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827B1 -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 Google Patents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0827B1 KR101480827B1 KR20130143798A KR20130143798A KR101480827B1 KR 101480827 B1 KR101480827 B1 KR 101480827B1 KR 20130143798 A KR20130143798 A KR 20130143798A KR 20130143798 A KR20130143798 A KR 20130143798A KR 101480827 B1 KR101480827 B1 KR 101480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input
- magnetic field
- sensor array
- swi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by investigating stray magnetic field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9—Magnetoresistive devices
- G01R33/091—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모듈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서모듈의 제1 센서 어레이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신호수신부에 포함된 신호증폭부의 일 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실제 제조된 물품의 사진.
도 6은 제1 센서 어레이 및 이의 일부영역을 확대한 사진.
도 7은 제2 센서 어레이 및 이의 일부영역을 확대한 사진.
도 8은 외부 자기장 세기와 출력전압과의 관례를 도시한 그래프.
도 9 및 도 10은 직경 5mm, 높이 3mmd인 Nd-Fe-B 자석을 도 5에 도시된 센서모듈로 자기장 벡터를 측정한 그래프들.
도 11은 도 5의 센서모듈에서 자석의 중심선을 따라 자기장 분포를 계측한 그래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강자성체 시험편의 중심부근에 인공결함을 형성한 후 측정한 그래프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결함 탐상 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센서모듈 중 제2 센서 어레이의 회로도.
도 17 및 도 18은 4mm 직경의 자화된 강자성체에 5mm와 15mm 깊이의 인위적인 크랙을 발생시킨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함 탐상 장치에서 자기장 분포를 측정한 그래프.
30: 신호수신부 40: 센서모듈
50: 피측정체 100: 제1 센서 어레이
110: 홀센서 120: 제1 입력스위치부
130: 제2 입력스위치부 200: 제2 센서 어레이
310: MR 센서 320: 제3 입력스위치부
330: 제4 입력스위치부
340 내지 370: 제1 내지 제4 교환스위치부
Claims (17)
-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된 입력전원을 수신하여 피측정체의 자기장에 상응하여 센싱전원을 출력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센싱전원을 정량적인 수치로 변환하여 상기 자기장의 세기 분포를 계산하는 신호수신부를 포함하는 결함 탐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센서면에 수직방향의 자기장 벡터를 검출하는 제1 센서 어레이; 및
상기 제1 센서 어레이와 평행하게 겹쳐지며, 상기 센서면의 수평 방향의 자기장 벡터를 검출하는 제2 센서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어레이와 상기 제2 센서 어레이는 각각 이격된 복수 개의 자기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 어레이의 자기 센서들과 상기 제2 센서 어레이의 자기 센서들은 서로 이종의 자기 센서들이며,
상기 제1 센서 어레이와 상기 제2 센서 어레이의 자기 센서들은 각각 제1 입력단, 제2 입력단, 제1 출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센서 어레이의 자기 센서들 중, 행 방향의 자기 센서들의 제1 입력단과 제2 입력단은 각각 하나의 가로 방향 라인으로 연결되되 라인 간의 겹침이 존재하지 아니하고, 열 방향의 자기센서들의 제1 출력단과 제2 출력단은 각각 하나의 세로 방향 라인으로 연결되되 라인 간의 겹침이 존재하지 아니하며, 상기 가로 방향 라인과 상기 세로 방향 라인은 절연된 상태에서 서로 겹침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어레이는
복수의 자기센서가 M(자연수)행 N(자연수)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단에 상기 입력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칭되는 제1 입력스위치부; 및
상기 제2 입력단에 접지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칭되는 제2 입력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스위치부는
일단이 행방향으로 배열된 자기센서들의 상기 제1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스위치부는
일단이 행방향으로 배열된 자기센서들의 상기 제2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접지전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입력스위치부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자기센서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스위치소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스위치부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 시키는 제1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 입력스위치부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 시키는 제2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센서는 홀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어레이의 각 자기센서들은 자기저항센서이며, 상기 자기저항센서들은 I(자연수)행, J(자연수)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의 제1 입력단에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의 입력전원을 공급하는 제3 입력스위치부; 및
상기 자기저항센서의 제2 입력단에 접지전원을 인가하는 제4 입력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스위치부는
일단이 행방향으로 배열된 자기저항센서들의 제1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입력스위치부는
일단이 행방향으로 배열된 자기저항센서들의 제2 입력단과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접지전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입력스위치부는 종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종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자기저항센서들의 개수에 상응하는 스위치소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스위치부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 시키는 제3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4 입력스위치부의 복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순차적으로 턴온 및 턴오프 시키는 제4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저항센서는
MR 센서, GMR 센서, GMI 센서, SDT 센서, MTJ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인가된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부 또는 상기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결함 탐상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3798A KR101480827B1 (ko) | 2013-11-25 | 2013-11-25 |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43798A KR101480827B1 (ko) | 2013-11-25 | 2013-11-25 |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3987A Division KR101376541B1 (ko) | 2012-05-22 | 2012-05-22 |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2370A KR20130132370A (ko) | 2013-12-04 |
KR101480827B1 true KR101480827B1 (ko) | 2015-01-13 |
Family
ID=4998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43798A Active KR101480827B1 (ko) | 2013-11-25 | 2013-11-25 |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08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8767Y1 (ko) * | 2021-05-17 | 2025-02-03 | 한국전력공사 | 필렛 용접부 자기장 측정센서 |
KR200496783Y1 (ko) * | 2021-05-17 | 2023-04-27 | 한국전력공사 | 용접부 자기장 측정센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0610A (ja) * | 2005-02-14 | 2006-08-24 | Jfe Engineering Kk | 欠陥検出装置 |
US20070018076A1 (en) * | 2005-07-21 | 2007-01-25 | Ipo Displays Corp. | Electromagnetic digitizer sensor array structure |
KR101094667B1 (ko) * | 2009-09-04 | 2011-12-20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자기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중공축 내벽의 결함 탐상 장치 |
KR20120010051A (ko) * | 2010-07-23 | 2012-02-0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분 자기 센서 모듈을 구비한 자기장 검출 장치 |
-
2013
- 2013-11-25 KR KR20130143798A patent/KR10148082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20610A (ja) * | 2005-02-14 | 2006-08-24 | Jfe Engineering Kk | 欠陥検出装置 |
US20070018076A1 (en) * | 2005-07-21 | 2007-01-25 | Ipo Displays Corp. | Electromagnetic digitizer sensor array structure |
KR101094667B1 (ko) * | 2009-09-04 | 2011-12-20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자기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중공축 내벽의 결함 탐상 장치 |
KR20120010051A (ko) * | 2010-07-23 | 2012-02-02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분 자기 센서 모듈을 구비한 자기장 검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2370A (ko) | 2013-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6541B1 (ko) |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 |
US9182373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crack in small-bore piping system | |
US9170234B2 (en) | Magnetic sensor array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efect using the magnetic sensor array | |
JP6766333B2 (ja) | 微小磁性体検知センサおよび異物検知装置 | |
US9146214B2 (en) | Leakage magnetic flux flaw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 |
CN101283264A (zh) | 具有磁场补偿的磁传感器设备 | |
CN104903718A (zh) | 钢板的内部缺陷检测装置及方法 | |
JPWO2020027043A1 (ja) | 非破壊検査方法、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プログラム | |
Kim et al. | Integration of Hall and giant magnetoresistive sensor arrays for real-time 2-D visualization of magnetic field vectors | |
CN103675094A (zh) | 一种无损探伤装置 | |
JP6149542B2 (ja) | 磁気検査装置および磁気検査方法 | |
KR101480827B1 (ko) | 이종 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결함 탐상 장치 | |
KR20100054357A (ko) | 자기 센서를 이용한 검체의 신호검출 시스템 | |
KR101174483B1 (ko) | 차분 자기 센서 모듈을 구비한 자기장 검출 장치 | |
CN101231264A (zh) | 一种电磁无损检测探头的检测方法 | |
WO2020027028A1 (ja) | 非破壊検査装置、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方法 | |
RU93539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магнитного поля | |
JP7084733B2 (ja) | 磁気センサを用いた磁性体の漏洩磁束検出装置及び漏洩磁束検出方法 | |
Pelkner et al. | Size adapted GMR arrays for the automated inspection of surface breaking cracks in roller bearings | |
Liang et al. | A quantum well Hall effect Magnetovision system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JP7688420B2 (ja) | 磁性体検査装置、及び、磁性体検査方法 | |
JP2023032946A (ja) | 非破壊検査の計測方法、計測装置、非破壊検査方法、非破壊検査の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CN203616286U (zh) | 一种无损探伤装置 | |
JP2018009872A (ja) | 探触子、探傷用器具、漏洩磁束探傷装置、および漏洩磁束探傷方法 | |
WO2024057869A1 (ja) | 非破壊検査方法、プログラム及び非破壊検査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12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