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43322B1 -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 Google Patents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322B1
KR101643322B1 KR1020160015768A KR20160015768A KR101643322B1 KR 101643322 B1 KR101643322 B1 KR 101643322B1 KR 1020160015768 A KR1020160015768 A KR 1020160015768A KR 20160015768 A KR20160015768 A KR 20160015768A KR 101643322 B1 KR101643322 B1 KR 101643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mage
medical
image set
area
imag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0468A (ko
Inventor
조혁래
김희숙
박선미
신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3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32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involving electronic [EMR] or nuclear [NMR] magnetic resonance, 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배치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METHOD FOR ARRANGING MEDICAL IMAGES AND MEDICAL DEVICE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배치하는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에 관한 것이다.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은 원자핵을 자장에 노출시킨 후 공명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로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원자핵의 공명이란 외부 자장에 의해 자화된 상태의 원자핵에 특정한 고주파를 입사시키면 낮은 에너지 상태의 원자핵이 고주파 에너지를 흡수하여 높은 에너지 상태로 여기되는 현상을 말한다. 원자핵은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공명주파수를 가지며 공명은 외부 자장의 강도에 영향을 받는다. 인체 내부에는 무수히 많은 원자핵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소 원자핵을 자기 공명 영상 촬영에 이용한다.
MRI 진단 장치는 비침습적이고(noninvasive), CT에 비하여 조직의 대조도(contrast)가 우수하며, 골조직에 의한 아티팩트(artifact)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MRI 진단 장치는 대상체의 위치 변환 없이도 원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단면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여, 다른 화상 진단 장치와 함께 널리 이용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미 로딩되어 있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영상 배치 방법은,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선택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대상체에 대한 복수의 단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제 1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제 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 2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의료 영상의 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색상을 이동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이동 모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 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 한 채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영역의 이전 영역 또는 다음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상기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되었던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선택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제어부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의료 영상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제어부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제어부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색상을 이동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모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사용자 입력부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 한 채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영역의 이전 영역 또는 다음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제어부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되었던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의료 영상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의료 영상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4b, 4c, 및 4d는 선 순위 영역에 표시된 의료 영상 세트를 후 순위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후 순위 영역에 표시된 의료 영상 세트를 선 순위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의료 영상 세트들 간의 위치가 교환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7b, 및 7c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페이지로 의료 영상 세트를 이동시키는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는 이산적인 영상 요소들(예를 들어, 2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픽셀들 및 3차원 영상에 있어서의 복셀들)로 구성된 다차원(multi-dimensional)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상체(object)"는 사람 또는 동물, 또는 사람 또는 동물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체는 간, 심장, 자궁, 뇌, 유방, 복부 등의 장기, 또는 혈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는 팬텀(phantom)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팬텀은 생물의 밀도와 실효 원자 번호에 아주 근사한 부피를 갖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의료 전문가로서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의료 영상 전문가, 방사선사, 소노그래퍼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의료 영상을 획득하고, 화면에 의료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자기 공명 영상 장치(이하 'MRI 장치')(101),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이하 'CT 장치')(102), X선 촬영 장치(미도시), 혈관 조영 검사(Angiography) 장치(미도시), 초음파 장치(103)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MRI 장치(101)는 특정 세기의 자기장에서 발생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한 MR(Magnetic Resonance) 신호의 세기를 명암 대비로 표현하여 대상체의 단층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기이다.
CT 장치(102)는 대상체에 대하여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X선 촬영 장치에 비하여 대상체의 내부 구조(예컨대, 신장, 폐 등의 장기 등)를 겹치지 않게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T 장치(102)는, 예를 들어, 2mm 두께 이하의 영상을 초당 수십, 수백 장씩 획득하여 가공함으로써 대상체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한 단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X선 촬영 장치는, X선을 인체에 투과하여, 인체 내부 구조물을 영상화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혈관 조영 검사 장치는, 카테터라고 하는 2mm 내외의 가느다란 관을 통해 조영제가 주입된 피검사자의 혈관(동맥, 정맥)을 엑스선을 통해서 볼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초음파 장치(103)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소정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전달하고, 체내의 조직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얻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의료 기기(100)는 고정식 단말뿐만 아니라 이동식 단말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동식 단말의 일례로 스마트폰, 랩탑 컴퓨터, PDA, 태블릿 PC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기기와 의료 영상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기(100)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서버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직접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직접 터치(real-touch)"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터치 도구(예컨대, 손가락, 전자펜 등)가 터치된 경우를 말하고, "근접 터치(proximity-touch)"라 함은 터치 도구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를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의료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터치 입력)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핀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이미지를 메모리로부터 로딩하여, 특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의료 영상 리스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1 영역(210)에 제 1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 2 영역(220)에 제 2 이미지를 표시하고, 제 3 영역(230)에 제 3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 1 영역(210)에 제 3 이미지가 표시되고, 제 2 영역(220)에 제 1 이미지가 표시되고, 제 3 영역(230)에 제 2 이미지가 표시되기를 원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여러 번의 조작을 통해 이미지들 간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3 영역(230)에 제 2 이미지를 다시 로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2 영역(220)에 제 1 이미지를 다시 로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3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1 영역(210)에 제 3 이미지를 다시 로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여러 번의 조작을 통해 이미지들 간의 배치를 변경해야 하며, 의료 기기(100)는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들을 다시 로딩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의료 영상들 간의 배치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의료 기기(100)가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의료 영상 배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단계 S310에서,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의료 영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영상은, MR 영상, CT 영상, 초음파 영상, X선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초음파 영상은 대상체로부터 반사되는 초음파 에코 신호의 크기를 밝기로 나타내는 B 모드(brightness mode) 영상,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대상체의 속도를 컬러로 표현하는 컬러 도플러 영상,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대상체의 영상을 스펙트럼 형태로 나타내는 스펙트럴(spectral) 도플러 영상, 어느 일정 위치에서 시간에 따른 대상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M 모드 (motion mode) 영상, 및 대상체에 컴프레션(compression)을 가할 때와 가하지 않을 때의 반응 차이를 영상으로 나타내는 탄성 모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의료 영상은, 2차원 영상, 3차원 영상, 4차원 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2차원의 MR 영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의료 영상을 메모리로부터 수신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 영상들을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의료 영상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의료 영상 세트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분류된 의료 영상들의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경우에 따라 의료 영상 세트는, 의료 영상 스택 또는 의료 영상 그룹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의료 영상 세트와 제 2 의료 영상 세트 각각은, 대상체에 대한 복수의 단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료 영상 세트 또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뇌에 대한 복수의 단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의료 영상 세트와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동일한 프로토콜에서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이한 프로토콜에서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토콜은, 적어도 하나의 펄스 시퀀스를 포함하며, 피검사자의 부위에 따라 구별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프로토콜에는, 머리를 촬영하기 위한 머리 프로토콜, 목을 촬영하기 위한 목 프로토콜, 허리를 촬영하기 위한 허리 프로토콜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머리 프로토콜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머리 프로토콜은, 스카우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 피검사자의 가로축 방향 단면인 액시얼 뷰(axial view)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 및 해부학적 관찰을 위한 T1 강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머리 프로토콜이 앞서 설명한 펄스 시퀀스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펄스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쉽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제 1 프로토콜(예컨대, 머리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하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제 1 프로토콜(예컨대, 머리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 2 프로토콜(예컨대, 목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의료 영상 세트와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다른 의료 기기에서 획득된 의료 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복수의 MR 영상을 포함하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복수의 CT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의료 영상 세트와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서로 다른 페이지에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수가 많은 경우, 복수의 페이지에 걸쳐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자동으로 대표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표 이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기 위해,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예컨대, 의료 영상 세트 명)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한다는 것은,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 또는 식별 정보의 리스트를 표시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영상 세트를 선택한다는 것은, 의료 영상 세트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 또는 식별 정보를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의료 영상의 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포함된 의료 영상들의 수가 24개이고, 의료 영상들 중에서 대표 이미지가 세 번째 이미지인 경우, '3/24'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기(100)는, 각 의료 영상 세트에 포함된 의료 영상들을 탐색할 수 있는 탐색 버튼(예컨대,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탐색 버튼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탐색 버튼을 이용하여, 의료 영상 세트의 맨 위에 표시되는 대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7초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소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일 수도 있고, 의료 기기(100) 또는 서버에 의해 설정된 시간일 수도 있다. 소정 시간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은, 커서(또는 포인터)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터치하는 롱 클릭(long click) 입력, 손가락 또는 전자펜으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터치하는 터치 앤 홀드(touch and hold)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모드에서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이동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모드에서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동작 모드가 이동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색상을 이동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예컨대, 파랑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기(100)는, 이동 모드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투명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이동 모드에서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투명도를 60%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이동 모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 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 위에 특정 아이콘, 특정 기호,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고, 테두리의 굵기, 모양,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고, 깜박임 효과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단계 S330에서, 의료 기기(100)는, 선택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또는 클릭)를 유지 한 채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 상에서 드래그 입력이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 위에서 정확하게 드롭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각 영역들과 드롭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중첩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중첩도에 따라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되어야 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롭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과 90% 중첩되는 경우, 의료 기기(100)는, 사용자가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켰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은 다른 페이지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단계 S340에서,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영역의 이전 영역 또는 다음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되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제 2 의료 영상 세트보다 선 순위 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경우, 의료 기기(100)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영역의 이전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이동되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제 2 의료 영상 세트보다 후 순위 영역에 표시되어 있던 경우, 의료 기기(100)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영역의 다음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와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외한 나머지 의료 영상 세트 전부 또는 일부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되었던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4a, 4b, 4c, 및 4d는 선 순위 영역에 표시된 의료 영상 세트를 후 순위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4b, 4c, 및 4d에서는 사용자가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3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영역(410)에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420)에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3 영역(430)에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4 영역(440)에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5 영역(450)에 제 5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6 영역(460)에 제 6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는 각각의 대표 이미지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의료 영상의 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20개의 단면 영상(slice images)이 포함되어 있고, 단면 영상들 중 대표 이미지가 첫 번째 단면 영상인 경우,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대표 이미지 위에 의료 영상의 수, 대표 이미지의 번호, 의료 영상 탐색 버튼(예컨대, '■ 1 / 20 ■')(411)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마우스의 커서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대표 이미지 위에 위치시키고 클릭하는 입력(400)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클릭하는 입력(400)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5초 이상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클릭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동작 모드를 고정 모드에서 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파랑색의 반투명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1 영역(410)에 표시되어 있던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3 영역(43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채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3 영역(430)으로 드래그한 후 제 3 영역(430)에 드롭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영역(410)은 제 3 영역(430) 보다 선 순위 영역이고, 제 3 영역(430)은 제 1 영역(410)보다 후 순위 영역일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1 영역(410)에 표시되어 있던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3 영역(43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3 영역(43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3 영역(430)에 표시되어있던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영역(420)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제 2 영역(420)에 표시되어 있던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영역(410)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동 전에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제 3 의료 영상 세트보다 선 순위 영역에 표시되었으나, 이동 후에는 제 3 의료 영상 세트가 제 1 의료 영상 세트보다 선 순위 영역에 표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 변경 시 다시 의료 영상 세트를 로딩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자는 간단한 입력으로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후 순위 영역에 표시된 의료 영상 세트를 선 순위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에서는 사용자가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영역(510)에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520)에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3 영역(530)에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4 영역(540)에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5 영역(550)에 제 5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6 영역(560)에 제 6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4 영역(540)에 표시된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예컨대, 5초 이상) 터치 도구(예컨대, 손가락 또는 전자펜)로 터치하는 터치 앤 홀드 입력(50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기(100)는 제 4 의료 영상 세트의 동작 모드를 고정 모드에서 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4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녹색의 반투명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4 영역(540)에 표시된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영역(52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4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 4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채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영역(520)으로 드래그한 후 제 2 영역(520) 위에서 드롭할 수 있다. 즉, 제 4 의료 영상 세트는 후 순위 영역(예컨대, 제 4 영역(540))에서 선 순위 영역(예컨대, 제 2 영역(5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4 영역(540)에 표시되어 있던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영역(52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기초하여,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영역(52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2 영역(520)에 표시되어있던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3 영역(530)으로 이동시켜 표시하고, 제 3 영역(530)에 표시되어 있던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4 영역(540)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이동 전에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제 4 의료 영상 세트보다 선 순위 영역에 표시되었으나, 이동 후에는 제 4 의료 영상 세트가 제 2 의료 영상 세트보다 선 순위 영역에 표시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 4 의료 영상 세트와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옆에 두고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의료 영상 세트들 간의 위치가 교환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6b에서는 사용자가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5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영역(610)에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620)에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3 영역(630)에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4 영역(640)에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5 영역(650)에 제 5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6 영역(660)에 제 6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3 영역(630)에 표시된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예컨대, 5초 이상) 터치하는 터치 앤 홀드 입력(600)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기(100)는 제 3 의료 영상 세트의 동작 모드를 고정 모드에서 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3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노랑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제 3 영역(630)에 표시된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5 영역(65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3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 3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채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5 영역(650)으로 드래그한 후 제 5 영역(650) 위에서 드롭할 수 있다. 즉, 제 3 의료 영상 세트는 선 순위 영역(예컨대, 제 3 영역(630))에서 후 순위 영역(예컨대, 제 5 영역(65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3 영역(630)에 표시되어 있던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5 영역(65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기초하여,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5 영역(65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5 영역(650)에 표시되어있던 제 5 의료 영상 세트를 제 3 영역(630)으로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즉, 제 3 의료 영상 세트와 제 5 영상 세트의 위치가 교환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 3 의료 영상 세트와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옆에 두고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다.
도 7a, 7b, 및 7c는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다른 페이지로 의료 영상 세트를 이동시키는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한 화면(700)에 표시하지 못 하는 경우, 페이지를 나눠서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페이지(710)의 제 1 영역(711)에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712)에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3 영역(713)에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4 영역(714)에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5 영역(715)에 제 5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6 영역(716)에 제 6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2 페이지(720)의 제 1 영역(721)에 제 7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722)에 제 8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3 영역(723)에 제 9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4 영역(724)에 제 10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5 영역(725)에 제 11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고, 제 6 영역(726)에 제 12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화면(700)에 표시되고 있는 제 1 페이지(710)에 포함된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 기기(100)는 제 1 페이지(710)의 제 2 영역(712)에 표시된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예컨대, 5초 이상) 터치하는 터치 앤 홀드 입력(701)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의료 기기(100)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의 동작 모드를 고정 모드에서 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파랑색의 반투명 상태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1 페이지(710)의 제 2 영역(712)에 표시된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페이지(720)의 제 5 영역(725)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이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 제 2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한 채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화면(700)의 하단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의료 기기(100)가 제 2 페이지(720)를 표시하게 한 후, 제 2 페이지(720)의 제 5 영역(725) 위에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드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페이지(710)에 위치하던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제 2 페이지(72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 기기(100)는, 제 1 페이지(710)의 제 2 영역(712)에 표시된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페이지(720)의 제 5 영역(725)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페이지(720)의 제 5 영역(725)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는 제 1 페이지(710)의 제 3 영역(713)에 표시되었던 제 3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페이지(710)의 제 2 영역(712)으로 이동시키고, 제 1 페이지(710)의 제 4 영역(714)에 표시되었던 제 4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페이지(710)의 제 3 영역(713)으로 이동시키고, 제 1 페이지(710)의 제 5 영역(715)에 표시되었던 제 5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페이지(710)의 제 4 영역(714)으로 이동시키고, 제 1 페이지(710)의 제 6 영역(716)에 표시되었던 제 6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페이지(710)의 제 5 영역(715)으로 이동시키고, 제 2 페이지(720)의 제 1 영역(721)에 표시되었던 제 7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페이지(710)의 제 6 영역(716)으로 이동시키고, 제 2 페이지(720)의 제 2 영역(722)에 표시되었던 제 8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페이지(720)의 제 1 영역(721)으로 이동시키고, 제 2 페이지(720)의 제 3 영역(723)에 표시되었던 제 9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페이지(720)의 제 2 영역(722)으로 이동시키고, 제 2 페이지(720)의 제 4 영역(724)에 표시되었던 제 10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페이지(720)의 제 3 영역(723)으로 이동시키고, 제 2 페이지(720)의 제 5 영역(725)에 표시되었던 제 1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페이지(720)의 제 4 영역(724)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와 제 12 의료 영상 세트를 옆에 두고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다.
도 7a, 7b, 및 7c에서는, 복수의 페이지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페이지는 좌우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의료 기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의료 기기(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제어부(130) 이외에 영상 획득부(140), 메모리(150),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의료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의료 영상을 표시하거나, 컨트롤 패널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 및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의료 영상 세트 또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대상체에 대한 복수의 단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제 1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하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제 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 2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의료 영상의 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동작 모드가 고정 모드에서 이동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이동 모드 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제 1 의료 영상 세트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기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의료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의료 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트랙볼,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는, 심전도 측정 모듈, 호흡 측정 모듈, 음성 인식 센서, 제스처 인식 센서, 지문 인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깊이 센서, 거리 센서 등 다양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터치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2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 한 채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의료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입력부(120), 영상 획득부(140), 메모리(150), 통신부(16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제 1 영역의 이전 영역 또는 다음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되었던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소정 시간 이상의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되도록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이동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색상을 이동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40)는, 대상체에 관한 의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획득부(140)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소정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전달하고, 체내의 조직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초음파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부(140)는, 특정 세기의 자기장에서 발생하는 RF(Radio Frequency) 신호에 대한 MR(Magnetic Resonance) 신호의 세기를 명암 대비로 표현하여, 대상체의 단층 부위에 대한 이미지(MR 영상)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영상 획득부(140)는, 대상체에 X선을 조사하여, CT 영상 또는 X선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제어부(130)의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의료 영상 데이터, 의료 영상 세트, 피검사자 정보, 프로브 정보, 바디마커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기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통신부(160)는, 의료 기기(100)와 서버, 의료 기기(100)와 외부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소정 거리 이내의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무선 랜(Wi-Fi),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FD(Wi-Fi Direct),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전기적 신호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한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하며, 일 실시 예에 의한 유선 통신 기술에는 페어 케이블(pair cable),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이더넷(ethernet)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디바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통신부(160)는 의료 영상 정보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을 통해 연결된 병원 서버나 병원 내의 다른 의료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의료용 디지털 영상 및 통신(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표준에 따라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네트워크를 통해 대상체의 진단과 관련된 데이터(예컨대, 대상체의 의료 영상 데이터 등)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의료 기기에서 촬영한 의료 영상 또한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60)는 서버로부터 환자의 진단 이력이나 치료 일정 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체의 진단에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 기기(100)는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이동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동 모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 위에 표시하는 의료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대상체에 대한 복수의 단면 영상을 포함하는, 의료 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는, 제 1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의료 영상 세트는, 상기 제 1 프로토콜과 상이한 제 2 프로토콜을 통해 획득된 복수의 의료 영상을 포함하는, 의료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대응하는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대표 이미지의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의료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각각에 포함된 의료 영상의 수를 표시하는, 의료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의 색상을 상기 이동 모드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변경하는, 의료 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터치를 유지 한 채 상기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의료 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상기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상기 제 1 영역의 이전 영역 또는 다음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의료 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상기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 2 의료 영상 세트를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되었던 제 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의료 기기.
  10.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 중에서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제 2 의료 영상 세트가 표시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의료 영상 세트의 배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를 소정 시간 이상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에 대한 동작 모드를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모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상기 제 1 의료 영상 세트 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영상 배치 방법.
  11. 제 10 항의 의료 영상 배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60015768A 2016-02-11 2016-02-11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43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768A KR101643322B1 (ko) 2016-02-11 2016-02-11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768A KR101643322B1 (ko) 2016-02-11 2016-02-11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648A Division KR20150066963A (ko) 2013-12-09 2013-12-09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468A KR20160020468A (ko) 2016-02-23
KR101643322B1 true KR101643322B1 (ko) 2016-07-27

Family

ID=5544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7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3322B1 (ko) 2016-02-11 2016-02-11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3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940A (ja) 2008-08-07 2010-02-18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KR100969510B1 (ko) 2010-05-31 2010-07-09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클라이언트 단말의 의료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00472A (ja) 2011-07-19 2012-01-05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6527A (ko) * 2004-08-18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분할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이동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940A (ja) 2008-08-07 2010-02-18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KR100969510B1 (ko) 2010-05-31 2010-07-09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클라이언트 단말의 의료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그 방법
JP2012000472A (ja) 2011-07-19 2012-01-05 Toshiba Corp 医用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468A (ko) 201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70360B2 (en)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in ultrasound imaging
KR20150066963A (ko)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KR101728045B1 (ko)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522539B1 (ko) 의료영상 표시장치 및 의료영상 처리방법
US10042028B2 (en)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image
CN106333700B (zh) 医学成像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60106394A1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plurality of displays and ultrasound apparatus therefor
EP28897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dical images
KR102207255B1 (ko) 초음파 장치의 정보 공유 방법, 의료 전문가 디바이스의 통신 방법 및 정보 공유 시스템
EP3073930B1 (en) Method and ultrasound apparatus for marking tumor on a ultrasound elastography image
KR20160139810A (ko)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에 따른 의료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10285665B2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716422B1 (ko)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148676A1 (en) Method and ultrasound apparatus for marking tumor on ultrasound elastography image
CN106551707B (zh) 显示超声图像的设备和方法
US20180271495A1 (en) Medical image displaying apparatus and medical image displaying method
JP6683402B2 (ja) 医療映像表示方法及び医療映像表示装置
KR101645624B1 (ko)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43322B1 (ko) 의료 영상 배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의료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3120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3015264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