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40837B1 - 스플리터 모듈 - Google Patents

스플리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837B1
KR101540837B1 KR1020117027598A KR20117027598A KR101540837B1 KR 101540837 B1 KR101540837 B1 KR 101540837B1 KR 1020117027598 A KR1020117027598 A KR 1020117027598A KR 20117027598 A KR20117027598 A KR 20117027598A KR 101540837 B1 KR101540837 B1 KR 10154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ower housing
housing
sockets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376A (ko
Inventor
겐이치로 오츠카
마사히로 하마다
마코토 도미나가
요시오 우키타
아키라 무로조노
세이야 오토키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0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8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604Rotary joints allowing relative rotational movement between opposing fibre or fibre bundl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소형이며, 취급이 용이한 스플리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플리터 모듈(1)은 입력된 광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광 스플리터(S)와, 광 스플리터(S) 및 광 파이버 심선(C2)에 의해 광 스플리터(S)와 접속되어 일단에 삽입구(41)가 형성된 복수의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10)과 하부 하우징(10)의 상면(10c)에 마련되어, 복수의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10)에 장착된 고정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용 소켓(40)은 그 삽입구(41)가 고정부(30)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해당 고정부(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플리터 모듈{SPLITTER MODULE}
본 발명은, 광 스플리터를 구비하는 스플리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광신호를 분배하는 스플리터 모듈이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스플리터 모듈은 집합 주택에 설치된 주 배선반(Main Distributing Frame; MDF)내에 수용되어, 가공으로부터 끌어내린 광케이블을 거쳐서 흘러 온 광신호를 각층에 전송되는 복수의 광신호에 분기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07-121398 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스플리터 모듈은 기축(旣築)의 건물내의 주 배선반내에 설치되는 일이 많다. 그 경우, 주 배선반내에는 이미 다른 기기나 케이블 등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플리터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의 확보가 어렵고, 또한 그 때의 모듈 취급이 곤란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형이면서 취급이 용이한 스플리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은 입력된 광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광 스플리터와, 이러한 광 스플리터, 및 광 파이버 심선에 의해 해당 광 스플리터와 접속되어, 일단에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어,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 장착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의 삽입구가 고정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해당 각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가 해당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플리터 모듈에 의하면,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이하에서는 「광 소켓 등」이라고도 말함)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착에 필요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광 소켓 등의 삽입구가 고정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광 소켓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구를 고정부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광 소켓 등에 대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어,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이하에서는 「하부의 광 소켓 등」이라고도 말함)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을 회동함으로써, 거기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이하에서는 「상부의 광 소켓 등」이라고도 말함)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부의 광 소켓 등이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하부의 광 소켓 등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광 소켓 등이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하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해당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고,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해당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각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의 상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스플리터 모듈의 상방으로부터 직접 광 소켓 등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상부 하우징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이 상부 하우징으로 덮이지 않기 때문에, 상부 하우징을 작동시키는 일 없이 하부 하우징내의 광 소켓 등을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은 입력된 광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광 스플리터와, 광 파이버 심선에 의해 해당 광 스플리터와 접속되어 일단에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복수 수용하고, 해당 광 파이버 심선을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구가 형성된 수용 상자를 구비하며, 수용 상자가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고,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에 장착된 고정부를 구비하여, 각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의 삽입구가 고정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해당 각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가 해당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플리터 모듈에 의하면,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이하에서는 「광 소켓 등」이라고 함)를 수용하는 하우징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착에 필요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광 스플리터가 수용 상자의 외부로 내어져 있으므로, 그 수용 상자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광 스플리터 및 수용 상자를 배선반내에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광 소켓 등의 삽입구가 고정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광 소켓 등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구를 고정부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광 소켓 등에 대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어,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이하에서는 「하부의 광 소켓 등」이라고도 말함)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을 회동함으로써, 거기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이하에서는 「상부의 광 소켓 등」이라고도 말함)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부의 광 소켓 등이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하부의 광 소켓 등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하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광 소켓 등이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의 광 소켓 등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하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해당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고,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해당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각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의 상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스플리터 모듈(수용 상자)의 상방으로부터 직접 광 소켓 등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플리터 모듈에서는,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해당 상부 하우징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등이 상부 하우징으로 덮이지 않기 때문에, 상부 하우징을 작동시키는 일 없이 하부 하우징내의 광 소켓 등을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플리터 모듈에 의하면, 광 소켓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상하 2단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광 소켓 등의 삽입구가 고정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광 소켓 등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모듈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스플리터 모듈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상부 하우징을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출력용 소켓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출력용 소켓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출력용 소켓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변형예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의 사시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을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소켓 수용 상자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소켓 수용 상자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하는 상부 하우징을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하는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하는 출력용 소켓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변형예에 따른 출력용 소켓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변형예에 따른 출력용 소켓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17의 (a) 및 (b)는 변형예에 따른 소켓 수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출력용 소켓(광 소켓)을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스플리터 모듈(1)은, 하부 하우징(10), 상부 하우징(20) 및 고정부(30)를 구비하고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스플리터 모듈(1)의 길이, 폭 및 높이는 각각 100mm, 39.5mm, 29.1mm 이다. 다만, 스플리터 모듈(1)의 크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하우징(10)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이하에서는 「후단부」라고 함)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볼록부(1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은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광 스플리터(S) 및 광 소켓(12, 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면(10b), 그 전단면(10b)에 연속하는 상면(10c)의 전단부 부근(도 3 참조) 및 볼록부(11)의 전단면은 개구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양측면(10d)에는, 하부 하우징(10)의 상하방향에 따른 나사 구멍(31)이 형성된 대략 반원형상의 고정부(30)가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부근에 하부 하우징(10)의 저면과 연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볼록부(11)의 상면(11a)의 전단부에는,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봉형상의 부재(13)가 장착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후단면(10a)에는 광커넥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광 소켓(이하 「입력용 소켓」이라고 함)(12)의 후단부(삽입구)가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입력용 소켓(12)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도 2 및 4에 있어서는 입력용 소켓(12)의 삽입구는 캡(12a)으로 덮여 있지만, 광커넥터를 입력용 소켓(12)에 삽입할 때, 그 캡(12a)은 분리된다.
도 4를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내의 구성을 설명한다. 입력용 소켓(12)은 하부 하우징(10)의 일측면(10d)에 대응하는 내벽을 따라서 수용되어 있다. 또한, 본 입력용 소켓(12)과 대향하도록, 광신호를 8분기 하여 출력하는 광 스플리터(S)가 하부 하우징(10)의 타측면(10d)에 대응하는 내벽을 따라서 수용되어 있다. 또한, 그 내부 공간의 전단부 부근에는, 광커넥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광 소켓(이하 「출력용 소켓」이라고 함)(40)이 하부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때, 출력용 소켓(40)은, 그 전단면(40b)이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면(10b)과 대략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부 하우징(10)의 상방에서 보면 출력용 소켓(40)이 하부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5를 이용하여, 출력용 소켓(40)의 구성을 설명한다.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일체화되어 있다. 각 출력용 소켓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그 전단면(40b)에는 광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는 캡(49)으로 덮여 있지만, 광커넥터를 출력용 소켓(40)에 삽입할 때, 그 캡(49)은 분리된다. 4개의 출력용 소켓(40) 중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하면(40c)에는, 출력용 소켓(40)을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후크부(42)와 돌기부(43)와 출력용 소켓(40)을 하부 하우징(10)에 고정하기 위한 클로부(44)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42)는 출력용 소켓(40)의 하면(40c)의 후단부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42)는 출력용 소켓(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단면은 하부(도 5에 있어서의 상방)로 개구된 C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돌기부(43)는 후크부(42)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으며, 출력용 소켓(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기부(43)의 높이는 후크부(42)의 높이보다 작다. 클로부(44)는 출력용 소켓(40)의 하면(40c)의 중앙부보다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클로부(44)는 출력용 소켓(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출력용 소켓(40)의 전방을 향하여 L자형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하부 하우징(10)의 마루면에 그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봉형상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후크부(42)가 계합함으로써,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만, 돌기부(4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회동은 일정 범위로 제한된다. 또한,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하부 하우징(10)의 마루면에 마련된 단면 역 L자형상의 클로부(도시하지 않음)와, 클로부(44)가 계합함으로써 하부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상부 하우징(20)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하부 하우징(10)의 상면(10c) 및 볼록부(11)의 전단면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상면(20a)의 후단부에는 후크(21)가 장착되어 있다. 후크(21)는 상부 하우징(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단면은 하부로 개구된 C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10)은 본 후크(21)와, 상술한 봉형상의 부재(13)가 계합함으로써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부 하우징(20)은 하부 하우징(10) 및 고정부(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상면(20a)은 후단부 부근에서는 볼록부(11)의 상면(11a)과 연속하고 있지만, 길이방향의 중앙부 및 전단부에 있어서는 후단부에 대하여 융기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전단면(20b)은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면(10b)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상부 하우징(20)의 상방으로부터 스플리터 모듈(1)을 보면,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복수의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보다 외측(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전단면(20b), 그 전단면(20b)에 연속하는 상면(20a)의 전단부 부근 및 후단면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부의 전단면과 상부 하우징(20)의 후단면은 연통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의 전단부 부근에는, 4개의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때, 출력용 소켓(40)은 그 전단면(40b)이 상부 하우징(20)의 전단면(20b)과 대략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 하우징(20)의 상방에서 보면,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에 수용된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일체화되어 있고, 그 구성은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것과 동일하다(도 5 참조). 또한, 상부 하우징(20)에의 출력용 소켓(40)의 장착 방법도 하부 하우징(10)에 대한 장착 방법과 동일하다.
입력용 소켓(12)과 광 스플리터(S)의 일단은 광 파이버 심선(C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광 스플리터(S)의 타단에는 8개의 광 파이버 심선(C2)이 장착되어 있고, 본 광 파이버 심선(C2)에 의해 광 스플리터(S)와, 출력용 소켓(40)의 후단부(40a)가 접속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내의 출력용 소켓(40)에 접속하는 광 파이버 심선(C2)은,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0)내에 수용된다. 상부 하우징(20)내의 출력용 소켓(40)에 접속하는 광 파이버 심선(C2)은 볼록부(11)의 전단면 및 상부 하우징(20)의 후단면을 통하여 하부 하우징(10)으로부터 상부 하우징(20)에 들어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착에 필요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가 고정부(30)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출력용 소켓(40)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삽입구(41)를 고정부(30)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삽입구(41)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출력용 소켓(40)에 대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어, 스플리터 모듈(1)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이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부 하우징(20)이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20)을 회동함으로써, 거기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상부 하우징(2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상부 하우징(20)을 회동하지 않아도 그 출력용 소켓(40)에 대하여 광커넥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부 하우징(10) 및 상부 하우징(2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의 상부가 그들의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스플리터 모듈(1)의 상방으로부터 직접 출력용 소켓(40)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으로 덮이지 않으므로, 상부 하우징(20)을 움직이는 일 없이 하부 하우징(10)내의 출력용 소켓(40)을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하우징(20)을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부 하우징(20)내의 출력용 소켓(40)을 상부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했지만, 이들 중 어느 한쪽의 수법만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면, 상부 하우징내의 출력용 소켓을 상부 하우징에 완전히 고정해도 좋다.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했을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스플리터 모듈에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커넥터를 보다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을 회동시키도록 스플리터 모듈을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면이 하부 하우징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대좌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에 하부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면, 하부 하우징내의 출력용 소켓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커넥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출력용 소켓(40)을 일체화시켰지만, 이것에 부가하여 각 소켓의 내벽을 없앰으로써 스플리터 모듈의 폭을 보다 짧게 하여도 좋다. 물론, 출력용 소켓을 일체화시키지 않고, 각 출력용 소켓에 상기 후크부(42), 돌기부(43), 클로부(44)에 상당하는 요소를 장착하여도 좋다.
출력용 소켓을 상부 하우징 혹은 하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상술한 후크부(4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폭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의 축부재(45)를 구비한 출력용 소켓(40p)을 이용해도 좋고(도 6 참조), 폭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축 구멍(46)을 구비한 출력용 소켓(40q)을 이용해도 좋다(도 7 참조). 출력용 소켓(40p)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측면에 대응하는 내벽에 축부재(45)를 삽입하기 위한 축 구멍을 마련하면 좋고, 출력용 소켓(40q)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축 구멍(46)에 삽입하는 축부재를 그 내벽에 마련하면 좋다.
출력용 소켓을 상부 하우징 혹은 하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했을 경우에는, 출력용 소켓이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스플리터 모듈에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출력용 소켓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커넥터를 보다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플리터 모듈(1)의 폭방향으로 4개의 출력용 소켓(40)을 나란하게 했지만, 나란한 출력용 소켓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에 출력용 소켓이 16개씩 나란한 스플리터 모듈(1a)을 이용해도 좋다. 스플리터 모듈(1a)에서는, 상부 하우징은 4개의 출력용 소켓을 수용하는 4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하우징은 독립하여 회동 가능하다(도 8의 (b) 참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복수의 출력용 소켓(40)을 상부 하우징(20)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켰지만, 이와 같은 돌출을 시키는지 아닌지는 임의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하우징(10)의 상면(10c)의 일부와 상부 하우징(20)의 상면(20a)의 일부를 개구시켰지만, 하우징의 상면을 개구시키는가 아닌가도 임의이다.
또한, 스플리터 모듈의 설치 면적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 스플리터 모듈의 후단부의 각을 면취하여 곡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광 파이버 코드나 광케이블 등이 스플리터 모듈의 각에 걸려 단선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플리터 모듈(1)은 광 소켓을 수용했지만, 광 소켓에 대신해 광 어댑터를 수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SC 커넥터 등으로 끼워 맞추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스플리터 모듈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대해 동일 또는 동등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스플리터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9에 도시하는 소켓 수용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하는 하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하는 출력용 소켓(광 소켓)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스플리터 모듈(1)은, 광 스플리터(S)와 복수의 광 소켓을 수용하는 4개의 소켓 수용 상자(2)를 구비하고 있다. 광 스플리터(S)와 소켓 수용 상자(2)내의 각 광 소켓은 광 파이버 심선(C)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노출되는 광 파이버 심선(C)의 길이는 임의로 결정하여도 좋다.
광 스플리터(S)는, 광신호를 32 분기하여 출력하는 광학 부품이다. 광 스플리터(S)의 일단(이것을 후단으로 함)에는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Sa)가 마련되어 있고, 타단(전단)에는 분기된 광신호를 전송하는 32개의 광 파이버 심선(C)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묘화(描畵)를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8개의 광 파이버 심선(C)을 하나의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소켓 수용 상자(2)는, 후술하는 출력용 소켓(광 소켓)(40)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이다. 소켓 수용 상자(2)는 하부 하우징(10), 상부 하우징(20) 및 고정부(30)를 구비하고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소켓 수용 상자(2)의 길이, 폭 및 높이는 각각 80mm, 39.5mm, 29.1mm 이다. 다만, 소켓 수용 상자(2)의 크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 하우징(10)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이하에서는 「후단부」라고 함)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볼록부(1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하부 하우징(10)의 길이방향에 따른 단면은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면(10b), 그 전단면(10b)에 연속하는 상면(10c)의 전단부 부근(도 12 참조) 및, 볼록부(11)의 전단면은 개구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양측면(10d)에는, 하부 하우징(10)의 상하방향을 따른 나사 구멍(31)이 형성된 대략 반원형상의 고정부(30)가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부근에 하부 하우징(10)의 저면과 연속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의 후단면(10a)에는 8개의 광 파이버 심선(C)을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구(12)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볼록부(11)의 상면(11a)의 전단부에는, 폭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봉형상의 부재(13)가 장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의 전단부 부근에는, 광커넥터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4개의 광 소켓(이하, 「출력용 소켓」이라고 함)(40)이 하부 하우징(10)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수용되어 있다. 이 때, 출력용 소켓(40)은, 그 전단면(40b)이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면(10b)과 대략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부 하우징(10)의 상방에서 보면, 출력용 소켓(40)이 하부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도 14를 이용하여, 출력용 소켓(40)의 구성을 설명한다.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일체화되어 있다. 각 출력용 소켓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그 전단면(40b)에는 광커넥터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41)가 형성되고 있다. 도 9 내지 13에서는,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는 캡(49)으로 덮여 있지만, 광커넥터를 출력용 소켓(40)에 삽입할 때 그 캡(49)은 분리된다. 4개의 출력용 소켓(40) 중 외측에 위치하는 2개의 하면(40c)에는, 출력용 소켓(40)을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후크부(42)와 돌기부(43)와, 출력용 소켓(40)을 하부 하우징(10)에 고정하기 위한 클로부(44)가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42)는, 출력용 소켓(40)의 하면(40c)의 후단부 부근에 마련되어 있다. 후크부(42)는 출력용 소켓(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단면은 하방(도 14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개구된 C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돌기부(43)는 후크부(42)의 후방에 마련되어 있고, 출력용 소켓(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돌기부(43)의 높이는 후크부(42)의 높이보다 작다. 클로부(44)는 출력용 소켓(40)의 하면(40c)의 중앙부보다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클로부(44)는 출력용 소켓(4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출력용 소켓(40)의 전방을 향하여 L자 형상으로 굴곡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하부 하우징(10)의 마루면에 그 폭방향을 따라서 마련된 봉형상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후크부(42)가 결합함으로써,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물론, 돌기부(4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 회동은 일정 범위에 제한된다. 또한,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하부 하우징(10)의 마루면에 마련된 단면 역 L자형상의 클로부(도시하지 않음)와 클로부(44)가 결합함으로써, 하부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상부 하우징(20)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하부 하우징(10)의 상면(10c) 및 볼록부(11)의 전단면과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상면(20a)의 후단부에는 후크(21)가 장착되어 있다. 후크(21)는 상부 하우징(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단면은 하부로 개구된 C자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부 하우징(20)과 하부 하우징(10)은 그 후크(21)와, 상술한 봉형상의 부재(13)가 결합함으로써 접속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부 하우징(20)은 하부 하우징(10) 및 고정부(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상면(20a)은 후단부 부근에서는 볼록부(11)의 상면(11a)과 연속하고 있지만, 길이방향의 중앙부 및 전단부에 있어서는 후단부에 대하여 융기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전단면(20b)은 하부 하우징(10)의 전단면(10b)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 결과, 상부 하우징(20)의 상방으로부터 소켓 수용 상자(2)를 보면,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복수의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보다 외측(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전단면(20b), 그 전단면(20b)에 연속하는 상면(20a)의 전단부 부근 및 후단면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볼록부의 전단면과 상부 하우징(20)의 후단면은 연통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의 내부 공간의 전단부 부근에는, 4개의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의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수용되어 있다. 이 때, 출력용 소켓(40)은, 그 전단면(40b)이 상부 하우징(20)의 전단면(20b)과 대략 일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 하우징(20)의 상방에서 보면,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20)에 수용된 4개의 출력용 소켓(40)은 일체화되어 있고, 그 구성은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것과 동일하다(도 14 참조). 또한, 상부 하우징(20)에의 출력용 소켓(40)의 장착 방법도 하부 하우징(10)에 대한 장착 방법과 동일하다.
안내구(12)를 통하여 하부 하우징(10)에 들어간 광 파이버 심선(C)은, 출력용 소켓(40)의 후단부(40a)에 접속되어 있다. 하부 하우징(10)내의 출력용 소켓(40)에 접속하는 광 파이버 심선(C)은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0)내에 수용된다. 상부 하우징(20)내의 출력용 소켓(40)에 접속하는 광 파이버 심선(C)은, 볼록부(11)의 전단면 및 상부 하우징(20)의 후단면을 통하여 하부 하우징(10)으로부터 상부 하우징(20)에 들어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상하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장착에 필요한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광 스플리터(S)가 소켓 수용 상자(2)의 외부로 내어져 있으므로, 소켓 수용 상자(2)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광 스플리터(S) 및 소켓 수용 상자(2)를 배선반내에 유연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가 고정부(30)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출력용 소켓(40)이 장착되고 있으므로, 그 삽입구(41)를 고정부(30)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삽입구(41)를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출력용 소켓(40)에 대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어, 스플리터 모듈(1)에 대한 광커넥터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스플리터 모듈(1)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이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있으므로, 그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한, 상부 하우징(20)이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부 하우징(20)을 회동함으로써, 거기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의 삽입구(41)를 상방으로 이동하여 광커넥터를 착탈할 수 있다(도 12 참조). 또한, 상부 하우징(2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므로, 상부 하우징(20)을 회동하지 않아도 그 출력용 소켓(40)에 대하여 광커넥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부 하우징(10) 및 상부 하우징(2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의 상부가 그들의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소켓 수용 상자(2)의 상방으로부터 직접 출력용 소켓(40)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출력용 소켓(40)이 상부 하우징(20)으로 덮이지 않으므로, 상부 하우징(20)을 움직이는 일 없이 하부 하우징(10)내의 출력용 소켓(40)을 보다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하우징(20)을 하부 하우징(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동시에, 상부 하우징(20)내의 출력용 소켓(40)을 상부 하우징(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했지만, 이들 중 어느 한쪽의 수법만을 채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면, 상부 하우징내의 출력용 소켓을 상부 하우징에 완전히 고정하여도 좋다.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했을 경우에는, 상부 하우징이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수용 상자에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커넥터를 보다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을 회동시키도록 스플리터 모듈을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면이 하부 하우징의 하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대좌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에 하부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면, 하부 하우징내의 출력용 소켓의 삽입구를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광커넥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출력용 소켓(40)을 일체화시켰지만, 이것에 부가하여, 각 소켓의 내벽을 없앰으로써 스플리터 모듈의 폭을 보다 짧게 하여도 좋다. 물론, 출력용 소켓을 일체화시키지 않고, 각 출력용 소켓에 상기 후크부(42), 돌기부(43), 클로부(44)에 상당하는 요소를 장착하여도 좋다.
출력용 소켓을 상부 하우징 혹은 하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단은 상술한 후크부(42)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폭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축부재(45)를 구비한 출력용 소켓(40p)을 이용해도 좋고(도 15 참조), 폭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축 구멍(46)을 구비한 출력용 소켓(40q)을 이용해도 좋다(도 16 참조). 출력용 소켓(40p)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하우징의 측면에 대응하는 내벽에 축부재(45)를 삽입하기 위한 축 구멍을 마련하면 좋고, 출력용 소켓(40q)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축 구멍(46)에 삽입하는 축부재를 그 내벽에 마련하면 좋다.
출력용 소켓을 상부 하우징 혹은 하부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했을 경우에는, 출력용 소켓이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스플리터 모듈(수용 상자)에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출력용 소켓의 경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커넥터를 보다 간단하게 착탈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출력용 소켓(40)을 수용한 4개의 소켓 수용 상자(2)와 32 분기의 광 스플리터(S)를 이용했지만, 수용 상자에 수용하는 출력용 소켓의 수나 이용하는 수용 상자의 수, 혹은 광 스플리터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소켓 수용 상자(2)와 동일한 수용 상자와 8분기의 광 스플리터를 조합하여 스플리터 모듈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하부 하우징 및 상부 하우징에 출력용 소켓이 16개씩 나란한 1개의 수용 상자(2a)(도 17의 (a) 참조)와 32 분기의 광 스플리터를 조합하여 스플리터 모듈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수용 상자(2a)에서는 상부 하우징은 4개의 출력용 소켓을 수용하는 4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하우징은 독립하여 회동 가능하다(도 17의 (b) 참조).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하우징(10)에 수용된 복수의 출력용 소켓(40)을 상부 하우징(20)보다 전방으로 돌출시켰지만, 이와 같은 돌출을 시키는가 아닌가는 임의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하우징(10)의 상면(10c)의 일부와, 상부 하우징(20)의 상면(20a)의 일부를 개구시켰지만, 하우징의 상면을 개구시키는가 아닌가도 임의이다.
또한, 수용 상자의 설치 면적을 보다 작게 하기 위해서, 수용 상자의 후단부의 각을 면취하여, 곡면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광 파이버 코드나 광케이블 등이 수용 상자의 각에 걸려 단선될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소켓 수용 상자(2)는 광 소켓을 수용했지만, 광 소켓에 대신해 광 어댑터를 수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SC 연결기 등과 끼워 맞추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스플리터 모듈(수용 상자)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8에 있어서,
1, 1a : 스플리터 모듈 10 : 하부 하우징
10c : 하부 하우징의 상면 13 : 봉형상 부재
20 : 상부 하우징 21 : 후크
30 : 고정부 40, 40p, 40q : 출력용 소켓(광 소켓)
41 : 삽입구 42 : 후크부
43 : 돌기부 44 : 클로부
45 : 축 부재 46 : 축 구멍
C1, C2 : 광 파이버 심선 S : 광 스플리터.
도 9 내지 17에 있어서,
1 : 스플리터 모듈 2, 2a : 소켓 수용 상자
10 : 하부 하우징 10c : 하부 하우징의 상면
12 : 안내구 13 : 봉형상 부재
20 : 상부 하우징 21 : 후크
30 : 고정부
40, 40p, 40q : 출력용 소켓(광 소켓)
41 : 삽입구 42 : 후크부
43 : 돌기부 44 : 클로부
45 : 축 부재 46 : 축 구멍
C1, C2 : 광 파이버 심선, S : 광 스플리터.

Claims (12)

  1. 입력된 광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광 스플리터와,
    상기 광 스플리터와, 광 파이버 심선에 의해 상기 광 스플리터와 접속되고 일단에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의 삽입구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상기 각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개별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스플리터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상부 하우징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7. 입력된 광신호를 분기하여 출력하는 광 스플리터와,
    광 파이버 심선에 의해 상기 광 스플리터와 접속되고, 일단에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복수 수용하고, 상기 광 파이버 심선을 내부로 안내하는 안내구가 형성된 수용 상자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 상자가,
    복수의 상기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면에 마련되고, 복수의 상기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에 장착된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의 삽입구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상기 각 광 소켓 또는 각 광 어댑터가 상기 고정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와,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개별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스플리터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이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하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상부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상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노출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12.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하부 하우징에 수용된 복수의 광 소켓 또는 광 어댑터가 상기 상부 하우징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플리터 모듈.
KR1020117027598A 2009-05-19 2009-05-19 스플리터 모듈 Active KR101540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9171 WO2010134157A1 (ja) 2009-05-19 2009-05-19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376A KR20120030376A (ko) 2012-03-28
KR101540837B1 true KR101540837B1 (ko) 2015-07-30

Family

ID=43125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598A Active KR101540837B1 (ko) 2009-05-19 2009-05-19 스플리터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434317A4 (ko)
KR (1) KR101540837B1 (ko)
CN (1) CN102428396B (ko)
MY (1) MY159726A (ko)
SG (1) SG175700A1 (ko)
WO (1) WO20101341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6728B2 (ja) * 2008-04-11 2012-02-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BR122016029886A2 (pt) * 2012-12-19 2019-08-27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com distribuidores adicionais em incrementos
CN106687841B (zh) 2014-06-17 2020-08-14 康普连通比利时私人有限公司 线缆配线系统
US10606009B2 (en) 2015-12-01 2020-03-31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distribution system with fan out devices
EP3408701B1 (en) 2016-01-28 2023-04-26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Modular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JP6741929B2 (ja) * 2016-06-09 2020-08-19 住友電工オプティ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多心単心変換モジュール及び多心単心変換装置
CN115248483A (zh) * 2021-12-21 2022-10-28 义博通信设备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协动式光纤活动连接器组件以及接线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9871A1 (en) 1998-06-05 2003-07-10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patch panel with angled connector modules
US20060110118A1 (en) 2004-11-24 2006-05-25 Escoto Alejandro R Optical fiber distribution apparatus
US20080205843A1 (en) 2007-02-28 2008-08-28 Guy Castonguay 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6762A (en) * 1989-08-15 1991-0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ermination module for use in an array of modules
DE9203031U1 (de) * 1992-03-07 1992-05-14 Albert Ackermann GmbH & Co KG, 5270 Gummersbach Befestigungssockel für Fiber-Optik-Anschlußmodule
GB9907406D0 (en) * 1999-03-31 1999-05-26 Raychem Sa Nv An optical fibre management system
JP2003243857A (ja) * 2002-02-18 200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光通信用パッケージ
DE10344472A1 (de) * 2003-09-25 2005-05-04 Hilti Ag Optischer Strahlteiler
US7376321B2 (en) * 2004-08-09 2008-05-20 Adc Telecommunications, Inc. Modules including multiple rows of adapters for high density optical fiber distribution frame
US7636507B2 (en) * 2005-06-17 2009-12-22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mpact blind mateable optical splitter
JP2007093760A (ja) * 2005-09-27 2007-04-12 Nitto Electric Works Ltd ラックユニットの配線保持棚
AU2006298709B2 (en) * 2005-10-05 2012-01-12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 Optical fibre connection devices
JP4869677B2 (ja) 2005-10-25 2012-02-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5138947B2 (ja) * 2007-02-02 2013-02-06 日本通信電材株式会社 光ケーブルクロージャ
US7889961B2 (en) * 2008-03-27 2011-02-15 Corning Cable Systems Llc Compact, high-density adapter module, housing assembly and frame assembly for optical fiber telecommunications
JP5432469B2 (ja) * 2008-04-11 2014-03-0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4886728B2 (ja) * 2008-04-11 2012-02-2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GB0812260D0 (en) * 2008-07-04 2008-08-13 Tyco Electronics Raychem Nv Optical fibre coupling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29871A1 (en) 1998-06-05 2003-07-10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patch panel with angled connector modules
US20060110118A1 (en) 2004-11-24 2006-05-25 Escoto Alejandro R Optical fiber distribution apparatus
US20080205843A1 (en) 2007-02-28 2008-08-28 Guy Castonguay Fiber optic drop terminals for multiple dwelling uni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59726A (en) 2017-01-31
EP2434317A4 (en) 2015-04-15
WO2010134157A1 (ja) 2010-11-25
EP2434317A1 (en) 2012-03-28
CN102428396A (zh) 2012-04-25
SG175700A1 (en) 2011-12-29
HK1165014A1 (en) 2012-09-28
KR20120030376A (ko) 2012-03-28
CN102428396B (zh) 2014-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837B1 (ko) 스플리터 모듈
CN102893192B (zh) 用于玻璃纤维线缆的连接盒
CN101398514B (zh) 用于信息插座的连接保持器
JP4184329B2 (ja) 整列エレメント、整列盤、光配線盤
US9325130B2 (en) Distributor having a power connection with a plug
JP2008542822A (ja) 光ファイバアダプタモジュール
JP2008542823A (ja) 光ファイバ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CN101617253A (zh) 插座装置
JP5432469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4886728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5108729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US11709323B2 (en) Connector pack for an optical fiber enclosure
JP5341487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3698579B2 (ja) 光ファイバ整列盤
JP5243202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5108730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EP0677757A1 (fr) Prise adaptable pour précâblage banalisé, pour système de communication
KR101963311B1 (ko) 광케이블용 접속함체
KR200409251Y1 (ko) 광케이블 단자함
TWI471621B (zh) Splitter module
HK1165014B (en) Splitter module
JP5320036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JP5415905B2 (ja) 二芯光コンセント
JP2001141959A (ja) 光モジュール
KR101662188B1 (ko) 광단자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