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791B1 -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4791B1 KR101664791B1 KR1020150162003A KR20150162003A KR101664791B1 KR 101664791 B1 KR101664791 B1 KR 101664791B1 KR 1020150162003 A KR1020150162003 A KR 1020150162003A KR 20150162003 A KR20150162003 A KR 20150162003A KR 101664791 B1 KR101664791 B1 KR 101664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region
- room
- passage
- indo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F24F11/0015—
-
- F24F11/00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24F2003/146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using rotating regene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실내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111,113,115);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310);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 구비된 제1영역(210)과,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2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제1영역(210) 또는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제습로터(200); 환기모드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310)과 제2영역(220)을 거쳐 실외로 배출시키고,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115)와 제1영역(210)을 거쳐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킴으로써 냉방 및 난방 사이클을 구동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공기 정화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냉방 및 제습 기능을 위하여 냉매를 사용하게 되는데, 냉매의 누설에 의한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냉매 사용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내 배기와 실외 흡입 공기 사이의 현열 및 잠열 전달을 통해 환기부하를 경감시키는 에너지 환기장치들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공기조화기는 잠열회수율이 현열회수율에 비하여 현저히 낮아 냉방부하 증가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에너지 공기조화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재생 증발식 냉방기술이 개발되었다.
재생 증발식 냉방기술은 물의 증발 냉각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물 이외의 냉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공기조화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냉방부하를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증발식 냉각기는, 습채널과 건채널을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하고, 습채널에서의 증발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건채널을 통해 실내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증발식 냉각기가 나타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5668호(재생증발식 냉방기의 코어 모듈 및 그 제작방법)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종래의 재생 증발식 냉방기에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냉매가 순환되는 냉동 사이클 기술을 결합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7616호(공기조화기)가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7616호에 나타난 공기조화기는 제습과 냉방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으나, 제습냉방운전이 장시간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오히려 실내 공기가 지나치게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공기조화기에 냉방과 난방과 환기 및 습도 조절 기능을 모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실내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111,113,115);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310);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 구비된 제1영역(210)과,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2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제1영역(210) 또는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제습로터(200); 환기모드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310)과 제2영역(220)을 거쳐 실외로 배출시키고,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115)와 제1영역(210)을 거쳐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가습모드 가동시 수분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영역(2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이 공급되고,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이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으로 이동한 후 제1영역(210)에서 증발되어 실내를 가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는, 상기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제1영역(210)의 입구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1입구유로(111,113)와, 상기 제1영역(210)의 출구단과 상기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1출구유로(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입구유로(111,113)에서 분기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영역(220)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2공기유로(310)에 연결된 추기유로(112,114)가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150,160)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부(150,160)는, 상기 추기유로(112,114)를 유동하는 실내 공기와 상기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냉각기(15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발냉각기(150)는, 상기 추기유로(112,114)에 연결된 습채널과, 상기 제1출구유로(115)에 연결된 건채널,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분공급부에서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공급된 수분은 상기 제2영역(220)에서 흡착된 후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에서 증발되어 실내를 가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의 전단인 상기 제1입구유로(113)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히터(140)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3히터(180)가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입구유로(113)에는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120)가 구비되고; 상기 환기모드시 상기 제1댐퍼(120)가 닫히면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제1입구유로(111)와 추기유로(112,114)와 제2공기유로(31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310)의 일측 단부를 개폐하는 제2댐퍼(320)가 구비되고; 상기 환기모드시 상기 제1댐퍼(120)와 제2댐퍼(320)가 닫히면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제1입구유로(111)와 추기유로(112,114)와 제2영역(220)과 제2공기유로(31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입구유로(113)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3공기유로(410)가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기유로(112,114) 상에는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추기 송풍기(1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는 일측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타측 실내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유로 송풍기(1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는 일측 실외의 공기를 유입시켜 타측 실외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유로 송풍기(3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2유로 송풍기(330)의 송풍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흡착재의 표면에는 고분자 제습제가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에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111,113,115),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310),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 구비된 제1영역(210)과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2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제1영역(210) 또는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제습로터(200)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310)를 거쳐 실외로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115)를 통해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실외 공기는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되며, 상기 제습로터(20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내 환기 시 실내 가습을 위한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수분공급부에서 상기 제2영역(2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이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영역(210)에서 증발되어 실내를 가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수가 가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의 양은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히터(140)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 환기 시 실내 가습을 위한 가습모드가 가동되고 실외 온도 또는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제1히터(140)를 온(On)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습모드 종료 후 상기 제습로터(200)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2영역(220)을 향하여 공기가 유동하도록 송풍기(170,330)가 가동되고,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상기 제1공기유로(115)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3히터(180)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의 환기 시, 실외 온도 또는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제3히터(180)를 온(On)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에서 분기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영역(220)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2공기유로(310)에 연결된 추기유로(112,114)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의 환기 시, 상기 추기유로(114) 상에 구비된 추기 송풍기(170)가 가동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추기유로(112,114) 및 제2영역(220)을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유로 송풍기(330)는 정지 상태이며; 상기 제1공기유로(113) 상에 구비된 제1유로 송풍기(130)가 가동되어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로터와 냉각부의 제어를 통해 실내 온도 및 습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습로터와 증발냉각기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일어나므로 냉방 부하 또는 난방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댐퍼를 이용하여 실외공기가 유동하는 제2공기유로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실내 제습과 냉방 및 가습이 가능하므로 실내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제습냉방모드와 환기모드와 난방모드가 하나의 공기조화기에서 운전이 이루어지고, 각각의 모드마다 가습 운전이 가능하므로, 실내의 온도와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에 히터를 구비함으로써 실내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제습로터의 흡착재의 표면에는 고분자 제습제가 코팅되어 있어 수분 흡착시 항균 및 탈취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드를 가동시킴으로써 제습로터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여 세균 증식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난방모드시 상온의 실내 공기가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고, 제습로터의 제2영역을 재생시키기 위한 제2히터가 상온의 실내 공기에 의해 상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겨울철에 제2히터 내부의 잔류수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공기조화기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습냉방운전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모드에서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모드에서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일실시예에 의한 제습로터 건조모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습모터 건조모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공기조화기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습냉방운전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가습운전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모드시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환기모드에서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난방모드에서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일실시예에 의한 제습로터 건조모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습모터 건조모드가 이루어지는 경우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일측이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111,113,115), 적어도 일측이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310),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 구비된 제1영역(210)과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2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제1영역(210) 또는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제습로터(200),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150,160), 상기 제습로터(200)와 냉각부(150,16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는 일측 실내와 연통되어 실내의 공기(RA)가 유입되는 제1입구유로(111,113), 타측 실내와 연통되어 제1입구유로(111,113)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제1출구유로(1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입구유로(111,113)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측(111)과 제1영역(210)의 입구단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제1입구유로(111,113)를 거쳐 제1영역(21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제1출구유로(115)는 상기 제1영역(210)의 출구단과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공기(SA)를 실내로 배출시키는 출구(115a)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310)는 일측단과 타측단에 실외공기입구(311)와 실외공기출구(312)가 구비되어 있어, 제2공기유로(310)의 양단은 실외와 연통함으로써 실외 공기(OA)가 유입되거나 실외로 공기(EA)를 배출시킨다.
상기 제1공기유로(113,115)와 제2공기유로(310)는 격벽(450)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격벽(450)에 의해 구획된 제1공기유로(113,115)는 실내 측에 구비되고, 제2공기유로(310)는 실외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구유로(113)에는 실외 공기(OA)가 유입되도록 제3공기유로(410)가 연결되어 있다. 제1유로 송풍기(130)가 가동되는 경우 상기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는 제1입구유로(113)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와 합쳐져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제1출구유로(115)로 유동한다.
상기 제1입구유로(111,113)에는 추기유로(112,11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추기유로(112,114)는 증발냉각기(150)에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1추기유로(112)와 증발냉각기(15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제2영역(220)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제2추기유로(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추기유로(112)는 제1입구유로(111,113)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입구유로(111)을 통해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의 일부인 추기 공기가 증발냉각기(150)로 유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1입구유로(113) 상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댐퍼(120)를 닫으면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전부 추기유로(112,114)로 유동하게 되고, 제1댐퍼(120)를 개방시키면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제1입구유로(113)와 추기유로(112,114)로 분할되어 유동한다.
상기 제2추기유로(114) 상에는 상기 추기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추기 송풍기(170)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는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의 전단에 제1유로 송풍기(1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 송풍기(130)는 제1입구유로(111,113)를 통해 유입된 실내 공기를 제1영역(210) 및 제1출구유로(115)를 거쳐 타측 실내로 배출시킨다.
상기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 사이에는 제1히터(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히터(140)는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온(On)/오프(Off)로 제어될 수 있다. 실내의 온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와 제1영역(210)의 수분을 증발시켜 실내의 습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히터(140)를 온(On)시켜 제1영역(2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킨다. 상기 제1영역(210)에서는 상기 가열된 공기로 인해 수분의 증발량이 증가되어 실내 습도 조절 능력이 향상된다.
상기 제1출구유로(115) 상에는 상기 냉각부(150,160)를 구성하는 증발냉각기(150)와 증발기(160)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냉각기(150)는 추기유로(112,114)를 유동하는 추기 공기와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증발냉각기(150) 내부에는 서로 격리된 건채널과 습채널로 구성된다. 상기 추기 공기는 습채널을 통해 유동하고, 습채널은 추기유로(112,114)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공기는 제1출구유로(115)에 연결된 건채널을 통해 유동한다. 상기 증발냉각기(150)는 복수의 플레이트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층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 사이의 이격된 공간이 교대로 습채널과 건채널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건채널과 습채널은 플레이트에 의해 서로 격리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습채널에는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수분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수분공급부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주수펌프와 상기 주수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수펌프의 가동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양은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추기 공기에 물을 분사하면, 분사된 물이 증발되면서 습채널을 둘러싸는 플레이트를 냉각시켜 건채널을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증발기(160)는 응축기(350), 압축기(360), 팽창밸브(미도시)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한다. 상기 증발기(160)는 제1출구유로(115)에 구비되어, 팽창밸브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저압으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상기 증발시의 흡열현상을 이용하여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기(210)는 제2공기유로(310)에 구비되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한다. 상기 압축기(210)가 작동하는 경우 발열작용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제2공기유로(3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50)는 제2공기유로(310)에 구비되고, 압축기(210)의 냉매 출력단에 연결되어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킨다. 상기 응축시의 발열현상을 이용하여 제2공기유로(31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는 응축기(35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냉매를 팽창시킨다.
상기에서는 냉동 사이클로 구성하였으나, 히트 펌프 시스템(Heat pump system)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히트 펌프 시스템으로 구성한 경우, 증발기(160)와 응축기(350)의 기능이 서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160)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기능하게 되므로, 실내 난방시 증발기(160)를 이용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제습로터(200)에는 그 내부에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습로터(200)는 중앙에 구비된 축을 중심으로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습로터(200)는 제습 냉방 운전 중 제1영역(210)을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수분이 흡착된 흡착재 부분이 회전에 의해 제2영역(220)에 위치하게 되면 제2영역(220)을 통과하는 실외 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재생된다. 또한, 가습 운전 시에는 제2영역(2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수분이 흡착된 흡착재 부분이 회전에 의해 제1영역(210)에 위치하게 되면 제1영역(210)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건조되어 재생된다. 이와 같이 제습로터(200)는 회전을 통하여 흡습 및 재생과정을 반복한다.
상기 흡착재로는 실리카겔(silicagel)이나 제올라이트(zeolite) 등의 제습제가 사용될 수 있고, 벌집 패턴과 같은 소정의 형태의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재의 표면에는 고분자 제습제가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제습제(Desiccant Polymer)는 전해질 고분자 물질로 수분과 접촉시 이온화가 되는데, 흡착재에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이온 농도차에 의한 삼투압 현상으로 세균이 흡착재로부터 제거되므로, 항균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악취를 발생시키는 암모니아나 황화수소 등도 극성 분자로 이온화된 고분자 제습제에 달라붙어 탈취효과를 발생시킨다. 상기 코팅되는 고분자 제습제로는 실리카(Silica) 또는 지올라이트(zeolite)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는 실내의 습도에 따라 제습로터(200)의 회전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실내를 제습하는 경우 제습로터(2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제습로터(200)에 의한 제습량이 증가하고, 제습로터(20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제습량이 감소하므로, 실내의 제습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내를 가습하는 경우 제습로터(2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면 제습로터(200)에 의한 가습량이 증가하고, 제습로터(20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면 가습량이 감소하므로, 실내의 가습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유로 송풍기(130)와 추기 송풍기(170) 및 제2유로 송풍기(330)의 송풍량을 함께 조절하여 실내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는 일측 실외의 공기(OA)를 유입시켜 타측 실외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유로 송풍기(33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유로 송풍기(330)는 실외공기입구(311)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를 제2공기유로(310)와 제2영역(220) 및 실외공기출구(312)를 거쳐 타측 실외로 유동시킨다. 상기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2유로 송풍기(330)의 송풍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 된다.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는 실내 제습시 온(On)되어 제2영역(2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여 제2영역(220)의 흡착재의 습기를 증발시켜 제2영역(220)을 재생시키기 위한 제2히터(3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히터(340)는 제2유로 송풍기(330)에 의해 송풍되는 외기를 가열하여 제습로터(200)의 건조율을 높임으로써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이 적절히 재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압축식 냉방장치의 압축기(360) 및 응축기(350)를 통과하면서 예열된 실외 공기를 제2영역(220)의 습기를 증발시키는데 적합한 온도가 되도록 추가로 가열한다. 상기 제2히터(340)는 온수가 내부를 유동하는 온수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온수배관과의 열교환에 의해 실외 공기가 가열되고, 제1히터(140)도 동일하다.
상기 제2공기유로(310)의 실외공기출구(312) 측에는 공기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제2댐퍼(320)가 구비된다. 추기 송풍기(170)의 가동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2추기유로(114)를 거쳐 제2공기유로(310)로 유입되는데, 제습모드가 작동되어 제2댐퍼(320)가 열린 경우에는 공기가 실외공기출구(31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고, 가습모드가 작동되어 제2댐퍼(320)가 닫힌 경우에는 공기가 제2영역(220) 및 실외공기입구(3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따라서 제2댐퍼(320)는 제2공기유로(310)의 공기 유동 방향이 제습모드시와 가습모드시 서로 반대 방향이 되도록 전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및 습도로부터 실내 온도 및 실내 습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1영역(210) 사이에 제1히터(140)가 구비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1히터(140) 대신 증발기(160)의 후단에 제3히터(180)가 구비되거나, 제1히터(140)와 제3히터(180)가 함께 구비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3히터(180)는 실내 난방 시 출구(115a)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원하는 실내 온도를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습냉방운전 및 습도조절운전>
이하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의한 제습냉방운전 및 습도조절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습냉방모드가 가동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제1댐퍼(120)와 제2댐퍼(320)는 개방되고, 추기 송풍기(170)와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2유로 송풍기(330)와 제2히터(340)와 증발냉각기(150)와 증발기(160)와 응축기(350)와 압축기(360)는 온(On)되어 가동되며, 제습로터(200)는 회전한다. 제1히터(140)와 제3히터(180)는 오프(Off) 상태이다.
제1유로 송풍기(130)의 가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제1입구유로(111,113)로 유입된다. 이 경우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추기 송풍기(170)의 가동에 의해 제1추기유로(112)를 통해 증발냉각기(150) 내부의 습채널로 유동한다. 습채널에는 수분공급부에 의해 물이 분사되고, 분사된 물이 증발되면서 열을 흡수하여 습채널과 건채널의 경계를 이루는 플레이트를 냉각시키고, 상기 플레이트의 냉각에 의해 건채널을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제1입구유로(111,113)를 통과한 실내의 공기는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으로 유동한다. 이 경우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실외 공기가 유입되어 제2추기유로(114)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 공기를 보충하게 된다.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하는 공기는 흡착재에 수분이 흡착되어 건조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영역(21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는 회전에 의해 제2영역(220)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공기는 증발냉각기(150) 내부의 건채널을 통과하면서 습채널과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후 증발기(16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60)에서는 냉매의 증발로 인해 증발냉각기(150)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한 번 냉각시키고, 상기 증발기(160)를 통과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실내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실내의 냉방 및 습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제2유로 송풍기(330)가 가동되어 실외의 공기는 실외공기입구(311)를 통해 유입되어 제2공기유로(310)를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제2공기유로(310)의 공기는 압축기(360)를 통과하면서 압축기(360)의 발열에 의해 생긴 열을 흡수하여 1차 예열되고, 응축기(350)를 통과하면서 응축기(350)의 발열에 의해 생긴 열을 흡수하여 2차 예열된다. 상기 응축기(350)를 통과한 공기는 제2히터(340)에 의해 가열된 후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제2영역(220)에는 제1영역(21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가 회전되어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히터(34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2영역(220)의 흡착재의 수분을 건조시켜 제습로터(200)를 재생시킨다. 이렇게 재생된 흡착재는 다시 회전되어 제1영역(210)에 위치함으로써 제습과 재생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한 공기는 제2댐퍼(320)가 개방된 실외공기출구(31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 경우 증발냉각기(150)의 습채널을 통과한 습한 추기 공기도 제2추기유로(114)를 거쳐 실외공기출구(312)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 경우 실내의 온도와 습도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측정된 실내의 온도와 습도 정보는 제어부로 송출된다.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실내 온도와 습도가 설정된 온도 및 습도가 되도록 상기한 장치들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제습로터(200)의 회전수 조절과 제2히터(340)의 온(On)/오프(Off) 운전에 의해 습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내 습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습로터(200)의 회전수를 증가시키고, 실내 습도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습로터(200)의 회전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히터(340)를 온(On)시키면 제2영역(220)의 흡착재의 수분 건조량이 증가하여 제습량이 커지므로 실내 습도를 낮출 수 있고, 제2히터(340)를 오프(Off)시키면 제2영역(220)의 흡착재의 수분 건조량이 감소하여 제습량이 작아지므로 실내 습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추기 송풍기(170)의 풍량 조절, 수분공급부에 의한 주수량 조절, 압축기(360)의 온(On)/오프(Off) 운전에 의해 온도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내 온도를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기 송풍기(170)의 풍량 및 수분공급부에 의한 주수량을 증가시켜 습채널에서의 증발량 증가에 따른 건채널의 공기 온도를 하락시킬 수 있고, 압축기(360)를 온(On)시켜 증발기(160)에서 공기를 냉각시킨다. 실내 온도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가동시킨다.
한편, 실내가 복수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각 방의 온도 및 습도 제어는 제1출구유로(115)의 출구(115a)측에 연결되어 각 방에 설치된 실내기(미도시)의 풍량을 가변 조절하여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실내의 제습 및 냉방이 이루어지는데, 제습 냉방이 장시간 계속 이루어진 경우 실내 습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실내를 가습하여 실내 습도를 신속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실내 가습시의 제어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제1댐퍼(120)는 개방되고, 제2댐퍼(320)는 닫힌 상태가 된다. 추기 송풍기(170)와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1히터(140)와 증발냉각기(150)는 온(On)되어 가동되고, 제습로터(200)는 회전한다. 제2유로 송풍기(330)와 제2히터(340)와 증발기(160)와 응축기(350)와 압축기(360)와 제3히터(180)는 오프(Off)되어 정지 상태가 된다.
제1유로 송풍기(130)의 가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제1입구유로(111,113)로 유입된다. 이 경우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는 추기 송풍기(170)의 가동에 의해 제1추기유로(112)를 통해 증발냉각기(150) 내부의 습채널로 유동한다. 습채널에는 수분공급부에 의해 물이 분사되고, 물의 분사에 의해 습한 상태가 된 공기는 제2추기유로(114)를 거쳐 제2공기유로(310)로 유동한다.
이 경우 제2댐퍼(320)가 닫힌 상태이므로 제2추기유로(114)를 통과한 습한 공기는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하는 습한 공기의 수분은 제2영역(220)의 흡착재에 흡착되고, 제2영역(220)을 통과한 공기는 건조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는 회전에 의해 제1영역(210)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하면서 건조한 상태가 된 공기는 제2공기유로(310)를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제1유로 송풍기(130)에 의해 제1입구유로(111,113)를 통과한 실내 공기는 제1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후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영역(210)에는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가 회전되어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1영역(210)의 흡착재의 수분을 건조시켜 제습로터(200)를 재생시킨다.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하면서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증발냉각기(150)를 거치면서 온도가 하락된 후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높이게 된다.
<환기운전 및 습도조절운전>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환기 및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제어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를 환기하는 환기모드가 가동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제1댐퍼(120)와 제2댐퍼(320)는 닫힌 상태가 된다. 추기 송풍기(170)와 제1유로 송풍기(130)는 온(On)되어 가동되고, 제습로터(200)는 회전한다. 제1히터(140)와 증발냉각기(150)와 증발기(160)와 제3히터(180)와 제2유로 송풍기(330)와 제2히터(340)와 응축기(350)와 압축기(360)는 오프(Off)되어 정지 상태가 된다. 여기서 증발냉각기(150)의 오프(Off)란 수분공급부의 가동 중단을 의미한다.
추기 송풍기(170)의 가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제1입구유로(111)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제1댐퍼(120)가 닫힌 상태이므로, 유입된 실내 공기 전부는 제1추기유로(112), 증발냉각기(150) 내부의 습채널, 제2추기유로(114)를 순차 거친 후 제2공기유로(310)로 유동한다.
상기 제2공기유로(310)에서는 제2댐퍼(320)가 닫혀 실외공기출구(312)가 막힌 상태이므로, 제2추기유로(114)를 통과한 공기는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 제2공기유로(310)를 거쳐 실외공기입구(311)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제1유로 송풍기(130)가 가동되면, 제1댐퍼(120)가 닫힌 상태이므로 실내 공기의 유입은 차단되고,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실외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실외 공기는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제1출구유로(115)를 통해 실내로 유입됨으로써, 실내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증발냉각기(150)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1차로 이루어지고, 제습로터(200)에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2차로 이루어진다.
하절기 또는 간절기에는 실내 온도가 낮고, 실외 온도가 높다. 이와 같은 온도 상태에서 상기한 환기모드를 가동시키면, 증발냉각기(150)에서 건채널을 유동하는 실외 공기와 습채널을 유동하는 실내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져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실외 공기의 온도가 하락하게 된다.
또한,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을 실내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흡착재의 온도가 하락하게 되고, 온도가 하락한 흡착재가 회전에 의해 제1영역(210)에 위치하게 되면 실외 공기가 제1영역(210)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외 공기의 온도가 하락한 상태에서 제1출구유로(115)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증발냉각기(150)와 제습로터(200)에서 2번에 걸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므로, 냉방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간절기 또는 동절기에는 실외 온도가 낮고, 실내 온도가 높다. 이와 같은 온도 상태에서 환기모드를 가동시키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과정에 의해, 증발냉각기(150)와 제습로터(200)에서 2번에 걸친 열교환이 이루어져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난방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환기모드에서 실내의 습도가 낮아 가습이 필요한 경우에는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각 구성의 동작상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증발냉각기(150)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구성의 동작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하다. 증발냉각기(150)의 수분공급부가 온(On)되어, 증발냉각기(150)의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습한 공기를 형성시킨다. 상기 습한 공기는 제2추기유로(114)를 통해 제2공기유로(310)로 유입된 후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2영역(220)의 흡착재에 흡착된다. 상기 제2영역(220)에서 수분이 흡착되어 건조해진 공기는 제2공기유로(31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제1유로 송풍기(130)의 가동에 의해 실외의 공기는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는 회전에 의해 제1영역(210)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영역(210)을 통과하면서 흡착재의 수분을 증발시켜 형성된 습한 공기는 제1출구유로(115)를 거쳐 실내로 유동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내 환기와 동시에 실내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1히터(140)는 오프(Off)상태인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1히터(140)를 온(On)시켜 제1영역(210)에서 증발이 원활히 일어나 가습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히터(140)를 온(On)시키면 실외 공기가 제1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후 실내로 유입되므로, 온도가 낮은 경우 실내 난방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내 난방이 필요한 경우 제3히터(180)를 온(On)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111,113,115)에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환기모드 운전 시 필터에 의해 여과된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실내 공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난방운전 및 습도조절운전>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난방 및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제어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실내 공기의 난방을 위하여 난방운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해 가습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각 구성의 동작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난방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댐퍼(120)는 개방되고, 제2댐퍼(320)는 닫힌 상태가 된다. 증발냉각기(150)와 추기 송풍기(170)와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1히터(140)는 온(On)되어 가동되고, 제습로터(200)는 회전한다. 제3히터(18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3히터(180)를 온(On)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증발기(160)와 제2유로 송풍기(330)와 제2히터(340)와 응축기(350)와 압축기(360)는 오프(Off)되어 정지 상태가 된다.
제1유로 송풍기(130)와 추기 송풍기(170)의 가동에 의해 실내의 공기는 제1입구유로(111)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공기 중 일부 공기는 제1입구유로(113)를 통해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 방향으로 유동하고, 나머지 공기는 제1추기유로(112)를 통해 증발냉각기(150)로 유입된 후 제2추기유로(114)를 거쳐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 방향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유로 송풍기(130)의 가동에 의해 실외 공기는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유입되고,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혼합되어 제1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후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추기유로(112)를 통해 증발냉각기(150)의 습채널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수분공급부가 온(On)되어,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습한 공기를 형성시킨다. 상기 습한 공기는 제2추기유로(114)를 통해 제2공기유로(310)로 유입된 후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2영역(220)의 흡착재에 흡착된다. 상기 제2영역(220)에서 수분이 흡착되어 건조해진 공기는 제2공기유로(31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실내 공기 일부가 제2공기유로(31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므로, 실내 공기 배출량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실내 공기 보상과 동시에 환기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는 회전에 의해 제1영역(210)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1히터(14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제1영역(210)을 통과하면서 흡착재의 수분을 증발시켜 습한 상태가 된 후 제1출구유로(115)를 거쳐 실내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내 난방과 동시에 실내 가습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실내의 습도에 따라 증발냉각기(150)의 수분공급부를 오프(Off)시킴으로써 수분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고, 수분공급부에 의한 수분공급량을 조절하여 습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3히터(18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제1영역(210)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기 직전에 가열된 후 실내로 유입된다. 제1히터(140)에 의해 공기가 가열된 경우에는 증발냉각기(150)와 증발기(160)를 거치는 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제3히터(180)에 의해 가열하는 경우에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신속하게 난방 공급이 가능하다.
한편, 증발기(160)와 응축기(350) 및 압축기(360)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대신 히트 펌프 시스템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난방모드시 냉매를 역순환시켜 상기 증발기(160)가 응축기의 기능을 대신하게 함으로써 증발기(160)를 보조 열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제2히터(340)가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온수배관으로 이루어진 경우, 동절기에 온수배관에 잔류하는 물이 동결되어 온수배관의 동파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난방모드시 실내 공기가 추기유로(114) 및 제2영역(220)을 통해 제2공기유로(310)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310)를 유동하는 실내 공기에 의해 제2히터(340)를 상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온수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제습로터 건조모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제습로터(200)가 젖어 있는 경우 이를 건조시키기 위한 제습로터 건조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로터(200)는 수분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수분이 흡착되거나, 실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흡착되어 젖은 상태가 될 수 되는데, 상기한 젖은 상태를 방치할 경우 세균 증식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습로터(200)를 건조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제습로터 건조모드가 가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댐퍼(120)와 제2댐퍼(320)는 닫힌 상태가 되고, 추기 송풍기(170)가 온(On)되어 실내 공기가 제1입구유로(111), 추기 유로(112,114)를 순차 거친 후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을 통과하게 되고, 제2영역(220)은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건조된다.
상기 제2영역(220)의 흡착재가 건조되면, 제습로터(200)가 회전하여 제1영역(210)에 위치해있던 흡착재가 제2영역(220)의 위치에 오게 되고, 다시 실내 공기가 통과하면서 건조된다.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한 공기는 제2공기유로(310)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는데,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면 실내 공간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이를 보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유로 송풍기(130)를 온(On)시켜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실외 공기를 유입시켜 실내 공기를 보충하게 된다. 이 경우 제1히터(140)를 온(On)시키면 가열된 실외 공기가 제1영역(210)을 통과하게 되므로 제습로터(200)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제습로터(200)의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은 건조한 상태가 된다.
도 8에서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제습로터(200)가 건조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도 9에서는 실내 공기의 실외 배출 없이 실외 공기의 유동만으로 제습로터(200)를 건조시키는 과정에 대해 나타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댐퍼(120)는 닫힌 상태이고, 제2댐퍼(320)는 열린 상태이며, 추기 송풍기(170)는 오프(Off)되어 실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제2유로 송풍기(330)가 온(On)되고 제습로터(200)가 회전하면 실외 공기가 제습로터(200)로 공급되어 제습로터(200)의 제2영역(220)을 건조시킨다. 이 경우 제2히터(340)를 온(On)시키면 신속한 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유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실외 공기만으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도 8에서와 같이 제1유로 송풍기(130)를 가동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11,113,115 : 제1공기유로 112,114 : 추기유로
120 : 제1댐퍼 130 : 제1유로 송풍기
140 : 제1히터 150 : 증발냉각기
160 : 증발기 170 : 추기 송풍기
180 : 제3히터 200 : 제습로터
210 : 제1영역 220 : 제2영역
310 : 제2공기유로 320 : 제2댐퍼
330 : 제2유로 송풍기 340 : 제2히터
350 : 응축기 360 : 압축기
410 : 제3공기유로 450 : 격벽
120 : 제1댐퍼 130 : 제1유로 송풍기
140 : 제1히터 150 : 증발냉각기
160 : 증발기 170 : 추기 송풍기
180 : 제3히터 200 : 제습로터
210 : 제1영역 220 : 제2영역
310 : 제2공기유로 320 : 제2댐퍼
330 : 제2유로 송풍기 340 : 제2히터
350 : 응축기 360 : 압축기
410 : 제3공기유로 450 : 격벽
Claims (21)
-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111,113,115);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310);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 구비된 제1영역(210)과,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2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제1영역(210) 또는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제습로터(200);
환기모드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310)과 제2영역(220)을 거쳐 실외로 배출시키고,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115)와 제1영역(210)을 거쳐 실내로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가 설정되고, 상기 가습모드 가동시 수분공급부에 의해 상기 제2영역(2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이 공급되고,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이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으로 이동한 후 제1영역(210)에서 증발되어 실내를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는, 상기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제1영역(210)의 입구단 사이를 연결하는 제1입구유로(111,113)와, 상기 제1영역(210)의 출구단과 상기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제1출구유로(11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입구유로(111,113)에서 분기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영역(220)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2공기유로(310)에 연결된 추기유로(112,114)가 구비되고;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150,160)를 구비하되, 상기 냉각부(150,160)는, 상기 추기유로(112,114)를 유동하는 실내 공기와 상기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증발냉각기(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냉각기(150)는, 상기 추기유로(112,114)에 연결된 습채널과, 상기 제1출구유로(115)에 연결된 건채널,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분공급부에서 상기 습채널을 유동하는 공기에 공급된 수분은 상기 제2영역(220)에서 흡착된 후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에서 증발되어 실내를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210)의 전단인 상기 제1입구유로(113)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히터(1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상기 제1출구유로(115)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3히터(18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구유로(113)에는 공기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제1댐퍼(120)가 구비되고;
상기 환기모드시 상기 제1댐퍼(120)가 닫히면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제1입구유로(111)와 추기유로(112,114)와 제2공기유로(31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310)의 일측 단부를 개폐하는 제2댐퍼(320)가 구비되고;
상기 환기모드시 상기 제1댐퍼(120)와 제2댐퍼(320)가 닫히면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제1입구유로(111)와 추기유로(112,114)와 제2영역(220)과 제2공기유로(310)를 거쳐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구유로(113)에는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제3공기유로(41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기유로(112,114) 상에는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추기 송풍기(170)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는 일측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켜 타측 실내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1유로 송풍기(1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는 일측 실외의 공기를 유입시켜 타측 실외로 유동시키기 위한 제2유로 송풍기(330)가 구비되고;
상기 제1유로 송풍기(130)와 제2유로 송풍기(330)의 송풍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재의 표면에는 고분자 제습제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에는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실내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1공기유로(111,113,115), 실외와 연통하도록 구비된 제2공기유로(310),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 상에 구비된 제1영역(210)과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영역(220)과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과 제2영역(220)을 교대로 통과하면서 상기 제1영역(210) 또는 제2영역(220)에서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로 이루어진 제습로터(200)를 포함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를 통해 유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제2공기유로(310)를 거쳐 실외로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실외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공기유로(115)를 통해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실내를 환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실외 공기는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되며, 상기 제습로터(20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 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환기 시 실내 가습을 위한 가습모드가 가동되면, 수분공급부에서 상기 제2영역(22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수분이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영역(210)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1영역(210)에서 증발되어 실내를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제습로터(200)의 회전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수분의 양은 실내의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210)을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1히터(140)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 환기 시 실내 가습을 위한 가습모드가 가동되고 실외 온도 또는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제1히터(140)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드 종료 후 상기 제습로터(200)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모드가 가동되면, 상기 제2영역(220)을 향하여 공기가 유동하도록 송풍기(170,330)가 가동되고, 상기 제2영역(22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실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상기 제1공기유로(115)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제3히터(180)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의 환기 시, 실외 온도 또는 실내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제3히터(180)를 온(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기유로(111,113,115)에서 분기되어 상기 실내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영역(220)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2공기유로(310)에 연결된 추기유로(112,114)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의 환기 시,
상기 추기유로(114) 상에 구비된 추기 송풍기(170)가 가동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추기유로(112,114) 및 제2영역(220)을 통과한 후 실외로 배출되고;
상기 제2공기유로(310) 상에 구비된 제2유로 송풍기(330)는 정지 상태이며;
상기 제1공기유로(113) 상에 구비된 제1유로 송풍기(130)가 가동되어 제3공기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제1영역(210)을 통과한 후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003A KR101664791B1 (ko) | 2015-11-18 | 2015-11-18 |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PCT/KR2016/013144 WO2017086677A1 (ko) | 2015-11-18 | 2016-11-15 |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US15/777,130 US10775059B2 (en) | 2015-11-18 | 2016-11-15 | Air conditioning capable of controlling ventilation and humidity,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2003A KR101664791B1 (ko) | 2015-11-18 | 2015-11-18 |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4791B1 true KR101664791B1 (ko) | 2016-10-12 |
Family
ID=5717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2003A KR101664791B1 (ko) | 2015-11-18 | 2015-11-18 |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775059B2 (ko) |
KR (1) | KR101664791B1 (ko) |
WO (1) | WO2017086677A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833A (ko) * | 2016-12-30 | 2018-07-10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180079570A (ko) * | 2016-12-30 | 2018-07-11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 조화기 |
CN109140714A (zh) * | 2017-06-16 | 2019-01-04 | 庆东纳碧安株式会社 | 空调的控制方法及空调 |
KR20200090703A (ko) * | 2017-06-16 | 2020-07-29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
KR102190905B1 (ko) * | 2020-02-03 | 2020-12-15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 조화기 |
WO2022247367A1 (zh) * | 2021-03-22 | 2022-12-01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用于温湿双控的系统、方法及设备 |
KR102654767B1 (ko) * | 2022-12-30 | 2024-04-04 | 심혜옥 | 복합 제습 환기 및 건조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96287B (zh) * | 2016-06-08 | 2020-12-01 | 三菱电机株式会社 | 空气调节系统 |
IT201800005333A1 (it) * | 2018-05-14 | 2019-11-14 | Metodo e sistema di controllo di una ruota di deumidificazione | |
KR20220073842A (ko) * | 2019-10-10 | 2022-06-03 | 크레이튼 폴리머스 엘엘씨 | 멤브레인 기반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
CN113141757B (zh) * | 2021-03-31 | 2022-05-17 | 浙江一舟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数据中心基于蒸发装置和通风装置的湿度补偿系统 |
CN115218281A (zh) * | 2021-04-16 | 2022-10-21 |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 空调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9485B2 (ja) * | 1989-06-27 | 1994-05-25 | 東亞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吸水性樹脂の製造法 |
KR100600773B1 (ko) * | 2005-02-22 | 2006-07-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JP4639485B2 (ja) | 2001-02-09 | 2011-02-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KR20120019469A (ko) * | 2009-05-04 | 2012-03-06 | 브리-에어 (아시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 건조제 유닛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101436613B1 (ko) * | 2013-10-29 | 2014-11-05 | 한국지역난방공사 |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5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67939A (en) * | 1984-02-02 | 1986-02-04 | Dumbeck Robert F | Computer controlled air conditioning systems |
US4910971A (en) * | 1988-02-05 | 1990-03-27 | Hydro Thermal Engineering Pty. Ltd. | Indirect air conditioning system |
US4887438A (en) * | 1989-02-27 | 1989-12-19 | Milton Meckler | Desiccant assisted air conditioner |
US5212956A (en) * | 1991-01-18 | 1993-05-25 | Ari-Tec Marketing,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cooling |
US5251458A (en) * | 1991-08-19 | 1993-10-12 | Tchernev Dimiter I |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air cooling and water removal requirements of deep-level mines |
US5758511A (en) * | 1991-10-15 | 1998-06-02 | Yoho; Robert W. | Desiccant multi-duel hot air/water air conditioning system |
US5353606A (en) * | 1991-10-15 | 1994-10-11 | Yoho Robert W | Desiccant multi-fuel hot air/water air conditioning unit |
US5325676A (en) * | 1992-08-24 | 1994-07-05 | Milton Meckler | Desiccant assisted multi-use air pre-conditioner unit with system heat recovery capability |
US5279609A (en) * | 1992-10-30 | 1994-01-18 | Milton Meckler | Air quality-temperature controlled central conditioner and multi-zone conditioning |
US5426953A (en) * | 1993-02-05 | 1995-06-27 | Meckler; Milton | Co-sorption air dehumidifying and pollutant removal system |
US7231967B2 (en) * | 1994-01-31 | 2007-06-19 | Building Performance Equipment, Inc. | Ventilator system and method |
US5826641A (en) * | 1994-10-27 | 1998-10-27 | Aaon, Inc. | Air conditioner with heat wheel |
TW317603B (ko) * | 1994-11-24 | 1997-10-11 | Kankyo Kijyutsu Kenkyusho Kk | |
US5661983A (en) * | 1995-06-02 | 1997-09-02 | Energy International, Inc. | Fluidized bed desiccant cooling system |
DE69631111T2 (de) * | 1995-11-07 | 2004-08-26 | Kabushiki Kaisha Seibu Giken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ühlen eines Fluidstromes und trocknende Gaskühlung |
US5816065A (en) * | 1996-01-12 | 1998-10-06 | Ebara Corporation | Desiccant assisted air conditioning system |
US6018953A (en) * | 1996-02-12 | 2000-02-01 | Novelaire Technologies, L.L.C. |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indirect evaporative cooler |
US5660048A (en) * | 1996-02-16 | 1997-08-26 | Laroche Industries,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warm moisture-laden air |
US6131653A (en) * | 1996-03-08 | 2000-10-17 | Larsson; Donald E. | Method and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nd conditioning air |
US6029467A (en) * | 1996-08-13 | 2000-02-29 | Moratalla; Jose M. | Apparatus for regenerating desiccants in a closed cycle |
MY117922A (en) * | 1996-12-27 | 2004-08-30 | Ebara Corp | Air conditioning system |
US5953926A (en) * | 1997-08-05 | 1999-09-21 | Tennessee Valley Authority | Heating, cooling, and dehumidifying system with energy recovery |
JPH11262621A (ja) * | 1998-03-17 | 1999-09-28 | Ebara Corp | 除湿空調装置 |
WO2000000774A1 (fr) * | 1998-06-30 | 2000-01-06 | Ebara Corporation | Echangeur de chaleur, pompe a chaleur, deshumidificateur et procede de deshumidification |
US20080003940A1 (en) * | 1998-11-09 | 2008-01-03 | Building Performance Equipment, Inc. | Ventilator system and method |
US6178762B1 (en) * | 1998-12-29 | 2001-01-30 | Ethicool Air Conditioners, Inc. | Desiccant/evaporative cooling system |
US6199388B1 (en) * | 1999-03-10 | 2001-03-13 | Semco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
US6575228B1 (en) * | 2000-03-06 | 2003-06-10 | Mississippi State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 Ventilating dehumidifying system |
SE516900C2 (sv) * | 2000-04-18 | 2002-03-19 | Munters Europ Ab |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värme- och fuktutbyte mellan två luftströmmar samt förfarande för styrning av nämnda anordning |
TW536578B (en) * | 2000-09-26 | 2003-06-11 | Seibu Giken Kk | Co-generation system and dehumidification air-conditioner |
US7104082B1 (en) * | 2003-02-06 | 2006-09-12 | Jose Moratalla | Dehumidification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
US7338548B2 (en) * | 2004-03-04 | 2008-03-04 | Boutall Charles A | Dessicant dehumidifer for drying moist environments |
US6973795B1 (en) * | 2004-05-27 | 2005-12-13 |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 HVAC desiccant wheel system and method |
KR100707440B1 (ko) * | 2005-03-08 | 2007-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습기 |
JP4169747B2 (ja) * | 2005-03-09 | 2008-10-22 | 三洋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US7685834B2 (en) * | 2006-01-17 | 2010-03-30 | Trane International Inc. | HVAC desiccant wheel system and method |
KR100773434B1 (ko) * | 2007-02-01 | 2007-11-05 | 한국지역난방공사 |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 |
US7802443B2 (en) * | 2007-04-13 | 2010-09-28 | Air Innovations, Inc. | Total room air purification system with air conditioning, filtration and ventilation |
US20090139254A1 (en) * | 2007-12-03 | 2009-06-04 | Gerald Landry | Thermodynamic closed loop desiccant rotor system and process |
US7654101B2 (en) * | 2007-12-07 | 2010-02-02 | Shapiro Ian M | Split-air stream air conditioning with desiccant dehumidification |
US20100281893A1 (en) * | 2009-05-11 | 2010-11-11 | Stulz Air Technology Systems, Inc. | Desiccant dehumidifier utilizing hot water for reactivation, and related method |
KR100943285B1 (ko) * | 2009-06-01 | 2010-02-23 | (주)에이티이엔지 | 하이브리드 데시칸트 제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8943848B2 (en) * | 2010-06-16 | 2015-02-03 | Reznor Llc | Integrated ventilation unit |
US9885486B2 (en) * | 2010-08-27 | 2018-02-06 |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 Heat pump humidifier and dehumidifier system and method |
US8790451B1 (en) * | 2010-09-17 | 2014-07-29 | Pvt Solar, Inc. |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home cooling utilizing solar power |
CA2769346A1 (en) * | 2011-02-28 | 2012-08-28 | Carrier Corporation | Packaged hvac system for indoor installation |
US8641804B2 (en) * | 2011-07-29 | 2014-02-04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ystems and methods to condition air |
US20130186593A1 (en) * | 2012-01-20 | 2013-07-25 | Synairco, Inc. | Split-air flow cooling and dehumidification system |
US9574782B2 (en) * | 2012-01-20 | 2017-02-21 | Innovent Air Handling Equipment, LLC | Dehumidification system |
US9976822B2 (en) * | 2012-03-22 | 2018-05-22 | Nortek Air Solutions Canada,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ir in an enclosed structure |
KR101434563B1 (ko) | 2012-06-19 | 2014-08-27 |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 데시칸트 공조기 |
US20140190037A1 (en) * | 2013-01-09 | 2014-07-10 | Venmar C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ditioned air to an enclosed structure |
US20140235157A1 (en) * | 2013-02-15 | 2014-08-21 | Venmar Ces, Inc. | Dedicated outdoor air system with pre-heating and method for same |
US9459668B2 (en) * | 2013-05-16 | 2016-10-04 | Amazon Technologies, Inc. | Cooling system with desiccant dehumidification |
-
2015
- 2015-11-18 KR KR1020150162003A patent/KR10166479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1-15 WO PCT/KR2016/013144 patent/WO201708667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1-15 US US15/777,130 patent/US1077505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9485B2 (ja) * | 1989-06-27 | 1994-05-25 | 東亞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 吸水性樹脂の製造法 |
JP4639485B2 (ja) | 2001-02-09 | 2011-02-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KR100600773B1 (ko) * | 2005-02-22 | 2006-07-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20019469A (ko) * | 2009-05-04 | 2012-03-06 | 브리-에어 (아시아) 프라이빗 리미티드 | 건조제 유닛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KR101436613B1 (ko) * | 2013-10-29 | 2014-11-05 | 한국지역난방공사 | 냉방과 환기 및 가습이 가능한 지역 냉방용 제습 냉방시스템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78833A (ko) * | 2016-12-30 | 2018-07-10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
KR20180079570A (ko) * | 2016-12-30 | 2018-07-11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 조화기 |
KR101939586B1 (ko) * | 2016-12-30 | 2019-01-21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 조화기 |
CN109140714A (zh) * | 2017-06-16 | 2019-01-04 | 庆东纳碧安株式会社 | 空调的控制方法及空调 |
KR20200090703A (ko) * | 2017-06-16 | 2020-07-29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
KR102301358B1 (ko) * | 2017-06-16 | 2021-09-13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공기조화기 |
CN109140714B (zh) * | 2017-06-16 | 2022-01-28 | 庆东纳碧安株式会社 | 空调的控制方法及空调 |
KR102190905B1 (ko) * | 2020-02-03 | 2020-12-15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 조화기 |
WO2022247367A1 (zh) * | 2021-03-22 | 2022-12-01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用于温湿双控的系统、方法及设备 |
KR102654767B1 (ko) * | 2022-12-30 | 2024-04-04 | 심혜옥 | 복합 제습 환기 및 건조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775059B2 (en) | 2020-09-15 |
US20180356110A1 (en) | 2018-12-13 |
WO2017086677A1 (ko) | 2017-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49194B1 (ko) | 난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
KR101782839B1 (ko) | 냉방과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
KR101664791B1 (ko) | 환기와 습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
JP4816267B2 (ja) | 湿度調節装置 | |
KR102538252B1 (ko) |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
JP4857901B2 (ja) | デシカント空調システム | |
US10876749B2 (en) |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05525528A (ja) | 収着式熱交換器及び関連する冷却収着方法 | |
JP5862266B2 (ja) | 換気システム | |
US10823435B2 (en) | Air conditioner | |
JP2011089665A (ja) | 調湿装置 | |
KR101957240B1 (ko) | 공기조화기 | |
JP3992051B2 (ja) | 空調システム | |
CN108885023B (zh) | 空调及其控制方法 | |
KR100607108B1 (ko) | 사계절용 외기도입 공조시스템 및 공조방법 | |
KR102421244B1 (ko) |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
KR102506022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2335411B1 (ko) |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 |
JPH1194298A (ja) | 空気調和装置 | |
CN217785309U (zh) | 一种新风空调系统 | |
JP3835920B2 (ja) | 温風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