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564B1 - Brown rice having scratch along the grai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Brown rice having scratch along the grai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7564B1 KR101847564B1 KR1020160084978A KR20160084978A KR101847564B1 KR 101847564 B1 KR101847564 B1 KR 101847564B1 KR 1020160084978 A KR1020160084978 A KR 1020160084978A KR 20160084978 A KR20160084978 A KR 20160084978A KR 101847564 B1 KR101847564 B1 KR 1018475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brown rice
- rice
- grain
- scra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6748 scra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2393 scratch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2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ato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claims 2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3014 Chazara brise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683 Pediatric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8 scratch resist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35 viscer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7—Treatment of whole grai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과 내부의 전분층 및 쌀눈인 배아부로 이루어진 현미에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현미의 길이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으로 전분층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현미의 길이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으로 전분층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전에 물에 불리지 않고도 바로 취사하더라도 시식에 적당한 찰기를 갖는 현미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forming a scratch groove on a brown rice comprising a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made of a pericarp, a seed coat, a horny layer, etc., an inner starch layer and an embryo of a rice gra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wn rice in which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a grain direction formed by forming one or more grain boundary scratch grooves so as to reach the starch layer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rice bran lay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rown rice having a stickiness suitable for tasting even if it is cooked without water beforehand by forming at least one row direction scratch groove so as to reach the starch la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own rice or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미의 길이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으로 전분층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전에 물에 불리지 않고도 바로 취사하더라도 시식에 적당한 찰기를 갖는 현미밥을 제공할 수 있는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wn rice having scratch grooves formed in a grain direction and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own rice having scratch grooves formed in a grain dire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wn rice having a scratch groove formed in a grain direction so as to provide a brown rice having a stickiness suitable for tasting even if it is cooked without water beforehand, and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brown rice.
일반적으로 현미는 수확한 벼를 건조하여 탈곡한 후 고무 롤러로 된 기계로 쌀겨층(또는 왕겨층) 만을 벗긴 쌀을 말한다. 즉, 벼의 최 외곽에 있는 왕겨층을 도정(搗精)하여 만들어지는데, 쌀겨층을 대략 1회 정도 벗겨낸 것이 현미다. 그리고, 10회 정도 도정하여 쌀 표면의 표피 대부분을 깍어서 제조된 것이 바로 일반적으로 백미(白米)라고 불리며 밥을 해서 섭취하고 있는 쌀이다. Generally, brown rice refers to rice in which rice bran layer (or rice husk layer) is stripped by a machine made of rubber roller after drying harvested rice and threshing. In other words, it is made from rice husk layer at the outermost part of rice, and rice bran layer is roughly peeled about once. And it is rice which is made by cutting the most part of the surface of rice surface roughly 10 times and is generally called white rice and it is consumed by rice.
현미의 구조는 크게 보면 바깥쪽부터 겉껍질, 중과피, 횡세포, 관상세포를 갖는 과피(果皮)·종피(種皮)·외배유·호분층(糊粉層)·녹말세포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과 내부의 전분층 그리고 쌀눈인 배아부로 이루어져 있다. 쌀겨층의 호분층은 단백질, 지방이 많아서 단지립층이라고도 하고, 전분세포는 막이 엷고 다량의 전분을 함유하며 단백질도 함유하나 외부보다는 적으며, 호분층 및 배아는 단백질, 지방, 비타민류가 풍부하지만 도정으로 제거된다. 배젖 또는 배유부라고도 불리우는 전분층은 주로 녹말 입자로 차 있고, 강층을 벗겨 백미로서 식용하는 부분이다. 현미를 이루는 부분들은 쌀겨층인 강층이 5∼6%, 배아부가 2∼3%, 전분층이 92%의 중량 비율로 되어있다. 따라서 현미를 정미기로 도정하면 약 8%의 중량 손실이 일어나며, 현미 92%의 백미를 얻을 수 있다. 현미를 도정하여 백미로 만드는 과정에서 벗겨져 버려지는 강층과 배아부에는 쌀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섬유질, 비타민B, 무기질 등이 포함되어 있어 백미보다는 현미가 건강에 더 좋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런 현미는 어린이에게는 소아 비만을 방지해 주고 체질을 개선시켜 주며 성인들에게는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만성변비, 비만, 심장병 등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크게 기여하고 있다. 또한, 다량의 식이 섬유가 들어있어 과다한 영양소를 흡착하여 배설하여 비만의 고통을 덜어주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영향이 풍부한 현미로 현미밥을 매일 지어먹는다면 내장의 작용이 활발해지고 체질개선에도 효과가 있으며 건강에 매우 도움이 된다 하겠다. The brown rice structure is composed of a rice bran layer consisting of rice bran layer consisting of outer shell, mesophyll, transverse cell, cornified cell, pericarp, seed bran, outer bran, An inner starch layer, and an embryo, a rice grain. The rice bran layer is rich in protein and fat. It is also called the lip layer. The starch cell has a thin film, contains a large amount of starch, contains protein but less than the outer part. The phyllite and embryo are rich in protein, fat and vitamins. Removed. The starch layer,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an endosperm or bladder part, is mainly made of starch particles and peels off the steel layer and is edible as white rice. The brown rice parts have a weight ratio of 5 to 6% for the rice bran layer, 2 to 3% for the embryo part and 92% for the starch layer. Therefore, when the rice is ground with the rice, the weight loss of about 8% occurs, and rice white of 92% can be obtained. It is well known that brown rice is healthier than white rice because it contains most of the fiber, vitamin B, and minerals that make up rice in the steel layer and embryo which are stripped off in the process of making brown rice and making it white rice. This brown rice prevents childhood obesity and improves the constitution and contributes greatly to prevention of diabetes, hypertension, arteriosclerosis, chronic constipation, obesity and heart disease to adults. Also, it is known that it has the effect of absorbing excessive nutrients and eliminating the pain of obesity by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dietary fiber. Therefore, if you eat brown rice every day with a rich brown rice, the action of internal organs will become active, and it will be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nstitution and it will be very helpful for your health.
그러나 쌀겨층인 강층에는 지방성분이 많아 물이 투과하기 어려우므로 현미를 취반할려면 현미를 오랫동안 물에 불리거나 또는 압력솥에 취반하여야 하는데, 물에 오랫동안 불리는 방법은 불편하며, 압력솥에 취반하면 고온이므로 영양소가 파괴되는 단점이 있고, 취반 후에도 역시 강층이 전분층을 그대로 둘러 싸고 있으므로 현미를 씹을 때 백미보다 단단하고 미끄러운 느낌이 드는 등 식감이 백미에 비하여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rice bran layer is rich in fat, it is difficult for water to penetrate. Therefore, brown rice must be cooked in water or in a pressure cooker for a long time in order to cook brown rice. It is inconvenient to use water for a long tim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eel layer surrounds the starch layer even after the cooking, so that when the brown rice is chewed, it is harder and slippery than the white rice.
이에 현재에는 치료 목적의 의료 보조용 건강식으로만 사용하고 있으며, 혹은 일반 가정에서 가족의 건강을 위해 잡곡용으로서만 사용되고 있어 건강에 아주 유익한 현미를 식생활에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own rice which is very useful for health is not effectively used for the dietary life because it is currently used only as a medical aid for healthcare purposes for treatment purposes or as a food for the health of the family in general households.
따라서 현미를 편리하게 식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많은 발명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그 발명들이 현실화하려면 많은 시간 및 공정들을 거쳐야 하므로 현미의 최종가격이 상당히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Accordingly, many inventions have been made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brown rice. However, since the inventions have to go through a lot of time and processes in order to realize the inven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final price of brown rice increases considerably.
이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외곽 케이스를 이루는 본체와,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re has been proposed a "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하면서 가공할 현미를 가지런히 정렬시키는 진동피딩형 호퍼와, 상기 호퍼에서 정렬된 현미를 하방으로 정량 공급하는 현미 정량공급통과, 상기 현미 정량공급통의 하방에 설치되고 원주면에 다수의 챔버를 가진 탄성부재가 감싸여져 공급되는 현미를 챔버에 수용하여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회전로울러와, 상기 챔버에 수용된 현미가 챔버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여 주는 가압판과, 상기 챔버에 수용되어 이송되어 온 현미의 표피층과 전분층 일부에 스크래치홈을 형성하는 스크래칭 로울러와, 상기 회전로울러의 하방에 설치되어 가공된 현미를 받아 하방으로 이송시키고 가공시 발생되는 미강가루를 선별하여 제거하는 풍력 선별기구부와, 상기 풍력 선별기구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가공 현미에 섞여있는 잔류 미강가루와 싸래기를 선별하는 이물질 선별기구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물질 선별기구부에서 선별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구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공된 현미를 배출하는 가공현미 배출구와, 상기 회전로울러와 스크래칭 로울러 및 나선형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현미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 선별기구부는 스크래칭 로울러에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를 받아내는 가공현미 포집함과, 상기 가공현미 포집함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로울러 측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탄성부재에 부착된 미강가루를 부유시키는 에어분사노즐과, 부유된 미강가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미 가공장치."가 특허등록 제10-1296710호가 제안된 바 있었다.A vibrating feed hoppe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rranged to uniformly sort brown rice to be processed while being vibrated by a vibrator, a brown rice fixed amount feed passage for feeding the brown rice sorted in the hopper downward, A rotating plate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chambers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ccommodating the supplied brown rice in a chamber and transporting the same in a rotating direction, a pressing plate for preventing the brown rice contained in the chamber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hamber, A scratching roller which forms a scratch groove on a part of the starch layer and a skin layer of brown rice received and transported in the chamber and a scratching roller which is installed below the rotating roller and transports the processed brown rice downward, And a wind turbine section provided below the wind power separating mechanism section, A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for discharging foreign substances selected by the foreign matter sorting mechanism portion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processed brown rice,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ting roller, the scratching roller and the spiral screw, wherein the wind force selecting mechanism includes a processed brown rice collecting box for receiving the brown rice formed with the scratch grooves in the scratching roller, An air jet nozzle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rocessed brown rice collecting compartment and emits air to the rotating roller side to suspend rice bran powder attach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 blower which sucks the suspended rice bran powde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Processing Apparatus. &Quot;, Patent Registration No. 10-1296710 has been proposed All.
그러나, 이런 종래의 현미 가공장치를 통해서 얻은 스크래치가 형성된 현미는, 도 7과 같이, 현미의 쌀겨층인 강층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결방향이 아니고 결방향의 직각방향인 세로방향으로 1개 내지는 2개의 스크래치가 형성되는바, 이는 현미의 스크래치 가공시 현미를 길이방향 또는 결방향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이 상태에서 현미를 고정시키면서 스크래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고도의 세밀함과 정밀함을 요구하는 어려운 작업이기 때문이다.However, as shown in Fig. 7, the scratch formed brown rice obtained through such a conventional brown rice processing machine is not a grain direc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which is brown rice bran layer, but a grain direction of 1 to 2 Scratches are formed. This is because it is not easy to place the brown ri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grain direction when scratching the brown rice. In this state, performing the scratching while fixing the brown rice requires a high degree of fineness and precision It is a difficult task.
이에 따라 종래에는 현미의 세로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과 직각방향에서 보다 수월하게 스크래치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렇게 세로방향 1~2개의 스크래치를 갖도록 가공된 현미는 오돌 토돌한 여러 개의 높낮이를 갖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과 직각방향에서 스크래치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부분에서만 현미의 단단한 쌀겨층인 강층을 통과하여 전분층에 도달하는 스크래치가 형성될 뿐 대부분의 스크래치는 현미의 강층을 통과하지 못하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scratching operation is performed more easi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own rice o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However, the brown rice processed to have one to two scratch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ince scratching is per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in direction of the rice bran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only scratches reaching the starch layer through the steel layer, which is a hard rice bran layer of the brown r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formed.
이에 따라 대부분의 스크래치 가공된 현미는 그 스크래치 깊이가 필요에 못미치므로 그냥 밥을 지을 경우 현미밥이 설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에 따라 현미를 물에 불려서 현미밥을 지어야 되는 불편함이 제대로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As a result, most of the scratch-processed brown rice has a problem that scratch depth is less than necessar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when rice is cooked, brown rice is cooked, and accordingly, inconvenience that a brown rice is cooked in water, .
또한, 이렇게 스크래치 가공을 위한 투입된 현미 중에서 10~20% 만이 단단한 쌀겨층인 강층에 스크래치가 형성되고, 이렇게 스크래치가 형성된 현미 중에서 단단한 쌀겨층인 강층을 통과하여 전분층에 까지 도달되는 스크래치가 제대로 형성된 현미는 10% 내외이므로 현실적으로 현미의 스크래치 가공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cratches are formed on the steel layer, which is a hard rice bran layer only by 10 to 20% of the added brown rice for the scratching process, and scratches that reach the starch layer through the steel layer, which is a hard rice bran layer, Since the brown rice is about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atch processing efficiency of the brown rice is drastically decreased.
이로 인해 판매되는 스크래치가 형성된 현미에는 단단한 쌀겨층인 강층을 통과하여 전분층에 까지 도달되는 스크래치가 제대로 형성된 현미가 적고 또한 가격이 아주 비싸게 책정되어 일반인이 구입하기에는 너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atch formed in the sold brown rice sold through the scratch-resistant rice bran layer passes through the steel layer, which reaches the starch layer, is scarce and the price is very expensive.
또한, 이렇게 세로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과 직각방향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가공된 현미는 그 형성된 스크래치의 길이가 짧고 깊이도 깊지 않으므로 물에 불리지 않고 즉석으로 밥을 지을 경우, 쌀겨층인 강층 내부의 전분층이 불려지는 정도가 약하게 나타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The processed brown rice in which the scratch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has a short scratch length and does not have a deep depth so that when rice is instantly cooked without water,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the calling of the starch layer inside was weak.
즉, 취사시 물이 쌀겨층인 강층을 거쳐 내부의 전분층으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수행하는 스크래치의 길이가 너무 짧고 그에 따라 벌어지는 폭도 좁게 형성되므로 취사시 내부의 전분층이 잘 불려지지 않고 일부만이 불려져 취사후 일부만이 취사에 적합하게 이루어져 고른 익힘 정도를 갖는 취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length of the scratches serving 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into the starch layer through the steel layer which is the rice bran layer during cooking is too short and the width spreading accordingly becomes narrow, the starch layer inside the cooking chamber is not well- And only a part thereof is adapted to the cooking after the cooking,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oking with the degree of cooking is not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미의 길이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으로 전분층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전에 물에 불리지 않고도 바로 취사하더라도 시식에 적당한 찰기를 갖는 현미밥을 제공할 수 있는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와 그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starch layer by forming one or more grain boundary scratch grooves so as to reach the starch la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own ric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rown rice having a scratch groove formed in a grain direction that can provide a brown rice having an appropriate stickines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는,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과 내부의 전분층 및 쌀눈인 배아부로 이루어진 현미에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rown rice in which the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rice bran layer consisting of a pericarp, a seed coat, a bran layer and the like, In forming the scratch groove in the brown rice consisting of the embryo part of rice,
상기 현미의 길이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으로 전분층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And one or more grain boundary scratch grooves are formed so as to reach the starch la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own rice or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상기 결방향 스크래치홈은 2개인 특징이 있다. The grain boundary scratch grooves have two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장치는,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과, 내부의 전분층 및 쌀눈인 배아부로 이루어진 현미에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에 있어서,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rown rice in which the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made of a pericarp, a seed coat, a horny layer, etc., and an inner starch layer and a rice- In forming a scratch groove in brown rice,
쌀겨층인 강층과 전분층 및 배아부를 갖는 현미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다수개의 가공요부를 갖고 상기 가공요부에 나열된 다수개의 현미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가공요부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고 현미의 폭보다 작은 가공장홈을 갖는 현미투입가공판;A rice bran layer, a starch layer, and a brown rice having an embryo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and a plurality of brown rice pieces arranged in the processed concave portion are slid to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 a machining grooves having a length longer tha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brown rice, in the lower central portion of the processed concave portion;
상기 현미투입가공판의 다수개 가공장홈 상부에 축결합되어 가공요부의 가공장홈에 위치된 현미를 가공요부에 밀착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미끄럼방지부재를 갖는 밀착지지로울러; 및A tight contact support roller having a non-slip member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machining grooves of the preform and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ile slidably moving and supporting the bristles located in the machining grooves of the machined concave portions; And
상기 현미투입가공판의 다수개 가공장홈 하부에 축결합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가공장홈을 통해서 현미 하부에 쌀겨층인 강층을 거쳐 전분층에 이르도록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하나 이상 형성시키는 스크래치날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갖는 스크래칭로울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A scratch blade for forming at least one grain boundary scratch groove so as to reach the starch layer through a steel layer which is a blanched layer at the bottom of the brown rice through the machining grooves while being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being axi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plurality of processing grooves of the pre- And a scratching roller having a plurality of scratching roll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방법은,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과, 내부의 전분층 및 쌀눈인 배아부로 이루어진 현미에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에 있어서,The method for producing brown rice in which the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consisting of a pericarp, a seed coat, a horny layer, etc., and an inner starch layer and rice- In forming a scratch groove in brown rice,
상하부로 길게 요부형성된 가공요부가 좌우측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하부에 현미의 폭보다 작은 가공장홈이 형성되며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현미투입가공판의 가공요부에 현미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미결방향 일렬나열 슬라이딩과정A plurality of machined concave portions formed with long lips at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processing grooves smaller than the width of brown rice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brown rice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And the sliding direction is a sliding sequence in which the sliding direction
미끄럼방지부재를 갖고 축결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밀착지지로울러가 상기 현미투입가공판의 가공요부의 가공장홈 상부에서 길이방향 또는 강층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현미를 가공요부에 밀착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 및 And a contact supporting roller which is axially coupled with the non-slidable member and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closely contacts and supports the brist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on the machining recess in the machining recess in the machining recess, A hermit seal sliding process; And
축결합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스크래칭로울러의 다수개 스크래치날이 상기 현미투입가공판의 다수개 가공장홈 하부에서 상기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에 의해 가공요부에 밀착지지되면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미의 저면에 쌀겨층인 강층을 통과하여 전분층에 까지 미치는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침홈을 형성시키는 결방향 스크래치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A plurality of scratch blades of the scratching rollers which are axially coupled and rotated counterclockwise are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machining recesses by the above-mentioned microscopic sliding process at the lower part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grooves of the above- A scratch forming process for forming at least one directional scratching groove through the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to the starch layer.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현미의 길이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의 결방향으로 전분층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전에 물에 불리지 않고도 바로 취사하더라도 시식에 적당한 찰기를 갖는 현미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row direction scratch groove is formed so as to reach the starch lay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own rice or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which is a rice bran layer, so that even when cooked without water in advance, Can be provided.
또한, 결방향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의 가공율이 95% 이상으로 안정적이고 빠르게 이루어져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chining rate of the brown rice formed with the grain boundary scratch grooves is 95% or more, which is stable and quick, and thus the working efficiency is greatly improved.
이에 따라, 결방향 스크래치홈을 갖는 현미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시중에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by, there is an effect that a brown rice product having a grain direction scratch groove can be provided on the market at a lower cost.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Of course,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장치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장치의 요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장치의 현미투입가공판과 밀착지지로울러 및 스크래칭로울러의 보습을 보인 요부확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방
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한 순서도,
도 7은 종래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의 모습을 보인 정면사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ape of a brown rice in which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a grain direc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brown rice in which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rown rice in which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brown rice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main part showing the moistening of the sticking support roller and the scratching roller,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icro-
A flowchart showing the law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brown rice in which a scratch groove is formed in the prior art.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and the like.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는,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43)과 내부의 전분층(42) 및 쌀눈인 배아부(41)로 이루어진 현미(40)에 스크래치홈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상기 현미(40)의 길이방향 또는 쌀겨층인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전분층(42)에 도달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형성시켜서 이루어진다. 상기 현미(40)의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은 2개인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rown rice in which the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본 발명의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장치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43)과, 내부의 전분층(42) 및 쌀눈인 배아부(41)로 이루어진 현미(40)에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형성시키는 장치로, 현미(40)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현미투입가공판(10)과, 현미투입가공판(10) 상에서 현미(40)를 밀착지지하면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밀착지지로울러(20)와, 상기 밀착지지로울러(20)에 의해 현미투입가공판(10)에 밀착지지되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미(40)의 저면에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형성시키는 스크래칭로울러(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the apparatus for producing brown rice in which the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은, 쌀겨층인 강층(43)과 전분층(42) 및 배아부(41)를 갖는 현미(40)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다수개의 가공요부(11)를 갖고 상기 가공요부(11)에 결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현미(4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가공요부(11)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고 현미(40)의 폭보다 작은 가공장홈(12)을 갖는다. The brown
상기 밀착지지로울러(20)는,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의 다수개 가공장홈(12) 상부에 축결합되어 가공요부(11)의 가공장홈(12)에 위치된 현미(40)를 가공요부(11)에 밀착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미끄럼방지부재(21)를 갖는다. The close
상기 스크래칭로울러(30)는,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의 다수개 가공장홈(12) 하부에 축결합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가공장홈(12)을 통해서 현미(40) 하부에 쌀겨층인 강층(43)을 거쳐 전분층(42)에 이르도록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하나 이상 형성시키는 스크래치날(31)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갖는다. The scratching
이런, 본 발명의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방법은, 도 6과 같이, 과피(果皮)·종피(種皮)·호분층(糊粉層) 등으로 이루어진 쌀겨층인 강층(43)과, 내부의 전분층(42) 및 쌀눈인 배아부(41)로 이루어진 현미(40)에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현미투입가공판(10)의 다수개 가공요부(10)에 현미(40)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현미결방향 일렬나열 슬라이딩과정(100)과, 상기 현미결방향 일렬나열 슬라이딩과정(100)에 의해 현미투입가공판(10)에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현미(40)를 현미투입가공판(10)에 밀착시키면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110)과, 상기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110)에 의해 현미투입가공판(10)에 밀착시키면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미(40)의 저면에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형성시키는 결방향 스크래치형성과정(120)이다.As shown in FIG. 6,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own rice in which scratch grooves are formed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현미결방향 일렬나열 슬라이딩과정(100)은, 상하부로 길게 요부형성된 가공요부(10)가 좌우측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하부에 현미(40)의 폭보다 작은 가공장홈(12)이 형성되며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현미투입가공판(10)의 가공요부(11)에 현미(40)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이다.The hemispherical grain-oriented single
상기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110)은, 미끄럼방지부재(21)를 갖고 축결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밀착지지로울러(20)가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 가공요부(11)의 가공장홈(12) 상부에서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현미(40)를 가공요부(11)에 밀착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과정이다. The hemispherical sliding
상기 결방향 스크래치형성과정(120)은, 축결합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스크래칭로울러(30)의 다수개 스크래치날(31)이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의 다수개 가공장홈(12) 하부에서 상기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110)에 의해 가공요부(11)에 밀착지지되면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미(40)의 저면에 쌀겨층인 강층(43)을 통과하여 전분층(42)에 까지 미치는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침홈(44,45)을 형성시키는 과정이다.A plurality of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갖는 현미(40)는, 결방향 스크래치(44,45)의 길이가 길고 깊이도 깊으므로 사전에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취사하더라도 취사시 열기를 갖는 수분이 최대한 길고 깊은 결방향 스크래치(44,45)를 통해서 현미(40) 내부의 전분층(43)이 쉽게 불려서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익힘으로써 시식에 적당한 찰기를 갖고 소화도 용이한 현미밥을 바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10 : 현미투입가공판 11 : 가공요부
12 : 가공장홈
20 : 밀착지지로울러 21 : 미끄럼방지부재
30 : 스크래칭로울러 31 : 스크래치날
40 : 현미 41 : 배아부
42 : 전분층 43 : 강층
44,45 : 결방향 스크래치홈
100 : 현미결방향 일렬나열 슬라이딩과정
110 :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
120 : 결방향 스크래치형성과정10: Brown rice putter plate 11: Processed knee
12: Machining groove
20: tight contact support roller 21: non-slip member
30: scratching roller 31: scratch blade
40: brown rice 41: embryo part
42: starch layer 43:
44,45: Edge direction scratch groove
100: Sliding course in the row direction
110: Sliding process with brown rice
120: Cross-directional scratch formation process
Claims (4)
쌀겨층인 강층(43)과 전분층(42) 및 배아부(41)를 갖는 현미(40)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는 다수개의 가공요부(11)를 갖고 상기 가공요부(11)에 결방향으로 나열된 다수개의 현미(4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며 상기 가공요부(11)의 하부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길고 현미(40)의 폭보다 작은 가공장홈(12)을 갖는 현미투입가공판(10);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의 다수개 가공장홈(12) 상부에 축결합되어 가공요부(11)의 가공장홈(12)에 위치된 현미(40)를 가공요부(11)에 밀착지지하고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미끄럼방지부재(21)를 갖는 밀착지지로울러(20); 및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의 다수개 가공장홈(12) 하부에 축결합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가공장홈(12)을 통해서 현미(40) 하부에 쌀겨층인 강층(43)을 거쳐 전분층(42)에 이르도록 결방향 스크래치홈(44,45)을 하나 이상 형성시키는 스크래치날(31)을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갖는 스크래칭로울러(3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장치.A rice bran 40 composed of a steel layer 43 which is a rice bran layer made of pericarp, seed coat and an austenitic layer and an inner starch layer 42 and rice germanium embryo 41, In forming the scratch groove,
The rice bran 40 having the rice bran layer 43, the starch layer 42 and the embryo 41 has a plurality of processed concave portions 11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row direction of the steel layer 43 A plurality of brown rice (40)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grain in the processed concave portion (11) are kept at a constant inclination angle so as to be slid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and the lower and central portions of the processed concave portion (11) (10) having a processing groove (12) smaller in width than the width;
The brown rice 40 which is axially joined to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processing grooves 12 of the raw brown rice inflow plate 10 and is located in the processing grooves 12 of the processing concave portions 11 is pressed against the processed concave portions 11, (20) having a non-slidable member (21) that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hile being rotated; And
The raw brown ric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under the plurality of processing grooves 12 of the stencil insert 10 so as to be rotated through the processing grooves 12 through the steel layer 43 which is a rice bran layer under the brown rice 40, And a scratching roller (30) having a plurality of scratch blades (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t least one row direction scratch groove (44, 45) so as to reach the layer (42) A device for manufacturing a brown rice with grooves.
상하부로 길게 요부형성된 가공요부(10)가 좌우측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하부에 현미(40)의 폭보다 작은 가공장홈(12)이 형성되며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현미투입가공판(10)의 가공요부(11)에 현미(40)가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어 자중에 의해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미결방향 일렬나열 슬라이딩과정(100);
미끄럼방지부재(21)를 갖고 축결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밀착지지로울러(20)가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 가공요부(11)의 가공장홈(12) 상부에서 길이방향 또는 강층(43)의 결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된 현미(40)를 가공요부(11)에 밀착지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110); 및
축결합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스크래칭로울러(30)의 다수개 스크래치날(31)이 상기 현미투입가공판(10)의 다수개 가공장홈(12) 하부에서 상기 현미밀착슬라이딩과정(110)에 의해 가공요부(11)에 밀착지지되면서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현미(40)의 저면에 쌀겨층인 강층(43)을 통과하여 전분층(42)에 까지 미치는 하나 이상의 결방향 스크래침홈(44,45)을 형성시키는 결방향 스크래치형성과정(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방향으로 스크래치홈이 형성된 현미 제조방법.A rice bran 40 composed of a steel layer 43 which is a rice bran layer made of pericarp, seed coat and an austenitic layer and an inner starch layer 42 and rice germanium embryo 41, In forming the scratch groove,
A plurality of machining recesses 10 are form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chining recess 10 i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machining groove 12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brown rice 4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100) in which a brown rice (40) i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a grain direction of a steel layer (43) and slidingly mov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in a grain-oriented direction (11);
The contact support roller 20 which is pivo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the nonskid member 21 is pivo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teel layer 43 at the upper part of the machining recess 12 of the machining recess 11, A hermitically closing sliding process 110 for slidingly moving the brown rice 40 arranged in a row in the grain direction of the cutting blade 11 while closely supporting the processed rice bobbin 11; And
A plurality of scratch blades 31 of a scratching roller 30 which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scratching rollers 30 is rotated by the microscopic sliding process 110 under the plurality of processing grooves 12 of the micro- One or more grain boundary scraping grooves 44 and 45 are formed on the underside of the brown rice 40 slidingly moved downward while being closely contacted with the processed recess 11 and passing through the steel layer 43 which is a rice bran layer and reaching the starch layer 42, (120) for forming a scratch groove in a grain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978A KR101847564B1 (en) | 2016-07-05 | 2016-07-05 | Brown rice having scratch along the grai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4978A KR101847564B1 (en) | 2016-07-05 | 2016-07-05 | Brown rice having scratch along the grai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053A KR20180005053A (en) | 2018-01-15 |
KR101847564B1 true KR101847564B1 (en) | 2018-04-10 |
Family
ID=6100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4978A Active KR101847564B1 (en) | 2016-07-05 | 2016-07-05 | Brown rice having scratch along the grai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756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1917B1 (en) | 2020-06-22 | 2021-02-04 | 농업회사법인 다해미곡처리장(주) | treatment devices and methods for unpolished rice |
KR102319097B1 (en) * | 2020-06-23 | 2021-10-29 | 주식회사 제이와이큐 | Rice plant process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17087A (en) * | 2008-07-08 | 2010-01-28 | Genmai Koso:Kk | Machine for adding wound to unpolished rice and method for adding wound to unpolished rice and unpolished rice |
-
2016
- 2016-07-05 KR KR1020160084978A patent/KR1018475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17087A (en) * | 2008-07-08 | 2010-01-28 | Genmai Koso:Kk | Machine for adding wound to unpolished rice and method for adding wound to unpolished rice and unpolished r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5053A (en) | 2018-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193027B1 (en) | Float-frying methods for controlling the shape and preventing distortion of single and multi-layer snack products | |
KR101296710B1 (en) | Processing apparatus of brown rice | |
KR100776625B1 (en) | Fertilizer and embryo processing equipment using the same | |
KR101847564B1 (en) | Brown rice having scratch along the grain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1468738A1 (en) | Method for producing grain substance, a set of equipment for producing said substance and grain breaking machine | |
JP2008264610A (en) | Method and apparatus of polishing brown rice bran layer | |
KR20170118525A (en) | Device for Peeling White Radish | |
CN205161839U (en) | Green soy bean shucking machine | |
JP7307911B2 (en) | surface-treated granules | |
CN107048447A (en) | A kind of green soy bean peeling apparatus | |
CN109465877B (en) | Kumquat slicer | |
CN103599820B (en) | The raw hulling device of a kind of tartary buckwheat whole seed | |
KR101698963B1 (en) | Improved brown rice scratches device | |
US20040247756A1 (en) | Modified brown r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CN105725034B (en) | The method of pounding rice grains | |
JP200720993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urface-treated granular material and surface-treated granular material | |
KR101923580B1 (en) | Beans peeling machine) | |
KR20160056228A (en) | Apparatus for removing and separating peel of nuts | |
CN203540597U (en) | Vertical type tartary buckwheat peeling machine | |
KR20210043342A (en) | Polish rice by pounding machine | |
CN203577848U (en) | Raw tartary buckwheat whole grain husking device | |
KR200484321Y1 (en) | Milling efficiency configu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for family use brown rice of rice swipper dojeongchuk | |
JP4708059B2 (en) | Wash-free rice with umami and nutritional ingredients | |
CN111011884B (en) | A shelling machine | |
CN206215277U (en) | A New Type of Rice Roll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