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531609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609B1
KR101531609B1 KR1020120132983A KR20120132983A KR101531609B1 KR 101531609 B1 KR101531609 B1 KR 101531609B1 KR 1020120132983 A KR1020120132983 A KR 1020120132983A KR 20120132983 A KR20120132983 A KR 20120132983A KR 101531609 B1 KR101531609 B1 KR 10153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ttachment
housing
connection object
conn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9280A (ko
Inventor
준 신도
타카히로 야마지
카즈아키 이바라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6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94Lever acting on a connector mounted onto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상태에 의해 확실하게 로크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커넥터는 하우징과, 부착 부재와, 로크부를 구비하고 있다. 피(被)로크부를 구비하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 방향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커넥터에 삽입·접속된다. 부착 부재는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고, 하우징보다도 위에 위치하는 부착 상부와, 하우징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부착 하부와, 부착 상부 및 부착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부는, 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리고 커넥터와 접속된 접속 대상물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빠짐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접속 대상물의 피로크부와 걸리게 되는 로크 러그와, 부착 상부와 부착 하부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리고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로크 러그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FPC(Flexible Printed Circuits)와 같은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하며,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상태를 로크(lock) 가능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타입의 커넥터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걸림 구멍(engaged hole)이 형성된 FPC(접속 대상물)와 접속할 수 있다. FPC는, 삽입 방향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커넥터에 삽입·접속된다. 커넥터는, 걸림 돌기(로크부)가 형성된 셸(shell)을 구비하고 있다. FPC와 커넥터가 서로 접속된 접속 상태에 있어서, 걸림 돌기는, 걸림 구멍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이에 따라 FPC와 커넥터와의 접속 상태가 로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접속 상태에 있는 FPC를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걸림 돌기와 걸림 구멍의 벽부가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FPC와 커넥터와의 접속 상태가 유지된다.
일본특허출원 제2011-259404호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 의하면, 접속 상태에 있는 FPC를, 무리하게 인발(引拔)하고자 하면, 적어도 걸림 구멍 또는 걸림 돌기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걸림 구멍 또는 걸림 돌기가 손상되면 FPC와 커넥터와의 접속이 해제(언로크)되어, FPC가 인발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과의 접속 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로크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被)로크부를 구비하는 접속 대상물이 삽입 방향을 따라서 전방으로부터 삽입·접속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부착 부재로서,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위치하는 부착 상부 및 부착 하부와, 상기 부착 상부와 상기 부착 하부를 전방에 있어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는 부착 부재와, 삽입·접속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빠짐 방향(eject direction)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로크부를 걸리게 하는 로크 러그(locking lug)와, 상기 부착 상부와 상기 부착 하부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로크 러그를 상기 수직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로크부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커넥터의 액츄에이터는 열림 상태에 있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PC(접속 대상물)은 커넥터에 삽입·접속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닫힘 상태에 있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FPC는, 커넥터에 삽입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열림 상태에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에 삽입·접속되는 FPC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FPC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커넥터의 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셸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커넥터를 Ⅹ-Ⅹ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커넥터의 부착 부재 및 로크부(도 1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A의 부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4의 커넥터의 부착 부재 및 로크부(도 4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C의 부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의 커넥터의 부착 부재 및 로크부(도 3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B의 부분)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FPC와 로크부는, 파선으로 나타나져 있다. 로크부는 삽입된 FPC에 의해 하방으로 변위하고 있다.
도 14는, 도 13의 부착 부재 및 로크부를, ⅩⅣ-ⅩⅣ선을 따라서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부착 부재 및 로크부의 일부를, ⅩⅤ-ⅩⅤ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8의 셸의 부착 부재 및 로크부(도 8의 파선으로 둘러싸인 D의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5의 커넥터를, ⅩⅦ-ⅩⅦ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하방으로 변위하기 전의 그라운드 스프링부는 파선으로 나타나져 있다.
도 18은, 도 5의 커넥터를, ⅩⅧ-ⅩⅧ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액츄에이터는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회동(回動)되어 있다. FPC는 커넥터와 접속되어 있다.
도 19는, 종래 커넥터의 일 예와, 커넥터에 삽입되는 FP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종래 커넥터의 걸림 돌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을 검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바르게 이해되고, 그리고 그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 다양한 변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할 수 있지만, 그의 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의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탑재 대상물(900)(예를 들면, 기판(900))에 탑재·고정된다. 커넥터(10)는, 기판(900)에 탑재된 상태로, FPC(접속 대상물)(800)와 접속 가능하다.
커넥터(10)는, 수직 방향(Z방향)으로 얇은 평판 형상을 갖고 수직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Y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배(低背; low profile) 커넥터이다. 커넥터(10)는, 수직 방향 및 폭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삽입·빠짐 방향(X방향)에 있어서, 전단(10F)과 후단(10R)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전단(10F)은, ―X측의 단부이고, 후단(10R)은, +X측의 단부이다.
도 1, 도 3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삽입구(12)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구(12)는, 커넥터(10)의 전단(10F)에 위치하고 있고,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FPC(800)는, 삽입 방향(+X방향)을 따라서 삽입구(12)에 삽입되어, 커넥터(10)와 접속된다. 커넥터(10)와 접속된 FPC(800)는, 빠짐 방향(―X방향)을 따라서 커넥터(10)로부터 분리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PC(800)는, 직사각형의 시트 형상을 갖고 있고, 삽입구(12)로의 삽입 전에는 XY평면과 평행으로 된다. FPC(800)는, +X측의 단부인 선단(800T)과, +Z측의 면인 상면(신호면)(800U)과, ―Z측의 면인 하면(그라운드면)(800B)을 갖고 있다. 선단(800T)은,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FPC(800)는, 복수의 신호 단자(820)와, 그라운드 단자(830)를 구비하고 있다. 신호 단자(820)는, 인접하는 신호 단자(820) 간에 있어서의 간격이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Y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면(800U)의 선단(800T) 근방에 노출되어 있다. 그라운드 단자(830)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하면(800B)의 선단(800T) 근방에 노출되어 있다.
도 6, 도 7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PC(800)는, 2개의 피로크부(810)를 구비하고 있다. 피로크부(810)는, Y방향에 있어서 FPC(800)의 양 단에 형성되어 있다. 피로크부(810)의 각각은, FPC(800)의 Y방향 내측을 향해 패여 있다. 그러나, 피로크부(810)의 형상은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피로크부(810)는, Y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FPC(800)에 형성된 구멍이라도 좋다. 피로크부(810)에는 피걸림부(812)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812) 각각은, X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갖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0)과, 금속제의 셸(200)과,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500)와, 금속제의 복수의 콘택트(6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본체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10)는 Z방향으로 얇은 평판 형상을 갖고 있고, Y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FPC(800)가 커넥터(10)에 삽입될 때 FPC(800)를 가이드하는 2개의 아암(130)을 구비하고 있다. 아암(130)은, 본체부(11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암(130)은, 본체부(110)로부터 전방을 향해(―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아암(130)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 내측과 외측을 갖고 있다. 아암(130)의 내측에는 XZ평면과 평행한 가이드면(132)이 형성되어 있다. Y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가이드면(132) 사이의 거리는, FPC(800)의 Y방향에 있어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도 5 참조). 아암(130)의 각각은, X방향 및 Y방향과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경사면(134)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경사면(134)은, 가이드면(132)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경사면(134)은, 가이드면(132)으로부터 전방 그리고 Y방향에 있어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경사면(134)은, FPC(800)를 삽입구(12)를 향해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본체부(110)는, FPC(800)의 전단 부분이 삽입되는 피삽입부(수용 공간)(114)를 갖고 있다. 피삽입부(114)는, 후방으로 패이고 그리고 Y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면(132)의 사이를 연장하는 오목부이다. 피삽입부(114)는, -X방향에 있어서 삽입구(12)와 연통(communication)하고 있고, +X방향을 따라서 본체부(110)의 중간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저부(116)와, 부딪힘부(118)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저부(116)는, XY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갖고 있다. 저부(116)는, 피삽입부(114)의 바닥을 규정하고 있다. 삽입·접속된 FPC(800)는 저부(116)에 배치된다. 부딪힘부(118)는, X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이고, 피삽입부(114)의 후단부(즉, 저부(116)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10, 도 14 및 도 1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본체부(110)에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부(120) 및 복수의 보유지지(holding)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600)는, 콘택트 수용부(120) 및 보유지지부(122)와 대응하고 있다.
도 13, 도 14 및 도 1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콘택트 수용부(120)는, 본체부(110) 내를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콘택트 수용부(120)의 후측은, 커넥터(10)의 후단(10R)측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콘택트 수용부(120)의 전측은, 피삽입부(114)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커넥터(10)의 전단(10F)에 개구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부(120)의 전측은, Z방향에 있어서 피삽입부(114)와 연통하고 있다.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보유지지부(122)는, 본체부(110)의 내부를 X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구멍)이다. 보유지지부(122)는, X방향에 있어서 콘택트 수용부(120)의 하측과 연통하고 있다. 콘택트(600)는, 커넥터(10)의 후단(10R)측으로부터 콘택트 수용부(120) 및 보유지지부(122)에 삽입·수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콘택트(60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콘택트(600)는, 피고정부(610)와, 피보유지지부(620)와, 접속부(630)와, 피지지부(640)와, 접촉부(650)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630)는, 콘택트(600)의 X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접속부(630)는, 콘택트(600)의 상부와 콘택트(600)의 하부를 Z방향에 있어서 접속하고 있다. 여기에서, 콘택트(600)의 하부는, 피고정부(610) 및 피보유지지부(620)로 이루어지고, 콘택트(600)의 상부는, 피지지부(640) 및 접촉부(650)로 이루어진다.
피고정부(610)는, 납땜 등에 의해, 기판(900)에 고정된다. 피보유지지부(620)는, 보유지지부(122)에 압입(press-fit)되어 있고, 이에 따라 콘택트(600)는, 하우징(100)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접촉부(650)는, 접속부(630)로부터 전방으로(―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지지부(640)는, 접속부(630)로부터 후방으로(+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지지부(640)와 접촉부(650)는, Z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도록 접속부(630)에 지지되어 있다. 피지지부(640)가 상방으로(+Z방향으로) 변위하면, 접촉부(650)는 하방으로(―Z방향으로) 변위한다.
도 10, 도 13 및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촉부(650)는, 콘택트 수용부(120)를 통과하여 피삽입부(114)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X방향을 따라서 보았을 때, 접촉부(650)의 선단을 시인(visibility)할 수 있다. 접촉부(650)의 선단 부분은, 피삽입부(114) 내에 돌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액츄에이터(500)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을 갖고 있다. 액츄에이터(500)는, 커넥터(10)의 후단(10R)측으로부터 하우징(100)에 부착되어 있고, 열림 위치(도 17)와 닫힘 위치(도 18)와의 사이를 회동 가능해지도록 하우징(100)에 지지되어 있다. 액츄에이터(500)는, 액츄에이터(500)를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구멍(510)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510)은 콘택트(600)와 대응하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지지구멍(510) 내에는 지지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600)의 피지지부(640)는, 지지구멍(510)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고, 지지부(520)에 의해 Z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도록 지지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피지지부(640)는, 상시, 지지부(520)의 상단(즉, +Z측의 단부)와 접촉하고 있다.
액츄에이터(500)는, 제1 기준면(502)과, 제2 기준면(504)을 갖고 있다. 제1 기준면(502)은, 열림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500)의 저면이고, 제2 기준면(504)은, 닫힘 위치에 있는 액츄에이터(500)의 저면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1 기준면(502)과 기판(900) 사이의 거리 D3은,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제2 기준면(504)과 기판(900) 사이의 거리 D3과 동일하다. 한편,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520)의 상단과 제1 기준면(502) 사이의 거리 D1은,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520)의 상단과 제2 기준면(504) 사이의 거리 D2보다도 짧다. 바꾸어 말하면,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지지부(520)의 상단과 기판(900) 사이의 거리 D3+D1(도 17)은, 액츄에이터(500)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지지부(520)의 상단과 기판(900) 사이의 거리 D3+D2(도 18)보다도 짧다.
도 1, 도 2, 도 8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셸(200)은, 하우징(100)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하여, 하우징(100)에 부착되어 있다. 셸(200)은, 셸 상부(200U)와 셸 하부(200B)를 구비하고 있다. 셸 상부(200U)는, 하우징(100)의 상면(즉, +Z측의 면)을 덮고 있다. 셸 하부(200B)는 커넥터(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8 및 도 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200)은, 셸 하부(200B)와, 평판 형상의 셸 상부(200U)를 갖도록, 1매의 금속판을 절단하고(펀칭하고) 휨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셸(200)은, Z방향에 있어서 셸 상부(200U)가 셸 하부(200B)보다도 높아지도록, 그리고, 셸 하부(200B)가 셸 상부(200U)보다도 전방에(-X방향으로) 위치하도록, -X방향에 있어서 절곡부를 갖고 있다. 즉, +Y방향을 따라서 본 경우에, 셸 상부(200U), 절곡부, 셸 하부(200B)는, 각진 C자 형상을 갖고 있다. 셸 하부(200B)는 상부와, 상부와 대향하는 하부를 갖고 있다. 상부 및 하부의 각각은 Z방향에 직교한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200)은, 셸 하부(200B)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4개의 압입부(202)를 갖고 있다. 압입부(202)의 각각은, XY평면과 평행이고, 셸 하부(200B)의 하부로부터 후방으로(+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는, 셸(200)의 압입부(202)에 각각 대응하는 4개의 피압입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피압입부(112)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구멍이다. 피압입부(112)의 각각은, 전방(-X방향)에 개구되어 있고, XY평면과 평행하게 그리고 후방(+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셸(200)은, 압입부(202)를 피압입부(112)에 압입하도록 하여, 하우징(100)의 전방으로부터 하우징(100)에 부착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셸(200)은, 2개의 홀드다운(hold down; 210)과, 가이드부(220)와, 3개의 그라운드 스프링부(230)와, 2개의 그라운드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홀드다운(210)은, 하방으로(-Z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셸 상부(200U)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20)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셸 하부(200B)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라운드 스프링부(230)는, 셸 하부(200B)의 상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방 그리고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어 있다(도 16 참조). 이러한 구조에 의해, 그라운드 스프링부(230)는, Z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진다. 그라운드부(240)는, 셸 하부(200B)로부터 하방 그리고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라운드부(240)의 각각은, 인접하는 그라운드 스프링부(23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홀드다운(210)의 하단(기판(900)의 패드에 탑재)은,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기판(900)에 접속·고정된다. 마찬가지로, 그라운드부(240)의 하단(기판(900)의 패드에 탑재)은,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기판(900)에 접속·고정되고, 이에 따라 셸(200)은 접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그라운드부(240)는, 커넥터(10)의 전방에서 기판(900)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커넥터(10)는, 기판(900)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 후방을 향해(+X방향을 따라서) 가해지는 힘에 대항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0 내지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220)는, FPC(800)가 커넥터(10)에 삽입될 때 당해 FPC(800)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가이드부(220)는, 삽입구(12)의 전방(-X측)에 위치하고 있고,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부(220)는, XY평면과 평행한 상면을 갖고 있다. Z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220)의 상면은, 피삽입부(114)의 저부(116)와 동일한 높이이다(도 10 참조).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스프링부(230)는, 삽입구(12)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적어도 그라운드 스프링부(230)의 선단부의 일부는, Z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220)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2개의 부착 부재(250)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 부재(250)는, 하우징(10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부분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 1,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부착 부재(250)는 셸(200)의 일부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부착 부재(250)는, 셸(200)의 Y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일부이다. 그러나, 부착 부재(250)가 X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한, 당해 부착 부재(250)는 셸(200)과 별체(別體)라도 좋다.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부착 부재(250)는, 부착 상부(252)와, 부착 하부(254)와, 연결부(256)를 갖고 있다. 부착 상부(252)는, 하우징(100)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고, 한편으로 부착 하부(254)는, 하우징(100)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부착 상부(252) 및 부착 하부(254)의 각각은, XY평면과 평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아암(130)의 대부분은, Z방향에 있어서, 부착 상부(252)와, 부착 하부(254)에 덮여 있다. 상세하게는, 부착 상부(252)는, 셸 상부(200U)의 일부로서, 하우징(100)의 아암(130)의 상면(즉, 하우징(100)의 상면)을 덮고 있다. 부착 하부(254)는, 셸 하부(200B)의 일부로서, 하우징(100)의 아암(130)의 하면을 덮고 있다. 연결부(256)는 아암(130)의 전방에 위치하고,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256)는, 부착 상부(252)와 부착 하부(254)를 연결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착 부재(250)의 연결부(256)는, 셸 상부(200U)와 셸 하부(200B)를 연결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홀드다운(210)은 고정구멍(212)을 갖고 있다. 부착 하부(254)의 +X측의 단부는, +X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홀드다운(210)의 고정구멍(212)에 삽입되어 있다. 즉, 연결부(256)의 상단 및 하단은, 부착 상부(252) 및 부착 하부(254)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부(256)는, -X방향의 힘을 강고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2개의 로크부(27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로크부(270)는, 하우징(100)의 Y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로크부(270)는 셸(200)의 일부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의한 로크부(270)는, 셸(200)의 Y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일부이다. 바꾸어 말하면, 부착 부재(250)와 로크부(27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부착 부재(250)와 로크부(270)는 별체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스프링 지지부(271)의 단부가 하우징(100)에 보유지지된다.
도 11 내지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크부(270)는, 스프링 지지부(271)와, 스프링부(272)와, 로크 러그(276)를 갖고 있다. 스프링 지지부(271)는, 셸(200)의 단부(즉, 부착 상부(252))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아암(130)의 외측의 측면을 덮고 있다. 즉, 스프링 지지부(271)의 하부분은, Z방향에 있어서, 아암(130)보다도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스프링부(272)는, 스프링 지지부(271)의 하단부(즉, -Z측의 단부)로부터 Y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Z방향에 있어서의 아암(130)과 부착 하부(25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스프링부(272)는, 부착 상부(252)와 부착 하부(25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로크 러그(276)는 스프링부(272)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부(272)는, 로크 러그(276)를 Z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스프링부(272)는, 스프링 지지부(271)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부(272)의 길이는 Y방향으로 길다. 따라서, 커넥터(10)를 대형화하는 일 없이, 스프링부(272)는 충분한 탄성력을 갖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272)는, 연결부(256)를 향해 장출(projection)된 장출부(274)를 갖고 있다. X방향에 있어서, 장출부(274)의 선단은 연결부(256)와 근접하고 있다.
도 11, 도 12 및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크 러그(276)는, XZ평면과 평행이다. 로크 러그(276)에는, 힘 수용부(278)와 걸림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힘 수용부(278)는, 로크 러그(276)의 전측(-X측)의 면에 형성된 경사면이고, X방향 및 Z방향의 쌍방에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다. 걸림부(280)는, 로크 러그(276)의 후측(+X측)의 면이다. 걸림부(280)는 X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크 러그(276)는, 삽입구(12) 및 피삽입구(114) 내에 있어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크 러그(276)의 선단은 가이드부(220)보다도 높다.
도 1, 도 4, 도 11 및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FPC(800)는, 액츄에이터(500)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삽입구(12)를 통과하여 피삽입구(114)에 삽입된다. 상세하게, FPC(800)는, Y방향에 있어서 아암(130)(가이드면(132))에 가이드되고, Z방향에 있어서 가이드부(220)에 가이드된다. FPC(800)가 삽입구(12)에 삽입될 때, 그라운드 스프링부(230)는, FPC(800)에 의해 하방으로(즉, -Z방향으로) 눌려, 하방으로 근소하게 변위한다.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PC(800)는, 선단(800T)과 부딪힘부(118)가 부딪힐 때까지, 피삽입부(114) 내를 이동한다.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FPC(800)의 선단(800T)과 부딪힘부(118)가 접촉 또는 근접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500)는,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회동된다(도 17 및 도 18 참조). 이러한 조작에 의해, 피지지부(640)는, 액츄에이터(500)의 지지부(520)에 의해 +Z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고, 접촉부(650)는 하방으로 변위한다. 접촉부(650)는, FPC(800)의 신호 단자(820)에 밀어붙여져, 신호 단자(8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FPC(800)는, 저부(116) 및 가이드부(220)에도 밀어붙여지고, 이에 따라, 그라운드 스프링부(230)는, 추가로 하방으로 변위한다. FPC(800)의 그라운드 단자(830)는, 하방으로 변위한 그라운드 스프링부(230)와 접촉부(650)에 의해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그라운드 스프링부(2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10)와, FPC(80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FPC(800)는 기판(9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라운드부(240)는, Y방향에 있어서 2개의 그라운드 스프링부(230)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그라운드 스프링부(23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도 8 참조).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FPC(800)의 그라운드 단자(830)를, 보다 효과적으로 접지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로크 러그(276)는, 초기 위치(도 11 참조)에 있다. FPC(800)를 피삽입부(114)에 삽입하고, 후방으로(삽입 방향으로; +X방향으로) 이동시키면, FPC(800)의 선단(800T)(도 6 참조)은, 로크 러그(276)의 힘 수용부(278)와 부딪힌다. FPC(800)가 추가로 후방으로 이동되면, 힘 수용부(278)는, -Z방향을 따른 힘을 받아, 로크 러그(276)는, 초기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변위한다. 따라서, FPC(800)의 선단(800T)은, 로크 러그(276)의 위를 통과한다. FPC(80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부딪힘부(118)와 접촉 또는 근접할 때(도 17 참조), 로크 러그(276)는, 상방으로 변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도 12 참조).
도 4, 도 11 및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FPC(800)는, 커넥터(10)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접속 상태). FPC(800)가 삽입 방향의 반대의 방향인 빠짐 방향(즉, -X방향)으로 이동하면, 로크 러그(276)의 걸림부(280)가 FPC(800)의 피걸림부(812)를 걸리게 하고, 이에 따라, 걸림부(280)는 피걸림부(812)의 빠짐 방향으로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커넥터(10)와 FPC(800)의 접속 상태가 로크된다(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부(270)(스프링부(272))가 연결부(256)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 상태에 있는 FPC(800)를 무리하게 인발하고자 하면, 스프링부(272)가 전방(-X방향)으로 변위하여, 장출부(274)와 연결부(256)가 맞닿는다. 연결부(256)는, 스프링부(272)의 빠짐 방향을 따른 과잉한 변위(이동)를 방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로크부(270)가 강화되어, 로크부(270)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부착 부재(250)를 셸(200)과 일체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FPC(800)에 가해진 -X방향의 힘은, 부착 부재(250) 전체(기판(900)에 고정된 셸(200) 전체)에서 받아들여진다. 따라서, 커넥터(10)와 FPC(800)의 접속 상태가, 강고하게 유지되고, 로크부(270)의 파손이 방지된다.
도 1,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삽입구(12)는, 전방 및 상방(-X방향 및 +Z방향)의 쌍방에 개구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Z방향을 따라서 저부(116)의 일부와 가이드부(220)를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FPC(800)를 커넥터(10)에 경사 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도 12 참조).
도 4, 도 5 및 도 1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크 러그(276)는, 접속 상태에 있어서, Z방향을 따라서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FPC(800)와 커넥터(10)의 접속 상태를, 상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로크 러그(276)를 아래로 누름으로써 접속 상태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탑재 대상물은 기판이지만, 탑재 대상물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탑재 대상물에 탑재되지 않는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 대상물은, FPC나 FFC(Flexible Flat Cable)와 같은 시트 형상의 접속 대상물이 아니라도 좋다. 접속 대상물이 상하로 두꺼운 경우, 접속 대상물의 피로크부는, 하방으로 패인 홈이라도 좋다.
또한, 홀드다운, 가이드부, 그라운드 스프링부 및, 그라운드부는 서로 별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1)

  1. 피(被)로크부를 갖는 접속 대상물과 접속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접속 대상물은, 상기 커넥터의 전방으로부터 삽입 방향을 따라서 상기 커넥터에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부착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보다도 위에 위치하는 부착 상부와, 상기 하우징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부착 하부와, 상기 부착 상부 및 상기 부착 하부를 전면측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부착 부재와;
    상기 연결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인 빠짐 방향(eject direction)으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피로크부와 걸리게 되는 로크 러그(locking lug)와, 상기 부착 상부와 상기 부착 하부 사이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로크 러그를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부를 갖는 로크부;
    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부는 상기 부착 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크 러그는 상기 스프링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이드하는 아암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상기 빠짐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아암과 상기 부착 하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에는 상기 연결부를 향해 장출(projection)된 장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holding)된 셸의 일부이고,
    상기 부착 상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고 있는 커넥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부착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피(被)압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셸은, 압입부를 갖고 있고, 상기 압입부를 상기 피압입부에 압입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은 시트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구로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구와,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커넥터에 삽입될 때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로서 상기 삽입구의 전방에 위치하고 그리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도록 지지된 그라운드 스프링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스프링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부보다도 높게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탑재 대상물에 탑재되고, 그리고 상기 탑재 대상물에 접속되는 그라운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은 시트 형상을 갖고 있고,
    상기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구로서 상기 삽입 방향 및 상기 상하 방향의 쌍방에 직교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 및 상방이 개구되어 있는 삽입구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로크 러그는, 상기 삽입구 내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20132983A 2011-11-28 2012-11-22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531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59404A JP5779078B2 (ja) 2011-11-28 2011-11-28 コネクタ
JPJP-P-2011-259404 2011-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280A KR20130059280A (ko) 2013-06-05
KR101531609B1 true KR101531609B1 (ko) 2015-06-25

Family

ID=48467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9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531609B1 (ko) 2011-11-28 2012-11-2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6476B2 (ko)
JP (1) JP5779078B2 (ko)
KR (1) KR101531609B1 (ko)
CN (1) CN103138110B (ko)
TW (1) TWI479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7207B2 (ja) 2014-04-28 2016-04-2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2015186498A1 (ja) * 2014-06-02 2015-12-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09343B1 (ja) * 2014-10-30 2015-11-1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70387B2 (ja) * 2015-09-18 2019-09-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25501B2 (ja) * 2015-09-29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47195B2 (ja) * 2019-02-20 2021-10-13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96521B2 (ja) 2019-02-20 2022-01-17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24015846A (ja) * 2022-07-25 2024-02-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付き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482A (ko) * 2009-03-31 2010-10-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0267427A (ja) * 2009-05-13 2010-11-25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1086428A (ja) * 2009-10-14 2011-04-28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KR20120096414A (ko) * 2011-02-22 2012-08-3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1393B2 (ja) *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4098290B2 (ja) * 2004-08-31 2008-06-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fc用コネクタ
TWI276256B (en) 2005-05-23 2007-03-11 P Two Ind Inc Electric connector with reinforced clamping performance
JP4353436B2 (ja) 2007-02-08 2009-10-28 Smk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6339B2 (ja) * 2007-09-07 2012-06-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297747B2 (ja) * 2008-10-01 2013-09-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JP4410306B1 (ja) 2009-06-03 2010-02-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83592B2 (ja) * 2009-06-09 2012-02-2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2011014397A (ja) 2009-07-02 2011-01-20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915879B2 (ja) * 2009-08-10 2012-04-11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コネクタ装置
JP2011044405A (ja) 2009-08-24 2011-03-0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
JP5480652B2 (ja) 2010-02-03 2014-04-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99387B2 (ja) * 2010-09-09 2012-12-19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704319B2 (ja) * 2011-02-14 2015-04-2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8851918B2 (en) * 2012-08-27 2014-10-07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automatic lock memb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482A (ko) * 2009-03-31 2010-10-08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0267427A (ja) * 2009-05-13 2010-11-25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JP2011086428A (ja) * 2009-10-14 2011-04-28 I-Pex Co Ltd コネクタ装置
KR20120096414A (ko) * 2011-02-22 2012-08-30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36476B2 (en) 2015-01-20
JP5779078B2 (ja) 2015-09-16
CN103138110B (zh) 2015-04-08
TW201345055A (zh) 2013-11-01
US20130137284A1 (en) 2013-05-30
CN103138110A (zh) 2013-06-05
KR20130059280A (ko) 2013-06-05
TWI479746B (zh) 2015-04-01
JP2013114869A (ja) 201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609B1 (ko) 커넥터
US8811025B2 (en) Connector
KR101472663B1 (ko) 전기 커넥터
KR100373597B1 (ko)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CN207834619U (zh) 电连接器
US744549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member
US728798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3175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lock member on an elastically displaceable lock arm
KR101553465B1 (ko) 전기 커넥터
CN108631101B (zh) 连接器
JP5645312B2 (ja) コネクタ
JP3328764B2 (ja) エッジコネクタ
TWI552448B (zh) 連接器
CN103378447B (zh) 连接器
US8157577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494361B2 (en) Card edge connector
US7247055B2 (en) Card connector
CN102983457B (zh) 连接器
CN101442169B (zh) 浮动类型连接器
JP4510581B2 (ja) コネクタ
JP2007287589A (ja) 電気コネクタ
CN104868311B (zh) 连接器及连接器组装件
US20170141500A1 (en) Connector
JP2008277293A (ja) カード用コネクタ組立体
US9142897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