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757B1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757B1 KR101549757B1 KR1020130159484A KR20130159484A KR101549757B1 KR 101549757 B1 KR101549757 B1 KR 101549757B1 KR 1020130159484 A KR1020130159484 A KR 1020130159484A KR 20130159484 A KR20130159484 A KR 20130159484A KR 101549757 B1 KR101549757 B1 KR 1015497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n
- coins
- conveyance belt
- push
- be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7D9/008—Feeding coins from bul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 및 상기 이송벨트에서 동전이 지지되는 제1부분을 푸시하기 위한 푸시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전 처리기는, 투입된 동전을 인식하고, 인식된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80328호에는 동전 계수기가 개시된다.
종래의 동전 계수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입금부와, 투입된 동전이 낙하되는 주화공급부와, 상기 주화공급부로 동전을 이송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컨베이어 벨트로서 동전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주화공급부는 회전 작동하여 동전을 이송하는 회전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동전 계수기에 의하면, 다수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에서 회전체로 낙하되는 경우 다수의 동전이 끼이는 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에서 이동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벨트와 그 주변부의 가이드 사이에 동전이 끼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동전이 세워진 상태에서 이송되는 경우에는 동전이 상기 주화 공급부로 낙하되지 않고 주화 공급부에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의 이송 과정에서 잼 발생이 방지되는 동전 분리 장치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동전 처리기는,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이송벨트에서 동전이 지지되는 제1부분을 푸시하기 위한 푸시 장치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금융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투입된 동전을 처리하는 동전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처리기는, 동전을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이송벨트 상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벨트의 동전이 지지되는 부분을 푸시하는 푸시 장치를 포함한다.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투입된 동전을 처리하는 동전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처리기는, 동전을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이송벨트 상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벨트의 동전이 지지되는 부분을 푸시하는 푸시 장치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동전이 투입된 후 또는 동전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불량 집적 상태를 해소함에 따라 이송벨트에서 동전이 이송하는 과정 및 이송벨트와 분리장치에 의한 동전의 분리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부재가 이송벨트의 제1부분을 푸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부재가 이송벨트의 제1부분을 푸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전 처리기는, 그 자체로서 하나의 제품을 이루거나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1)는, 하나 이상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동전 투입구(10)와,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20)와,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을 하나 씩 분리하기 위한 분리장치(30)와, 이송된 동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기(40)와, 상기 이송장치(20)를 푸시하는 푸시 장치(90: push apparat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투입구(10)는, 투입된 동전을 하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가이드(guide: 112)와,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10)는 회전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이송 가이드(112)를 개폐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부재(110)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때로는 상기 개폐 부재(110)는 생략될 수 잇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송 가이드(112)는 투입된 동전이 직하방으로 낙하되도록 수직면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측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로 투입된 동전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는 다수의 동전이 배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이송 가이드(112)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의 최저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송가이드(112)의 측면에 배출구(114)가 형성되지 않고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의 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된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로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장치(20)는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20)는,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roller)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에 둘러져, 상측에 놓인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belt: 216)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211, 212) 중 어느 하나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이송장치(20) 중에서 상기 이송벨트(216)가 상기 배출구(114)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114)를 통하여 배출된 동전은 상기 이송장치(20) 중에서 상기 이송벨트(216)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벨트(216)는 폐루프(closed loop)를 이루며, 놓여진 동전을 이송시키는 제1부분(216A)과, 상기 제1부분(216A)과 평행한 제2부분(216B)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벨트(216)는 회전 작동하므로 실질적으로 제1부분(216A)과 상기 제2부분(216B)은 고정된 위치의 면이 아닌 동전의 지지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30)의 이격된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와,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에 둘러져 회전하는 분리벨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는, 상기 구동부(214)의 동력을 전달받는 제1분리롤러(310)와, 상기 제1분리롤러(31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분리롤러(320) 및 제3분리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리롤러(320)와 상기 제3분리롤러(330)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무동력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 중 상기 제1분리롤러(310)가 상기 이송벨트(216)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분리롤러(310)와 상기 이송벨트(216)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제2분리롤러(320)와 제3분리롤러(330) 각각의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분리롤러(310)가 상기 구동부(214)의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상기 제1분리롤러(310)가 상기 구동부(214)에 의해서 회전되면, 상기 제1분리롤러(310)와 상기 분리벨트(340)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분리벨트(340)가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분리벨트(340)는 상기 각 분리롤러(310, 320, 330)에 일정 크기의 장력을 가지고 둘러져 있으므로, 상기 분리벨트(340)가 움직이면 장력에 의해서 상기 제2분리롤러(320) 및 상기 제3분리롤러(330)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벨트(340)(제1분리롤러(310)와 접촉하는 부분임)와 이송벨트(216) 사이 간격(최소 간격임)은 최대 두께의 동전 보다 크고, 최소 두께의 2개의 동전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예로 한국 동전의 경우, 상기 간격은 오백원짜리 동전의 두께 보다 크고, 십원짜리 두 개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에 이송장치(20)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벨트(21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이송벨트(216)에 놓인 동전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분리벨트(31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송벨트(216) 상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송되는 동전 중 일부를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된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의 현재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동전으로 이송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장치(30)와 상기 이송장치(20)를 통과한 동전은 상기 인식기(40)로 이송된다.
따라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이송장치(20)와 상기 분리장치(30)를 통과하는 경우에는 동전이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기 분리벨트(340)로부터 동전이 이송력을 전달받지 못한다.
반면, 동일한 종류의 동전 또는 종류가 다른 동전이 2개 이상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장치(30)와 상기 이송장치(20) 사이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최 하측에 있는 동전 외의 하나 이상의 동전은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하게 된다. 최 하측에 있는 동전 외의 다른 동전은 원래의 이송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송력을 전달받으므로, 최 하측의 동전 만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의 간격을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분리장치(30)는, 상기 이송장치(20) 상에 적층된 다수의 동전 중에서 상기 분리벨트(340)와 접촉한 동전을 상기 분리벨트(340)와 비접촉한 동전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분리장치(30)에 의해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를 통과하게 되므로, 동전의 이송 과정에서 잼(Jam)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한 층의 동전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 사이를 통과하나, 상기 이송장치(20)의 폭 방향으로 다수의 동전이 배치된 경우에는 한 층에 다수의 동전이 놓여 있음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에서 이송되어도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에 의해서 한 층의 동전만이 상기 분리장치(30)와 이송장치(20) 사이를 통과하여 인식기(40)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층으로 쌓인 동전이 한꺼번에 인식기(40)로 이송되는 것이 방지되어, 인식기(40) 내에서 동전의 일부가 미인식되거나 인식 오류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분리벨트(340)가 접촉된 동전을 이송하도록 구성되므로, 이송 속도를 빠르게 하여도, 분리벨트(340)가 동전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송하여 안정적인 동전의 분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분리벨트(340)는 상기 이송벨트(216)와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벨트(340)는 동전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동전이 이송될수록 상기 이송벨트(216)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 때, 동전과 상기 분리벨트(340)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적층된 다수의 동전 간의 분리가 원활해지도록, 상기 분리벨트(340)와 이송벨트(216)가 이루는 각도는 3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114)에서 동전이 원활히 배출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분리롤러(310, 320, 330) 중에서 상기 배출구(114)와 인접한 분리롤러(도 1에서는 제3분리롤러(330))의 높이는 상기 배출구(114)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장치(90)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을 푸시하여 상기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해소되도록 하여 잼 발생을 방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는 두 개 이상의 동전이 적층된 상태이거나 동전이 세워진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푸시 장치(90)는, 구동부(910)와, 상기 구동부(9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어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을 푸시하는 푸시 부재(950: push member)와, 상기 푸시 부재(950)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920, 9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910)는 일 예로 솔레노이드(Solenoid)일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직선 운동하는 이동바(9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920, 930)는, 상기 이동부(912)에 연결되는 제1전달부(920)와, 상기 제1전달부(920)와 연결되는 제2전달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달부(920)는 연결부(913)에 의해서 상기 이동바(91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전달부(920)에는 상기 이동바(912)의 이동 시 상기 연결부(913)의 간섭이 방지되기 위한 슬롯(미도시: slo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은 상기 제1전달부(92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913)는 일 예로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이동바(912)의 일 방향이 이동 시 상기 연결부(913)가 상기 제1전달부(920)의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전달부(930)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달부(930)는 브라켓(bracket: 9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950)는 상기 제2전달부(940)에 체결되어 상기 제2전달부(94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전달부(940)는 상기 푸시 부재(95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상기 푸시 부재(950)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연장부(954)와, 상기 제2전달부(940)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연장부(954)를 연결하는 연결부(952)와, 상기 복수의 연장부(954)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부(9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부(952)가 생략되고, 상기 복수의 연장부(954)가 상기 제2전달부(940)에 직접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2전달부(940)가 연결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장부(954)는 상기 이송벨트(216)에서의 동전의 이송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956)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도록 원판 또는 다각형 판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956)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을 푸시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216A)과 면접촉할 수 있다.
상기 푸시 부재(950)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과 상기 제2부분(216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910)가 작동하기 전에는 상기 푸시 부재(950)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과 제2부분(216B)에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910)가 작동하면 상기 구동부(910)의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부(920, 940)에 의해서 상기 푸시 부재(950)로 전달되어 상기 푸시 부재(95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푸시 부재(950)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의 하면을 푸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푸시 부재(950)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을 푸시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푸시 부재(950)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을 타격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구동부(910)는 일 예로 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가 상기 제2전달부(94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전달부(940)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푸시 부재(950)가 상기 제2전달부(94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가 상기 제2전달부(940)를 직접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푸시 부재(950)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과 상기 제2부분(216B) 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910)는 상기 푸시 부재(950)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푸시 부재(950)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부분(216A)을 푸시하거나 또는 제1부분(216A)과 경사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부분(216A)을 푸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벨트(216)의 양측면에는 상기 이송벨트(216)에 의해서 이송되는 동전이 상기 이송벨트(216)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910)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중 일 이송 가이드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이송벨트(216) 상에서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동전 투입구(10)에서 투입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961, 962)와, 상기 제1센서(961, 962)와 이격되며 상기 분리장치(3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3센서(981, 982)와, 상기 제1센서(961, 962)와 상기 제3센서(981, 982) 사이에 배치되는 제2센서(971, 9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961, 962)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중 제1이송 가이드(2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발광센서(961)와, 상기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중 제2이송 가이드(23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수광센서(9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발광센서(961) 또는 제1수광센서(962)는 상기 각 이송 가이드(220, 2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센서(961, 962)는 상기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이송 가이드(220, 230)에는 상기 제1발광센서(961)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하기 위한 제1홀(222, 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홀(222, 232)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홀(222, 232) 및 제1센서(961, 962)는 적층된 두 개 이상의 동전 중 두번 째 이상의 동전에 상기 제1발광센서(961)의 빛이 조사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971, 972)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중 제1이송 가이드(2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발광센서(971)와, 상기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중 제2이송 가이드(23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수광센서(9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발광센서(971) 또는 제2수광센서(972)는 상기 각 이송 가이드(220, 2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이송 가이드(220, 230)에는 상기 제2발광센서(971)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하기 위한 제2홀(224, 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224, 234)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홀(224, 234) 및 상기 제2센서(971, 972)는 적층된 두 개 이상의 동전 중 두번 째 이상의 동전에 상기 제2발광센서(971)의 빛이 조사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센서(981, 982)는,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중 제1이송 가이드(2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3발광센서(981)와, 상기 복수의 이송 가이드(220, 230) 중 제2이송 가이드(23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3수광센서(982)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발광센서(981) 또는 제3수광센서(982)는 상기 각 이송 가이드(220, 23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이송 가이드(220, 230)에는 상기 제3발광센서(971)에서 조사된 빛이 통과하기 위한 제3홀(226, 2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홀(226, 236)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홀(226, 236) 및 제3센서(981, 982)는 적층된 두 개 이상의 동전 중 두번 째 이상의 동전에 상기 제2발광센서(981)의 빛이 조사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각 발광센서(961, 971, 981)에서 조사된 빛이 상기 각 수광센서(962, 972, 982)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이송벨트(216) 상에서 동전이 감지되지 않는 것이므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정상 집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각 발광센서(961, 971, 981)에서 조사된 빛이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에 의해서 차단되어 각 수광센서(962, 972, 982)로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이 감지되는 것이므로, 상기 제어부는 불량 집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불량 집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구동부(910)를 작동시킨다.
한편, 상기 인식기(40)는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서 이송된 동전의 종류 및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기(40)는 미인식된 동전과 인식된 동전을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배출 가이드(41)와, 인식된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제2배출 가이드(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처리기(1)는,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이 임시 집적되는 임시 집적부(50)와,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동전 보관함(80)과, 동전을 반환하기 위한 동전 반환함(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에서 미인식된 동전은 상기 동전 반환함(70)으로 반환될 수 있다. 상기 인식기(40)에서 인식된 동전은 상기 임시 집적부(50)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임시 집적부(50)에는 동전의 종류 별로 구분되어 동전이 임시 집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전 보관함(80)은 동전의 종류 별로 구비되어 종류 별로 동전을 보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임시 집적부(50)에서 동전의 구분 없이 동전이 임시 집적되거나, 하나의 동전 보관함(80)에 두 종류 이상의 동전이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동전을 보관하기 위한 하우징(housing : 510)과, 상기 하우징(510)의 하측을 개폐하는 개폐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전 분리기(1)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상기 임시 집적부(50)를 이동시켜, 상기 임시 집적부(50)가 상기 동전 보관함(8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동전 반환함(7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60)는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와, 상기 복수의 이동롤러(612, 614)에 둘러지는 이동벨트(6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 집적부(50)는 상기 이동벨트(616)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벨트(616)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이동 장치(60)의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두며, 랙과 피니언 구조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거나 다수의 링크에 의해서 임시 집적부(50)가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동전 처리기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부재가 이송벨트의 제1부분을 푸시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벨트(216)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통전 투입구(10)를 통하여 동전이 투입된다(S1).
상기 동전 투입구(10)를 통하여 투입된 동전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으로 낙하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961, 96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1센서(961, 962)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하도록 한다(S3). 즉, 상기 구동부(910)가 작동하여 상기 이동바(912)가 일 방향(도 10에서는 일 예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바(912)의 일 방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제1전달부(920)가 도 1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전달부(920)가 도 1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2전달부(940) 및 상기 푸시 부재(9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기 푸시 부재(950)의 접촉부(956)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을 타격한다.
상기 푸시 부재(950)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을 타격하면,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 상에서 세워진 동전(C1)은 상기 제1부분(216A)에서 떠오른 후에 쓰러지게 되고, 적층된 두 개 이상의 동전(C2)도 제1부분(216A)에서 떠오른 후에 낙하되는 과정에서 두 번째 이상의 동전이 첫 번째 동전에서 떨어지게 되어 불량 집적 상태가 해소될 수 있다.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푸시 장치(9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961, 96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1센서(961, 962)가 동전을 감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벨트(216)가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4).
그러면, 상기 이송벨트(216)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송벨트(216) 상의 동전은 상기 인식기(40) 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이송벨트(216)에 의해서 동전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단계 S5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6),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하도록 한다(S7). 그리고,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푸시 장치(9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
단계 S5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벨트(216)가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8).
상기 이송벨트(216)에 의해서 동전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981, 98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단계 S9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3센서(981, 982)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벨트(216)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10),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하도록 한다(S11). 그리고,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푸시 장치(9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981, 98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
단계 S9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3센서(981, 982)가 동전을 감지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벨트(216)가 회전되도록 제어한다(S12).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동전의 이송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S13), 동전의 이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로 복귀한다. 반면, 동전의 이송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송벨트(216)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동전이 투입된 후 또는 동전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불량 집적 상태를 해소함에 따라 이송벨트에서 동전이 이송하는 과정 및 이송벨트와 분리장치에 의한 동전의 분리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시 부재가 이송벨트에서 동전이 이송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송벨트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이송벨트의 폭 방향으로 푸시 부재가 이송벨트를 푸시할 수 있어, 이송벨트의 상의 동전의 위치와 무관하게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동전 처리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벨트(216)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전 투입구(10)를 통하여 동전이 투입된다(S21).
상기 동전 투입구(10)를 통하여 투입된 동전은 상기 이송벨트(216)의 제1부분(216A)으로 낙하된다.
그 다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961, 96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단계 S2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1센서(961, 962)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벨트(216)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푸시 장치(90)가 작동하도록 한다(S23). 그리고,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푸시 장치(9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반면, 단계 S22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1센서(961, 962)가 동전을 감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단계 S25에서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4).
단계 S24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하도록 한다(S25). 그리고,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푸시 장치(9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반면, 단계 S24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단계 S25에서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센서(981, 982)가 동전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단계 S26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3센서(981, 982)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하도록 한다(S27). 그리고,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한 후에는 상기 푸시 장치(90)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반면, 단계 S26에서 판단 결과, 상기 제2센서(971, 972)가 동전을 감지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단계 S25에서 상기 푸시 장치(90)가 작동되면, 상기 제어부는, 동전의 이송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8에서 판단 결과, 동전의 이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2로 복귀한다. 반면, 동전의 이송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송벨트(218)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위의 실시 예 들에서는 세 개의 센서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하나 또는 두 개의 센서가 동전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센서의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이송벨트가 회전되는 중에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상기 푸시 장치가 1회 이상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의 실시 예 들에서는 푸시 부재가 이송벨트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푸시 부재가 상기 이송벨트의 제1부분의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부분을 하방으로 푸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푸시 부재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동전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푸시 부재는 직선 운동하여 상기 제1부분을 푸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되는 동전 처리기는 상기 금융 기기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융 기기는,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정보 획득부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 RFID 태그 또는 USB에 기록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부, 지문을 획득하기 위한 지문 획득부 등 그 종류에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동전 투입구 20: 이송장치
30: 분리장치 40: 인식기
90: 푸시 장치
30: 분리장치 40: 인식기
90: 푸시 장치
Claims (10)
-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상기 동전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된 동전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이송벨트에서 동전이 지지되는 제1부분을 푸시하기 위한 푸시 장치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제1부분과 평행한 제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푸시 장치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 사이에서 상기 제1부분을 푸시하는 동전 처리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장치는, 상기 이송벨트의 제1부분을 푸시하기 위한 푸시 부재와,
상기 푸시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부재는, 상기 이송벨트에서 동전의 이송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장부와,
상기 복수의 연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복수의 연장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벨트의 제1부분을 푸시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동전 처리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가 상기 이송벨트의 제1부분을 푸시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상기 제1부분과 면 접촉하는 동전 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장치는 상기 이송벨트의 제1부분의 상방에서 상기 제1부분을 푸시하는 동전 처리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푸시 장치가 작동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상기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이송벨트는 회전되는 동전 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장치는 상기 이송벨트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작동하여 상기 이송벨트의 제1부분을 푸시하는 동전 처리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는 발광센서와 수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센서는 상기 이송벨트의 제1부분 상에서 두 개 이상의 동전이 적층되어 있을 때 두 번째 이상의 동전에 빛을 조사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동전 처리기. -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고객 정보 획득부;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메뉴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입금 또는 출금을 위한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투입된 동전을 처리하는 동전 처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 처리기는, 동전을 이송하는 이송벨트;
상기 이송벨트 상에서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서에서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이송벨트 상의 동전의 불량 집적 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벨트의 동전이 지지되는 부분을 푸시하는 푸시 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9484A KR101549757B1 (ko) | 2013-12-19 | 2013-12-19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59484A KR101549757B1 (ko) | 2013-12-19 | 2013-12-19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146A KR20150072146A (ko) | 2015-06-29 |
KR101549757B1 true KR101549757B1 (ko) | 2015-09-02 |
Family
ID=53518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59484A KR101549757B1 (ko) | 2013-12-19 | 2013-12-19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75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7630A (ja) * | 2000-11-20 | 2002-05-31 | Glory Ltd | 硬貨収納繰出装置 |
-
2013
- 2013-12-19 KR KR1020130159484A patent/KR1015497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7630A (ja) * | 2000-11-20 | 2002-05-31 | Glory Ltd | 硬貨収納繰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2146A (ko) | 2015-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2795B1 (ko) |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 |
KR101909021B1 (ko) | 금융 기기 | |
KR101671572B1 (ko) | 매체집적장치, 매체집적방법 및 금융기기 | |
KR20170031365A (ko) |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류 저장장치 | |
KR101609458B1 (ko)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
KR101457296B1 (ko) |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 |
KR101622833B1 (ko)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
JP2013210800A (ja) | 貨幣処理装置 | |
KR101549757B1 (ko) | 동전 처리기 및 금융기기 | |
JP6694363B2 (ja) | 硬貨選別機構および硬貨処理装置 | |
KR101631791B1 (ko) | 금융 기기 | |
KR101732825B1 (ko) | 금융기기 및 매체집적장치 | |
KR101304528B1 (ko) | 지폐 집적 배출수단을 구비한 출금기 | |
JP6019579B2 (ja) | 硬貨処理装置 | |
KR101390524B1 (ko) |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 |
KR101609455B1 (ko) |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 |
KR101587689B1 (ko) | 금융기기 | |
KR101447823B1 (ko) | 동전 처리기 및 금융 기기 | |
JP2000099792A (ja) | 施封小束管理装置 | |
JP2680336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2680339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4869998B2 (ja) | 硬貨入出金装置 | |
KR102573029B1 (ko) | 지폐 처리 장치 | |
JP2637152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H11238163A (ja) | 紙幣処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