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44912B1 -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912B1
KR101644912B1 KR1020100026354A KR20100026354A KR101644912B1 KR 101644912 B1 KR101644912 B1 KR 101644912B1 KR 1020100026354 A KR1020100026354 A KR 1020100026354A KR 20100026354 A KR20100026354 A KR 20100026354A KR 101644912 B1 KR101644912 B1 KR 10164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ing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server
regis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152A (ko
Inventor
박새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엑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1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1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레터링(lettering)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즌스 서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레터링 정보를 등록하고 기등록된 레터링 정보를 변경하는 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Apparatus for Providing Lettering with Presence Service and Presence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레터링 서비스 사용자가 프레즌스 서비스 이용 도중 자신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서 대화명 등의 레터링 정보를 편리하게 대체하여 레터링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프레즌스 서비스를 버디(buddy) 등록하여 사용시 예컨대 타 사용자의 애칭과 같은 대화명이 레터링으로 변경될 때 변경사항에 대한 정보를 손쉽게 통보받을 수 있도록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통신기기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과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다양한 콘텐츠 제공 사업이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요즈음에는 통화 대기 과정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조로운 기계음의 통화연결음 대신 가입자가 원하는 음악이나 다양한 소리로 바꿔 들려주는 콘텐츠 제공 사업, 소위 컬러링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컬러링 서비스는 이동통신 가입자의 고유한 개성을 드러내 주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사에서는 콘텐츠 사업 중 하나로서 레터링 서비스(Lettering Service)도 제공하고 있다. 레터링 서비스는 통화 연결 과정에서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의 발신 번호와 발신자가 지정한 별칭이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레터링 서비스는 착신자의 단말기에 발신자 정보를 출력해주는 서비스로서, 이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되기 때문에 많은 가입자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기본 애칭뿐만 아니라 수신번호별로 다양한 애칭을 설정하여 가입자가 발신시 착신자의 단말기에 미리 설정해 둔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무선 접속 망을 형성하는 기지국/기지국 제어기(110), 호 접속을 제어하는 교환기(120), 이동통신 가입자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130) 및 VLR(Visitor Location Register)(140),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레터링 정보가 저장된 레터링 서버(15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이 설정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 접속하여 통신하는 동시에, 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여 착신자에게 자신의 고유한 번호, 애칭, 선호하는 문장, 특수 기호로 이루어지는 이모티콘(EMOTICON)을 사용하여 통신하게 된다.
레터링 서버(150)는 인터넷 망(160)을 통해 접속된 컴퓨터(170)로부터 전송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레터링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즉, 컴퓨터(170)가 인터넷 망(160)을 통해 레터링 서버(150)에 접속된 후, 사용자로부터 레터링 정보를 입력받으면, 컴퓨터(170)는 입력된 레터링 정보를 레터링 서버(150)에 전송하고, 레터링 서버(150)는 레터링 정보를 레터링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교환기(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호 접속 요청 명령을 수신하여 호 접속 요청 명령으로부터 발신단말기와 착신단말기의 고유한 번호를 검출하고, 홈 위치등록기(130)에 접속하여 발신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며,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와 부가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또한, VLR(140)에 접속하여 착신단말기의 위치정보와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교환기(120)는 VLR(140)로부터 착신단말기의 위치정보와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홈 위치등록기(130)에 다시 접속하여 착신단말기의 위치정보와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는 동시에 VLR(140)에 기록하고 관리한다.
교환기(120)에 의하여 발신단말기가 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레터링 서버(150)에 접속하여 등록된 레터링 정보를 요청하고, 레터링 서버(150)는 레터링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발신단말기가 등록한 레터링 정보를 검색하여 교환기(120)에 제공한다.
교환기(120)는 발신단말기가 레터링 서비스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착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경로를 설정하고, 착신단말기에 발신자가 등록한 레터링 정보와 페이징 신호에 의하여 호출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레터링 서비스의 경우, 레터링 서버(150)에 인터넷 망(160)을 통해 레터링 메시지를 사전 등록하고, 발신자가 호를 발신하면, 교환기(120)가 레터링 서버(150)로부터 발신자에 해당하는 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착신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발신자가 자신의 레터링 정보를 등록 또는 변경할 때마다 인터넷 망(160)에 접속된 컴퓨터(170)를 통해서만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레터링 서비스 이용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신이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화명 등의 정보를 레터링으로 손쉽게 등록 및 변경할 수 있고, 또 버디 등록이 되어 있는 일원의 레터링 변경시 그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하여 통보받을 수 있도록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레터링(lettering)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즌스 서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레터링 정보를 등록하고 기등록된 레터링 정보를 변경하는 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레터링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즌스 서버; 및 상기 등록 및 변경 정보를 문서의 형태로서 생성 및 변경하여 저장하는 문서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의 레터링(lettering)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등록 및 변경의 요청에 대한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레터링 정보를 등록하고 기등록된 레터링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레터링(lettering)을 포함하는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문서의 형태로 생성 및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본인이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애칭과 같은 대화명 등을 레터링으로 편리하게 대체할 수 있고, 또 버디 등록이 되어있는 경우 일원의 레터링 정보 변경시 그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받을 수 있어 프레즌스 서비스가 간편해진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프레즌스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프레즌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 등록된 레터링이 없는 경우의 레터링 등록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 등록된 레터링이 있는 경우의 레터링 변경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 등록된 레터링의 수가 포화상태일 경우의 레터링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입 조회 및 시간 만료에 의한 가입 해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입 처리와 요청에 의한 통보 해제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프레즌스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 액세스 포인트(210), 교환기(220), 프레즌스 장치(230) 및 레터링 서버(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즌스 장치(230)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기술 표준 및 OMA(Open Mobile Association) 프레즌스 표준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레터링 서버(240)에 접속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 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스마트 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4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구비된 웹 브라우저 등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단말기이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인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HTML에 기반한 MIE(Microsoft Internet Explorer), HDPT(Handheld Device Transport Protocol), NTT 도코모(DOKOMO)사의 i-Mode, 및 SK 텔레콤사의 'NATE'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최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더욱 빠른 무선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통신사의 오페라미니와 같은 무선 인터넷 접속용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이와 연계해 근거리 통신망인 와이파이(Wi-Fi) 등도 함께 사용함으로써 무선 초고속 인터넷 제공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 중에서, MIE는 HTML을 약간 변형시켜 축약하는 m-HTML을 사용하고, i-Mode의 경우에는 HTML의 서브 세트인 콤팩트 HTML(c-HTML)이라는 언어를 사용한다.
더 나아가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XCAP 프락시(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Proxy) 및 프레즌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XCAP 프락시는 XCAP를 발생시켜 이를 토대로 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프레즌스 애플리케이션은 프레즌스 서비스를 제공받아 관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이다. 무엇보다 프레즌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를 제공받아 관련 레터링 정보를 손쉽게 등록하고, 변경 및 조회하거나, 대화명 등을 레터링으로 대체하여 등록 및 변경할 수 있으며, 버디 등록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나는 유리공주"라는 대화명을 레터링으로 쉽게 변경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기지국 전송기, 기지국 제어기 및/또는 중계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지국 전송기는 매크로(macro) 기지국과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모두 포함한다. 매크로 기지국은 실외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 또는 GPS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에 해당되며, 소형 기지국은 건물의 실내에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에 해당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210)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교환기(220)간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 전송기와 교환기(220)간 신호를 중계한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동기식 및 비동기식을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 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BTS(Base-Station Transmission 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BSC(Base Station Controller)가 될 것이고, 비동기식인 경우에는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전송기는 RTS(Radio Transceiver Subsystem), 송신 및 수신 기지국 제어기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가 될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21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DMA 망이 아닌 GSM 망 및 향후 구현될 제 4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중계기를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기지국 전송기는 각기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신호 채널 중 트랙픽(Traffic)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통화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제어기로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등록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는 기저 대역 신호 처리, 유무선 변환,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망 종단(Endpoint) 장치이다.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수신측인 경우, 기지국 전송기는 자신의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여, 교환기(220)로부터 기지국 제어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통화 요청 신호를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 전송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로부터 기지국 전송기가 위치한 경도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기지국 전송기의 위치 정보를 순방향 링크 호출 채널의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자신이 속해 있는 셀의 기지국 전송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 자신의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새로운 위치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상태, 식별자, 슬롯 주기 및 그 밖의 다른 특징들을 기지국 전송기를 통하여 교환기(220)에 알리는 처리 절차로서, 기지국 전송기가 이동통신 단말기(220)로 수신신호를 설정하고자 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효과적으로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차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등록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교환기(220) 간을 이동할 때,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파라미터가 변경되는 경우에 실시된다.
기지국 제어기는 기지국 전송기를 제어하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한 무선 채널 할당 및 해제, 이동통신 단말기(200) 및 기지국 전송기의 송신 출력 제어, 셀간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 및 하드 핸드오프(Hard Handoff) 결정, 트랜스코딩(Transcoding) 및 보코딩(Vocoding), GPS 클럭 분배, 기지국에 대한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는 위치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가입자 정보를 교환기(220)로 전송한다.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기지국 전송기를 통해 전달된 통화 요청 신호를 교환기(220)로 전달하며, 반대로 기지국 제어기는 교환기(220)로부터 전달된 통화 요청 신호를 기지국 전송기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교환기(220)는 액세스 포인트(210), 프레즌스 장치(230)에 접속한다. 교환기(220)는 기본 및 부가 서비스 처리, 가입자의 수신 및 발신 호 처리, 위치 등록 절차 및 핸드오프 절차 처리, 타 망과의 연동 기능 등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IS-95/A/B/C 시스템의 교환기(220)는 분산된 호 처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 집중화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운용 및 보전의 집중화 기능을 담당하는 CCS(Central Control Subsystem), 이동 가입자에 대한 정보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LRS(Location Registration Subsystem) 등의 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3 세대 및 4 세대를 위한 교환기(220)에는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는데, ATM 스위치는 셀 단위의 패킷 전송으로 전송 속도와 회선 사용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교환기(220)는 액세스 포인트(210)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등록이 수행되면, VLR(224)에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가입자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HLR(222)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등록을 요청한다.
HLR(222)은 VLR(224)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정보를 전송받아 등록 인식, 등록 삭제, 위치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HLR(222)에는 통화 대기중인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프로파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이동통신 서비스 정보 등을 말한다.
VLR(224)는 위치 정보 등록이 수행되는 방문 가입자의 위치 정보, 송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의 경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수신 등의 경우에 가입자 데이터를 교환기(220)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한다. VLR(224)는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위치 정보 등록을 수행할 때, 가입자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여 HLR(222)로 통보를 하며 HLR(222)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단말 식별 번호, 단말기 고유 번호 및 서비스 정보 등의 복사본을 넘겨받아 관리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위치 제어, 호 처리, 외부 동작 처리 등에 활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레즌스 장치(230)는 교환기(220)와 레터링 서버(240)에 연동하며, PS(Presence Server) 및 RLS(Resource List Server)를 포함하는 호 처리부와 복수의 XDMS(XML Document Manipulation Server)를 포함하는 XDM부로 구분된다. 프레즌스 장치(230)는 가입자 프레즌스 상태 정보 관리, 공유 리스트(shared List) 관리, SIP 메시지 처리 기능, XCAP 메시지 처리 기능 및 XDM 메시지 처리 기능 등을 제공한다. XDM 메시지 처리를 통해서는 PS 및/또는 RLS와 XDM부가 연동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제공한 레터링 정보의 등록, 변경 및 조회가 가능해진다. 여기서, 등록은 새로운 레터링 정보를 기록하거나 애칭과 같은 대화명을 레터링 정보로 대체하여 기록하는 것이고, 변경은 기저장된 레터링 정보를 바꾸는 것이며, 조회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버디 등록이 되어 있는 경우 일원의 레터링 정보가 등록되거나 변경될 때 이를 통보받을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검색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레터링 정보는 애칭 등을 포함하는 상위의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프레즌스 상태 정보는 애칭 또는 레터링 정보를 포함하는 최상위의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프레즌스 장치(230)에 의한 프레즌스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현재 느끼고 있는 감정 및 기분의 상태를 상대방이 알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로 표시하고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즉, 현재 착신단말기의 상태가 온라인 상태, 오프라인 상태 인지 및 사용자가 자리비움 상태, 통화중 상태, 다른 용무중 상태, 회의중 상태, 수면중 상태, 식사중 상태, 음성 및 멀티미디어 및 문자에 의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 이메일 통신할 수 있는 상태, 음성신호로 통신할 수 있는 상태, 사용할 수 있는 언어, 기쁨, 슬픔, 우울함, 심심함 등과 같은 현재의 기분 또는 감정 상태를 지정하고 지정 또는 선택된 콘텐츠 정보로 상대방에게 표현하는 것이다.
레터링 서버(240)는 웹을 통해 서비스 가입자에게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컴퓨터 및/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대상으로 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레터링 서버(240)는 IP(Internet Protocol)망과 음성 기반의 이동통신망 사이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시스템으로서, 통신 코드 변환이나 프로토콜 변환 등의 처리를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상호 접속한다. 또한, 레터링 서버(240)는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하여 레터링 서버(240)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개방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사용한다. 그 결과, 프레즌스 장치(230)와의 연동 프로토콜은 HTTP의 POST 방식으로 SOAP 메시지를 사용한다. 즉, 레터링 서버(240)는 API를 제공하는 서버로 동작하며, 프레즌스 장치(230)는 API를 전송하는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POST 방식은 웹에서의 데이터 전송방식으로 주소, 스크립트(script) 및 데이터를 구분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전송량은 제약받지 않는다. 또한, API는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말한다. 운영체제나 C, C++, 파스칼(Pascal) 등과 같은 언어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때, 윈도우를 만들고 파일을 여는 것과 같은 처리를 할 수 있도록 1000여 개 이상의 함수로 구성된다. API는 프로그래머를 위한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로서 사용자와 직접 대하게 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명령형 인터페이스와 뚜렷한 차이가 있다.
발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해 수신자의 수신 번호를 입력하고 통화 버튼을 조작하여 저장되어 있는 레터링 발신 정보 데이터를 읽어들여 호 신호를 생성하고 호 신호를 액세스 포인트(210)를 거쳐서 수신측 교환기를 통해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한다. 만일 저장된 레터링 발신 정보 데이터가 없거나, 저장되어 있는 레터링 발신정보 데이터가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사용해 교환기(220)를 통하여 HLR(222)에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레터링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만약,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HLR(222)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 중에서 레터링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레터링 서버(240)는 발신자의 발신 번호와 발신자가 희망하는 바탕화면, 정지 또는 애니메이션 이모티콘, 문자 색, 추가 문자 등이 포함된 텍스트 기반 필드 데이터 목록을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또한, 레터링 서버(240)는 탑재되어 있는 레터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발신 번호와 발신자가 선별한 바탕화면, 정지 또는 애니메이션 이모티콘, 문자 색, 추가 문자 등이 포함된 발신 텍스트 정보 데이터를 발신자가 지정한 컬러로 처리한다. 이러한 레터링 서버(240)는 NIC(Network Interface Connector)를 통해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도 연결된다. 따라서, 레터링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는 레터링 서버(240)의 사용을 이동통신 단말기(200) 이외에도 인터넷에 연결된 노트북 등의 단말기(미도시)로도 접속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발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된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무선 통신망을 통해 레터링 서버(240)에 접속한다. 그러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 탑 컴퓨터, PDA 및 TV 등의 단말기로도 레터링 서버(240)에 접속할 수 있다. 레터링 서버(240)에 접속한 발신자는 레터링 서버(240)에 구비된 레터링 프로그램을 통해 발신 텍스트 정보 데이터와 발신자 명칭에 대해서 컬러를 지정하며, 발신자가 지정한 바탕화면, 정지 또는 애니메이션 이모티콘, 문자 색, 추가 문자 등의 편집, 수정 및 삭제를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프레즌스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장치는 앞서 언급한 대로 호 처리부(310) 및 XDM부(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호 처리부(310)는 RLS(311), PS(313)로 이루어지며, 제1 DB(315)를 포함할 수 있다. XDM부(330)는 가입자 프레즌스 상태 정보를 관리하고, 공유 리스트를 관리하며, SIP 메시지를 처리하고, XCAP 메시지를 처리하며, XDM 메시지를 처리하는 등의 제1 내지 제N XDMS(330_1, 330_2..., 330_(N-1), 330_N)로 이루어지며, 제2 DB(3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즌스 장치는 레터링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즉 PEA(혹은 PNA)(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PEA(350)는 호 처리부(310) 및 XDM부(330) 중 어느 하나에 통합될 수 있으며, 레터링 서버와 연동하여 예컨대 레터링 정보의 버디 그룹별 조회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조회부(이하, "MTIISIX"라 명명함)를 포함할 수 있다. XDM부(330)는 외부 노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노드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ua-profile) 및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NPDB) 서버와의 연동이 가능하게 된다.
RLS(31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또는 와쳐(watcher)가 요청한 버디 그룹별 정보인 RL(Resource List)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고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RLS(311)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RLS XDM을 통해서 등록한 서비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에 대한 백엔드 가입(back-end subscribe)을 수행하고, 서비스 URI에 타사 가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타사에 가입을 시도하며, HTTP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XDMC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와쳐는 RL을 요청할 수 있는 엔티티(entity), 즉 개체를 나타낸다. 또, URI는 현재 널리 사용하는 웹주소,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방식과 URN(Uniform Resource Name) 방식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URL을 많이 사용하나 URN도 널리 사용될 것이다. URL에서는 도메인 주소와 거기에 위치한 물리적인 경로가 자원을 찾기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되지만, URN은 자원에 부여된 고유한 이름으로 그 자원의 위치와는 무관하게 부여된 이름이다. 그리고, 백엔드는 사용자가 아니라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PS(313)는 사용자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상태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PS(313)는 단말이 발행(publish) 혹은 제공한 내용을 관리하고, 와쳐가 요청한 프레즌스에 대한 가입을 처리하며, 와쳐가 요청한 와쳐 정보 이벤트 패키지(presence.winfo)에 대한 가입을 처리하며, HTTP 또는 IPC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XDMC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와쳐는 프레즌스 상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엔티티이다.
XDM부(330)는 XDM 문서를 관리 및 변경하며, 관리 및 변경에 대한 응답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알림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와쳐가 요청한 xcap-draff(draft-ietf-simple-xcap-diff), 즉 XML 문서 변경에 대한 이벤트 패키지(event package)의 등록을 처리하고, RLS(311), 콘텐츠(Content) XDM 기능을 수행하며, 공유 문서에 대한 XDM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SK 텔레콤과 같은 특정 통신사와 관련된 가입자 정보에 대한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DB(315, 331)는 데이터들이 통합 관리되는 곳으로서, 제1 DB(315)는 RLS(311) 및 PS(313)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며, 제2 DB(331)는 XDM부(330)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한다.
또한, PEA(혹은 PNA)(350)는 앞서 언급한 대로 프레즌스 장치와 레터링 서버를 연동시키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로서, 가령 RLS(311) 및 PS(313)에서 제공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또는 IPC를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PEA(혹은 PNA)(350)는 PS(313)로부터 레터링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요청에 따라 레터링 서버로 관련 레터링 정보를 제공하여 레터링 정보의 등록 및 변경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수행 결과를 다시 PS(313)에 제공한다. 또한, PEA(혹은 PNA)(350)는 RLS(311)에서 제공된 레터링 정보의 조회 요청에 따라 레터링 서버로부터 관련 레터링 정보들을 수신하여 버디 등록된 일원의 정보 변경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 그 수행 결과를 RLS(311)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RLS(311)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PS(313)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RLS(311), PS(313)는 SIP 코어 네트워크를 경유함으로써 SIP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RLS(311) 및 PS(313)와 XDM부(330), XDM부(330)와 PEA(350), 그리고 RLS(311) 및 PS(313)는 PEA(350)와 IPC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며, PEA(350)와 레터링 서버 간에는 SOAP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SOAP는 HTTP,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사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형태의 프로토콜이다. HTTPS는 월드 와이드 웹 통신 프로토콜인 HTTP의 보안이 강화된 버전이며, SMTP는 인터넷에서 전자우편(E-mail)을 보낼 때 이용하게 되는 표준 통신 규약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 등록된 레터링이 없는 경우의 레터링 등록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프레즌스 장치(230)로 레터링 등록을 위한 XCAP 메시지를 전송한다(S500).
더 정확하게 말해, XCAP 메시지는 프레즌스 장치(230)의 PS(313)를 경유하여 XDM부(330), 더 정확하게는 XDM부(330)의 XDM 메시지 처리 서버(이하, "MPSXDMX)로 전송되어 처리된다.
이어, XDM부(330)는 PEA(350), 더 정확하게는 PEA(350)의 MTIISIX로 레터링 변경 IPC 메시지를 전송한다(S501).
PEA(350)는 레터링 서버(250)로 가입자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S503),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가입자 검색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S505) 서비스 사용자의 가입 유무를 판단하는 System_no를 알아낸다.
이어, PEA(350)는 알아낸 System_no에 따라 레터링 서버(240)로 프레즌스 상태 정보를 등록(혹은 대화명을 레터링으로 변경)하기 위한 ConfigChang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507),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figChange 요청에 대한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509).
PEA(350)는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그 메시지를 다시 XDM부(330)에 전송하며(S511), XDM부(330)는 그 성공 응답 메시지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513).
여기서, PEA(350)로부터 XDM부(330)에 전송된 성공 응답 메시지는 IPC 메시지이지만,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된 성공 응답 메시지는 XCAP 메시지가 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 등록된 레터링이 있는 경우의 레터링 변경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프레즌스 장치(230)로 레터링 정보 변경을 위한 XCAP 메시지를 전송한다(S600).
앞서서와 마찬가지로, XCAP 메시지는 프레즌스 장치(230)의 PS(313)를 경유하여 XDM부(330)의 MPSXDMX에 전송되어 처리된다.
이어, XDM부(330)는 PEA(350)로 레터링 정보 변경 IPC 메시지를 전송한다(S601).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가입자 검색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S603),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가입자 검색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605) System_no를 알아낸다.
이어, PEA(350)는 알아낸 System_no에 따라 레터링 서버(240)로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변경을 위한 ConfigChange 요청을 보내며(S607),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이미 등록된 레터링임을 알리는 응답을 수신한다(S609).
이 경우,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새로운 레터링을 제공하여 해당 레터링에 대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다시 전송하고(S611),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tentSearch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613).
하나의 예로서,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보내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해당 레터링에 대한 코드를 알아내게 된다.
PEA(350)는 레터링 코드를 이용하여 다시 레터링 서버(240)로 레터링 변경을 위한 ConfigChange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615), 레터링 서버(250)로부터 ConfigChange 요청에 대한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617).
PEA(350)는 성공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XDM부(330)에 전송하며(S619), XDM부(330)는 그 성공 응답 메시지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621).
여기서, PEA(350)로부터 XDM부(330)에 전송된 성공 응답 메시지는 IPC 메시지이지만,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된 성공 응답 메시지는 XCAP 메시지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미 등록된 레터링의 수가 포화상태일 경우의 레터링 호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프레즌스 장치(230)로 레터링 변경을 위한 XCAP 메시지를 전송한다(S700).
좀더 구체적으로, XCAP 메시지는 프레즌스 장치(230)의 PS(313)를 경유하여 XDM부(330)의 MPSXDMX에 전송되어 처리된다.
이어, XDM부(330)는 PEA(350)로 레터링 변경 IPC 메시지를 전송한다(S701).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가입자 검색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S703),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가입자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705) System_no를 알아낸다.
이어, PEA(350)는 알아낸 System_no에 따라 레터링 서버(240)로 레터링 변경을 위한 ConfigChange 요청을 보내며(S707),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등록된 레터링이 포화상태임을 알리는 실패 응답 메시지를 받게 된다(S709). 예를 들어, 사용자 1인당 사용 가능한 레터링이 총 12개일 때, 이를 모두 사용 중이라면 포화상태에 있으므로 실패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게 될 것이다.
PEA(350)는 실패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XDM부(330)에 전송하며(S711), XDM부(330)는 그 실패 응답 메시지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713).
여기서, PEA(350)로부터 XDM부(330)에 전송된 실패 응답 메시지는 IPC 메시지이지만,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된 실패 응답 메시지는 XCAP 메시지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입 조회 및 시간 만료에 의한 가입 해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버디 그룹에 대한 최초 상태 정보의 확인 과정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호 처리부(310)의 RLS 및/또는 PS(311, 313)로 버디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80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RLS 및/또는 PS(311, 313)는 SIP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어, RLS 및/또는 PS(311, 313)는 PEA(350)의 MTIISIX로 가입자 검색(Subscriber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801).
PEA(350)는 다시 레터링 서버(240)로 가입자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S803),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가입자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805) System_no를 알아내고, DB에 관련 정보를 저장한다(S806).
그리고, PEA(350)는 RLS 및/또는 PS(311, 313)로 가입자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807), RLS 및/또는 PS(311, 313))는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가입자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809).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버디 등록에 대한 최초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이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레터링을 변경하여 그 변경된 레터링에 대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RLS 및/또는 PS(311, 313)에 전송하게 되면(S811), RLS 및/또는 PS(311, 313)는 그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다시 PEA(350)로 전송한다(S813).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S815),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817) 해당 레터링에 대한 코드를 알아낸다.
그리고, PEA(350)는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RLS 및/또는 PS(311, 313)로 전송하며(S819), RLS 및/또는 PS(311, 313)는 그 응답 메시지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821).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상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만약, 버디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변경 정보에 대한 통보 요청이 있었다면(S823), RLS 및/또는 PS(311, 313)는 해당 통보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PEA(350)로 전송하여(S825) 레터링 조회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S827).
PEA(350)는 주기적으로 레터링 조회를 수행하여 레터링 서버(240)로 해당 레터링 변경을 위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829),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해(S831) 레터링 조회에 대한 결과를 알게 된다.
수신한 응답 메시지가 기존 레터링 정보와 다를 경우 레터링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PEA(350)는 응답 메시지를 다시 RLS 및/또는 PS(311, 313)로 전송하며(S833), RLS 및/또는 PS(311, 313)는 응답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835).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레터링 조회에 대한 결과, 즉 변경사항을 통보받게 된다.
또한, 시간 만료에 의한 통보 요청 해제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RLS 및/또는 PS(311, 313)로 시간 만료에 의한 통보 해제를 제공받기 위한 요청 메시지가 있었다면(S837), RLS 및/또는 PS(311, 313)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다시 PEA(350)로 전송한다(S839).
PEA(350)는 시간 만료에 의한 통보 요청이 해제됨에 따라 관리 중인 레터링 정보를 DB에서 삭제한다(S841).
그리고,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관련 레터링에 대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843),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845).
PEA(350)는 응답 메시지를 다시 RLS 및/또는 PS(311, 313)로 전송하며(S847), RLS 및/또는 PS(311, 313)는 변경 정보에 대한 통보 요청 설정이 해제 되었음을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849).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버디 그룹 사용자의 가입 만료에 의한 상태 정보, 즉 요청상태에 대한 변경사항을 통보받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가입 처리와 요청에 의한 통보 해제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버디 그룹에 대한 최초 상태 정보의 확인 과정을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호 처리부(310)의 RLS 및/또는 PS(311, 313)로 버디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S90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200)와 RLS 및/또는 PS(311, 313)는 SIP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이어, RLS 및/또는 PS(311, 313)는 PEA(350)의 MTIISIX로 가입자 검색(Subscriber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901).
PEA(350)는 다시 레터링 서버(240)로 가입자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S903),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가입자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905) System_no를 알아내며, 관련 정보는 DB에 저장된다(S906).
그리고, PEA(350)는 RLS 및/또는 PS(311, 313)로 가입자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S907), RLS 및/또는 PS(311, 313))는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가입자 검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909).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버디 그룹에 최초 상태 정보를 확인한다.
이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레터링을 변경하여 그 변경된 레터링에 대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RLS 및/또는 PS(311, 313)에 전송하게 되면(S911), RLS 및/또는 PS(311, 313)는 그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다시 PEA(350)로 전송한다(S913).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고(S915),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S917) 해당 레터링에 대한 코드를 알아낸다.
그리고, PEA(350)는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RLS 및/또는 PS(311, 313)로 전송하며(S919), RLS 및/또는 PS(311, 313)는 그 응답 메시지를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921).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태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상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만약, 버디 등록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0)로부터 변경 정보에 대한 통보 요청이 있게 되면(S923), RLS 및/또는 PS(311, 313)는 해당 통보 요청에 대한 메시지를 수신하여 PEA(350)로 전송하여(S925) 레터링 조회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PEA(350)는 주기적으로 레터링 조회를 수행하여(S927) 레터링 서버(240)로 해당 레터링 변경을 위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929),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해(S931) 레터링 조회에 대한 결과를 알게 된다.
PEA(350)는 응답 메시지를 다시 RLS 및/또는 PS(311, 313)로 전송하며(S933), RLS 및/또는 PS(311, 313)는 응답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935).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레터링 조회에 대한 결과, 즉 변경사항을 통보받게 된다.
또한, 변경 정보 통보 요청에 대한 해제 요청이 있게 되면, 이동통신 단말기(200)에서 RLS 및/또는 PS(311, 313)로 통보 해제에 대한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고(S937), RLS 및/또는 PS(311, 313)는 해당 요청 메시지를 다시 PEA(350)로 전송한다(S939).
PEA(350)는 통보 해제 요청에 따라 임시 관리 중인 레터링 정보를 DB에서 삭제한다(S941).
그리고, PEA(350)는 레터링 서버(240)로 관련 레터링에 대한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S943), 레터링 서버(240)로부터 ContentSearch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945).
PEA(350)는 응답 메시지를 다시 RLS 및/또는 PS(311, 313)로 전송하며(S947), RLS 및/또는 PS(311, 313)는 변경 정보 통보 해제 요청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이동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949).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통보 해제 요청에 따른 상태 정보를 통보받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상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에 적용 가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본인이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애칭과 같은 대화명 등을 레터링으로 편리하게 대체할 수 있고, 또 버디 등록이 되어있는 경우 일원의 레터링 정보 변경시 그 변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보받을 수 있어 프레즌스 서비스가 간편해진다.
200: 이동통신 단말기 210: 액세스 포인트
220: 교환기 222: HLR
224: VLR 230: 프레즌스 장치
240: 레터링 서버

Claims (18)

  1.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레터링(lettering)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즌스 서버; 및
    상기 요청에 따라 레터링 정보를 등록하고 기등록된 레터링 정보를 변경하는 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는 경우 상기 레터링 서버에 등록된 레터링 정보가 없다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레터링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HLR;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그룹별 조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그룹별 조회의 요청에 대한 그룹별 조회 관련 응답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그룹별 조회에 대한 리스트 정보를 조회 및 수집하고 상기 그룹별 조회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리소스 리스트(Resource List) 서버; 및
    상기 프레즌스 서버 또는 상기 리소스 리스트 서버의 요청에 따라 상기 레터링의 등록, 변경 또는 그룹별 조회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상기 등록 및 변경 정보와 상기 리스트 정보로 제공하는 PEA(Presence External Agent)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변경 또는 그룹별 조회가 가능하고, 상기 그룹별 조회의 요청에 따라 버디(buddy)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프레즌스 상태 정보 변경시 변경사항을 통보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리스트 서버의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그룹별 조회 관련 응답은 상기 변경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EA는 정보 조회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조회부는 상기 레터링 서버와 연동하여 레터링 정보의 그룹별 조회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문서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문서처리부는 상기 등록 및 변경 정보 또는 리스트 정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XDM(XML Document Manipulation)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XDM부는 XDM 메시지 처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XDM 메시지 처리 서버는 상기 프레즌스 서버 또는 리소스 리스트 서버에 연동하여 XDM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XDM부는 외부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노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및 번호 이동성 관리 데이터베이스(NPDB) 서버와 연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애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변경은 상기 레터링 서버에 저장된 상기 레터링을 상기 애칭으로 교체하거나, 상기 레터링 서버에 저장된 상기 애칭을 상기 레터링으로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및 변경 정보를 문서의 형태로서 생성 및 변경하여 저장하는 문서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처리부는 상기 등록 및 변경 정보 또는 상기 리스트 정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XDM(XML Document Manipulation)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13. 프레즌스 서버가 사용자의 레터링(lettering)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등록 및 변경의 요청에 대한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등록 및 변경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레터링 서버가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레터링 정보를 등록하고 기등록된 레터링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레터링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는 경우 상기 레터링 서버에 등록된 레터링 정보가 없다면 HLR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레터링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그룹별 조회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그룹별 조회의 요청에 대한 그룹별 조회 관련 응답을 제공하며, 상기 그룹별 조회에 대한 리스트 관련 정보를 조회 및 수집하고 상기 그룹별 조회 관련 응답에 대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 변경 또는 그룹별 조회의 요청에 따라 상기 레터링의 등록, 변경 또는 그룹별 조회를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상기 등록 및 변경 정보와 상기 리스트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변경 또는 그룹별 조회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레터링 관련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를 변환하며, 상기 그룹별 조회의 요청에 따라 버디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프레즌스 상태 정보 변경시 변경사항을 수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등록 및 변경 정보 또는 상기 리스트 정보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즌스 상태 정보의 등록 및 변경 정보를 문서의 형태로 생성 및 변경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18. 삭제
KR1020100026354A 2010-03-24 2010-03-24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54A KR101644912B1 (ko) 2010-03-24 2010-03-24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354A KR101644912B1 (ko) 2010-03-24 2010-03-24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152A KR20110107152A (ko) 2011-09-30
KR101644912B1 true KR101644912B1 (ko) 2016-08-03

Family

ID=4495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35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4912B1 (ko) 2010-03-24 2010-03-24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178B1 (ko) * 2014-05-29 2020-07-07 에스케이텔링크 주식회사 비즈 레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873B1 (ko) * 2004-08-11 2006-08-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그룹 통신을 위한 가입자 상태 처리 방법 및 장치
US8681751B2 (en) * 2005-07-11 2014-03-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in support of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KR20070076157A (ko) * 2006-01-18 2007-07-2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통화 연결 대기 중 개인 상태 정보를 이동 단말기에제공하는 교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7071B1 (ko) * 2008-04-16 2011-05-26 주식회사 케이티 프레젠스 정보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152A (ko) 201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98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short message from origination point
KR100754829B1 (ko) 일정 관리를 공유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063150B1 (ko) 사용자 문자 메시지 필드를 유지하면서 별도 필드로 전송되는 cnap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휴대 단말
CN1949757B (zh) 评估电信系统用户装置的附加服务的方法
KR101644912B1 (ko) 레터링을 프레즌스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것의 프레즌스 서비스 방법
CN101583098A (zh) 手机博客系统及应用
KR20010106742A (ko) 이기종 통신망에서의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4795442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KR20040054070A (ko) 통합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93717B1 (ko)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sms)를변환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30985A (ko) 영상 채팅 방식을 이용한 텍스트-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7279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KR101022792B1 (ko) 문자 대화를 지원하는 장치 및 문자 대화 서비스 방법
KR100727762B1 (ko)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단문메시지(sms)를 장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16707B1 (ko) 통화에 따른 자신 인증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90001145A (ko) 메시지 길이와 네트워크 속성의 확인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전달 방식을 결정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25662B1 (ko)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35078B1 (ko) 이동통신 환경에서 탑승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5168003A (ja) メール通知システム
KR100562250B1 (ko) 발신자 선택형 음성 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22527A (ko) 무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회신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684952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KR10158361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음성 안내 장치, 음성 안내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87163B1 (ko) 배경화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