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897B1 - Nipple shaped water sa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Nipple shaped water sav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9897B1 KR101449897B1 KR1020140015165A KR20140015165A KR101449897B1 KR 101449897 B1 KR101449897 B1 KR 101449897B1 KR 1020140015165 A KR1020140015165 A KR 1020140015165A KR 20140015165 A KR20140015165 A KR 20140015165A KR 101449897 B1 KR101449897 B1 KR 1014498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raight pipe
- side straight
- pipe portion
- inl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2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title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4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3/00—Bends; Siphons
- F16L43/001—Bends; Siphons made of met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수전금구 등 물사용설비를 통상의 엘보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개별 수용가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 및 토수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엘보형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 유로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적은 양의 물이 적정한 수압으로 토출되도록하는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수장치는, 내부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급수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입수측 직관부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출수구가 형성되며 물사용설비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출수측 직관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외측에 형성된 공구체결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내부에 출수측 직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입수측 직관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에 천공되어 입수되는 물의 수압을 적정 사용 수압으로 감압한 후 출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지름 및 갯수가 조정된 투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not only to connecting water supply equipment such as a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water to a water supplier and a water supply equipment in a vertical direction like a normal elbow but also to prevent waste of water by appropriately adjusting water pressure and inflow amount of water supplied to individual customers A water saving device for discharging a small amount of water at a proper water pressure by reducing a cross sectional area of a water flow p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aving device includes an inlet port formed therein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An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connected to the water intake 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formed so as to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intake 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having an outlet port formed therein, And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can be blocked by be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flow-side straight pipe portion inside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subyeok and, after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the perforations to the chasubyeok The operating pressure in the size and number to be discharged in the water outlet direction adjusting pitching ball.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보형 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물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과 수전금구 등 물사용설비(화장실의 수도꼭지, 주방의 수도꼭지, 샤워기, 변기저수조 등) 또는 이들에 연결된 배관(본 발명에서는 물사용설비 및 물사용시설에 연결된 배관을 단순히 물사용설비라고 함)를 통상의 엘보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할 뿐만 아니라, 개별 수용가에 공급되는 물의 수압 및 토수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엘보형 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facility (toilet faucet, kitchen faucet, shower, It is necessary not only to connect pipes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normal elbow, but also to adjust the water pressure and the amount of inflow of water supplied to individual consumers appropriately To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waste of water.
건물 내에 설치된 수도 배수관으로부터 개별 수용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의 직경은 표준화되어 있어, 물 수용가마다 동일한다. 또한, 수도 배수관으로부터 개별 수용가의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는 급수배관의 시공 방법은 표준화되어 있다. 즉, 급수배관의 말단에 직관형의 니플 또는 90도 곡관형의 엘보를 결합하고, 이 니플이나 엘보에 수전금구 등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반면, 수도 배수관으로부터 개별 수용가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수압 또는 단위 시간당 토수유랑은 개별 수용가마다 동일하지 않고, 개별 수용가와 물 가압지점간의 상대 위치에 따라 다르다. 펌프장이나 가압장으로부터 얼마나 이격되어 있느냐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빌딩의 경우 층고에 따라 다르며, 일반 주택의 경우 지형의 고저에 따라서도 다르다. 따라서, 어떤 수용가들은 적정 수압보나 낮은 수압의 물을 공급 받고 있고, 어떤 수용가는 적정 수압보다 높은 수압을 공급 받고 있다. 적정 수압보다 높은 수압으로 물을 공급 받는 수용가는 수압을 적정히 줄일 경우 절수를 통해 수도 요금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수용가의 공급 수압을 높혀 줄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water supply pipes supplying water to the individual consumers from the installed water pipes in the building is standardized and is the same for each water consumer.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water use facility of the individual customer from the water supply pipe is standardized. That is, a straight pipe type nipple or a 90 degree cube type elbow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use equipment such as a wate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nipple or the elbow. On the other hand, the supply water pressure or the water flow per unit time from the water pipe to the individual customer is not the same for each individual customer, and depends on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individual customer and the water pressure point. It depends not only on the distance from the pumping station or the pumping station, but also on the floor height of apartments and buildings. Therefore, some caterers are supplied with adequate water pressure or low water pressure, and some caterers are supplied with water pressure higher than the appropriate water pressure. If the water pressure is properly reduced, the customer who receives water at a higher water pressure than the proper water pressure can not only save the water rate through water saving but also increase the water pressure of the other customer.
종래 이러한 목적으로 개발된 다양한 종류의 절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81899호에는 수량을 절약하기 위해 수도물 등의 배수관 속에 장착되는 수량 조절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81899호의 수량 조절구는 일단에 입구개구를 가지고 타단에 출구개구를 가지며,배수관 내부를 흐르는 물을 통과시키는 통수로를 구비한 통수부와, 통수부의 외주에 연속하고 통수부을 배수관에 지지시키기 위한 차양부을 구비하고, 통수로의 횡단면의 면적 보다 출구개구의 면적이 커지도록,통수부의 타단을 둥글게 파낸 반구 면상의 요부을 형성하였으며, 통수로를, 축심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여러개 설치하고,통수로의 입구개구에 면취부를 형성하였다.이러한 구조의 수량 조절구는 배관을 잘라 내고, 일측 배관 외측에 수나사를 부착하고 타측 배관 외측에 암나사를 부착한 후, 배관사이에 차양부가 개입되도록 삽입하여 나사 체결한다.
Conventionally, various kinds of water saving devices developed for this purpose have been disclosed.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81899 discloses a water volum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water pipe such as tap water to save water.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81899 has a water control part having an inlet opening at one end and an outlet opening at the other end and having a water passage for passing water flowing inside the water drain pipe and a water outlet part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pipe part, And a plurality of water passages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water passageway so that the area of the outlet opening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water passageway. And a threaded portion was formed in the inlet opening of the water passage. In this structure, the pipe was cut out, a male screw wa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one pipe, a female screw wa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pipe, Conclude.
따라서,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81899호의 수량 조절구를 사용할 경우 통상의 급수배관 시공 이외에 배관 절단 작업과 수량 조절구의 체결 작업과 수밀을 위한 밀폐 작업을 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급수배관 및 그 연결구조에 대한 변경이 수반되어 급수배관 시공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건물 배관 공사 현장에서 이와 같은 구조의 수량 조절구는 작업자에 의하여 그 설치가 누락되기 쉽다. 또한, 수량 조절구에서 입수측 수압이 높기 때문에, 수량 조절구 결합부를 견고하게 나사로 조이고 밀폐를 하더라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수량 조절구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하기 쉽다.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water control valve of Utility Model No. 3081899 registered in Japan, besides the usual water supply pipe construction, piping cutting work, water volume control work, and watertight sealing work must be performed. Therefore,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pipe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are accompanied with a change, which takes time and cost to construct the water supply pipe. Therefore, in the construction piping construction site, such a structure of the quantity control section is liable to be omitted by the operator. In addition, since the water pressure on the water supply side is high in the water control part, even if the water control part is tightly screwed and sealed, water leakage is likely to occur in the water control part connection part for a long time.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71257호에도, 수도꼭지와 별도로 제조한 후, 수도꼭지의 수도관 내부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절수용 키트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71257호 고안은 위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81899호와 달리 배수관 사이에 연결하지 않고 수도꼭지의 수도관 내부에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지만, 수도꼭지나 수도관과 별로도 제작되어 이들 내부에 삽입되는 점에서 동일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71257호에 따른 절수용 키트의 유입부 둘레에는 물때가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목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유입부와 토출부 사이에 통수를 위해 형성되는 관통공은 유입부측의 내경보다 토출부측의 내경이 작아지도록 노즐형으로 형성하고, 이 관통공은 절수용 키트의 축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하여 노즐효과에 의해 수압저하를 방지하고, 기존의 수도관에 쉽게 끼울 수 있도록 유입부측의 직경이 토출부측의 직경보다 작게 전체적으로 테이퍼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71257 also discloses an absorbent kits which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a faucet and inserted into a water pipe of a faucet. The Korean Utility Model No. 0271257 is different from the Japanese Utility Model No. 3081899 in that it is installed in the water pipe of the faucet instead of being connected between the drain pipes. However, the faucet and the water pipe are separately manufactured, . A penetrating hole formed for passage between the inlet portion and the outlet portion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inlet portion of the penetration portion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71257, And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cut-off kit so as to prevent the water pressure from being lowered by the nozzle effect an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existing water pipe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ortion.
그러나,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71257호에 따른 절수용 키트도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81899호와 같이 통상의 급수배관 시공 및 수전금구의 연결 작업 이외에 절수용 키트의 배관 내 삽입 및 체결 작업을 해야 한다는 점과, 급수배관 시공 및 수전금구의 연결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하여 배관 내의 삽입이 누락되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271257호에 따른 절수용 키트는 수전금구 등 물사용설비의 규격이나 종류가 달라지는 경우에 절수용 키트를 매 수전금구에 맞게 별도로 준비하여야 하고, 수전금구의 일부를 이루는 수도관 내부에 삽입되기 때문에 수전금구를 교체할 경우 제거되는 수전금구와 함께 폐기 될 수 있는 단점도 있다. 특히,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의 수도관 내에 절수용 키트를 설치할 경우, 이들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을 교체할 때 절수장치가 분실되거나 버려지기 쉽다.
However, the embankment kits according to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71257 are also required to insert and fasten the embankment kits into the piping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upply pipe, as in the Japanes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081899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nsertion in the piping is liable to be missed by the operator during the connection work of the water supply pipe construction and the water supply pipe. In addition, when the size and type of the water use equipment such as the water receptacle is changed, the water receptacle kit according to Korean Utility Model No. 0271257 should be prepared separately for each receptacle fitting, Since it is inserted into the water pip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be disposed together with the water receptacle which is removed when the water receptacle is replace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installing a breaching kit in a water pipe such as a faucet or a shower, when the faucet or the shower is replaced, the water saving device is likely to be lost or discard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절수 기구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별도의 절수장치의 설치를 위한 시공이나 공정 없이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수도 배관 시공만으로 절수장치를 설치하여 수전금구 등 다양한 규격이나 종류의 물사용설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엘보형 절수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water saving mechanisms described above, and a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aving device with a simple and standard water piping construction without a construction or a process for installing a water saving device And to provide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which can be used in water-use facilities of various sizes and types, such as a fauce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종래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간의 연결구조에 대한 변경이나 추가적인 조작없이 종래의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는 엘보 대체용으로 설치하여 절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엘보형 절수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aving function by replacing a conventional water supply pipe with a water use facility, or by replacing a conventional water supply pipe with an existing water use facility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And an elbow-shaped water-saving device having an elbow-shaped water-saving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3과제는 입수측 수압이 매우 높은 경우에도 절수장치 설치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할 염려가 없는 엘보형 절수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A thir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which is free from leakage at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water-saving device even when the water pressure on the receiving side is very hig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4과제는 건물 내부의 수도 배관 시공 과정에서 작업자가 절수장치의 시공을 누락하지 않고 반드시 설치하게 할 수 있는 엘보형 절수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fourth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which allows an operator to install the water-saving device without missing the water-saving devic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ater pipe inside the build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5과제는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 물사용설비를 교체할 때도 분실되거나 함께 버려질 염려가 없는 엘보형 절수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A fifth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which is lost or lost even when water-use equipment such as a faucet or a shower is replaced.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물 유로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적은 양의 물이 적정한 수압으로 토출되도록하는 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수장치를, 내부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급수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입수측 직관부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출수구가 형성되며 물사용설비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출수측 직관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외측에 형성된 공구체결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내부에 출수측 직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입수측 직관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에 천공되어 입수되는 물의 수압을 적정 사용 수압으로 감압한 후 출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지름 및 갯수가 조정된 투수공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saving device for discharging a small amount of water at a proper water pressure by reducing a cross-sectional area of a water channel, wherein the water-saving device includes a water- An outflow side straight pipe section vertically connected to the intake side straight pipe section and having an outlet port formed therein so as to be connected to a water use facility; a tool fastening section formed outside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section; A water outlet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section inside the side pipe and can block water flowing in from the water pipe on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side; And a pitcher whose diameter and number are adjusted so that the pitcher can be adjusted.
상기 입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는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에는 공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도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에는 공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수벽은 상기 출수측 직관부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inlet side straight pipe portion is expanded an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n expand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a tool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an expan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is expande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expanded inner peripheral surface, A tool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water wall may be formed on the rear end of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상기 입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는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과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은 평활하게 형성되고, 상기 출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는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확관된 선단부 외부에는 공구체결부가 형성된 고, 상기 차수벽은 상기 출수측 직관부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smoothly forme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being expanded and expand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panded distal end portion are smoothly forme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outflow- And the water outlet wall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section.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엘보과 같이 입수측 직관부 및 출수측 직관부에 의하여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할 수 있고, 출수측 직관부 내부에 출수측 직관부와 일체로 형성된 차수벽의 투수공에 의하여 절수 기능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절수장치의 설치를 위한 시공이나 공정 없이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수도 배관 시공만으로 수전금구 등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물사용설비에서 절수가 가능하고, 종래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간의 연결구조에 대한 변경이나 추가적인 조작없이 종래의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는 엘보 대체용으로 설치하여 절수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차수벽이 출수측 직관부와 단일 몸체로 형성되므로, 입수측 수압이 매우 높은 경우에도 절수장치 설치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할 염려가 없고, 엘보는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는 필수 부품이므로 건물 내부의 수도 배관 시공 과정에서 작업자가 절수장치의 시공을 누락하지 않고 반드시 설치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 물사용설비를 교체할 때도 분실되거나 함께 버려질 염려가 없으므로 반영구적인 절수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use facility by using the inlet 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the water outlet side straight pipe portion like a normal elbow, Since the water sav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water hole of the water wall, it is possible to save water in various standard and kinds of water use facilities such as a faucet with only ordinary and standard water pipe construction without construction or process for installation of a separate water sav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saving function by replac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usage facility or by replacing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usage facility for the elbow connection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Even when the water pressure on the water supply side is very high, there is no possibility of water leakage at the installation point of the water saving device, and the elbow It is an essential component to connect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use facility, so that the worker must install the water saving device without missing the construction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water pipe inside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semi-permanent water saving device since there is no risk of being lost or discarded when a water using facility such as a faucet or a shower is replac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절수장치의 출수구측에서 차수벽과 투수공이 보이도록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엘보형 절수장치의 입수구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엘보형 절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보형 절수장치의 출수구측에서 차수벽과 투수공이 보이도록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엘보형 절수장치의 입수구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엘보형 절수장치의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water-saving water-sav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artially cut away to show a water wall and a water hole at a water outlet side.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shown in Fig. 1 at the inlet sid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bow-like water saving device shown in Fig.
FIG.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water wall and a water hole from the water outlet side of the elbow-type water sav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let side of the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shown in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bow-like water saving device shown i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입수측 직관부(1a)를 급수배관과 나사 체결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4 내지 도 6은 입수측 직관부(1b)를 급수배관과 용접에 의하여 체결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4에 도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보형 절수장치는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을 직각 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엘보 구조를 가진다. 건물 배관 공사에서 엘보는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는 필수 부품이고, 본 발명에 따른 엘보형 절수장치를 엘보로 사용할 경우, 건물 내부의 수도 배관 시공 과정에서 작업자가 절수장치의 시공을 누락하지 않고 반드시 하게 된다.
Figs. 1 to 3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inlet side straight pipe portion 1a is screwed to the water supply pipe. Fig. 4 to Fig. 6 show the case where the inlet side
<제1실시예>≪ Embodiment 1 >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보형 절수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elbow-type water sa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Fig.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보형 절수장치는 급수배관과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암나사(T)가 형성된 입수측 직관부(1a)와, 물사용설비와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암나사(T)가 형성된 출수측 직관부(9a)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1 to 3, an elbow-type water-sa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side straight pipe portion 1a having a female screw T formed insid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with a water supply pipe, And an outflow side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수장치는, 내부에 입수구(5a)가 형성되고 나사체결에 의하여 급수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입수측 직관부(1a)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1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입수측 직관부(1a)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출수구(11a)가 형성되며, 나사체결에 의하여 물사용설비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출수측 직관부(9a)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1a) 및 상기 출수측 직관부(9a) 외측에 형성된 공구체결부(13a)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절수기능을 갖기 위하여, 상기 출수측 직관부(9a) 내부에 출수측 직관부(9a)와 일체로 형성된 차수벽(3a)과 상기 차수벽(3a)에 통공된 투수공(7a)을 포함한다. 상기 차수벽(3a)은 입수구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고, 상기 차수벽(3a)에 천공된 투수공(7a)은 아파트의 층고, 단독 주택의 고도 등에 따라 다르게 입수되는 물의 공급수압을 설정 수압과 적정 토수유량으로 조절하여 배출한다. 상기 투수공(7a)은 1개 또는 다수개 형성할 수 있으며, 각 투수공(7a)의 지름 및 갯수는 입수되는 물의 수압을 설정 수압(각 세대마다 균일하게 설정된 적정 수압)으로 감압한 후 출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지름과 갯수로 조정한다. 투수공(7a)들은 물 유로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적정량의 물이 적정한 수압으로 토출 되도록하는 절수기능을 하다.
1 and 3, the water-sa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1a having a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입수측 직관부(1a)의 선단부는 확관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T)를 형성하며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에는 공구체결부(13a)를 형성하여 급수배관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수측 직관부(9a)의 선단부도 확관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T)를 형성하며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에는 공구체결부(13a)를 형성하여 물사용설비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수벽(3a)은 상기 출수측 직관부(9a) 후단에 형성하여, 물이 감압된 후 직진 방향으로 토출되게 하는 것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3, the distal end of the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1a is expanded, a female screw T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xpanded distal end portion, and a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차수벽(7a)은 출수구 직관부(9a)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출수구 직관부(9a)는 입수구 직관부(1a) 및 공구체결부(13a)와 일체로 형성하여, 차수벽(7a)을 작업자가 이들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한다.
1 to 3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line
절수장치를 이와 같이 엘보형으로 구성하면, 통상의 엘보과 같이 입수측 직관부(1a) 및 출수측 직관부(9a)에 의하여 각각에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할 수 있고, 출수측 직관부(9a) 내부에 출수측 직관부(9a)와 일체로 형성된 차수벽(7a)의 투수공(7a)에 의하여 절수 기능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절수장치의 설치를 위한 시공이나 공정 없이 일반적이고 표준적인 수도 배관 시공만으로 수전금구 등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물사용설비에서 절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는 엘보 대체용으로 본 발명의 절수장치를 사용하면, 종래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간의 연결구조에 대한 변경이나 추가적인 조작없이 절수 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엘보는 급수배관과 물사용설비를 연결하는 필수 부품이므로 건물 내부의 수도 배관 시공 과정에서 작업자가 절수장치의 시공을 누락하지 않고 반드시 하게 된다. 또한, 차수벽(7a)이 입수측 직관부(1a)와 단일 몸체로 형성되므로, 입수측 수압이 매우 높은 경우에도 절수장치 설치지점에서 누수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보형 절수장치는 급수배관 말단에 설치되므로, 수도꼭지나 샤워기 등 물사용설비를 교체할 때도 분실되거나 함께 버려질 염려가 없으므로 반영구적인 절수장치로 사용이 가능하다.
When the water saving device is formed in the elbow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use facilit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water inlet side straight pipe portion 1a and the water outlet side
<제2실시예>≪ Embodiment 2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엘보형 절수장치의 입수측 직관부(1b) 내주면 및 외주면을 나사의 형성 없이 평활하게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입수측 직관부(1b)를 급수배관에 용접으로 연결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let side
1a, 1b : 입수측 직관부 3a, 3b : 차수벽
5a, 5b : 입수구 7a, 7b : 투수공
9a, 9b : 출수측 직관부 11a, 11b : 출수구
13a, 13b : 공구체결부 T : 암나사1a, 1b: inlet side
5a, 5b:
9a, 9b: Outer side
13a, 13b: Tool fastening part T: Female thread
Claims (3)
상기 절수장치는, 내부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급수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입수측 직관부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출수구가 형성되며 물사용설비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출수측 직관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외측에 형성된 공구체결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내부에 출수측 직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입수측 직관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에 천공되어 입수되는 물의 수압을 적정 사용 수압으로 감압한 후 출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지름 및 갯수가 조정된 투수공을 구비하되,
상기 입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는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과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은 평활하게 형성되고, 상기 출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도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확관된 선단부 외부에는 공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수벽은 상기 출수측 직관부 후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절수장치.
A water saving device for discharging a small amount of water at a proper water pressure by reducing a cross sectional area of a water flow path,
The water-saving device includes: an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having an inlet port formed therein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an outlet-side water pipe connected vertically to the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having an outlet port formed therein, A water blocking w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inside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capable of blocking water flowing from the intake 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a water permeable hole whose diameter and number are adjusted so as to be discharged in an outflow direction after depressurizing the water pressure of water obtained by puncturing the water to an appropriate use water pressure,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is expanded, the distal end inner peripheral surface expanded and the expan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ded distal end portion are smoothly forme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is enlarged an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expande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And the water outlet wall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section.
상기 절수장치는, 내부에 입수구가 형성되고 급수배관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입수측 직관부와, 상기 입수측 직관부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내부에 출수구가 형성되며 물사용설비에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 출수측 직관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외측에 형성된 공구체결부와, 상기 출수측 직관부 내부에 출수측 직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입수측 직관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는 차수벽과, 상기 차수벽에 천공되어 입수되는 물의 수압을 적정 사용 수압으로 감압한 후 출수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지름 및 갯수가 조정된 투수공을 구비하되,
상기 입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는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에는 공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측 직관부의 선단부도 확관되고 확관된 선단부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확관된 선단부 외주면에는 공구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수벽은 상기 출수측 직관부 후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형 절수장치.
A water saving device for discharging a small amount of water at a proper water pressure by reducing a cross sectional area of a water flow path,
The water-saving device includes: an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having an inlet port formed therein and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an outlet-side water pipe connected vertically to the inlet-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having an outlet port formed therein, A water blocking wall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inside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capable of blocking water flowing from the intake side straight pipe portion; And a water permeable hole whose diameter and number are adjusted so as to be discharged in an outflow direction after depressurizing the water pressure of water obtained by puncturing the water to an appropriate use water pressure,
Wherei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inlet side straight pipe portion is expanded an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an expand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a tool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an expand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is expanded, a female screw is formed on the expanded inner peripheral surface, Wherein a tool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water wall is formed on a rear end of the outflow side straight pipe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5165A KR101449897B1 (en) | 2014-02-10 | 2014-02-10 | Nipple shaped water sav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5165A KR101449897B1 (en) | 2014-02-10 | 2014-02-10 | Nipple shaped water saving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9897B1 true KR101449897B1 (en) | 2014-10-15 |
Family
ID=51997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51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897B1 (en) | 2014-02-10 | 2014-02-10 | Nipple shaped water sav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989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8735A (en) | 2017-09-30 | 2019-04-09 | (주)명인코리아 | Structure of Spiral Pipe Fitting Easy to Coupling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1138U (en) * | 1996-09-30 | 1997-09-09 | 明比己 岡 | Water limit valve for faucet |
JP3081899U (en) * | 2001-05-18 | 2001-11-22 | 直宏 長谷川 | Water volume adjuster |
KR200271257Y1 (en) | 2002-01-12 | 2002-04-09 | 최의택 | Water Reducing Kit |
KR200288520Y1 (en) * | 2002-06-17 | 2002-09-11 | 김재원 | Water saving faucet |
-
2014
- 2014-02-10 KR KR1020140015165A patent/KR1014498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1138U (en) * | 1996-09-30 | 1997-09-09 | 明比己 岡 | Water limit valve for faucet |
JP3081899U (en) * | 2001-05-18 | 2001-11-22 | 直宏 長谷川 | Water volume adjuster |
KR200271257Y1 (en) | 2002-01-12 | 2002-04-09 | 최의택 | Water Reducing Kit |
KR200288520Y1 (en) * | 2002-06-17 | 2002-09-11 | 김재원 | Water saving fauce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38735A (en) | 2017-09-30 | 2019-04-09 | (주)명인코리아 | Structure of Spiral Pipe Fitting Easy to Coupl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59301B2 (en) | Connecting unit for sanitary fittings | |
US7063098B2 (en) | Flush cartridg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 |
US12085183B2 (en) | Valve | |
US5941273A (en) | Drain trap apparatus | |
KR101449897B1 (en) | Nipple shaped water saving apparatus | |
KR101449896B1 (en) | Nipple shaped water saving apparatus | |
US9856991B2 (en) | Flush cap for a valve assembly | |
US20190344314A1 (en) | Fixture flush apparatus and method | |
US20050283890A1 (en) |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 |
JP5773853B2 (en) | Pressure reducing valve and mounting method of pressure reducing valve | |
US20120292901A1 (en) | Plumbing fitting | |
KR100747624B1 (en) | Tap water impurity removal device | |
US20160040402A1 (en) | System For Recirculating Water Between CoId Water And Hot Water | |
AU2016100646A4 (en) | Plumbing installation using an isolating stop cock valve | |
KR102363334B1 (en) | Flow control valve and water supply distributor having the same | |
KR100729601B1 (en) | Branch pipe connection | |
KR101144860B1 (en) | Back-flow preventing apparatus for waterworks | |
KR101313112B1 (en) | Saddle for water works | |
KR101434410B1 (en) | Pipe connector with stagnant water prevent fuction | |
JP2018016981A (en) | Attachment structure for water trap | |
KR20240001319U (en) | Air bubble discharging apparatus for pipe | |
JP2023157523A (en) | How to clean the inside of the reception pipe when installing equipment and the cleaning jig used for this purpose | |
JP6454854B2 (en) | Drainage mounting structure | |
JPS5917987Y2 (en) | Antifreeze faucet with intake valve | |
RU38883U1 (en) | PIPELINE LATERAL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10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