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347B1 - 약제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불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6347B1 KR101776347B1 KR1020127003524A KR20127003524A KR101776347B1 KR 101776347 B1 KR101776347 B1 KR 101776347B1 KR 1020127003524 A KR1020127003524 A KR 1020127003524A KR 20127003524 A KR20127003524 A KR 20127003524A KR 101776347 B1 KR101776347 B1 KR 101776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dicine
- bottom plate
- medicament
- unit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 B65D83/044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e.g. tablets or pills all the articles being stored in individual compart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1—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 B65B5/103—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avity for packaging pills or tablet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약제의 회수 및 불출을 더 한층 신속히 행하고, 한번에 대량의 약제 또는 형태가 다른 약제를,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분류하여 불출한다.
장치 본체(1)에,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2)과,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는 약제 수취부(9)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3)과, 약제 수취부(9)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저류시키는 약제 저류부(19a, 19b)를 구비하는 약제 저류 부재(15) 및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약제 회수부(31)를 포함하는 약제 회수 유닛(4)을 구비한다. 약제 회수 유닛(4)은, 2개의 약제 회수부(31)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를 구비한다.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는, 바닥판(22)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부(31)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부(31)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장치 본체(1)에,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2)과,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는 약제 수취부(9)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3)과, 약제 수취부(9)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저류시키는 약제 저류부(19a, 19b)를 구비하는 약제 저류 부재(15) 및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약제 회수부(31)를 포함하는 약제 회수 유닛(4)을 구비한다. 약제 회수 유닛(4)은, 2개의 약제 회수부(31)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를 구비한다.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는, 바닥판(22)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부(31)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부(31)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 불출 장치로서, 예컨대, 복수 개의 앰플을 수용한 카세트를 장치 본체에 매트릭스형으로 배치하고, 앰플 회수부에 설치한 4개소의 앰플 저류실을 이용하여 4 처방분을 통합하여 회수한 후, 약제 회수 용기에 불출하도록 한 구성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약제 불출 장치에서는, 카세트로부터 앰플을 회수하는 경우, 앰플 수용 드럼을 회전시켜 각 앰플 저류실을 회수 가능한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 되어, 회수 시간이 걸린다. 또한, 각 앰플 저류실에 회수된 앰플을 순차적으로, 트레이 내에서 분할된 각 수용실로 불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불출 시간을 억제할 수 없다. 최근에는, 점점 약제의 불출 업무의 신속화가 요청되고 있으며, 상기 구성으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앰플 저류실의 내용적을 크게 하면 대형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저류 가능한 앰플의 수가 제약되거나, 다른 형태(박스 포장 또는 봉투 포장)의 약제를 수용하거나 할 수 없다.
또한, 다른 약제 불출 장치로서, 예컨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박스 포장 등의 특수 약제를 불출하기 위해서, 최하부로부터 2번째의 약제를 유지함으로써, 최하부의 약제를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 가능하게 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3 참조).
그러나, 이 약제 불출 장치는, 특수 약제는 불출할 수 있지만, 내부 공간이 4 분할된 트레이로의 불출에 대응한 구성으로는 되지 않는다(트레이 내의 각 공간에의 배분 기능이 없다).
본 발명은, 약제 수용 유닛으로부터의 약제의 회수와, 약제 회수 유닛으로의 약제의 불출을 더 한층 신속히 행할 수 있고, 한번에 대량의 약제를, 또는 형태가 다른 약제를, 대형화하지 않으면서, 분류하여 불출할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한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일단 저류시키는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는 약제 저류 부재와, 상기 약제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을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로서, 상기 약제 저류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저류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한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상기 약제 저류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약제 회수 유닛의 인접하는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들 구성에 의해,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를 대응시키고 있기 때문에, 저류 가능한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의 형태의 차이에 상관없이, 앰플 등과 같은 깨지기 쉬운 약제라도, 손상시키지 않고, 확실하게 저류하여 각 약제 회수부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약제 회수부로의 약제의 불출은, 바닥판의 회동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한 불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나의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로부터 2개의 약제 회수부로 각각 바닥판의 회동 위치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바닥판은, 수평 위치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하방측으로 깊어지는 안내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공급된 약제를 전부 중앙 부분에 모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을 회동시켜 약제 회수부로 불출할 때,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넓이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위치로부터 불출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단부로부터 불출되는 경우에 비교해서 낙하 치수를 대폭 억제할 수 있어, 약제 회수부로의 약제의 불출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앰플 등과 같이 깨지기 쉬운 약제의 경우에 유효하다.
상기 바닥판은, 제1 회동 위치 또는 제2 회동 위치로 회동했을 때, 바닥판의 일부가 약제 회수 유닛의 약제 회수부 내에 침입 가능하고, 또한,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회동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로부터 불출하는 약제를, 측방으로 넘쳐흘러 떨어지는 일없이, 또한, 낙하 치수를 억제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충격력을 부여하는 일없이, 원활하게 약제 회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바닥판이 약제 회수부에 회수된 약제 등에 간섭하더라도, 회동부가 상방측으로 회동함으로써, 약제나 바닥판에 작용하는 부하를 충분히 경감하여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저류부 또는 상기 약제 수취부의 양측에 설치한 안내 가이드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을 갖고, 약제 저류부의 바닥판의 회동 중심은, 회동에 의해 양측부가 양측면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이 수평 위치에 위치하면, 양측부가 평면에서 보아 안내 가이드에 의해서 덮인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공급되는 약제가 봉투 포장된 것 등인 경우에도, 바닥판과 안내 가이드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침입하는 일이 없다. 만일, 약제의 일부가 간극에 끼워져 있더라도, 바닥판이 회동하면, 약제는 약제 회수부측으로 배출되거나, 바닥판의 측부에 의해서 내측으로 복귀하게 되어, 막힘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약제를 저류하여 약제 회수부로 불출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양측부가, 이들 양측부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볼록부를 구비하고,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바닥판이, 그 양측부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상기 볼록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공급하는 약제가 봉투 포장된 것 등인 경우에도, 볼록부의 존재에 의해 침입 가능한 범위를 작은 범위로 할 수 있다. 즉, 볼록부가 소정 간격으로 위치하기 때문에,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의 양측부와 바닥판의 양측 가장자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지그재그형으로 된다. 이 때문에, 약제가 수용된 봉투의 가장자리가 침입할 수 없다.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약제를 저류하여 약제 회수부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바닥판은, 양단부에, 상기 바닥판이 각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할 때, 상기 약제 회수부 내로 연장하는 안내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한 유도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약제 수용부의 바닥면에 이르는 근방까지 유도부에 의해서 약제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가 약제 수용부에 불출될 때에 받는 충격력을 충분히 억제하여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바닥판의 양단측이 칸막이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와, 상기 바닥판의 회동 시에 상기 칸막이 판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후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작부는, 유도부를 적절한 위치(적어도, 유도부를 약제 회수부 내로 이르게 하는 안내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구를 의미한다.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의 회동 동작에 맞추어, 동작부에 의해 유도부를 자동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각 유도부는,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칸막이 판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유도부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판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가이드부에 의해서 피가이드부를 가이드하기만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도, 유도부를 자동적으로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판이 어느 한쪽의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약제가 상기 약제 회수부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동작부에 의해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배치된 약제를 원활하게 불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유도부의 회동 범위를, 상기 바닥판의 회동에 의해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게 된 시점에서의 회동 위치를 넘어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피가이드부를 가이드부에 의해서 가이드할 수 있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어, 바닥판을 불출 위치로부터 원활하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바닥판의 회동 도중에서, 상기 약제 회수부에 약제가 불출되기 직전에, 일단, 상기 바닥판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의 회동 동작에 따른 약제의 이동을 일단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후의 약제 회수부로의 약제의 불출 속도를 저감하여, 약제 회수부로의 불출 시에 받는 충격력을 충분히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바닥판의 정지 위치는, 가이드부에 의한 피가이드부의 가이드가 해제되어, 상기 약제가 상기 칸막이 판에 의해서 낙하가 저지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바닥판으로부터의 약제의 불출 위치를 충분히 약제 회수부측으로 접근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불출하는 약제가 받는 충격력을 더욱 완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불출할 수 있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약제 저류부 또는 약제 수취부에 저류하는 약제의 수량이나 형태에 변동이 있더라도, 약제를 확실하게 저류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를 불출할 때는, 단지 바닥판의 회동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어느 쪽의 약제 회수부로도 약제를 불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신속하고 또한 안정되게 약제의 불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도 2의 약제 저류 부재의 평면도이고, (b)∼(d)는 원판의 절결부와 센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어 유닛으로 실행하는 약제 공급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1의 제어 유닛으로 실행하는 약제 불출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1의 약제 불출 장치로 약제 회수 용기에 약제를 불출하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a)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의 경사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b)는 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의 개략 설명도이고, (d)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개략 설명도이고, (e)는 이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약제의 낙하 치수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바닥면부를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에 의한 약제의 불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에 의한 약제의 불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 및 약제 회수 용기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는 도 2의 약제 저류 부재의 평면도이고, (b)∼(d)는 원판의 절결부와 센서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제어 유닛으로 실행하는 약제 공급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도 1의 제어 유닛으로 실행하는 약제 불출 처리의 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1의 약제 불출 장치로 약제 회수 용기에 약제를 불출하기까지의 일련의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1의 (a)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의 경사 전방에서 본 도면이고, (b)는 그 정면 단면도이다.
도 12의 (a) 내지 (c)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의 개략 설명도이고, (d)는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개략 설명도이고, (e)는 이들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약제의 낙하 치수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저류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을 반대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바닥면부를 하방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에 의한 약제의 불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에 의한 약제의 불출 동작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성 요소의 종류, 조합, 형상, 상대 배치 등은,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적절하게, 필요에 따라서 특정한 방향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예컨대, "상", "하", "일단", "타단", "전", "후" 등)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 용어의 사용은,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용어의 의미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1.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약제 불출 장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장치 본체(1) 내에, 약제 수용 유닛(2), 약제 수취 유닛(3), 약제 회수 유닛(4) 및 제어 유닛(5)을 각각 설치한 구성이다.
(1-1. 약제 수용 유닛(2)) 약제 수용 유닛(2)은, 장치 본체(1)로부터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부착된 카세트 수용부(6)와, 이 카세트 수용부(6)에 착탈되는 복수의 카세트(7)(약제 수용부)를 구비한다.
카세트 수용부(6)는, 장치 본체(1)로부터 인출된 우측면(도 1에서는 정면)에 격자형으로 복수의 카세트(7)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각 카세트(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형상으로, 종류별로 복수의 약제가 각각 수용되고, 사이즈도 여러 가지이다. 각 카세트(7)의 하단부에는 불출구(8)가 형성되고, 이 불출구(8)를 통해, 수용한 약제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불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카세트(7) 내에 수용되는 약제로서, 유리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대략 원통형의 앰플이, 그 직경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불출하는 약제로서는, 앰플 이외에, 종이 박스나 합성수지 시트로 이루어지는 봉투에 수용된 것 등,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카세트(7)는, 약제를 상하 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로 수용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있어서 깊이 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로 수용하는 것 등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1-2. 약제 수취 유닛(3)) 약제 수취 유닛(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수용부(6)의 전면(前面)측에 배치되는 약제 수취부(9)를 구비한다. 약제 수취부(9)는, 프레임 형상의 지지부(10)의 내측에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수단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10)는, 그 양단부가, 장치 본체측에 설치되고 상하(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11a, 11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벨트(11a 및 11b)는, 상하로 배치된 풀리(100a, 100b 및 101a, 101b)에 각각 걸쳐져 있다. 그리고 풀리(100a)를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벨트(11a, 11b)를 통해 지지부(10)가 승강한다. 이와 같이, 약제 수취부(9)는, 카세트 수용부(6)의 전면측에서 상하(수직) 및 좌우(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각 카세트(7)의 전방에 위치하는 각 약제 수취 위치와, 후술하는 약제 저류 부재(15)의 상측에 위치하는 약제 전달 위치로 각각 이동 가능하다.
약제 수취부(9)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수용부(6)의 전면(前面)에 대하여 전후(도 2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병설되는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를 구비한다.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에는, 카세트 수용부(6)측에 위치하는 측벽 상단으로부터 카세트 수용부(6)측을 향하여 경사 상측으로 연장되는 단면 대략 U자형의 가이드 플레이트(14a, 1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플레이트(14a, 14b)는, 선단 부분이 카세트(7)의 불출구(8)의 근방에 배치될 수 있고, 불출된 약제를 각 수용 용기(12, 13)로 유도한다. 또한, 각 가이드 플레이트(14a, 14b)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약제의 잔류가 방지된다. 또한, 각 수용 용기(12, 13)의 바닥면은 개방될 수 있으며, 약제 수취 유닛(3)이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한 후, 개방되어 카세트(7)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배출한다.
(1-3. 약제 회수 유닛(4)) 약제 회수 유닛(4)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15)와, 그 하방측에 배치되고, 반송 부재(16)에 의해서 반송되는 약제 회수 용기(17)를 구비한다.
약제 저류 부재(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양측부를 구성하는 프레임(18)을, 4장의 칸막이 판(20)에 의해 2분할하여 약제 저류부[제1 약제 저류부(19a) 및 제2 약제 저류부(19b)]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약제 저류 부재(15)의 배면측에는,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풀리(110, 11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하방측의 풀리(111)는, 장치 본체(1)의 바닥면에 부착한 모터(112)의 회전축에 고정되고, 또한 벨트(113)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벨트(113)는, 상방측의 풀리(110)에 걸쳐지고, 타단부가 약제 저류 부재(15)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약제 저류 부재(15)의 배면에는 피검출부로 되는 돌출편(114)이 설치된다. 이 돌출편(114)은, 약제 저류 부재(15)의 상승 위치에서, 배면측에 설치한 센서(115)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방측의 풀리(111)의 단부면에도 피검출부로 되는 돌출편(116)이 설치된다. 이 돌출편(116)은, 풀리(111)와 함께 회동하여, 약제 저류 부재(15)의 강하 위치에서, 센서(117)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모터(113)를 구동하여 약제 저류 부재(15)를 상승 위치와 강하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약제 저류부(19a, 19b)는, 상기 약제 수취 유닛(3)의 약제 수취부(9)가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했을 때, 각 수용 용기(12, 13)의 아래쪽에 각각 위치한다[도 9의 (d), (e) 참조]. 각 약제 저류부(19a, 19b)의 바닥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닥판(22)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 판(20)의 상부 내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료를 막대 형상으로 한 안내 가이드(23)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가이드(23)는, 내측을 향하여 서서히 상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23a)을 갖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22)과의 간극을 일정 치수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초기 수평 위치의 바닥판(22)과 칸막이 판(20)의 간극은, 평면도로 보아 내측으로 밀려나오는 안내 가이드(23)에 의해서 덮인 상태로 된다. 각 칸막이 판(20)의 하단 가장자리는 가이드편(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편(24)은, 선단 부분이 각 약제 저류부(19a, 19b)의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그리고 가이드편(24)은, 약제 저류 부재(15)가 강하 위치에 위치할 때, 약제 회수 용기(17) 내에 침입하여, 바닥판(22)을 회동시켜 약제를 배출할 때, 약제가 측방으로 넘쳐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바닥판(22)은, 중앙부에서 가장 우묵하게 들어간 단면 대략 원호형(원호형이라도 좋음)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안내부로서의 역할을 하여,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 각각 공급된 약제를 중앙부에 수집한다. 즉,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의 약제의 불출 위치의 차이에 상관없이, 바닥판(22)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한은, 약제는 항상 중앙부로 위치가 조정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22)을 각 불출 위치로 회동시켜 각 약제 회수부(31a∼31d)에 불출할 때, 약제를 항상 일정한 위치(중앙부)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어, 각 약제 회수부(31a∼31d)로의 약제의 불출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불출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닥판(22)의 양측부는, 축부(25a)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회동부(25)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이 회동하여 약제 회수 용기(17) 내에 침입하여, 이 용기에 수용된 약제 등과 간섭하더라도, 회동부(25)가 회동함으로써, 약제를 손상시키거나, 바닥판(22)에 무리한 부하가 걸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판(22)의 상면에는, 나사 고정이나 접착제에 의한 점착 등에 의해 탄성 시트(26)가 부착되어 있다. 탄성 시트(26)는, 약제 수취 용기로부터 공급된 약제에 부여되는 충격을 완화하여, 약제의 손상을 방지한다.
바닥판(22)의 지지축(21)은, 초기 수평 위치에서,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수평면에 대하여 하방측의 소정 위치[여기서는, 바닥판(22)의 가장 깊은 위치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을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회동시키면, 그 양단 가장자리가 약제 저류부(19a, 19b)의 내측 상방을 향하는 원호형의 궤적(A)을 그린다. 칸막이 판(20)의 안내 가이드(23)는, 내측을 향하여 서서히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닥판(22)의 양단 가장자리의 궤적(A)과는 간섭하지 않도록[즉, 안내 가이드(23)가 궤적(A)의 이동 시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선을 구성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판(22)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로 있으면, 바닥판(22)의 양단 가장자리와 칸막이 판(20)의 안내 가이드(23)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부분은, 안내 가이드(23)의 약제 저류부(19a, 19b)의 내측으로 밀려 나오는 부분에 의해서 덮이고, 평면도로 보아, 보이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약제 수취 유닛(3)으로부터 약제 저류부(19a, 19b)에 공급된 약제가, 예컨대, 봉투에 수용된 형태인 경우에도, 그 가장자리가 상기 간극에 침입하여 막힘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만일, 약제가 간극에 끼인 경우라도, 바닥판(22)이 회동하면, 그 측방 가장자리부가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을 따라서 내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약제를 원활하게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제의 막힘 상태를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바닥판(22)은,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20)의 정역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121) 및 종동 기어(122)를 매개로 회동하여, 도 3에 도시하는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1 불출 위치와, 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2 불출 위치로 각각 회동한다.
지지축(2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검출부로서 3장의 원판[제1∼제3 원판(27a∼27c)]이 부착되어 있다. 각 원판(27a∼27c)에는 원주 방향으로 피치를 어긋나게 하여 절결부(28a∼28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원판(27a∼27c)의 절결부(28a∼28c)는, 센서[제1∼제3 센서(29a∼29c)]에 의해서 각각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바닥판(22)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원판(27a)의 절결부(28a)가 제1 센서(29a)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리고 바닥판(2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 불출 위치에 이르면, 제2 원판(27b)의 절결부(28b)가 제2 센서(29b)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 사이, 제1 센서(29a) 및 제3 센서(29c)는, 제1 원판(27a) 및 제3 원판(27c)에 의해서 광로가 차단된 상태로 된다. 또한, 바닥판(22)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 불출 위치에 이르면, 제3 원판(27c)의 절결부(28c)가 제3 센서(29c)에 의해서 검출된다. 그 사이, 제1 센서(29a) 및 제2 센서(29b)는, 제1 원판(27a) 및 제2 원판(27b)에 의해서 광로가 차단된 상태로 된다.
반송 부재(1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송 벨트(30)를 구비하여, 장치 본체(1) 내에 약제 회수 용기(17)를 반입하여, 회수 위치에서 일단 정지시킨 후, 외부로 반출한다.
약제 회수 용기(17)에는, 내부가 구획판에 의해서 4분할됨으로써 제1∼제4 약제 회수부(31a∼31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한 환자의 1일의 최대 처방수(아침, 낮, 저녁, 밤)에 맞춘 것이다. 각 약제 회수부(31a∼31d)의 크기는, 상기 약제 저류 부재(15)의 하나의 약제 저류부(19a 또는 19b)에 대하여 2개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약제 회수 용기(17)를 반송 부재(16)에 의해서 반송하여, 약제 저류 부재(15)의 아래쪽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약제 회수 용기(17)의 제1 및 제2 약제 회수부(31a 및 31b)의 상측에 제1 약제 저류부(19a)가 위치하고, 제3 및 제4 약제 회수부(31c 및 31d)의 상측에 제2 약제 저류부(19b)가 위치한다.
(1-4. 제어 유닛(5)) 제어 유닛(5)은, 도시하지 않는 호스트 컴퓨터 등으로부터 입력된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메모리에 기억된 카세트(7)의 불출구(8)의 좌표 데이터 등을 참조하면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각종 모터 등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약제 수용 유닛(2)의 카세트(7)로부터 해당 약제를 불출시켜 회수하고, 약제 저류 부재(15)를 통해 약제 회수 용기(17)로 약제를 불출한다. 그 후, 약제 회수 용기(17)를 이동시켜 불출한 약제를 반출한다.
(2.동작) 다음으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불출 장치의 동작(약제 공급 처리 및 약제 불출 처리)을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2-1. 약제 공급 처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의 불출 명령이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스텝 S1). 불출 명령이 있으면, 약제 수취부(9)의 어느 쪽의 수용 용기(12, 13)에 약제를 공급할 것인가를 결정한다(스텝 S2). 여기서는, 처음에 공급하는 쪽을 제1 수용 용기(12)로 결정하고, 그 후 제2 수용 용기(13)로 변경하고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약제 수취부(9)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1 수용 용기(12)에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회수 용기(17)의 제1 약제 회수부(31a)[또는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할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3). 제1 약제 회수부(31a)에 약제를 공급하는 경우에,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키고, 제1 수용 용기(12)의 가이드 플레이트(14a)를, 제1 약제 회수부(31a)[또는 제2 약제 회수부(31b)]에 공급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불출구(8)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
제1 수용 용기(12)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하면, 도 9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회수 용기(17)의 제3 약제 회수부(31c)[또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할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4). 즉,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키고, 제2 수용 용기(13)의 가이드 플레이트(14b)를, 제3 약제 회수부(31c)[또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배출구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 이 때, 도시하지 않는 모터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14b)를 회동시켜, 가이드 플레이트(14b) 상에 약제가 잔류하지 않고 전부 제2 수용 용기(13)에 공급되도록 한다. 제2 수용 용기(13)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도 9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유닛(3)을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5).
약제 회수 유닛(4)에서는, 제1 수용 용기(12)의 아래쪽에 제1 약제 저류부(19a)가 위치하고, 제2 수용 용기(13)의 아래쪽에 제2 약제 저류부(19b)가 위치하도록 약제 수취 유닛(3)을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약제 수취 유닛(3)을 강하시켜, 도 9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수용 용기(12, 13)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불출된 약제를 약제 저류 부재(15)의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공급한다(스텝 S6). 이 경우, 약제 수취 유닛(3)을 강하시켜, 충분히 약제 회수 유닛(4)에 접근시키고 있기 때문에, 약제가 측방으로 넘쳐흘러 떨어지는 일은 없다. 또한, 낙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가 받는 충격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서는, 바닥면이 단면 대략 원호형의 바닥판(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류된 약제가 중앙 부분에 모인다.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약제가 저류되면, 도 9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키고(스텝 S7), 다음 약제의 회수를 실행한다. 즉,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켜, 제1 수용 용기(12)의 가이드 플레이트(14a)를, 제2 약제 회수부(31b)[또는 제1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불출구(8)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8). 제1 수용 용기(12)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약제 수취 유닛(3)을 이동시켜, 제2 수용 용기(13)의 가이드 플레이트(14b)를, 제4 약제 회수부(31d)[또는 제3 약제 회수부(31c)]에 불출할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7)의 배출구에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처방 데이터에 따라서 소정 수량의 약제를 공급한다(스텝 S9). 제2 수용 용기(13)로의 약제의 공급이 완료되면, 약제 수취 유닛(3)을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시킨다(스텝 S10). 계속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각 수용 용기(12, 13)의 바닥면을 개방하여, 불출된 약제를 약제 저류 부재(15)의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공급한다(스텝 S11).
(2-2. 약제 불출 처리) 약제 저류 부재(15)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측의 배출 위치에 약제 회수 용기(17)가 위치 결정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배출 위치에 약제 회수 용기(17)가 위치 결정되면(스텝 S21), 도 4의 (a) 및 도 9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15)를 강하시켜(스텝 S22), 배출 위치의 약제 회수 용기(17)에 접근시킨다. 또한, 저류된 약제를 어느 쪽의 약제 회수부(31a∼31d)에 불출해야 되는 것인가를 판단한다(스텝 S23).
약제의 불출은, 도 9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바닥판(22)을 대략 90도 회동시킴으로써 행한다(스텝 S24).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한 약제를 제1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는 경우, 바닥판(22)을, 도 4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도 4의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센서(29b)에 의해 제2 원판(27b)의 절결부(28b)가 검출됨에 따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약 90도 회동한 시점에서 정지하여, 저류되어 있던 약제는 제1 약제 회수부(31a)로 불출된다. 바닥판(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류된 약제가 중앙부에 모인다. 그리고 약제는 바닥판(22)의 회동 동작에 따라, 원활하게 제1 약제 회수부(31a)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령 바닥판(22)의 측부 가장자리부와 안내 가이드(23)의 사이의 간극에 (봉투 포장) 약제의 일부가 침입한 경우에도, 바닥판(22)의 측부 가장자리의 회동 궤적(A)은 안내 가이드(23)와의 간격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변화된다. 즉, 도 4의 (a)로부터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2)의 우측의 측부 가장자리부는, 좌측 경사 상방측으로 이동하여,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에 대하여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과의 간극이 서서히 넓어지기 때문에, 약제에 무리한 부하가 걸려 손상되는 일이 없다. 아울러, 약제에 대하여 안내 가이드(23)의 경사면이 상방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는 바닥판(22)의 회동 동작에 따라 이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약제의 막힘은 발생하지 않고, 약제는 바닥판(22)의 중앙부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22)의 일단 가장자리부측이 제1 약제 회수부(31a) 내에 침입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가 자유 낙하하는 일이 거의 없고, 또한 자유 낙하하더라도 그 거리가 작기 때문에, 충격을 받아 손상되는 일도 없다. 만일, 약제의 흐름이 강하여 제1 약제 회수부(31a)로부터 튀어나오려고 해도, 여기에는 가이드편(24)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측방으로 유출되는 일도 없다.
도 12는, 약제의 낙하 치수의 비교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a), (b)는 바닥판(22)을 평판형으로 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의 (c)는 바닥판(22)을 원호형으로 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의 (d)는, 바닥판(22)을 원호형으로 하고 그 일부를 제1 약제 회수부(31a) 내에 침입시킨 경우를 도시한다. 도 12의 (e)는, 도 12의 (a)∼(d)에서의 낙하 치수를 비교한 것으로, 이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 즉 도 12의 (d)에 의한 방법이 약제의 낙하 치수를 가장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한 약제를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하는 경우, 바닥판(22)을, 도 4의 (a)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센서(29c)에 의해 제3 원판(27c)의 절결부(28c)가 검출됨으로써 정지시키면 좋다. 이에 따라, 약제는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된다. 이 경우의 약제의 불출 동작은, 전술한 제1 약제 회수부(31a)에의 배출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약제 저류부(19b)에 저류한 약제는, 제3 약제 회수부(31c) 또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된다. 이 불출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약제 저류부(19a)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제1 약제 저류부(19a)와 제2 약제 저류부(19b)의 바닥판(22)을 (벨트나 체인 등에 의해) 연동시키도록 하면, 동력원은 하나만 있으면 된다. 이 경우,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하는 약제를 제1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면, 제2 약제 저류부(19b)에 저류하는 약제는 제3 약제 회수부(31c)에 불출할 필요가 있고, 제1 약제 저류부(19a)에 저류하는 약제를 제2 약제 회수부(31b)에 불출하면, 제2 약제 저류부(19b)에 저류하는 약제는 제4 약제 회수부(31d)에 불출할 필요가 있다.
다음의 약제를 회수하기 위해서 이동시킨 약제 수취 유닛(3)에서는, 도 9의 (i) 및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마찬가지로, 약제 회수 유닛(4)으로 이동시켜,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 약제를 저류시킨다. 각 약제 저류부(19a, 19b)에서는, 바닥판(22)을 전술한 방향과는 역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으면,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남아 있는 약제 회수부(31a, 31c)(또는 31b, 31d)에 약제가 각각 불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약제 회수부(31a) 및 제2 약제 회수부(31b), 또는, 제3 약제 회수부(31c) 및 제4 약제 회수부(31d)에 각각 약제를 불출하기 위하여,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를 인접한 상태로, 상하 및 좌우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약제 회수 용기(17)의 근방에 배치한 약제 저류 부재(15)에, 일단, 약제를 저류하고, 동시에 저류한 약제를 약제 회수 용기(17)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불출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약제 저류부(19a)로부터 각 약제 회수부(31a 또는 31b)로, 제2 약제 저류부(19b)로부터 각 약제 회수부(31c 또는 31d)로 약제를 각각 불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저류 영역을 넓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량이나, 박스 포장, 또는, 봉투 포장의 약제 등의 형태가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원활하게 불출할 수 있다. 특히, 바닥판(22)을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약제의 수량이나 형태의 차이에 상관없이, 중앙 부분에 모을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약제 회수부(31a∼31d)로의 불출 조건을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안정된 불출 동작이 실현된다. 또한, 바닥판(22)의 양측부를 약제 회수부(31a∼31d)의 내부에 침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불출할 때에 약제에 충격력이 가해지기 어려워,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바닥판(22)의 양측부를 회동부(25)로 구성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회동부(25)에 약제 등이 접촉하더라도, 약제나 바닥판(22), 또는, 그 구동원에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는 일이 없어, 손상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 종의 약제를 제1 수용 용기(12)와 제2 수용 용기(13)에 불출하는 경우, 그 불출 순서는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고,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B 약제를 하나 불출하는 경우,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불출한 후,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가 아니라, B 약제를 먼저 하나 불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하나, B 약제를 하나 불출하고,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는 경우, 제1 수용 용기(12)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한 후,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기 전에, 먼저 제1 수용 용기(12)에 B 약제를 하나 불출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제1 수용 용기(12)보다 먼저 제2 수용 용기(13)에 A 약제를 하나 불출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3.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등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정제 저류 부재의 각 저류부의 바닥판(22)을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단면 대략 V 자형으로 하여도 좋다. 중요한 것은, 수평 기준 위치에 있는 바닥판(22)에 공급된 약제가, 그 자중에 의해 중심측에 모이는 형상의 바닥판(22)이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22)의 회동 위치를 지지축(21)에 설치한 3장의 원판(27a∼27c)과 3개 센서(29a∼29c)에 의해 검출하도록 했지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장의 원판(32a, 32b)과 2개의 센서(33a, 33b)에 의해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원판(32a, 32b)은 모두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주위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판(22)이 수평 기준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센서(33a, 33b)는 모두 원판(32a, 32b)을 검출하고, 제1 불출 위치로 회동한 때에는, 센서(33a, 33b)는 모두 원판(32a, 32b)을 검출하지 않고,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한 때에는, 센서(33b)만이 원판(32b)을 검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품 개수를 줄여 저렴하게 바닥판(22)의 회동 방향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평 기준 위치에 있는 바닥판(22)의 양측부와, 칸막이 판(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안내 가이드(23)에 의해서, 평면도로 보아 덮이도록 구성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 판(20)에, 바닥판(22)의 양측부의 회동 궤적(A)을 따른 원호면(34)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 원호면(34)[원호면(34)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이라도 좋음]에 바닥판(22)의 양측부를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볼록부(35)를 형성한다. 또한, 볼록부(35)는, 양측부를 따르는 방향으로의 두께는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바닥판(22)의 양측부에는, 상기 볼록부(35)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절결부(36)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바닥판(22)의 양측부를 따르는 방향으로 간극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일이 없게 된다. 즉, 약제의 일부(예컨대, 봉투 포장 약제의 가장자리)가 침입할 수 있는 연속된 간극이 없어져, 상기 안내 가이드(23)와 동일한 기능이 발휘된다. 이 때문에, 바닥판(22)이 수평 위치로부터 회동할 때, 그 측부 가장자리부의 회동 궤적(A)이 원호면(34)에 대하여 서서히 접근하게 되어 있다고 해도, 약제의 일부가 막힐 우려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22)을 단면 대략 원호형으로 하고, 중앙부에 배치한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으로 했지만, 예컨대, 지지축(21)이 바닥판(22)의 일단측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약제 회수 용기(17)를 이동시켜, 약제를 불출하는 약제 회수부의 위치를 어긋나게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수취 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약제를, 일단, 약제 저류 부재(15)에 저류시키도록 했지만, 이 약제 저류 부재(15)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약제 저류 부재(15)를 없애고, 약제 수취 유닛(3)의 각 약제 수취부(9)[이 경우, 각 약제 수취부(9)가 약제 저류부로서 기능함]의 바닥면을, 상기 약제 저류 부재(15)의 바닥판(22)과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약제 수취 유닛(3)으로부터 약제 회수 용기(17)에 약제를 불출하지 않으면 다음의 약제를 회수할 수 없지만, 약제 저류 부재(15)가 불필요하게 되는 만큼, 조밀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약제 회수 유닛(4)의 약제 저류 부재(51)를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도 13으로부터 도 18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51)는, 상기 도 3에 도시하는 약제 저류 부재(15)와 같이, 평면도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다. 또한, 양측부를 구성하는 프레임판(52)이 4장의 칸막이 판(53)에 의해 2분할되어, 약제 저류부(54)[제1 약제 저류부(54a) 및 제2 약제 저류부(5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칸막이 판(53)은, 프레임판(52)의 하단보다 경사 하방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부(55)를 갖는다. 또한, 각 칸막이 판(53)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 가장자리에, 거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5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56)는, 프레임판(52)의 내면에 위치하고,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칸막이 판(53)의 내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수직부(56a)와, 이 수직부(56a)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제1 경사부(56b)와, 이 제1 경사부(56b)로부터 더욱 경사 각도를 크게 하여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 경사부(56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56)에는, 후술하는 회동부(63)의 돌기(64)가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가이드부(56)와 돌기(64)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동작부가 구성되어 있다.
각 약제 저류부(54a, 54b)의 바닥면은, 지지축(57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바닥판(57)으로 각각 구성되어 있다. 지지축(57a)의 위치는, 프레임판(52)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 위치이다. 바닥판(57)은, 상기 도 3과 같이, 모터(58)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고, 그 회동 위치는, 상기 도 6과 같이, 지지축(57a)에 설치된 반원판(57b, 57c)을 광센서(59a, 59b)에서 각각 검출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다. 즉, 광센서(59a, 59b)에서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58)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바닥판(57)을 초기 수평 위치[바닥판(57)의 제1 바닥면부(60)가 수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음)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1 불출 위치와, 반시계 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 제2 불출 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바닥판(57)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의 가장 우묵하게 들어간 부위가 제1 바닥면부(60)이고, 이 제1 바닥면부(60)의 양단부로부터 비스듬히 연장되는 부위가 제2 바닥면부(61)이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종단면도로 보아 대략 원호형(원호형일 수도 있음)으로 되어 있다. 이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안내부로서 기능하여,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 각각 공급된 약제(M)를 중앙부에 수집한다. 즉, 각 수용 용기(12, 13)로부터의 약제(M)의 불출 위치의 차이에 상관없이, 바닥판(57)이 초기 수평 위치에 위치하는 한은, 약제(M)는 항상 중앙부로 위치가 조정된다.
각 제2 바닥면부(61)의 선단으로부터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편(62)이 각각 돌출되어 있다. 또한, 각 제2 바닥면부(61)의 선단 부분에는, 힌지 결합에 의해 지지축(63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부(6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 바닥면부(60), 제2 바닥면부(61) 및 회동부(63)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는 가이드벽(60a, 61a, 63b)이 각각 기립하여, 횡단면 대략 U 자형으로 되어 있다.
각 회동부(63)는, 상기 스토퍼편(62)에 의해 제2 바닥면부(61)를 넘어 하방측으로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회동부(63)가 스토퍼편(62)에 접촉한 상태에서, 수평면에 대하여 회동부(63)가 이루는 각도는, 후술하는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51)를 상승시켰을 때, 약제(M)가 그 무게 중심 위치와의 관계로 인하여, 길이 방향으로 기립하지 않고 옆으로 쓰러지는 값으로 하면 좋다.
각 회동부(63)의 양측 외면(일측만이라도 좋음)에는 돌기(6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돌기(64)는 회전 가능한 외륜을 갖는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판(52)의 가이드부(56)에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한다. 또한, 돌기(64)의 위치는, 회동부(63)의 회전 중심인 지지축(63a)에 대하여, 상기 제2 바닥면부(61)가 위치하는 평면보다 상방측으로 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57) 및 상기 회동부(63)의 상면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65)가 점착되어 있다. 이 시트(65)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공급되는 약제(M)(특히, 앰플)가 받는 충격력을 완화한다.
상기 회동부(63)에 따르면, 바닥판(57)이 도 17의 (a)에 도시하는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회동하면, 이 회동 동작에 따라 상방측으로 이동하는 회동부(63)[도 17의 (a)에서, 우측에 위치]가,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칸막이 판(53)의 내면에 의한 지지를 잃는다. 이 때문에, 회동부(63)는, 그 자중에 의해서 바닥면이 스토퍼편(62)에 접촉할 때까지 회동한다. 다만, 회동부(63)의 상면에는 시트(65)가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57)이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제1 불출 위치(제2 불출 위치의 경우도 동일)까지 회동했다고 해도, 회동부(63)가 회동하는 일은 없다. 즉, 회동부(63)의 덜걱거림이 방지된다.
한편, 바닥판(57)의 회동 동작에 따라 하방측으로 이동하는 회동부(63)에서는, 돌기(64)가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하는 가이드부(56)의 위치가 회동부(63)의 지지축(63a)으로부터 서서히 멀어지기 때문에, 도 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바닥면부(6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서서히 커지도록 회동한다. 그리고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57)이 초기 위치로부터 거의 60도 회동한 시점에서, 회동부(63)의 돌기(64)는 가이드부(56)의 지지를 잃는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회동부(63)가 스토퍼편(62)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동하여, 제2 바닥면부(61)와 대략 동일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약제 저류 부재(51)는, 상기 도 3과 같이, 도시하지 않는 모터, 풀리 및 벨트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약제 저류 부재(5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즉,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의 스텝 S1로부터 S24와 같이 하여, 처방 데이터에 기초하여 약제 수용 유닛(2)의 카세트(7)로부터 약제 수취부(9) 중 어느 하나의 수용 용기(12, 13)에 공급된 약제(M)를, 약제 저류 부재(51)의 각 약제 저류부(54)에 공급한다. 그리고 각 약제 저류부(54)에 공급된 약제(M)를, 배출 위치에 위치 결정된 약제 회수 용기(17) 중 어느 하나의 약제 회수부(31a∼31d)에 불출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약제 저류부(54)에서는, 바닥판(57)을 제1 불출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부(63)는, 돌기(64)가 칸막이 판(53)의 가이드부(56)를 미끄럼 이동(또는 롤링)하여, 제2 바닥면부(6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서서히 커지도록 회동한다. 그리고 도 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57)이 초기 수평 위치로부터 약 60도 회동한 시점에서, 회동부(63)는 스토퍼편(62)에 거의 접촉하는 위치까지 회동한다.
바닥판(57)의 회동 동작에 따라, 약제 저류부(54)에 저류되어 있는 약제(M)는, 그 자중에 의해 바닥판(57)의 상면을 미끄러져 서서히 회동부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회동부(63)의 회동 동작에 따라 더욱 회동부(63)의 선단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바닥판(57)이 도 17의 (c)에 도시하는 위치를 넘어, 중간 위치에 이르면, 일단, 바닥판(57)의 회동을 정지한다(예컨대, 1초 미만으로 한다. 여기서는, 0.2∼0.3초로 한다). 중간 위치는, 돌기(64)가 가이드부(56)에 의한 지지는 잃지만, 약제(M)가 칸막이 판(53)에 접촉하여 낙하하는 것이 방지되는 위치이며, 약제(M)의 이동이 정지된다.
그 후, 바닥판(57)의 회동을 재개하여,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제1 불출 위치에 이르면, 약제(M)는 칸막이 판(53)의 가이드를 잃고 약제 회수부(31a)로 불출된다. 이 경우, 회동부(63)가 회동하여 약제 회수부(31a)의 내부에까지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약제(M)는 원활하게 약제 회수부(31a) 내로 이동한다. 통상 사이즈의 약제(M)라면, 그대로 경사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기 때문에,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돌한 후, 반드시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 위치에서 약제의 이동을 일단 정지시키고 있기 때문에, 미끄러져 내려가는 약제(M)의 이동 속도를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약제(M)가 흐름이 강하여 약제 회수부(31a)로부터 튀어나갈 우려는 없다. 또한, 약제(M)가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돌했을 때, 큰 충격력을 받는 일이 없고, 따라서 손상되는 일도 없다.
또한, 약제 회수부(31a)에 길이 방향으로 기립 상태로 수용되었을 때, 상측으로 돌출하는 큰 사이즈의 약제(M)의 경우, 회동부(63)를 미끄러져 내려가, 그 일부가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약제(M)는 회동부(63)를 미끄러져 내려가며, 자유 낙하하는 일이 전혀 없다. 이 때문에, 상기와 같이, 중간 위치에서 약제의 이동을 일단 정지시키고, 미끄러져 내려가는 약제(M)의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것과 맞물려, 약제(M)가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돌했을 때, 큰 충격력을 받는 일이 없고, 따라서 손상되는 일이 없으며, 기립하는 일도 없다. 그리고 바닥판(57)이 제1 불출 위치까지 회동하면[이때, 큰 사이즈의 약제(M)의 일부가 확실하게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접촉하도록, 일단, 정지하더라도 좋다), 도 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약제 저류 부재(51)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약제(M)는 일부를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반대측에서의 회동부(63)에 의한 지지 면적이 서서히 작아진다. 그리고 도 1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부(63)에 의한 지지가 완전히 없어진 시점에서, 약제(M)는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옆으로 쓰러진 상태로 적재된다.
약제(M)가, 예컨대, 봉투 포장된 직방체 형상이면, 약제(M)를 자유 낙하에 의해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하는 경우, 그 길이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카세트(7)로부터 약제(M)를 불출하는 경우, 약제의 길이 방향이 도 15에 도시하는 좌우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기립한 상태가 되기 쉽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부(63)를 설치함으로써, 약제(M)를 경사진 상태로 약제 회수부(31a)에 불출할 수 있기 때문에, 약제(M)가 길이 방향으로 기립하는 일은 없다.
그런데, 상기 회동부(63)는, 그 일부(예컨대, 기초부) 또는 전부를 탄성편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돌기(64)가 가이드부(56)에 의한 지지를 잃은 시점에서, 약제(M)의 자중에 의해 탄성편이 탄성 변형되어, 회동부(63) 또는 탄성편이 약제 회수부(31a) 내에 위치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바닥판(57)이 회동하여, 약제(M)가 칸막이 판(53)의 내면에 대한 접촉 상태가 해제된 시점에서, 약제(M)의 자중에 의해 탄성편이 탄성 변형되어, 회동부(63) 또는 탄성편이 약제 회수부(31a)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63)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동부(63)의 회동 동작을 규제하기 위해서, 영구 자석이나 스프링 등의 압박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회동부(63)의 일부[예컨대, 가이드벽(61a)의 외면]와, 제2 바닥면부의 일부에 자성 재료와 영구 자석을 각각 설치하거나, 코일 스프링을 걸거나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탄성편, 영구 자석, 스프링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약제(M)의 자중에 의해, 탄성편 또는 회동부(63)를 작동시키고, 그 후, 약제(M)의 약제 회수부(31a)로의 불출이 완료하면,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부(63)나 탄성편을 설치하는 대신에, 바닥판(57)만을 강하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대응이 가능하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더하여, 바닥판(57)만을 승강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바닥판(57)을 강하시킴으로써, 바닥판(57)의 일부를 약제 회수부(31a) 내로 이동시킨다. 이 때, 바닥판(57)을 충분히 강하시킨 상태에서, 약제(M)가 칸막이 판(20)에 대한 접촉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약제(M)를 약제 회수부(31a)의 바닥면에 충분히 가까운 위치에 불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3으로부터 도 16에서는, 약제 저류 부재(51)에 채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여기서 설명한 구성은, 약제 저류 부재(51)를 생략한 경우의 약제 수취 유닛(3)에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장치 본체
2… 약제 수용 유닛
3… 약제 수취 유닛
4… 약제 회수 유닛
5… 제어 유닛
6… 카세트 수용부
7… 카세트
8… 불출구
9… 약제 수취부
10… 지지부
11… 레일
12… 제1 수용 용기
13… 제2 수용 용기
14a, 14b… 가이드 플레이트
15… 약제 저류 부재
16… 반송 부재
17… 약제 회수 용기
18… 프레임
19a… 제1 약제 저류부
19b… 제2 약제 저류부
20… 칸막이 판
21… 지지축
22… 바닥판
23… 안내 가이드
23a… 경사면
24… 가이드편
25… 회동부
26… 탄성 시트
27a… 제1 원판
27b… 제2 원판
27c… 제3 원판
28… 절결부
29a… 제1 센서
29b… 제2 센서
29c… 제3 센서
30… 반송 벨트
31a… 제1 약제 회수부
31b… 제2 약제 회수부
32a, 32b… 원판
33a, 33b… 센서
34… 원호면
35… 볼록부
36… 절결부
51… 약제 저류 부재
52… 프레임판
53… 칸막이 판
54… 약제 저류부
54a… 제1 약제 저류부
54b… 제2 약제 저류부
55… 경사부
56… 가이드부(동작부)
56a… 수직부
56b… 제1 경사부
56c… 제2 경사부
57… 바닥판
57a… 지지축
58… 모터
59… 광센서
60… 제1 바닥면부
60a… 가이드벽
61… 제2 바닥면부
61a… 가이드벽
62… 스토퍼편
63… 회동부(유도부)
63a… 지지축
63b… 가이드벽
64… 돌기[피가이드부(동작부)]
65… 시트
100a, 100b, 101a, 101b, 110, 111… 풀리
112… 모터
113… 벨트
114, 116… 돌출편
115, 117… 센서
120… 모터
121… 구동 기어
122… 종동 기어
2… 약제 수용 유닛
3… 약제 수취 유닛
4… 약제 회수 유닛
5… 제어 유닛
6… 카세트 수용부
7… 카세트
8… 불출구
9… 약제 수취부
10… 지지부
11… 레일
12… 제1 수용 용기
13… 제2 수용 용기
14a, 14b… 가이드 플레이트
15… 약제 저류 부재
16… 반송 부재
17… 약제 회수 용기
18… 프레임
19a… 제1 약제 저류부
19b… 제2 약제 저류부
20… 칸막이 판
21… 지지축
22… 바닥판
23… 안내 가이드
23a… 경사면
24… 가이드편
25… 회동부
26… 탄성 시트
27a… 제1 원판
27b… 제2 원판
27c… 제3 원판
28… 절결부
29a… 제1 센서
29b… 제2 센서
29c… 제3 센서
30… 반송 벨트
31a… 제1 약제 회수부
31b… 제2 약제 회수부
32a, 32b… 원판
33a, 33b… 센서
34… 원호면
35… 볼록부
36… 절결부
51… 약제 저류 부재
52… 프레임판
53… 칸막이 판
54… 약제 저류부
54a… 제1 약제 저류부
54b… 제2 약제 저류부
55… 경사부
56… 가이드부(동작부)
56a… 수직부
56b… 제1 경사부
56c… 제2 경사부
57… 바닥판
57a… 지지축
58… 모터
59… 광센서
60… 제1 바닥면부
60a… 가이드벽
61… 제2 바닥면부
61a… 가이드벽
62… 스토퍼편
63… 회동부(유도부)
63a… 지지축
63b… 가이드벽
64… 돌기[피가이드부(동작부)]
65… 시트
100a, 100b, 101a, 101b, 110, 111… 풀리
112… 모터
113… 벨트
114, 116… 돌출편
115, 117… 센서
120… 모터
121… 구동 기어
122… 종동 기어
Claims (15)
-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한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한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약제를 수취하고, 일단 저류시키는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는 약제 저류 부재와, 상기 약제 저류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 저류 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저류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저류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되고, 수용한 약제를 약제 배출부를 통해 불출할 수 있는 복수의 약제 수용 용기를 구비하는 약제 수용 유닛과,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수취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약제 수용 유닛의 약제 수용 용기의 약제 배출부로부터 불출된 약제를 수취하고, 약제 전달 위치로 이동하여 수취한 약제를 전달하는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는 약제 수취 유닛과,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의 약제 수취부로부터 배출된 약제를 회수하는, 적어도 2개의 약제 회수부가 병설되는 약제 회수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약제 수취 유닛은, 상기 약제 회수 유닛의 인접하는 2개의 약제 회수부에 대하여 하나의 약제 수취부를 구비하고, 상기 약제 수취부는, 바닥판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 중 하나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 불출 위치와, 다음에 저류한 약제를, 상기 약제 회수부의 남아 있는 다른 쪽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 불출 위치로 회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수평 위치에서, 중앙부를 향할수록 하방측으로 깊어지는 안내부를 갖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제1 회동 위치 또는 제2 회동 위치로 회동했을 때, 바닥판의 일부가 약제 회수 유닛의 약제 회수부 내에 침입 가능하고, 축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방측으로만 회동 가능한 회동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류부의 양측에 설치한 안내 가이드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을 갖고, 약제 저류부의 바닥판의 회동 중심은, 회동에 의해 양측부가 양측면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부의 양측에 설치한 안내 가이드는, 상측을 향할수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면을 갖고, 약제 수취부의 바닥판의 회동 중심은, 회동에 의해 양측부가 양측면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저류부의 양측부가, 이들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볼록부를 구비하고, 약제 저류부의 바닥판이, 그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볼록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수취부의 양측부가, 이들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볼록부를 구비하고, 약제 수취부의 바닥판이, 그 양측부를 따라서 정해진 간격으로 상기 볼록부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절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양단부에, 상기 바닥판이 각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할 때, 상기 약제 회수부 내로 연장하는 안내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한 유도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양단측이 칸막이 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와, 상기 바닥판의 회동 시에 상기 칸막이 판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후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동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도부는, 상기 바닥판의 양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칸막이 판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유도부에 마련되고, 상기 바닥판이 회동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는 피가이드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이 어느 한쪽의 불출 위치를 향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바닥판에 배치된 약제가 상기 약제 회수부측을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동작부에 의해 상기 유도부를 상기 안내 위치측으로 회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상기 유도부의 회동 범위를, 상기 바닥판의 회동에 의해 상기 피가이드부가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되지 않게 된 시점에서의 회동 위치를 넘어 회동하지 않도록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회동 도중에서, 상기 약제 회수부에 약제가 불출되기 직전에, 일단, 상기 바닥판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정지 위치는, 가이드부에 의한 피가이드부의 가이드가 해제되어, 상기 약제가 상기 칸막이 판에 의해서 낙하가 저지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87203 | 2009-08-12 | ||
JP2009187203 | 2009-08-12 | ||
JPJP-P-2010-170710 | 2010-07-29 | ||
JP2010170710 | 2010-07-29 | ||
PCT/JP2010/063374 WO2011018998A1 (ja) | 2009-08-12 | 2010-08-06 | 薬剤払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9257A KR20120049257A (ko) | 2012-05-16 |
KR101776347B1 true KR101776347B1 (ko) | 2017-09-07 |
Family
ID=4358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3524A KR101776347B1 (ko) | 2009-08-12 | 2010-08-06 | 약제 불출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2) | JP5668685B2 (ko) |
KR (1) | KR101776347B1 (ko) |
CN (1) | CN102573756B (ko) |
WO (1) | WO2011018998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2147A (ko) * | 2020-03-04 | 2021-09-14 | (주)제이브이엠 | 의약품 전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전달 모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49487B2 (ja) * | 2011-03-10 | 2015-01-07 | 株式会社トーショー | 薬剤手撒き代行装置 |
JP6015125B2 (ja) * | 2012-05-18 | 2016-10-26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薬剤払出装置 |
US9511945B2 (en) | 2012-10-12 | 2016-12-06 | Aesynt Incorporated |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
US9150119B2 (en) | 2013-03-15 | 2015-10-06 | Aesynt Incorporated |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
WO2014068942A1 (ja) * | 2012-11-01 | 2014-05-08 |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株式会社 | 薬剤収納カセットと、それを装着する薬剤払出装置 |
JP6096149B2 (ja) * | 2014-05-01 | 2017-03-15 | 義広 平山 | 払出装置 |
JP6785033B2 (ja) * | 2015-07-02 | 2020-11-18 |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 薬剤包装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
CN105539929B (zh) * | 2016-01-27 | 2018-10-16 | 青岛三维海容机电有限公司 | 一种摆药盘 |
KR101721571B1 (ko) * | 2016-11-15 | 2017-03-30 | 김재우 | 이중 밑면을 포함하는 저장 용기 |
JP6860636B2 (ja) * | 2019-11-01 | 2021-04-21 | 株式会社タカゾノテクノロジー | 薬剤包装装置および薬剤供給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09899A (ja) | 2004-10-12 | 2006-04-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注射薬自動払出装置 |
JP2007007443A (ja) | 2006-09-12 | 2007-01-18 | Yuyama Manufacturing Co Ltd | 薬剤払出し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11679B1 (fr) * | 1987-02-27 | 1991-07-12 | Cga Hbs | Installation pour la confection de lots d'articles |
JPH03201183A (ja) * | 1989-12-28 | 1991-09-03 | Kubota Corp | 自動販売機 |
JPH09194023A (ja) * | 1996-01-12 | 1997-07-29 | Ishii Ind Co Ltd | 揺動式搬送装置 |
JP3971544B2 (ja) * | 2000-02-17 | 2007-09-05 | グローリー機器株式会社 | メダル洗浄装置 |
TWI290898B (en) * | 2002-08-05 | 2007-12-11 | Yuyama Mfg Co Ltd | Feeding device of drug |
EP1655012A4 (en) * | 2003-07-31 | 2008-01-16 | Yuyama Mfg Co Ltd | DEVICE FOR DISPOSING MEDICAMENTS AND MEDICATION FILLING DEVICE |
JP4421920B2 (ja) * | 2003-09-26 | 2010-02-24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薬品払出装置 |
JP4992262B2 (ja) * | 2005-09-30 | 2012-08-08 | 株式会社湯山製作所 | 薬剤払出装置 |
WO2009038380A2 (en) * | 2007-09-21 | 2009-03-26 | Cretem Co., Ltd. | Module for regulating quantity of various-shaped tablets in automatic tablet dispenser, and tablet dispensing method thereof |
-
2010
- 2010-08-06 JP JP2011526747A patent/JP5668685B2/ja active Active
- 2010-08-06 KR KR1020127003524A patent/KR1017763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8-06 CN CN201080045811.3A patent/CN102573756B/zh active Active
- 2010-08-06 WO PCT/JP2010/063374 patent/WO201101899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
- 2014-12-17 JP JP2014255505A patent/JP5924397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09899A (ja) | 2004-10-12 | 2006-04-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注射薬自動払出装置 |
JP2007007443A (ja) | 2006-09-12 | 2007-01-18 | Yuyama Manufacturing Co Ltd | 薬剤払出し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2147A (ko) * | 2020-03-04 | 2021-09-14 | (주)제이브이엠 | 의약품 전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전달 모듈 |
KR102406371B1 (ko) | 2020-03-04 | 2022-06-08 | (주)제이브이엠 | 의약품 전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약품 전달 모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924397B2 (ja) | 2016-05-25 |
CN102573756B (zh) | 2014-08-27 |
CN102573756A (zh) | 2012-07-11 |
JP5668685B2 (ja) | 2015-02-12 |
WO2011018998A1 (ja) | 2011-02-17 |
KR20120049257A (ko) | 2012-05-16 |
JPWO2011018998A1 (ja) | 2013-01-17 |
JP2015051367A (ja) | 2015-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6347B1 (ko) | 약제 불출 장치 | |
JP5346023B2 (ja) | 薬剤包装装置の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及び錠剤供給方法 | |
EP2436362B1 (en) | Rotary-type tablet feeder | |
US10486889B2 (en) | Drug feeder | |
KR101743412B1 (ko) | 약제 불출 장치 | |
CA2533265C (en) | Medicine supply apparatus and tablet case | |
CN101686897B (zh) | 药片填充装置 | |
US6581355B1 (en) | Tablet filling device | |
US6789996B2 (en) | Medicine feed apparatus | |
JP2010535606A (ja) | 自由形状錠剤の自動排出器の数量調節モジュール及び錠剤供給方法 | |
TWI685335B (zh) | 藥劑配發裝置 | |
TW201708046A (zh) | 用於自動化藥物施配機的藥物饋入罐 | |
JP4964199B2 (ja) | 個別包装薬剤自動供給装置 | |
US6726056B2 (en) | Medicine feed apparatus | |
KR101576197B1 (ko) | 약제 카트리지 | |
KR101107664B1 (ko) | 약제 자동 포장기의 정제분배기 | |
KR20140055947A (ko) | 약제 수집장치 | |
JP2006223538A (ja) | 薬剤払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