(20)의 유연성과는 별개의 특성이므로, 도광 부재(20)는 반드시 광투과성 수지 필름의 절단 가공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종전과 같이 사출성형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시트나 판재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광 부재(20)에서 상기 광입사부(24)로부터 상기 제1 광출사부(22)까지의 길이는 8mm 이상 250mm 이하로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도광 부재(20)을 사용하여 자동차에 구비되는 조명용 부재를 구현하는 경우, 상기 조명용 부재가 만족시켜야 하는 기술적 규격(예를 들어, 광량 등)을 만족시키고, 나아가 상기 도광 부재(20)의 발광패턴 균일화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에서, 상기 도광 부재(20)의 길이가 8mm 이상 250mm 이하로 하는 경우, 상기 도광 부재(20)의 제1 광출사부(22)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균일한 발광패턴을 갖는 이상적인 선광원을 구현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패턴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하여 형성된 도광 부재(20)의 제1 광출사부(22) 형상을 예시한다.
앞서 도 6a 내지 도 6e에서는 하나의 패턴이 반복하여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발광패턴의 불균일성을 완화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패턴이 채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에서는 (a) 사각형 위에 반원이 적층된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b) 사각형 위에 삼각형이 적층된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및 (c) 반원 위에 삼각형이 적층된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나아가, 도 8b에서는 (a) 삼각형, 반원, 사각형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 및 (b) 사각형 위에 반원이 적층된 형상, 사각형 위에 삼각형이 적층된 형상, 삼각형, 사각형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형상의 패턴이 사용되는 경우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이처럼, 도 8a 및 도 8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형상을 적층시키거나 복수의 형상을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여 배열함으로써, 도 6a 내지 도 6e에서 설명한 발광패턴의 균일성을 개선하는데에서 더 나아가, 특정 지점의 광량을 늘려 포인트를 생성하거나, 위치에 따라 광량이 변화하도록 하여 소정의 조명 패턴을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종래에는 이와 같이 특정 지점의 광량을 늘리거나 소정의 조명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렌즈를 구비하여야 하여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렌즈를 구비하지 않고도 다양한 조명 패턴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a 내지 도 9c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부재(20) 및 이를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하고 있다.
앞에서는 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부재(20)을 들어 설명하였으나(예를 들어, 도 3의 도광 부재(20)),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부재(20)는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a에서 도광 부재(20)의 일측은 얇은 두께(a)를 가지는 반면(예를 들어, 0.3mm ≤ a ≤ 3mm), 상기 도광 부재(20)의 타측은 보다 두꺼운 두께(a+b)를 가지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이룰 수 있다(예를 들어, 0.3mm < a+b ≤ 10mm).
특히,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부재(20)의 경우 그 두께가 최소 3~4mm 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 사출성형 공정을 통한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광 부재(20)가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상기 도광 부재(20)의 일측 두께(a)가 3~4mm 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상기 도광 부재(20)의 타측 두께(a+b)가 3~4mm 이상의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경우 사출성형 공정을 이용한 제작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아크릴계 수지(PMMA)나 폴리카보네이트(PC) 등 적절한 재질을 사용하여 사출성형 공정을 적용해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부재(2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b와 도 9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부재(20)를 이용한 조명용 부재(100)를 예시하고 있다.
앞서, 도 3의 경우와 같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도광 부재(20)을 사용하는 경우, 그 두께에 따라 채택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30)가 제한될 수 있었다(예를 들어, 3mm 두께에 맞출 수 있도록 측면 발광다이오드(side-view LED)를 사용).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부재(2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9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면 발광다이오드(side-view LED)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9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 발광다이오드(top-view LED)를 용이하게 채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한 방열 특성 및 광량 특성을 얻거나, 보다 저렴한 단가의 발광다이오드(30)를 선택할 수 있는 등 조명용 부재(100)의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도 9b 내지 도 9c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발광다이오드(30) 및 실장기판(40)과 상기 도광 부재(20)를 고정시키는 결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광 부재(20)는 보다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멸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도광 부재(20)을 예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도광 부재(20)은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10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면 및 하면이 모두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경우도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도광 부재(20)는 도 10b내지 도 10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의 구간과 함께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 구간(도 10b 및 도 10c의 c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부재(20)는 다양한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개선된 구조 및 특성을 가지는 조명용 부재(100)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도광 부재(20)는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서도 제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광 부재(20)의 제2 광출사부(23)의 표면에 형성된 패턴(25)을 예시하고 있다. 즉, 도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광출사부(23)의 표면에는 소정의 패턴(25)이 형성되어 제2 광출사부(23)에서는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되어 상기 제1 광출사부(22)로 진행하는 빛 중 일부를 출사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광출사부(23)의 표면에는 특정 방향으로 휘도 차이가 나타나도록 상기 패턴(25)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입체 광학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11에서는 상기 제2 광출사부(23)의 표면에 삼각형 형상의 패턴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를 복수개 배열하여 구성된 입체형 조명 장치의 구조 및 발광 동작을 보여주는 사진을 예시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조명 장치는, 상기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100)를 복수개 배열하여 구성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입체형 발광 패턴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형 조명 장치는 상기 복수개 배열된 조명용 부재(100) 또는 그에 포함되는 발광다이오드(30)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입체형 발광 패턴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패턴을 가미할 수 있는 조명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26)를 포함하는 도광 부재(20)를 예시하고 있다. 즉,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도광 부재(20)에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는 굴곡부(26)를 두어 상기 도광 부재(20)가 다양한 입체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입체 발광 패턴을 가지는 조명용 부재(100)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용 부재(100) 제조 방법은, 복수의 발광면을 구비하는 광투과성 도광 부재(20)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24)와, 상기 복수의 발광면 중 상기 광입사부(24)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1 광출사부(22), 및 상기 광입사부(24)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출사부(22)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23)를 갖고, 상기 제1 광출사부(22)와 상기 제2 광출사부(23)는 상기 광입사부(22)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도광 부재(2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24)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를 실장기판(40)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30)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40)을 상기 도광 부재(20)와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30)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50)을 상기 실장기판(40)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광 부재(20)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성거나, 또는 광투과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위 실시예 및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본 발명 중 방법 발명에서 제시하는 단계들은 반드시 그 선후의 순서에 대한 구속을 의도한 것이 아니며, 각 공정의 본질에 따라 반드시 어느 단계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 한 순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요소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20: 도광 부재
22 : 제1 광출사부
23, 23a, 23b: 제2 광출사부
24: 광입사부
25 : 제2 광출사부 패턴
26 : 굴곡부
30: 발광다이오드
40: 실장기판
50: 구동모듈
60, 60a, 60b: 베젤부
100 : 조명용 부재

Claims (20)

  1. 복수의 면을 구비하는 다면 광투과성 도광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의 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1 광출사부, 및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출사부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제1 광출사부와 상기 제2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것인, 도광 부재;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 부재와 연결되는 실장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광입사부에서의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간격에 따른 상기 제1 광출사부에서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도광 필름(light guide film)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도광 필름의 일측 모서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광출사부는 선광원을 구성하며 상기 제2 광출사부는 면광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출사부는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되어 상기 제1 광출사부로 진행하는 광 중 일부를 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출사부의 표면에는 특정 방향으로 휘도 차이가 나타나도록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되는 베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젤부는 형상, 색상, 표면 처리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2 광출사부에서의 발광패턴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는 상기 도광 부재 및 상기 실장기판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부에는 상기 제2 광출사부에서 출사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0.1mm이상 4.0mm이하의 두께를 갖는 도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는 2.0mm이상 20.0mm이하의 두께를 갖는 사출 성형된 도광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입사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에 대향되며, 상기 제1 광출사부는 상기 도광 부재 평면상에서 상기 광입사부가 이루는 변과 반대쪽의 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출사부는 표면에 하나 혹은 둘 이상 형상의 요철이 소정의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상기 제1 광출사부 측의 두께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단면이 테이퍼 형상을 포함하여 상기 제1 광출사부 측의 두께가 상기 광입사부 측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필름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16. 제1항에 기재된 조명용 부재를 복수개 배열하여 입체형 발광 패턴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조명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복수개 배열된 상기 조명용 부재를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순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형 조명 장치.
  18. 복수의 면을 구비하는 다면 광투과성 도광 부재로서, 상기 복수의 면 중 적어도 한 면인 광입사부와, 상기 복수의 면 중 상기 광입사부에 대향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1 광출사부, 및 상기 광입사부에서 입사된 광이 상기 제1 광출사부로 진행하는 방향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다른 한 면인 제2 광출사부를 갖고, 상기 제1 광출사부와 상기 제2 광출사부는 상기 광입사부로 입사된 광을 방출하는 도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광입사부에 근접하여 광을 입사시키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실장기판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그 표면에 배치된 상기 실장기판을 상기 도광 부재와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전기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듈을 상기 실장기판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출사부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광입사부에서의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의 간격에 따른 상기 제1 광출사부에서의 발광패턴의 불균일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광 부재는 유연성을 갖는 광투과성 수지 필름을 절단하여 분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도광 부재는 광투과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부재 제조 방법.
KR1020170088351A 2017-07-12 2017-07-12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Active KR10185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51A KR101850063B1 (ko) 2017-07-12 2017-07-12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CN201880028959.2A CN110914587A (zh) 2017-07-12 2018-06-29 多面发光照明用部件及使用该部件的立体型照明装置
EP18832391.9A EP3608582B1 (en) 2017-07-12 2018-06-29 Multi-sided luminous lighting member and three-dimensional lighting device using same
US16/615,312 US10969081B2 (en) 2017-07-12 2018-06-29 Multi-sided luminous lighting member and three-dimensional lighting device using same
PCT/KR2018/007397 WO2019013479A1 (ko) 2017-07-12 2018-06-29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51A KR101850063B1 (ko) 2017-07-12 2017-07-12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063B1 true KR101850063B1 (ko) 2018-04-19

Family

ID=6208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351A Active KR101850063B1 (ko) 2017-07-12 2017-07-12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69081B2 (ko)
EP (1) EP3608582B1 (ko)
KR (1) KR101850063B1 (ko)
CN (1) CN110914587A (ko)
WO (1) WO2019013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931A (ko) * 2018-12-27 2020-07-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N112709968A (zh) * 2021-01-14 2021-04-27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车辆信号灯光导结构和车辆
CN116293510A (zh) * 2021-12-21 2023-06-23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立体光导装置、光学系统及车灯
DE102022129705A1 (de) * 2022-11-10 2024-05-16 HELLA GmbH & Co. KGa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4467Y1 (ko) * 2008-04-10 2009-05-14 세현유리제경(주) 발광 유리판
JP4588729B2 (ja) * 2007-02-16 2010-12-01 ライツ・アドバンス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平面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4023B2 (ja) * 2001-11-02 2007-09-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WO2005047884A1 (ja) 2003-10-24 2005-05-26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高感度分析用溶媒及びその保存方法
JP2005158362A (ja) * 2003-11-21 2005-06-16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WO2008040323A2 (de) 2006-09-29 2008-04-1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rganisches leuchtmittel und beleuchtungseinrichtung
KR101345384B1 (ko) 2007-11-16 2013-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도광 부재와 이를 적용한 조명장치 및 도광 부재의제조방법
JP2009224314A (ja) * 2008-02-19 2009-10-01 Citizen Electronics Co Ltd 面状導光体及び電子機器
KR101597335B1 (ko) * 2008-11-17 2016-0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도광필름을 이용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모듈
KR101777885B1 (ko) * 2009-08-12 2017-09-1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도광체
KR20110050819A (ko) 2009-11-09 201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라이트 가이드 유닛
DE102010061210A1 (de) * 2010-12-14 2012-06-14 Hella Kgaa Hueck & Co. Leuchte für Fahrzeuge
US8820992B2 (en) * 2012-05-23 2014-09-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motive headlamp assembly
US9568662B2 (en) * 2013-03-15 2017-02-14 Cree, Inc. Optical waveguide body
KR101484115B1 (ko) 2014-10-23 2015-01-21 서규선 Led를 이용한 감속감응형 차량용 보조 브레이크등
KR101755866B1 (ko) * 2015-10-23 2017-07-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광원모듈
KR101790044B1 (ko) 2015-12-18 2017-10-25 현대아이에이치엘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명장치
FR3070070A1 (fr) * 2017-08-14 2019-02-15 Koito Manufacturing Co., Ltd. Guide de lumiere en forme de tige et lampe de vehicu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8729B2 (ja) * 2007-02-16 2010-12-01 ライツ・アドバンスト・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平面照明装置
KR200444467Y1 (ko) * 2008-04-10 2009-05-14 세현유리제경(주) 발광 유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914587A (zh) 2020-03-24
EP3608582A4 (en) 2020-05-13
US10969081B2 (en) 2021-04-06
EP3608582A1 (en) 2020-02-12
EP3608582B1 (en) 2022-02-09
US20200173626A1 (en) 2020-06-04
WO2019013479A1 (ko) 2019-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914B1 (ko)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US9903999B2 (en) Light assembly for illuminating an emblem
CN110260263B (zh) 车载双功能发光模块及车载双功能照明灯组
TWI662224B (zh) Led車載線形發光模組
KR101850063B1 (ko) 다면 발광 조명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입체형 조명 장치
US9470389B2 (en) Lighting device, lighting fitting, and vehicle
CN113007666A (zh) 用于灯的光导引件和用于机动车辆的相关的灯
CN114787556A (zh) 用于机动车的照明设备及用于制造这种照明设备的方法
CN101418930A (zh) 发光二极管面光源装置
JP2010003597A (ja) Led灯具ユニット
US9927087B1 (en) Fiber optic light panel having a light enhancing element
CN104344304B (zh) 光学模块及包括该光学模块的车用灯具
KR101966100B1 (ko) 다층 도광 필름을 이용한 조명용 부재
CN104676296B (zh) 光源模块
WO2023117810A1 (en) Optic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lighting and/or signal indicating device, and motor vehicle
KR100801923B1 (ko) 차량용 조명장치
WO2013121862A1 (ja) 光源ユニット
KR20250018105A (ko) 조명 장치 및 램프
CN117836557A (zh) 光学构件、照明装置和具有该光学构件的车灯
TWI388776B (zh) 反射罩及照明裝置
CN111336471A (zh) 发光装置
CN101963325A (zh) 反射罩及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