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면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L용 광 취출 필름(10))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은 확산층(12) 및 요철 구조층(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재(16) 상에 적층된 확산층(12)에 중간층(13)을 개재해서 요철 구조층(11)이 적층된 EL용 광 취출 필름(10)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은 생산성이나 취급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므로, 기재(16) 상에 확산층(12) 및 요철 구조층(11)이 순차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재(16) 상에 확산층(12), 중간층(13) 및 요철 구조층(11)이 순차 적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층(11))
요철 구조층(11)은 요철 구조(14)의 돌기 또는 오목부가 배치되어 있다.
요철 구조층(11)의 돌기 또는 오목부는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돌기가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4)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구결(球缺)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회전 타원체를 1개의 평면으로 잘라낸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회전 타원체를 서로 평행한 2개의 평면으로 잘라낸 형상), 각뿔 형상, 각뿔대 형상, 원뿔 형상, 원뿔대 형상, 이들에 관련된 지붕형 형상(구결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 각뿔 형상, 각뿔대 형상,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 저면부를 따라 신장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철 구조(14)의 형상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요철 구조(14)의 형상 중에서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구결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 등의 구상이 바람직하고,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상은 진구 형상이 아니어도 되며, 대략 구상이면 된다. 대략 구상이란, 구상의 표면이 당해 구상에 외접하는 가상의 진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가상의 진구의 중심으로부터 법선 방향에 대하여 어긋난 형상이며, 그 어긋남량은 상기 가상의 진구 반경에 대하여 0 내지 20%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형상을 「타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에는, 진원을 일 방향 또는 다 방향으로 신장시킨 원형도 포함한다.
요철 구조(14)의 배치 예를 도 2a 내지 2f에 나타낸다.
요철 구조(14)의 배치로서는, 예를 들어 육방 배열(도 2a), 직사각형 배열(도 2b), 마름모형 배열(도 2c), 직선 형상 배열(도 2d), 원형상 배열(도 2e), 랜덤 배치(도 2f) 등을 들 수 있다. 육방 배열이란, 육각형의 각 정점 및 중점에 요철 구조(13)가 배치되고, 해당 육각형의 배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직사각형 배열이란, 직사각형의 각 정점에 요철 구조(13)가 배치되고, 해당 직사각형의 배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마름모형 배열이란, 마름모형의 각 정점에 요철 구조(13)가 배치되고, 해당 마름모형의 배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직선 형상 배열이란, 직선 형상으로 요철 구조(13)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원형상 배열이란, 원을 따라 요철 구조(13)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요철 구조(14)의 배치 중에서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육방 배열, 직사각형 배열, 마름모형 배열이 바람직하고, 육방 배열, 직사각형 배열이 보다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4)의 일례를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란, 요철 구조(14)의 저부(중간층(13)을 갖는 경우에는, 중간층(13)과의 접면)의 외주연에 의해 둘러싸인 가상적인 면 형상 부분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최장 직경(A)이란,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에 있어서의 가장 긴 부분의 길이를 말하며,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평균 최장 직경(Aave)은 광학 필름(10)의 요철 구조(14)를 갖는 표면을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최장 직경(A)을 임의의 5군데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요철 구조(14)의 높이(B)란, 돌기 구조의 경우에는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로부터 가장 높은 부위까지의 높이를 말하고, 오목부 구조의 경우에는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로부터 가장 낮은 부위까지의 높이를 말하며, 요철 구조(14)의 평균 높이(Bave)는 광학 필름(10)의 단면을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요철 구조(14)의 높이(B)를 임의의 5군데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한다.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평균 최장 직경(Aave)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0.5㎛ 내지 150㎛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30㎛가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4)의 평균 높이(Bave)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0.25㎛ 내지 75㎛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65㎛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14)의 종횡비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0.3 내지 1.4가 바람직하고, 0.35 내지 1.3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내지 1.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 구조(14)의 종횡비는 요철 구조(14)의 평균 높이(Bave)/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평균 최장 직경(Aave)으로부터 산출하였다.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형상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형상 중에서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원형, 타원형이 바람직하고, 원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은 진원이 아니어도 되며, 대략 원형이면 된다. 대략 원형이란, 원형의 표면이 당해 원형에 외접하는 가상의 진원의 원주로부터, 상기 가상의 진원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어긋난 형상이며, 그 어긋남량은 상기 가상의 진원의 반경에 대하여 0 내지 20%이어도 된다.
상방에서 본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면적(도 4에서 말하는 실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에 대한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면적(도 4에서 말하는 점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비율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한 점에서, 20 내지 99%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95%가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93%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가 모두 동일한 크기의 원형인 경우,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면적에 대한 요철 구조(14)의 저면부(15)의 면적의 비율의 최댓값은 91% 정도가 된다.
요철 구조층(11)의 재료로서는, 가시광 파장 영역(대략 400nm 내지 700nm)의 광투과율이 높은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요철 구조층(11)의 재료의 가시광의 투과율은 ISO 13468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유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철 구조층(11)의 재료 중에서도,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요철 구조층(11)의 재료인 수지를 제2 수지라고 기재한다.
(제2 수지)
요철 구조층(11) 중의 제2 수지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시광 파장 영역(대략 400nm 내지 700nm)의 광투과율이 높은 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ABS 수지 등의 스티렌 수지; 염화비닐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요철 구조층(11) 중의 제2 수지 중에서도, 가시광 파장 영역의 광투과율이 높고, 내열성, 역학 특성, 성형 가공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 수지가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층(11) 중의 제2 수지는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경화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전자선, X선, 적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이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로서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학 필름(10)의 유연성, 내열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광투과성 등의 여러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하에 기재하는 중합성 단량체(A), 가교성 단량체(B) 및 중합 개시제(C)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중합성 단량체(A)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iso-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시클로도데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메틸비시클로헵탄,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메틸-2-에틸-1,3-디옥솔란, 4-(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2-메틸-2-이소부틸-1,3-디옥솔란,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인산(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인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일모르폴린,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류;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등)와 에피클로로히드린과의 축합 반응으로 얻어지는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에,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반응시킨 화합물 등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류;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아세트산비닐, 부티르산비닐 등의 카르복실산비닐류;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이소부텐 등의 올레핀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성 단량체(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합성 단량체(A)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 경화성이 우수하고,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 내열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광투과성 등의 여러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 방향족 비닐류, 올레핀류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중합성 단량체(A)의 함유율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0.5질량% 내지 60질량%가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5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질량% 내지 5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중합성 단량체(A)의 함유율이 0.5질량% 이상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중합성 단량체(A)의 함유율이 60질량% 이하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가교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고,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내용제성이 우수하다.
가교성 단량체(B)로서는,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펜타에리트리톨히드록시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히드록시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 변성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에톡시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5-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펜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트)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3-(메트)아크릴옥시-2-히드록시 프로폭시)페닐)프로판, 1,2-비스(3-(메트)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에탄, 1,4-비스(3-(메트)아크릴옥시-2-히드록시프로폭시)부탄, 비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올트리시클로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시레이티드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폭시레이티드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시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폭시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톡시레이티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폭시레이티드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녹시플루오렌에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의 ε-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의 γ-부티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탄디올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시드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프로필렌옥시드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수소 첨가 비스페놀 A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F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카르보네이트 등의 디알릴류;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다염기산(프탈산, 숙신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테레프탈산, 아젤라산, 아디프산 등)과, 다가 알코올(에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 및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화합물 등의 폴리에스테르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를 반응시킨 화합물, 알코올류(알칸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스피로글리콜 화합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산기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부가하고, 남은 이소시아네이트기에,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 등의 우레탄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등의 디비닐에테르류;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메틸 부타디엔 등의 디엔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가교성 단량체(B)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가교성 단량체(B) 중에서도, 광학 필름(10)의 유연성, 내열성, 내찰상성, 내용제성, 광투과성 등의 여러 물성이 우수한 점에서,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알릴류,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류가 바람직하고,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폴리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류, 우레탄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가교성 단량체(B)의 함유율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30질량% 내지 98질량%가 바람직하고, 35질량% 내지 97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40질량% 내지 96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가교성 단량체(B)의 함유율이 30질량% 이상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가교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고,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내용제성이 우수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가교성 단량체(B)의 함유율이 98질량% 이하이면,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유연성이 우수하다.
중합 개시제(C)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아세토인, 벤질, 벤조페논, p-메톡시벤조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α,α-디메톡시-α-페닐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메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에틸페닐글리옥실레이트,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에틸안트라퀴논 등의 카르보닐 화합물; 테트라메틸티우람모노술피드, 테트라메틸티우람디술피드 등의 황 화합물류;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벤조일디에톡시포스핀옥시드 등의 아실포스핀옥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C)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합 개시제(C)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경화성,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점에서, 카르보닐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시드류가 바람직하고, 카르보닐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중의 중합 개시제(C)의 함유율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하여 0.1질량%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고, 0.5질량% 내지 8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중합 개시제(C)의 함유율이 0.1질량% 이상이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취급성이나 경화성이 우수하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중합 개시제(C)의 함유율이 10질량% 이하이면,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다.
제2 수지의 굴절률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1.40 내지 1.80이 바람직하고, 1.43 내지 1.75가 보다 바람직하고, 1.46 내지 1.72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법선 휘도가 우수한 면 발광체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제2 수지의 굴절률은, 1.55 내지 1.80이 바람직하고, 1.56 내지 1.75가 보다 바람직하고, 1.57 내지 1.72가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층(11) 전체 질량에 대한 제2 수지의 함유율은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8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질량% 내지 10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내지 10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층(11)은,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제2 수지 이외에도 다른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요철 구조층(11) 중의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광 확산 미립자, 이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방오성 향상제, 분산 안정제, 점도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요철 구조층(11)에 포함되는 광 확산 미립자를 제2 광 확산 미립자라고 기재한다.
요철 구조층(11)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2 광 확산 미립자 이외의 다른 성분의 함유율은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점에서,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질량%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요철 구조층(11)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은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질량% 내지 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질량% 내지 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제2 광 확산 미립자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EL용 광 취출 필름(10)이나 면 발광체의 기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의 함유율 이하인 것을 말한다.
요철 구조층(11) 중의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재료, 굴절률, 부피 평균 입자 직경, 형상은 후술하는 확산층(12) 중의 광 확산 미립자(본 명세서에서, 확산층(12)에 포함되는 광 확산 미립자를 제1 광 확산 미립자라고 기재함)의 재료, 굴절률, 부피 평균 입자 직경, 형상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와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요철 구조층(11) 중의 수지와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굴절률 차, 조합은 후술하는 확산층(12) 중의 수지와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굴절률 차, 조합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와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제1 광 확산 미립자와 제2 광 확산 미립자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중간층(13))
요철 구조층(11)의 요철 구조(14)의 지지나 요철 구조층(11)과 확산층(12)과의 밀착을 위해서, 요철 구조층(11)과 확산층(12)의 사이에 중간층(13)을 설치해도 된다.
중간층(13)의 재료는,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요철 구조층(11)과 동일한 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13)과 요철 구조층(11)이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간층(13)과 요철 구조층(11)을 아울러, 표면층(23)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확산층(12))
확산층(12)은 제1 광 확산 미립자를 포함하는 재료를 포함한다. 확산층(12)의 재료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량은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내지 4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이 10질량% 이상이면,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이 50질량% 이하이면,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확산층(12)의 재료로서는, 가시광 파장 영역(대략 400nm 내지 700nm)의 광투과율이 높은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요철 구조층(11)의 재료의 가시광의 투과율은 ISO 13468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광 확산 미립자를 10질량% 이상 포함하는 유리, 제1 광 확산 미립자를 10질량% 이상 포함하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확산층(12)의 재료 중에서도,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수지가 바람직하다. 확산층(12)으로서, 시판하고 있는 확산 시트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서, 확산층(12)의 재료인 수지를 제1 수지라고 기재한다.
확산층(12) 중의 제1 수지의 종류, 원료가 되는 단량체와 그 조성비는 상술한 요철 구조층(11) 중의 제2 수지의 종류, 원료가 되는 단량체와 그 조성비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와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제1 수지와 제2 수지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1 수지의 함유율은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50질량% 내지 9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55질량% 내지 8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1 수지의 함유율이 50질량% 이상이면,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1 수지의 함유율이 90질량% 이하이면,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광 확산 미립자)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는 가시광 파장 영역(대략 400nm 내지 700nm)의 광 확산 효과를 갖는 광 확산 미립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광 확산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제1 광 확산 미립자는 제1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도 된다.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제1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된다는 것은,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제1 수지에 대략 균일하게 분산되는 경우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제1 수지에 대략 균일하게 분산된다」란, 확산층(12) 중의 1mm2 단면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질량%)을 기준으로, 임의의 5군데의 100㎛2 단면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질량%)의 오차가 모두 10% 이내로 정의된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금, 은, 규소, 알루미늄, 마그네슘, 지르코늄, 티타늄, 아연, 게르마늄, 인듐, 주석, 안티몬, 세륨 등의 금속;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게르마늄,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주석 산화물, 산화안티몬, 산화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 탄산마그네슘 등의 금속 탄산화물; 질화규소 등의 금속 질화물;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재료 중에서도,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제조 시의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규소, 알루미늄, 마그네슘,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고,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의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굴절률은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1.30 내지 2.00이 바람직하고, 1.35 내지 1.95가 보다 바람직하고, 1.40 내지 1.90이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은 0.5㎛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0.8㎛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0.5㎛ 이상이면, 가시 파장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또한,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20㎛ 이하이면,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구 형상, 원기둥 형상, 입방체 형상, 직육면체 형상, 각뿔 형상, 원뿔 형상, 별 형상, 부정형상을 들 수 있다. 이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형상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형상 중에서도, 가시 파장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는 점에서, 구 형상, 입방체 형상, 직육면체 형상, 각뿔 형상, 별 형상이 바람직하고, 구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확산층(12)에 있어서 제1 수지와 제1 광 확산 미립자와의 굴절률 차를 가짐으로써,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광 확산 효과가 생긴다. 제1 수지의 굴절률을 Rxm,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굴절률을 Rxp로 하는 경우, 제1 수지의 굴절률(Rxm)과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굴절률(Rxp)의 차는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0.05 내지 0.30이 바람직하고, 0.06 내지 0.25가 보다 바람직하고, 0.07 내지 0.23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법선 휘도가 우수한 면 발광체를 얻고 싶은 경우에는, 제1 수지의 굴절률(Rxm)과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굴절률(Rxp)은 0.15 내지 0.30이 바람직하고, 0.16 내지 0.28이 보다 바람직하고, 0.17 내지 0.25가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에 있어서의 제1 수지와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수산화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탄산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아크릴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스티렌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우레탄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멜라민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수산화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탄산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아크릴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스티렌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우레탄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멜라민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광 확산 미립자가 수산화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탄산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아크릴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스티렌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우레탄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멜라민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확산층(12)에 있어서의 제1 수지와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조합 중에서도,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내열성, 역학 특성,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굴절률 차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며,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규소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수산화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탄산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아크릴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스티렌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우레탄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멜라민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 미립자가 바람직하고,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규소 미립자,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광 확산 미립자가 산화 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수산화알루미늄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탄산마그네슘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아크릴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스티렌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실리콘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우레탄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멜라민 수지 미립자, 제1 수지가 아크릴 수지이고 제1 광 확산 미립자가 에폭시 수지 미립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은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 내지 50질량%가 바람직하고, 12질량% 내지 4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내지 4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이 10질량% 이상이면,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확산층(12) 중의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이 50질량% 이하이면,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을 Px로, 요철 구조층(11)의 전체 질량에 대한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을 Py로 한 경우,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은 이하의 식 (1)을 만족한다.
Px-Py≥5질량% (1)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이 식 (1)을 만족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을 면 발광체에 사용하면,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는,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은 이하의 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질량%≤Px-Py≤50질량% (2)
제1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제2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이 식 (2)를 만족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을 면 발광체에 사용하면,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식 (2)에서의 하한값은 5질량%가 바람직하고,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식 (2)에서의 상한값은 50질량%가 바람직하고, 4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확산층(12)은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제1 수지, 제1 광 확산 미립자 이외에도 다른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이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방오성 향상제, 분산 안정제, 점도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확산층(12) 중의 다른 성분의 함유율은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성능 저하를 억제하는 점에서, 확산층(12)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질량%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 이하 내지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의 두께는 1㎛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2㎛ 내지 40㎛가 보다 바람직하고, 3㎛ 내지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확산층(12)의 두께가 1㎛ 이상이면,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확산층(12)의 두께가 50㎛ 이하이면,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광투과성이 우수하고,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여기서, 확산층(12)의 두께는 이하와 같이 산출한다.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확산층(12)의 저면부로부터 확산층(12)의 가장 높은 부위까지의 치수를 임의의 5군데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은 요철 구조(14)를 보호하고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취급성을 높이기 위해서, 요철 구조(14)를 갖는 표면에 보호 필름을 설치해도 된다. 보호 필름은 EL용 광 취출 필름을 사용할 때 박리하면 된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된 보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6))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은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서, 확산층(12)의 표면에 기재(16)를 설치해도 된다.
기재(16)로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한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을 투과하는 기재가 바람직하다.
기재(16)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ABS 수지 등의 스티렌 수지; 염화비닐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등의 이미드 수지;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재(16)의 재료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하고, 활성 에너지선의 투과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이미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미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기재(16)의 두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한 점에서, 10㎛ 내지 100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500㎛가 보다 바람직하고, 25㎛ 내지 300㎛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재(16)의 두께는 이하와 같이 산출한다.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기재(16)의 저면부로부터 기재(16)의 가장 높은 부위까지의 치수를 임의의 5군데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다.
기재(16)는 확산층(12)과 기재(16)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기재(16)의 표면에 접착 용이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접착 용이화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16)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는 방법, 기재(16)의 표면을 조면화 처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6)에는 접착 용이화 처리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 반사 방지, 기재끼리의 밀착 방지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은 EL 발광 소자(30)에 접착하기 위해서, 요철 구조(14)를 갖지 않는 측의 표면에 점착층(21)을 설치해도 된다. EL용 광 취출 필름(10)에 기재(16)를 갖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6)의 표면에 점착층(21)을 설치하면 된다.
점착층(21)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된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21)의 표면에는,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취급성을 높이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 필름(22)을 설치해도 된다. 보호 필름(22)은 EL 발광 소자(30)의 표면에 EL용 광 취출 필름(10) 등을 붙일 때 박리하면 된다.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요철 구조(14)의 반전 구조를 갖는 전사부가 복수 배열된 외주면을 갖는 롤형을 회전시켜, 상기 롤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롤형의 회전 방향으로 확산층(12)을 갖는 확산 시트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롤형의 외주면에 요철 구조층(11)의 수지 원료가 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공급하여, 상기 롤형의 외주면과 상기 확산 시트와의 사이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형의 외주면과 상기 확산 시트와의 사이의 영역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요철 구조층(11)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확산 시트는 전체로서 상술한 확산층(12)으로서 기능한다.
확산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16) 상에 확산층(12)의 수지 원료가 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및 광 확산 미립자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제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발광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케미컬 램프,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무전극 자외선 램프, 가시광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의 적산 광량은 사용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되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EL용 광 취출 필름(10)의 열화를 억제하는 점에서, 0.01J/cm2 내지 10J/cm2가 바람직하고, 0.5J/cm2 내지 8J/cm2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요철 구조층(11)을 형성한 뒤, 기재(16)를 박리해서 EL용 광 취출 필름(10)으로 해도 된다.
(면 발광체)
본 발명의 면 발광체는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면 발광체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면 발광체를 들 수 있다.
이하, 도 5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면 발광체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도 5에 도시하는 면 발광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하는 면 발광체는 유리 기판(31), 양극(32), 발광층(33), 음극(34)을 순차 적층하고 있는 유기 EL 발광 소자(30)와, 점착층(21)과, 광학 필름(10)을 포함한다. 유리 기판(31)의 유기 EL 발광 소자(30)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점착층(21)을 개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1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면 발광체는 색도 변화량(Δu' v')이 0.0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0.015가 바람직하고, 0.0005 내지 0.010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색도 변화량(Δu' v')이 작을수록,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억제된 것을 의미한다. 즉, 색도 변화량(Δu' v')이 작을수록, 면 발광체로부터 사출되는 광의 시야각 의존성이 낮아, 다양한 시야각으로부터 면 발광체를 관찰한 경우에도, 색 변화가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의미한다.
면 발광체의 색도 변화량(Δu' v')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된다.
면 발광체 상에, 직경 5mm의 구멍이 뚫린 두께 0.1mm의 차광 시트를 배치하였다. 이 상태에서, 유기 EL 발광 소자에 0.5A의 전류를 통전해서 점등했을 때의, 차광 시트의 직경 5mm의 구멍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휘도계로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0°),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1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2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3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4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5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6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7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75°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80°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각각 xy 표색계의 색도 x, y를 측정하고, 얻어진 색도 x, y를 CIE1976의 u'와 v'로 변환하였다. 각 각도의 u' 값 및 u'의 평균값을 횡축에, 각 각도의 v' 값 및 v'의 평균값을 종축에 플롯하고, u' 및 v'의 평균값을 플롯한 점으로부터 각 각도의 u' 및 v'의 값을 플롯한 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그 거리가 가장 길어질 때의 값을 색도 변화량으로 하였다.
유기 EL 발광 소자(30)에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10)을 설치한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의 향상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억제를 양립하는 점에서, 예를 들어 조명,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에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조명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부」 및 「%」는 「질량부」 및 「질량%」를 나타낸다.
(EL용 광 취출 필름의 단면 관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기종명 「S-4300-SE/N」, (주)히타치 하이테크놀러지즈 제조)을 사용해서 관찰하였다.
또한, EL용 광 취출 필름의 단면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을, 요철 구조의 정점을 지나고 또한 요철 구조의 저면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면도칼날을 사용해서 절단하여 관찰하였다.
(광 취출 효율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 상에 직경 5mm의 구멍이 뚫린 두께 0.1mm의 차광 시트를 배치하고, 이것을 적분구(랩스피어사 제조, 크기 6인치)의 샘플 개구부에 배치하였다. 이 상태에서, 유기 EL 발광 소자에 10mA의 전류를 통전해서 점등했을 때의, 차광 시트의 직경 5mm의 구멍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분광 계측기(분광기: 기종명 「PMA-12」(하마마쓰 포토닉스사 제조),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명 「PMA용 기본 소프트웨어 U6039-01ver.3.3.1」)로 측정하고, 표준 시감도 곡선에 의한 보정을 행하여, 면 발광체의 광자수를 산출하였다.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자수를 100%로 했을 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자수의 비율을, 광 취출 효율로 하였다.
(색도 변화량의 측정)
실시예, 비교예 및 참고예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 상에 직경 5mm의 구멍이 뚫린 두께 0.1mm의 차광 시트를 배치하였다. 이 상태에서, 유기 EL 발광 소자에 0.5A의 전류를 통전해서 점등했을 때의, 차광 시트의 직경 5mm의 구멍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휘도계(기종명 「BM-7」, 탑콘사 제조)로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0°),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1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2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3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4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5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6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70°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75° 경사진 방향, 면 발광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80° 경사진 방향으로부터, 각각 xy 표색계의 색도 x, y를 측정하고, 얻어진 색도 x, y를 CIE1976의 u'와 v'로 변환하였다. 각 각도의 u' 값 및 u'의 평균값을 횡축에, 각 각도의 v' 값 및 v'의 평균값을 종축에 플롯하고, u' 및 v'의 평균값을 플롯한 점으로부터 각 각도의 u' 및 v'의 값을 플롯한 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그 거리가 가장 길어질 때의 값을 색도 변화량으로 하였다.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을수록, 면 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억제된 것을 의미한다.
(재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후술하는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경화물의 굴절률 1.5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후술하는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경화물의 굴절률 1.60)
광 확산 미립자 A: 실리콘 수지 구 형상 미립자(상품명 「토스펄 120」,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굴절률 1.42, 부피 평균 입자 직경 2㎛)
유기 EL 발광 소자 A: Symfos OLED-010K(코니카 미놀타사 제조, 백색 OLED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표면의 광학 필름을 박리한 유기 EL 발광 소자
유기 EL 발광 소자 B: OLE-P0909-L3(파이오니아 OLED 라이팅 디바이스(주) 제조, 백색 OLED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표면의 광학 필름을 박리한 유기 EL 발광 소자
유기 EL 발광 소자 C: 유기 EL 조명 모듈 NZIP1102F(파나소닉(주) 제조, 백색 OLED 소자)의 광 출사면측의 표면의 광학 필름을 박리한 유기 EL 발광 소자
[참고예 1]
유기 EL 발광 소자 A를, 그대로 면 발광체로 하였다.
[참고예 2]
유기 EL 발광 소자 B를, 그대로 면 발광체로 하였다.
[참고예 3]
유기 EL 발광 소자 C를, 그대로 면 발광체로 하였다.
[제조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의 제조)
유리로 만든 플라스크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7.6g(0.7몰) 및 이소시아누레이트형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151.2g(0.3몰),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128.7g(0.99몰) 및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693g(1.54몰), 촉매로서 디라우릴산디-n-부틸주석 22.1g, 및 중합 금지제로서 히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0.55g을 투입하고, 75℃로 승온하여, 75℃로 유지한 채 교반을 계속해서, 플라스크 내의 잔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농도가 0.1몰/L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우레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우레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35부,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아크리에스테르 PBOM」, 미쯔비시 레이온(주) 제조) 20부,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뉴 프런티어 BPEM-10」,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40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상품명 「뉴 프런티어 PHE」,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주) 제조) 5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BASF)사 제조) 1.2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얻었다.
[제조예 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제조)
플루오렌 다관능 아크릴레이트(상품명 「오그솔 EA-HR034」) 70부,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아크리에스테르 PBOM」, 미쯔비시 레이온(주) 제조) 10부, 에톡시화 비스페놀 A 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ABE-300」,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 20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BASF)사 제조) 1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얻었다.
[제조예 3]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平型)의 제조)
100mm 사방의 강제의 평형에, 두께 200㎛, 비커스 경도 200Hv의 구리 도금을 실시하였다. 구리 도금층의 표면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레이저 노광, 현상 및 에칭을 행하여, 구리 도금층에 직경 50㎛, 깊이 25㎛의 반구 형상의 오목부가 최소 간격 3㎛로 육방 배열로 나열되어 있는 전사부가 형성된 형을 얻었다. 얻어진 형의 표면에, 방청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크롬 도금을 실시하고,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을 얻었다.
[제조예 4]
(사각뿔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의 제조)
100mm 사방의 스테인리스제 평형에, 두께 200㎛, 비커스 경도 500Hv의 무전해 니켈-인 도금을 실시하였다. 무전해 니켈-인 표면을 선단 반경 20mm의 단결정 다이아몬드바이트를 사용해서 절삭 가공을 행하고, 평형을 경면 가공을 실시하였다. 계속해서, 선단 꼭지각 90°를 갖는 단결정 다이아몬드바이트를 사용해서 피치 50㎛, 깊이 25㎛의 V 홈을 직행하는 2 방향으로 절삭 가공하여, 사각뿔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을 얻었다.
[실시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80% 및 광 확산 미립자 A 2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유기 EL 발광 소자 A의 광 출사면측에, 점착층으로서 카길 표준 굴절액(굴절률 1.52, (주)모리테크스 제조)을 도포하고,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의 기재의 면을 광학 밀착시켜,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중간층 및 확산층의 합계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의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을 도 7에 나타내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80% 및 광 확산 미립자 A 2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95% 및 광 확산 미립자 A 5%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80% 및 광 확산 미립자 A 20%를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중간층 및 확산층의 합계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중간층 및 확산층의 합계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의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을 도 6에 나타내었다.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산출한 광학 필름의 요철 구조의 크기는 평균 최장 직경(Aave)이 48㎛, 평균 높이(Bave)가 24㎛이며, 거의 롤형의 오목부의 크기에 대응한 반구 형상의 돌기가 얻어졌다. 또한,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한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의 요철 구조는, 롤형에 대응해서 최소 간격 5.5㎛로 육방 배열로 배열되고, EL용 광 취출 필름의 면적에 대한 요철 구조의 저면부의 면적의 비율은 73%이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3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중간층 및 확산층의 합계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사각뿔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6]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95% 및 광 확산 미립자 A5%를,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사각뿔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사각뿔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중간층 및 확산층의 합계 두께가 10㎛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 내지 20]
유기 EL 발광 소자 A 대신 유기 EL 발광 소자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 내지 14와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각각 실시예 17 내지 20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1]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70% 및 광 확산 미립자 A 30%를 혼합한 혼합물을 경면 스테인리스판에 도포하고, 그 위에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쯔비시 주시(주) 제조)를 놓고, 확산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경면 스테인리스판을 박리하여, 기재 상에 확산층을 갖는 확산 시트를 얻었다.
계속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제조예 3에서 얻어진 반구 형상의 요철 구조의 전사부를 갖는 평형에 도포하고, 그 위에 얻어진 확산 시트를 확산층을 갖는 면을 아래로 해서 놓고, 중간층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닙롤로 균일하게 폈다. 그 후, 기재 상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시키고, 평형을 박리하여, EL용 광 취출 필름을 얻었다.
사용하는 EL용 광 취출 필름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유기 EL 발광 소자 B의 광 출사면측에, 점착층으로서 카길 표준 굴절액(굴절률 1.52, (주)모리테크스 제조)을 도포하고,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의 기재 면을 광학 밀착시켜,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2 내지 24]
확산층의 두께를 10㎛, 20㎛, 30㎛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각각 실시예 22 내지 24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유기 EL 발광 소자 A 대신 유기 EL 발광 소자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6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비교예 8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내지 11]
확산층의 두께를 10㎛, 20㎛, 30㎛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8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각각 비교예 9 내지 11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5 내지 32]
유기 EL 발광 소자 A 대신 유기 EL 발광 소자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내지 10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각각 실시예 25 내지 32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2]
유기 EL 발광 소자 A 대신 유기 EL 발광 소자 B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비교예 12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3 내지 15]
확산층의 두께를 10㎛, 20㎛, 30㎛로 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2와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각각 비교예 13 내지 15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3 내지 39]
유기 EL 발광 소자 B 대신 유기 EL 발광 소자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7 내지 23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각각 실시예 33 내지 39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6 내지 19]
유기 EL 발광 소자 B 대신 유기 EL 발광 소자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8 내지 1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비교예 16 내지 19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0 내지 47]
유기 EL 발광 소자 B 대신 유기 EL 발광 소자 C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5 내지 32와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각각 실시예 40 내지 47의 면 발광체를 얻었다. 얻어진 면 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 색도 변화량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및 2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20질량%이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15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2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및 2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색도 변화량이 크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2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이 떨어졌다.
실시예 3 내지 6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3 내지 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3 내지 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 내지 6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두께를 30㎛까지 증가시킨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3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실시예 3 내지 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와 비교해서 광 취출 효율이 떨어졌다.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수지와 요철 구조층의 수지가 상이한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확산층의 수지의 굴절률이, 요철 구조층의 수지의 굴절률보다 작은 경우에는, 법선 휘도가 보다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비교예 4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4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4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떨어졌다.
실시예 11 내지 14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1 내지 14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11 내지 14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14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수지와 요철 구조층의 수지가 상이한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5 및 비교예 6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5 및 비교예 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5 및 비교예 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떨어졌다.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5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며,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25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5 및 실시예 16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요철 구조가 사각 추인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7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7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7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이 떨어졌다.
실시예 17 내지 20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7 내지 20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17 내지 20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7 내지 20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수지와 요철 구조층의 수지가 상이한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21 내지 24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21 내지 24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8 내지 11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8 내지 1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8 내지 1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이 떨어졌다.
실시예 25 내지 28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5 내지 28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25 내지 28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5 내지 28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두께를 30㎛까지 증가시킨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한편, 비교예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12 내지 15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실시예 25 내지 28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와 비교해서 광 취출 효율이 떨어졌다.
실시예 29 내지 32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9 내지 32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29 내지 32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9 내지 32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수지와 요철 구조층의 수지가 상이한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확산층의 수지의 굴절률이, 요철 구조층의 수지의 굴절률보다 작은 경우에는, 법선 휘도가 보다 개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33 내지 36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수지와 요철 구조층의 수지가 상이한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37 내지 39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37 내지 39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6 내지 19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예 16 내지 19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0질량%이다. 비교예 16 내지 19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과, 법선 휘도가 떨어졌다.
실시예 40 내지 43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40 내지 43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40 내지 43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0 내지 43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두께를 30㎛까지 증가시킨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실시예 44 내지 47에서 얻어진 EL용 광 취출 필름은 확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x)과, 요철 구조층 전체 질량에 대한 광 확산 미립자의 함유율(Py)의 관계가 Px-Py≥5질량%를 만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44 내지 47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Px-Py가 30질량%이다.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44 내지 47에서 얻어진 면 발광체는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또한 색도 변화량이 작으므로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4 내지 47에서 얻어진 결과로부터, 확산층의 수지와 요철 구조층의 수지가 상이한 경우에도, 광 취출 효율 및 법선 휘도가 우수하고,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았다. 또한, 확산층의 수지의 굴절률이, 요철 구조층의 수지의 굴절률보다 작은 경우에는, 법선 휘도가 보다 개선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EL용 광 취출 필름에 의해, 광 취출 효율의 향상 및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의 억제를 양립하는 면 발광체를 얻을 수 있고, 이 면 발광체는 예를 들어 조명,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