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565B1 - Backkight apparatus - Google Patents
Backkight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9565B1 KR101639565B1 KR1020150128779A KR20150128779A KR101639565B1 KR 101639565 B1 KR101639565 B1 KR 101639565B1 KR 1020150128779 A KR1020150128779 A KR 1020150128779A KR 20150128779 A KR20150128779 A KR 20150128779A KR 101639565 B1 KR101639565 B1 KR 101639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plate
- light source
- diffusing
-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조사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판; 조사공간으로 확산된 빛을 확산판 측으로 반사하는 하판; 확산판 및 하판의 둘레에 결합되는 하우징들; 하나의 하우징에 결합되고 조사공간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며; 확산판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공간으로 조사된 빛이 확산판의 표면에 부딪힐 시 확산되도록 확산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원이 설치된 하우징과 대향되는 다른 하우징의 설치부 표면에는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우징리플렉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판의 상부면에는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판리플렉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이 일측의 하우징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램프 교체 등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고, 광원이 빛확산이 매우 뛰어난 조사공간을 조사하므로 빛확산성이 향상되고, 하나의 하우징에 광원들을 조립하고, 확산판 및 하판 둘레에 하우징들을 밀어서 끼우면 조사공간이 확보된 백라이트 구조가 가조립되므로 백라이트의 전체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그리고, 광원에서 빛이 조사될 시 확산판의 내부면 중 어두운 부분일수록 더 많은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하므로 확산판의 내부면이 고르게 발광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확산판 전체가 균일하게 발광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structure, including a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irradiated light to the outside; A lower plate which reflects the light diffused into the irradiation space toward the diffusion plate side; Housings coupled around the diffuser plate and the bottom plate; And a light source coupled to the one housing and irradiating light into the irradiation space; A diffuser is formed on the diffuser plate so that the diffuser diffuses whe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irradiation space hits the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A housing 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other housing facing the housing provided with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toward the irradiation space side; A lower plate reflecto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to the irradiation space side.
Accordingly, since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only in one housing, it is very convenient to maintain lamps and the like, and the light source radiates an irradiation space with excellent light diffusion, so that light diffusibility is improved, light sources are assembled in one housing, If the housings are pushed around the plate and the bottom plate, the backlight structure having the irradiation space is assembled, so that the entire assembly of the backlight is very simple. Further,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more diffuse reflection occurs in the dark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is uniformly emitted, thereby uniformly emitting the entire diffusing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라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광원이 일측의 하우징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램프 교체 등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고, 광원이 백라이트의 일측에서만 조사되어도 확산판 전체를 고르게 발광시키며, 전체 조립이 매우 간편한 백라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because a light source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a housing, it is very convenient to maintain a lamp, such as replacing a lamp in the field, and even when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from only one side of the backlight, To a backlight structure that is very easy to assemble in its entirety.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장치 중 하나로서, 전계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져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키므로써 액정층을 통과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하는 표시장치이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flat panel display devices.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composed of two display panels on which electric field generating electrodes are formed and a liquid crystal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To adjust the transmittanc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발생시키는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과,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한다.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backlight unit for generating light and a liquid crystal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using light generated from the backlight unit.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하지 않고 백라이트 유닛에서 발생한 광을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영상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는 반드시 광원이 필요하고 액정패널 뒤에 위치하고 있는 백라이트는 유닛이 면광으로 사용되고 있다.The liquid crystal pane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s image information in such a manner as to block or pass light generated in the backlight unit without emitting light. Therefor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necessarily requires a light source, and the backlight located behind the liquid crystal panel is used as the plane light.
백라이트 유닛은 램프, 반사판, 도광판 및 광학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학필름은 반사필름, 확산필름 및 프리즘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노트북, 모니터, TV, 휴대폰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어용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The backlight unit is composed of a lamp, a reflection plate, a light guide plate and an optical film, and the optical film is composed of a reflection film, a diffusion film and a prism film.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re widely used for display devices such as notebooks, monitors, TVs, mobile phone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ir applications.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구조는 도광판이 구비되고 도광판의 일측에는 광원이 설치되며 광원에서 발산되는 빛이 도광판 측으로 모아지도록 광원커버가 설치된다. 도광판의 하부에는 반사시트가 설치되어서 화면의 반대쪽으로 비추어지는 빛을 도광판 측으로 반사시킨다.Such a conventional backlight structure for a display has a light guide plate, a light sourc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source cover is installed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collected toward the light guide plate. A reflective sheet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light guide plate to reflect the light reflect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screen to the light guide plate side.
이와 같이 구성된 평판 디스플레이는 빛이 도달하는 거리가 한정됨에 따라 양측면에 광원을 구성할지라도 평판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핸저 최대 크기로 출하하는 것이 100인치를 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flat panel display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distance to reach the light is limited, even though the light source is configured on both sid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flat panel display can not exceed 100 inches.
또한 광량이 많은 광원을 사용해도 도관판 하부의 패턴에 의하여 산란된 광량은 광원 가까이에서는 많은 광량을 발산하지만 광원에서 멀어질수록 적은 광량을 발산하여 거리별로 큰 차이를 나타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고휘도 백라이트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a light source having a large light amount is used, the amount of light scattered by the patter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duit diverges a large amount of light near the light source. However, as the distance from the light source increases, a small amount of light is emitted. There was difficul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58167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58167호가 개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58167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1-58167 have been developed.
먼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58167호는, 도광판에 다수의 관통구멍을 뚫어서 조사되는 광원이 관통구멍에 부딪히면서 확산되므로 백라이트의 조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58167 discloses that the light source irradiated by pierc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n the light guide plate diffuses while bumping into the through hole, thereby improving the illuminance of the backlight.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관통구멍이 도광판의 상하로 관통된 형상이므로 관통구멍 내에 도달된 빛이 관통구멍의 상부공간을 통해서 상부로만 집중 발광되고 관통구멍의 양측으로 확산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백라이트 구조는 관통구멍 상부만 집중 조명되므로 도광판 전체가 골고루 발광되지 못한다.However, in this method, since the through hole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ght guide plate, the light reaching the through hole can not be diffused to the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Therefore, since the conventional backlight structure is concentratedly illuminated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he entire light guide plate can not be uniformly emitted.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58167호는, 도광판의 하단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홈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홈들에 다수의 광산란용 볼이 내장된 백라이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58167 discloses a backligh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rooves opened to the lower end side of a light guide plate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light scattering balls are embedded in these grooves.
이러한 종래의 백라이트 구조는,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다수의 홈들 및 홈들에 내장된 광산란용 볼들에 부딪히면서 빛이 산란되도록 하므로 도광판의 일측면에 빛이 고르게 확산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백라이트 구조는 홈들의 크기 및 간격이 일정하며 이에 따라 광원과 근접한 홈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빛이 조사되나, 홈들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도달되는 빛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그러므로 광원에 가까운 도광판 부분은 조도가 높은 반면에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도광판 부분은 조도가 낮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In the conventional backlight structu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strikes the light scattering balls embedded in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grooves to scatter light, so that the light is uniformly diffused to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backlight structure, the size and spacing of the grooves are constant, and accordingly,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light is irradiated in the groove adjacent to the light source, but the amount of light reaching as the grooves are moved away from the light source is relatively reduced. Therefore, the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close to the light source has high illuminance, while the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away from the light source has low illuminance.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백라이트 구조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홈에 다수의 광산란용 볼들을 내장해야 하므로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며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Such a conventional backlight structure has to incorporate a plurality of balls for light scattering in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equal intervals, so that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ies increases, resulting in a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an increase in the unit price of product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에서 램프 교체 등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고, 빛확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백라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such a problem is to provide a backlight structure which is very convenient to maintain, such as replacing a lamp in the field, and is improved in light diffusibil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라이트의 전체 조립이 매우 간편하므로 조립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한 백라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cklight structure in which assembly of the backlight is greatly simplified,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원에서 빛이 조사될 시 확산판의 내부면 중 어두운 부분일수록 더 많은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하므로 확산판의 내부면이 고르게 발광되도록 한 백라이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light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is uniformly emitted because the more diffuse reflection occurs in the dark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는, 조사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판; 조사공간이 확보되도록 확산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조사공간으로 확산된 빛을 확산판 측으로 반사하는 하판; 확산판 및 하판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들을 고정하고 확산판 및 하판 사이에 조사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하우징들; 사방으로 배열된 하우징들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결합되고 조사공간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확산판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공간으로 조사된 빛이 확산판의 표면에 부딪힐 시 확산되도록 확산부가 형성되어 있고; 광원이 설치된 하우징과 대향되는 다른 하우징의 설치부 표면에는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우징리플렉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판의 상부면에는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판리플렉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cklight structure including: a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irradiated light to the outside; A lower plate spaced from the diffusion plate so as to secure an irradiation space and reflecting the light diffused into the irradiation space toward the diffusion plate; Housings which ar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ower plate to fix them and secure an irradiation space between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ower plate; And a light source coupled to the housing of any one of the four housings and irradiating light into the irradiation space; A diffuser is formed on the diffuser plate so that the diffuser diffuses whe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irradiation space hits the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A housing 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other housing facing the housing provided with the light source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toward the irradiation space side; And a lower plate reflecto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so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toward the irradiation space side.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의 다른 특징은, 하우징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상하부에 확산판 및 하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결합홈 사이에 광원 결합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backl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ousing is formed with coupling grooves such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and the light source fitting portions are form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grooves have.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확산판의 내부면은, 광원들 사이에 위치되고 빛의 조사 각도를 벗어난 사각 지대를 이루며 확산판의 내부면 중 가장 어두운 제1확산면과, 확산판의 내부면을 횡방향으로 4등분할 경우, 광원으로부터 3번째 부분의 내부면에 해당하며 확산판의 내부면 중 두번째로 어두운 제2확산면과, 확산판의 내부면을 횡방향으로 4등분할 경우, 광원으로부터 4번째 부분의 내부면에 해당하며 확산판의 내부면 중 세번째로 어두운 제3확산면과, 광원과 광원 사이에 위치되고 확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산판의 내부면에 형성되며 확산판의 내부면 중 네번째로 어두운 제4확산면으로 이루어지고; 제1확산면 내지 제4확산면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난반사되도록 난반사홈들이 형성되되, 단위 면적당 난반사홈의 갯수가 제4확산면에서 제3확산면, 제2확산면, 제1확산면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Another feature of the backl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has a first diffusing surface which is located between the light sources and which forms a blind spot out of the angle of light irradiation and which is darkest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diffuser plate, The second diffus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second darkest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diffuser plat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are divided into four halves A third diffus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portion from the light source and the third darkest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diffusing plate and a third diffusing surface located between the light source and the light source an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using plate The fourth diffusing surface being the fourth darkest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diffusing plate; Diffus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first to fourth diffusing surfaces so that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irregularly reflected, and the number of diffusely reflecting grooves per unit area differs from the fourth diffusing surface to the third diffusing surface, the second diffusing surface, As shown in FIG.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조사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판과, 조사공간이 확보되도록 확산판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판과, 확산판 및 하판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들을 고정하는 하우징들과, 사방으로 배열된 하우징들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광원으로 이루어지고, 확산판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공간으로 조사된 빛이 확산판의 표면에 부딪힐 시 확산되도록 확산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이 설치된 하우징과 대향되는 다른 하우징의 설치부 표면에는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우징리플렉터가 설치되어 있고, 하판의 상부면에는 광원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판리플렉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광원이 일측의 하우징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램프 교체 등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고, 광원이 빛확산이 매우 뛰어난 조사공간을 조사하므로 빛확산성이 향상되고, 확산부, 하우징리플렉터, 하판리플렉터에 의해 빛확산이 더욱 향상되며, 이에 따라 광원이 백라이트의 일측에서만 조사되어도 확산판 전체를 고르게 발광시킨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diffuser plate for diffusing irradiated light to the outside, a bottom plate spaced apart from the diffuser plate so as to secure an irradiation space, housings which are coupled to the peripheries of the diffuser plate and the bottom plate, The diffusion plate is formed with a diffusion part for diffu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irradiation space when the diffusion plate hits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A housing reflector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other housing opposite to the housing in which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so that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toward the irradiation space side. The lower plate reflector is installed. Therefore, since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only on one side of the housing, the maintenance of the lamp is very convenient, such as replacing the lamp in the field, and the light source radiates an irradiation space having a very good light diffusion. Thus, the light diffusing property is improved, and the diffuser, So that even if the light source is irradiated only from one side of the backlight, the entire diffusion plate is made to emit light evenly.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상하부에 확산판 및 하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결합홈 사이에 광원 결합용 설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하우징에 광원들을 조립하고, 확산판 및 하판 둘레에 하우징들을 밀어서 끼우면 조사공간이 확보된 백라이트 구조가 가조립되며, 하우징과 확산판, 하판에 나사 등을 체결시켜서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백라이트의 전체 조립이 매우 간편하므로 조립성이 크게 개선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coupling grooves for respectively inserting the end portions of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ower plate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when viewed from the cross section, and the light source fit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coupling grooves. Therefore, when the light sources are assembled into one housing and the housings are pushed around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 backlight structure securing the irradiation space is assembled, and screws and the like are fastened to the housing, the diffusion plate and the lower plate. Therefore, the assemblability is greatly improved because the entire assembly of the backlight is very simple.
본 발명의 확산판의 내부면에는 조도가 서로 다른 네부분으로 이루어진 제1확산면 내지 제4확산면이 형성되되, 제1확산면 내지 제4확산면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난반사되도록 난반사홈들이 형성되고, 단위 면적당 난반사홈의 갯수가 제4확산면에서 제3확산면, 제2확산면, 제1확산면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확산판의 내부면 중 가장 어두운 제1확산면에 가장 많은 난반사홈이 형성되고, 두 번째로 어두운 제2확산면에 두 번째로 많은 난반사홈이 형성되며, 세 번째로 어두운 제3확산면에 세 번째로 많은 난반사홈이 형성되고, 네 번째로 어두운 제4확산면에 네 번째로 많은 난반사홈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광원에서 빛이 조사될 시 확산판의 내부면 중 어두운 부분일수록 더 많은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하므로 확산판의 내부면이 고르게 발광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확산판 전체가 균일하게 발광된다.The first diffusing surface to the fourth diffusing surface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ffusing surface to the fourth diffusing surface are formed with four diffused portions. And the number of irregularly reflecting grooves per unit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ourth diffusion surface toward the third diffusion surface, the second diffusion surface, and the first diffusion surface. Therefore, the most diffusely irregular grooves are formed on the darkest first diffusing surface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diffuser plate, the second most diffusely irregular grooves are formed on the dark second diffusing surface, the third dark diffusing surface And the fourth most diffusely reflective groove is formed on the dark fourth diffusing surface. Therefore,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more diffuse reflection occurs in the dark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so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is uniformly emitted, thereby uniformly emitting the entire diffusing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를 보인 개략적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개략적 평면도
도 4는 광원에서 빛이 조사된 상태의 확산판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5는 확산판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확산면 내지 제4확산면에 단위 면적당 서로 다른 개수의 난반사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l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
Figure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ure 2;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diffusion plate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from a light source
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different numbers of irregularly reflecting grooves are formed per unit area on the first to fourth diffusing surface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Specific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를 보인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4는 광원에서 빛이 조사된 상태의 확산판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5는 확산판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확산면 내지 제4확산면에 단위 면적당 서로 다른 개수의 난반사홈이 형성된 상태를 보인 개략적 평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l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gagement 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FIG. 4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diffusion plate in a state in which light is irradiated from a light source,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fferent number of irregular reflection grooves are formed per unit area on the first diffusion surface to the fourth diffusion surface, Fig.
이러한 본 발명은 에지형 LED 광원(40) 각각에 반사체(도시안됨)를 부착하여서 LED 광원(40)의 광량 대부분을 직접 전달하는 핫스폿(hotspot) 형태의 스포트라이트(spotlight) 조사 방식으로 구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hot spot type spotlight illumination method in which a reflector (not shown) is attached to each of the edge type
또한 백라이트 구조의 일측면에 LED 광원(40)을 구성하며, 고휘도 LED 즉 350mA 이상의 LED 광원(40)을 이용함으로써, 핫스폿(hotspot)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고휘도 대형 백라이트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구조는, 대형 야립광고간판이나 옥탑광고간판을 구현할 수 있으며 LED 광원(40)을 이용하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어 대형 광고 간판에 적용하는 경우 에너지 절약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제조로 제조원가 절감 및 조립 공정의 단순화, 운반의 용이성 및 효과적인 시공 등의 장점이 있다. 그리고 광원(40)의 교체가 간단하므로 유지보수를 위한 광원(40)의 교체가 간단하다.Also, since the length of the hotspot can be extended by using the
이러한 본 발명은 광원(40)이 일측의 하우징(30)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램프 교체 등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고, 광원(40)이 백라이트의 일측에서만 조사되어도 확산판(10) 전체를 고르게 발광시키며, 전체 조립이 매우 간편하다.
Since the
이러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backl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는, 확산판(10), 하판(20), 하우징(30), 광원(40)으로 이루어진다.The backl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확산판(10)은, 조사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킨다. 이러한 확산판(10)의 내부면은, 광원(40)들 사이에 위치되고 빛의 조사 각도를 벗어난 사각 지대를 이루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가장 어두운 제1확산면(11)과, 확산판(10)의 내부면을 횡방향으로 4등분할 경우, 광원으로부터 3번째 부분의 내부면에 해당하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두번째로 어두운 제2확산면(12)과, 확산판(10)의 내부면을 횡방향으로 4등분할 경우, 광원(40)으로부터 4번째 부분의 내부면에 해당하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세번째로 어두운 제3확산면(13)과, 광원(40)과 광원(40) 사이에 위치되고 확산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산판(10)의 내부면에 형성되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네번째로 어두운 제4확산면(14)으로 이루어진다.The
제1확산면(11) 내지 제4확산면(14)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난반사되도록 난반사홈(16)들이 형성되되, 단위 면적당 난반사홈(16)의 갯수가 제4확산면(14)에서 제3확산면(13), 제2확산면(12), 제1확산면(11)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The
하판(20)은, 조사공간(50)이 확보되도록 확산판(10)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조사공간(50)으로 확산된 빛을 확산판(10) 측으로 반사한다.The
하우징(30)은, 확산판(10) 및 하판(20)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들을 고정하고 확산판(10) 및 하판(20) 사이에 조사공간(50)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러한 하우징(30)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상하부에 확산판(10) 및 하판(2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홈(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결합홈(32) 사이에 광원(40) 결합용 설치부(33)가 형성되어 있다.The
광원(40)은, 사방으로 배열된 하우징(30)들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30)에 결합되고 조사공간(50)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The
확산판(10)에는 광원(40)으로부터 조사공간(50)으로 조사된 빛이 확산판(10)의 표면에 부딪힐 시 확산되도록 확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광원(40)이 설치된 하우징(30)과 대향되는 다른 하우징(30)의 설치부(33) 표면에는 광원(40)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5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우징리플렉터(31)가 설치되어 있다. 하판(20)의 상부면에는 광원(40)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5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판리플렉터(21)가 설치되어 있다.The
미설명 부호 34는 하우징(30)들의 모서리에 결합되어서 하우징(30)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들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백라이트 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The backl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첫째, 본 발명은 조사된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확산판(10)과, 조사공간(50)이 확보되도록 확산판(10)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판(20)과, 확산판(10) 및 하판(20)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들을 고정하는 하우징(30)들과, 사방으로 배열된 하우징(30)들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30)에 결합되는 광원(40)으로 이루어지고, 확산판(10)에는 광원(40)으로부터 조사공간(50)으로 조사된 빛이 확산판(10)의 표면에 부딪힐 시 확산되도록 확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A
그리고, 광원(40)이 설치된 하우징(30)과 대향되는 다른 하우징(30)의 설치부(33) 표면에는 광원(40)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5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우징리플렉터(31)가 설치되어 있고, 하판(20)의 상부면에는 광원(40)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5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판리플렉터(21)가 설치되어 있다. A
따라서, 광원(40)이 일측의 하우징(30)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램프 교체 등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고, 광원(40)이 빛확산이 매우 뛰어난 조사공간(50)을 조사하므로 빛확산성이 향상되고, 확산부(15), 하우징리플렉터(31), 하판리플렉터(21)에 의해 빛확산이 더욱 향상되며, 이에 따라 광원(40)이 백라이트의 일측에서만 조사되어도 확산판(10) 전체를 고르게 발광시킨다.Therefore, since the
둘째, 본 발명의 하우징(30)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상하부에 확산판(10) 및 하판(2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홈(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결합홈(32) 사이에 광원(40) 결합용 설치부(33)가 형성되어 있다. Second, the
따라서, 하나의 하우징(30)에 광원(40)들을 조립하고, 확산판(10) 및 하판(20) 둘레에 하우징(30)들을 밀어서 끼우면 조사공간(50)이 확보된 백라이트 구조가 가조립되며, 하우징(30)과 확산판(10), 하판(20)에 나사 등을 체결시켜서 고정시킨다. 그러므로, 백라이트의 전체 조립이 매우 간편하므로 조립성이 크게 개선된다.Therefore, when the
셋째, 본 발명의 확산판(10)의 내부면에는 조도가 서로 다른 네부분으로 이루어진 제1확산면(11) 내지 제4확산면(14)이 형성되되, 제1확산면(11) 내지 제4확산면(14)에는 광원(40)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난반사되도록 난반사홈(16)들이 형성되고, 단위 면적당 난반사홈(16)의 갯수가 제4확산면(14)에서 제3확산면(13), 제2확산면(12), 제1확산면(11)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The
따라서,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가장 어두운 제1확산면(11)에 가장 많은 난반사홈(16)이 형성되고, 두 번째로 어두운 제2확산면(12)에 두 번째로 많은 난반사홈(16)이 형성되며, 세 번째로 어두운 제3확산면(13)에 세 번째로 많은 난반사홈(16)이 형성되고, 네 번째로 어두운 제4확산면(14)에 네 번째로 많은 난반사홈(16)이 형성된다. Therefore, the most diffuse
그러므로 광원(40)에서 빛이 조사될 시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어두운 부분일수록 더 많은 난반사가 일어나도록 하므로 확산판(10)의 내부면이 고르게 발광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확산판(10) 전체가 균일하게 발광된다.
Therefore, when the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한편, 광원이 설치된 하우징(30)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하우징(30)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된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하우징(30)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Here, the discoloring portion may be formed by coating a temperature-discoloring material having a discoloration temperature of 40 DEG C or more and 60 DEG C or more, respectively. The discoloring portion is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paint by changing the colo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하우징(30) 표면에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The discoloring portion may be formed by coating a surface of the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changing materials can change color quickly and have various coloring temperatures such as 40 ° C, 60 ° C, 70 ° C, and 80 ° C, and such coloring temperature can be easily adjusted by various methods. Such a temperature-coloring material may be various kinds of temperature-coloring materials based on principles such as molecular rearrangement of an organic compound and spatial rearrangement of an atomic group.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코팅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변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olor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separated into two or more section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by coating two or more temperature discoloring materials having different discoloration temperatures. The temperature-coloring layer preferably uses a temperature-color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the discoloration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discoloring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high discoloration temperature, more preferably a discoloration temperature of not lower than 40 ° C and not lower than 60 ° C A color change portion can be formed by using a temperature coloring material.
이를 통해, 하우징(3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광원(40)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원(40)을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광원(4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코팅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코팅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layer is coated on the discolored portion to prevent the discolored portion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external impact, and it is easily confirmed whether the discolored portion is discolored or not,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parent discoloration material .
또한, 확산판(10)의 외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코팅층의 코팅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거나 코팅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코팅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코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코팅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The boric acid and sodium carbonate are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n the amount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coating properties of the base material deteriorate. When the amount exceeds 10% by weight, easy to do.
한편, 본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코팅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코팅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코팅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코팅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method of coating the composition for antifouling coating on a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coat it by a spray method. The thickness of the final coating film on the substrate is preferably 500 to 2000 angstroms, and more preferably 1000 to 2000 angstroms.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less than 500 ANGSTROM, there is a problem that it deteriorates 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more than 2000 ANGSTROM, crystallization of the coating surface tends to occur.
또한, 본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0.1 몰 및 탄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Further, the composition for antifouling coating may be prepared by adding 0.1 mol of boric acid and 0.05 mol of sodium carbonate to 100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stirring.
그리고, 고정브라켓(34)은, 덕타일주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덕타일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The fixing
덕타일주철은, 일반 회주철의 용탕에 마그네슘 등을 첨가하여 응고과정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된 주철이므로 회주철에 비하여 흑연의 형태가 구상이다. 이러한 덕타일주철은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Dough tile cast iron is a cast iron in which graphite is spherically crystallized during the solidification process by adding magnesium and the like to the molten metal of the common gray cast iron, so the shape of the graphite is spherical compared to gray cast iron. Since the ductile cast iron has a less notch effect, the stress concentration phenomenon is reduced and the strength and toughness ar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34)은, 덕타일주철을 1600∼1650℃로 가열시켜서 용탕으로 만든 다음 탈황처리를 하며,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고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 후 열처리하여 이루어진다.The fixing
여기서, 덕타일주철을 1600℃ 미만으로 가열하면 전체 조직이 충분히 용융되지 못하며, 1650℃를 초과하여 가열시키면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덕타일주철을 1600∼16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when the cast iron of the duck tile is heated to less than 1600 ° C, the entire structure is not sufficiently melted. If the cast iron is heated above 1650 ° C, unnecessary energy is wasted.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heat the dirt tile cast iron to 1600 ~ 1650 ℃.
용융된 덕타일주철에는 마그네슘이 0.3∼0.7중량% 정도 포함된 구상화 처리제를 넣는 바, 마그네슘이 0.3중량%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제를 투입효과가 극히 미미해 지며, 0.7중량%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제의 투입효과가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고가의 재료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제의 마그네슘 혼합비율은 0.3∼0.7중량% 정도가 적합하다.If the amount of magnesium is less than 0.3 wt%, the effect of injecting the spheroidizing agent is negligible. If the amount of magnesium is more than 0.7 wt%, the effect of injecting spheroidizing ag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expensive material cost is increased. Therefore, the mixing ratio of magnesium in the spheroidizing agent is preferably about 0.3 to 0.7% by weight.
용융된 덕타일주철에 구상화 처리제가 투입되면 이를 1500∼1550℃에서 구상화 처리를 실시한다. 구상화 처리 온도가 1500℃ 미만이면 구상화 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1550℃를 초과하면 구상화 처리 효과가 크게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된다. 그러므로 구상화 처리 온도는 1500∼1550℃가 적합하다.When the spheroidizing treatment agent is injected into the molten dull tile cast iron, it is subjected to spheroidizing treatment at 1500~1550 ° C. If the spheroidizing treatment temperature is lower than 1500 ° C., the spheroidizing treatment is not properly performed. If the spheroidizing treatm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1550 ° C., the spheroidizing treatment effect is not greatly improved, but unnecessary energy is wasted. Therefore, the spheroidization treatm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1500 to 1550 ° C.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34)이 덕타일주철로 이루어지므로 노치효과가 적기 때문에 응력 집중 현상이 감소되어 강도와 인성이 크게 향상된다.
Since the fixing
또한, 확산판(10)은,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 함량이 20~50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the
상기 폴리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는 전술한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75~95중량% 및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25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75중량% 미만이면 강성이 저하되고, 95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5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25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알파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는 에틸렌 0.5~7중량% 및 탄소수가 4~5인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성유지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내백화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5~5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중량%일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이면 내백화성이 저하되고, 7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의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된다. The polypropylene random block copolymer is preferably 75 to 95% by weight of the ethylene-propylene-alphaolefin random copolymer and 5 to 25% by weigh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The ethylene- When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is deteriorated. When the content of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is more than 25% by weight, the rigidity is deteriorated do. Wherein the ethylene-propylene-alpha olefin random copolymer comprises 0.5 to 7% by weight of ethylene and 1 to 15% by weight of an alpha-olefin having 4 to 5 carbon atoms and improves mechanical stiffness and heat resistance of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s shown in Fig. The ethylene content is preferably from 0.5 to 5%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1 to 3%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ethylene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 whitening resistance is deteriorated.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7% by weight, .
또한, 상기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제외한 임의의 알파올레핀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부텐이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은 탄소수가 4 미만이거나 5를 초과하면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시, 코모노머와의 반응성이 낮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술한 알파올레핀 1~15중량%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10중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일 수 있다. 상기 알파올레핀은 1중량% 미만이면, 결정화도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결정화도 및 강성이 저하되어 내열성이 현저히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Further, the alpha olefin means any alpha olefin except ethylene and propylene, and is preferably butene. When the number of carbon atoms is less than 4 or more than 5, the reactivity of the alpha-olefin with the comonomer is low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random copolymer,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the copolymer. Further, it may contain 1 to 15%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3 to 9% by weight of the above-mentioned alpha olefin. If the amount of the alpha-olefin is less than 1% by weight, the crystallinity becomes higher than necessary and the transparency is lowered. When the amount of the alpha-olefin is more than 15% by weight, the crystallinity and rigidity are lowered and the heat resistance is significantly lowered.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에틸렌 20~50중량%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내충격적 특성을 부여하고 미세 분산이 가능하여 내백화성 및 투명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0~40중량%일 수 있으며, 20중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내충격성 및 내백화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thylene-propylene block copolymer contains 20 to 50% by weight of ethylene and imparts impact resistance to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enables finely dispersing, thereby imparting both whitening resistance and transparency. The ethylene content may preferably be 20 to 40% by weight, and if it is less than 20%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is deteriorated. If it exceeds 50% by weight, the impact resistance and whitening resistance may be deterior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확산판(10)이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충격 또는 외부 환경에 대한 내충격성이 크게 개선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하우징리플렉터(31) 및 하판리플렉터(21)는 빛확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빛확산지는, 하우징(30) 및 하판(20)에 부착되어서 이들을 보호하는 보호지와, 상기 보호지의 일면에 부착되는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제층의 일면에 구비되어서 광원(40)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빛확산막과, 광원(40)에서 발산되는 빛이 난반사되면서 주변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빛확산막의 일면에 형성된 난반사돌기들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빛확산막의 일면에는 유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유착제 내에는 투과된 빛을 난반사하는 구상렌즈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착제 표면에는 상기 유착제 및 구상렌즈를 보호하며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플라스틱층이 부착되어 있다.Here, the light diffusing film is coated with an adhesive agent, spherical lenses for diffusing the transmitted light are attached to the adhesive agent, and the adhesive agent and the spherical lens are protected on the surface of the adhesive agent, A plastic layer is attached.
따라서, 광원(40)에서 발산되는 빛이 상기 난반사돌기들이 형성된 빛확산막 및 구상렌즈들에 의해 고르게 확산되면서 확산판(10) 전체를 발광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확산판(10) 전체의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 emitted from the
10 : 확산판 11 : 제1확산면
12 : 제2확산면 13 : 제3확산면
14 : 제4확산면 15 : 확산부
16 : 난반사홈 20 : 하판
21 : 하판리플렉터 30 : 하우징
31 : 하우징리플렉터 32 : 결합홈
33 : 설치부 34 : 고정브라켓
40 : 광원 50 : 조사공간10: diffusion plate 11: first diffusion surface
12: second diffusing surface 13: third diffusing surface
14: fourth diffusion surface 15: diffusion part
16: diffuse reflection groove 20: lower plate
21: lower plate reflector 30: housing
31: Housing Reflector 32: Coupling groove
33: mounting part 34: fixing bracket
40: light source 50: irradiation space
Claims (3)
조사공간(50)이 확보되도록 확산판(10)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조사공간(50)으로 확산된 빛을 확산판(10) 측으로 반사하는 하판(20);
확산판(10) 및 하판(20)의 둘레에 결합되어서 이들을 고정하고 확산판(10) 및 하판(20) 사이에 조사공간(50)이 확보되도록 하는 하우징(30)들;
사방으로 배열된 하우징(30)들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30)에 결합되고 조사공간(50)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확산판(10)에는 광원(40)으로부터 조사공간(50)으로 조사된 빛이 확산판(10)의 표면에 부딪힐 시 확산되도록 확산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광원(40)이 설치된 하우징(30)과 대향되는 다른 하우징(30)의 설치부(33) 표면에는 광원(40)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5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우징리플렉터(3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판(20)의 상부면에는 광원(40)에서 조사된 빛이 조사공간(50) 측으로 반사되도록 하판리플렉터(21)가 설치되어 있고;
하우징(30)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때 상하부에 확산판(10) 및 하판(2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홈(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결합홈(32) 사이에 광원(40) 결합용 설치부(33)가 형성되어 있으며;
확산판(10)의 내부면은,
광원(40)들 사이에 위치되고 빛의 조사 각도를 벗어난 사각 지대를 이루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가장 어두운 제1확산면(11)과, 확산판(10)의 내부면을 횡방향으로 4등분할 경우, 광원으로부터 3번째 부분의 내부면에 해당하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두번째로 어두운 제2확산면(12)과, 확산판(10)의 내부면을 횡방향으로 4등분할 경우, 광원(40)으로부터 4번째 부분의 내부면에 해당하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세번째로 어두운 제3확산면(13)과, 광원(40)과 광원(40) 사이에 위치되고 확산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산판(10)의 내부면에 형성되며 확산판(10)의 내부면 중 네번째로 어두운 제4확산면(14)으로 이루어지고;
제1확산면(11) 내지 제4확산면(14)에는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난반사되도록 난반사홈(16)들이 형성되되, 단위 면적당 난반사홈(16)의 갯수가 제4확산면(14)에서 제3확산면(13), 제2확산면(12), 제1확산면(11)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되며;
광원이 설치된 하우징(30)의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되되, 상기 변색부는,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하우징(30) 표면에 코팅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코팅되고;
확산판(10)의 외면에는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된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오염 방지 코팅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500 ~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구조.A diffusion plate (10) for diffusing the irradiated light to the outside;
A lower plate 20 spaced apart from the diffusion plate 10 so as to secure the irradiation space 50 and reflecting the light diffused into the irradiation space 50 toward the diffusion plate 10;
Housings (30)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diffusion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to fix them and to secure an irradiation space (50) between the diffusion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And a light source (40) coupled to the housing (30) of any one of the housings (30) arranged in all directions and irradiating light into the irradiation space (50);
The diffusion plate 10 is formed with a diffusion portion 15 so that the light diffused when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40 to the irradiation space 50 hits the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10;
A housing reflector 31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3 of the other housing 30 facing the housing 30 in which the light source 40 is installed so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0 is reflected toward the irradiation space 50 ;
A lower plate reflector 2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0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40 is reflected toward the irradiation space 50;
The housing (30)
A coupling groove 32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wer plate 20 so as to insert the end portions of the diffusion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20 with respect to the transverse section, (33) are formed;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on plate (10)
The first diffusing surface 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ing plate 10 which are located between the light sources 40 and form a dead zone deviated from the angle of light irradiation and are darkest among the inner surfaces of the diffusing plate 10, The second diffused surface 12 which correspon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ortion from the light source and is darkest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third diffused surface 13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ourth portion from the light source 40 and thir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10 and the third diffused surface 13 between the light source 40 and the light source 40 And a fourth dark diffused surface (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ffuser plate (10) and fourth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iffuser plate (10);
The diffusive grooves 16 are formed on the first to fourth diffusing surfaces 14 to diffus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s so that the number of the diffusing grooves 16 per unit area becomes equal to the number of the diffusing surfaces 14, The second diffusing surface 12, and the first diffusing surface 11 of the first diffusing surface 13, the third diffusing surface 13, the second diffusing surface 12, and the first diffusing surface 11;
The discoloring uni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0 where the light source is installed. The discoloring unit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30 with two or more temperature-coloring materials whose color changes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protective film layer is coated on the discoloring part to prevent a discoloration part from being damaged.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ntifouling coating comprises boric acid and sodium carbonate in a molar ratio of 1: 0.01 to 1: 2, and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is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acklight structure is 500 to 2000 ANGSTR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8779A KR101639565B1 (en) | 2015-09-11 | 2015-09-11 | Backkigh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8779A KR101639565B1 (en) | 2015-09-11 | 2015-09-11 | Backkight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9565B1 true KR101639565B1 (en) | 2016-07-14 |
Family
ID=5649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87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39565B1 (en) | 2015-09-11 | 2015-09-11 | Backkight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3956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8167A (en) | 1999-12-24 | 2001-07-05 | 박종섭 | Light guiding plate for back light unit |
JP2009252380A (en) * | 2008-04-01 | 2009-10-29 |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 Hollow type surface lighting device |
KR20100034822A (en) * | 2008-09-25 | 2010-04-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Display module and display set |
KR20110071658A (en) * | 2009-12-21 | 2011-06-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ffus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2015
- 2015-09-11 KR KR1020150128779A patent/KR1016395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58167A (en) | 1999-12-24 | 2001-07-05 | 박종섭 | Light guiding plate for back light unit |
JP2009252380A (en) * | 2008-04-01 | 2009-10-29 |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 Hollow type surface lighting device |
KR20100034822A (en) * | 2008-09-25 | 2010-04-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Display module and display set |
KR20110071658A (en) * | 2009-12-21 | 2011-06-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ffusion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28227B2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 |
CN101743431B (en) | Surface illuminating light source device and surface illuminating device | |
US8177382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planar optical diffusers and display panels for using the same | |
CN100480814C (en) | Planar light source device | |
US9557601B2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 |
US7478939B2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WO2013185395A1 (en) | Led light strip and side-type backlight module using same | |
CN104503140A (en) | Display device | |
US8834003B2 (en) | Display apparatus | |
CN102763029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CN105068320A (en) | Backlight module | |
US7766533B2 (en) | Illumination module, and a display and general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8125590B2 (en) | Optical film,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831778B1 (en) | Resin Composition For Cover Bottom of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 |
KR20060047789A (en) | Diffusion Plate of Backlight Unit | |
US9285527B2 (en) | Backlight module | |
KR101639565B1 (en) | Backkight apparatus | |
US20180101061A1 (en) |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US20110116008A1 (en) |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8908123B2 (en) | Direct-light type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 |
KR20110118494A (en) | Information board display | |
US20070126974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US20110090424A1 (en) | Illumination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9075180B2 (en) | Light guide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 |
WO2013008797A1 (en) | 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7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