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38250B1 -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250B1
KR101338250B1 KR1020120061081A KR20120061081A KR101338250B1 KR 101338250 B1 KR101338250 B1 KR 101338250B1 KR 1020120061081 A KR1020120061081 A KR 1020120061081A KR 20120061081 A KR20120061081 A KR 20120061081A KR 101338250 B1 KR101338250 B1 KR 101338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rder
display device
polarizer
external light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훈
조관현
김경호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250B1/ko
Priority to US13/765,816 priority patent/US9164211B2/en
Priority to TW102108482A priority patent/TWI580026B/zh
Priority to EP13165955.9A priority patent/EP2672541A3/en
Priority to CN201310198817.XA priority patent/CN103489891B/zh
Priority to JP2013115057A priority patent/JP201325473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 및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1위상만큼 지연키는 제2리타더와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가 교대로 배열된 패턴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드에 따라 광투과율을 변화시키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시야각, 콘트라스트(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등과 같은 개인용 휴대기기에서 텔레비젼(TV)에 이르기까지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自)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장치 내부의 박막 트랜지스터나 유기 발광 소자를 투명한 형태로 만들고 화소영역과 별개로 투과영역(또는 투과창)을 형성해 줌으로써, 투명 표시 장치로 형성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7918호 (2007.03.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명표시소자에 최소 추가 부재들로 저전력으로 광투과율을 제어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 및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와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가 교대로 배열된 패턴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리타더는 상기 외광의 파장을 상기 제1위상만큼 지연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다.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투과할 수 있다.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패턴리타더의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가 상기 투명표시소자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패턴리타더를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상기 화소 피치의 절반만큼 이동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패턴리타더의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가 상기 투명표시소자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패턴리타더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상기 화소 피치의 절반만큼 이동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의 연신축이 서로 수직일 수 있다.
상기 제2리타더의 개수와 상기 제3리타더의 개수의 합은 상기 제2영역의 개수의 2배보다 1이 많다. 이때, 상기 제2리타더의 개수가 상기 제3리타더의 개수보다 1이 많거나, 상기 제3리타더의 개수가 상기 제2리타더의 개수보다 1이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며 원형편광시키는 제1원편광기; 및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을 상기 제1위상으로 지연시키는 제1지연영역과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지연영역이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상기 외광을 상기 제1위상 또는 상기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며 원편광시키는 제2원편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편광기는,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와, 제1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의 파장을 상기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원편광기는,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의 파장을 상기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와 상기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가 교대로 배열된 패턴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고, 상기 제1원편광기와 상기 제2원편광기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원편광기의 상기 제1지연영역 또는 제2지연영역이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원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고, 상기 제1원편광기와 상기 제2원편광기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원편광기의 상기 제1지연영역 또는 제2지연영역이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원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을 갖고, 상기 제2원편광기의 제1지연영역과 제2지연영역이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패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는,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을 밀봉하는 제2기판을 구비하는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1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2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 및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2위상만큼 지연시켜 투과하는 제2리타더와 제3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를 교대로 반복 배열한 패턴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는,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을 밀봉하는 제2기판을 구비하는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2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 및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제1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와 제3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를 교대로 반복 배열한 패턴리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동일하고,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3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다.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리타더 또는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리타더 또는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을 갖고, 상기 패턴리타더의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패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표시소자 외측에 광학부재들을 배치함으로써, 표시장치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최소화하면서 저전력으로 외광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무게 감소, 제조 공정 수 감소, 재료비 감소 및 불량률 감소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 모드시의 투과율은 증가하고, 블랙 모드시의 투과율은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턴리타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에 포함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서브화소들(Pr)(Pg)(Pb) 중 어느 한 서브 화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에 포함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서브화소들(Pr)(Pg)(Pb) 중 어느 한 서브 화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과 리타더의 조합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광 투과율 조절을 각각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어떤 층이나 영역들은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00)는 외광의 투과가 가능한 투명표시소자(10) 상에 제1편광기(51), 제1리타더(51), 패턴리타더(42) 및 제2편광기(52)가 더 구비된다.
투명표시소자(10)는 배면발광(bottom emission)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제1기판(1)과 제1기판(1) 상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밀봉하는 제2기판(2)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복수개의 화소로 구획되어 있는데, 화소는 제1기판(1)의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는 화소영역(31) 및 화소영역(31)에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투과영역(32)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1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표시소자(1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복수의 화소가 구비되며, 복수의 화소들은 행 방향 및 열 방향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이때,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는 패턴을 갖도록 화소가 배열된다. 이에 따라, 투명표시소자(10)는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이 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투명표시소자(10)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리타더(41)와 제1편광기(51)는 투명표시소자(10)가 광을 방출하는 제1기판(1)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편광기(51)와 제1리타더(41)의 조합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편광(circularly polarized light)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1편광기(51)와 제1리타더(41)의 조합은 좌원편광 또는 우원편광 중 하나의 종류만 통과시킬 수 있는 것으로, 표시장치(100) 전면에서 외광의 반사를 줄여 사용자가 화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제1편광기(51)는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선형편광시키는 선형편광기(linear polarizer)이며, 제1리타더(41)는 입사되는 광을 +1/4파장(+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위상지연기(retarder)이다. 제1리타더(41)는 선형편광을 원편광으로 변환하거나, 원편광을 선형편광으로 변환한다. 제1리타더(41)는 접착 물질에 의해 투명표시소자(10)에 부착될 수 있고, 또는 필름 형태로 투명표시소자(10)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표시소자(10)로부터 순차적으로 패턴리타더(42)와 제2편광기(52)는 투명표시소자(10)가 광을 방출하지 않는 쪽인 제2기판(2)의 외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편광기(52)는 입사되는 광을 소정의 방향으로 선형편광시키는 선형편광기(linear polarizer)이다. 패턴리타더(42)는 입사되는 광을 -1/4파장(-λ/4)으로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 및 입사되는 광을 +1/4파장(+λ/4)으로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를 갖는 위상지연기(switchable retarder)이다. 패턴리타더(42)는 선형편광을 원편광으로 변환하거나, 원편광을 선형편광으로 변환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턴리타더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리타더(42)는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의 반복 패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리타더(421)와 제3리타더(422)를 교대로 반복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리타더(421) 또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주기적인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투명표시소자(10)에 대해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외광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의 개수 및 제3리타더(422)의 개수의 합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는 라인의 개수의 2배보다 1이 많다. 이때 패턴리타더(42)의 위치 제어 방법에 따라, 제2리타더(421)의 개수가 제3리타더(422)의 개수보다 1이 많거나, 제3리타더(422)의 개수가 제2리타더(421)의 개수보다 1이 많을 수 있다. 도 2 및 도 2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투명표시소자(10)는 5 라인의 투과영역(32)을 구비하고, 패턴리타더(42)는 5개의 제2리타더(421)와 6개의 제3리타더(422), 즉 총 11개의 리타더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화소 개수 및 리타더의 개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화소 및 리타더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패턴리타더(42)는 예를 들어, 배향막과 액정막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배향막은 액정막의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며, 공지의 광 배향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막의 액정 분자는 배향막의 배향에 따라 배향된다. 제2리타더(421) 또는 제2리타더(422)가 위치하는 영역마다 배향막의 배향 처리를 달리함으로써 액정 분자의 배향 상태를 변환시켜 위상 지연값이 주기적으로 달라지는 패턴리타더(4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리타더(421)와 제3리타더(422)는 서로 연신축이 수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100)는 제1편광기(51)와 제2편광기(52)가 서로 동일한 편광축을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100)는 제1편광기(51)와 제2편광기(52)가 서로 상이한 편광축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두 가지 실시예에서 패턴리타더(42)의 위상 지연값 제어에 의해 저전력으로 외광의 투과율을 변환할 수 있는 표시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편광기(51), 제1리타더(41), 패턴리타더(42) 및 제2편광기(52)와 같은 각종 광학부재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100)를 개시하며, 이러한 각종 광학부재들에 의해 외광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표시장치(100)의 외광의 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일 방법으로, 투명표시소자(10)의 일측에 액정을 배치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액정을 밀봉하기 위해 2장의 유리기판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패턴리타더(42) 및 각종 광학부재의 특유한 배치에 의해, 액정 사용시 요청되는 추가적인 유리기판이 필요하지 않고, 저전력으로 표시장치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액정의 파장 분산성은 필름 형태의 광학부재인 제1리타더(41)의 파장 분산성과 다르고, 액정의 파장 분산성과 광학부재의 파장 분산성은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표시장치가 전체적으로 파장 분산성 특성을 갖게 된다. 여기서 파장 분산성이란 모든 파장의 광에 대해 균일한 블랙(Black) 상태나 투과(Transparent) 상태가 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상 지연값이 다른 리타더가 반복적으로 배열된 고체형의 패턴리타더(42)를 사용하기 때문에, 광학부재인 제1리타더(41)와 패턴리타더(42) 간의 파장 분산성을 맞추기가 쉽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100)가 투과 모드일 때 외광의 투과율은 증가하고, 블랙 모드일 때 외광의 투과율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을 이용한 외광의 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액정 밀봉 공정과 투명표시소자 제조 공정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다. 그리고, 전기적 방식으로 액정의 배열을 조절함으로써 외광의 투과도를 조절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투명표시소자(10)의 제조 공정과 고체형의 패턴리타더(42)의 제조 공정이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패턴리타더(42)를 기계적/물리적 이동 방식에 의해 위치 변경함으로써 간단하게 외광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100)가 광을 투과하는 투과모드(transparent mode)일 때, 화상이 구현되는 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제2기판(2) 외측에서 제1기판(1) 외측의 방향으로 투과되는 제1외광(61)을 통해 제2기판(2)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화상이 구현되는 반대측에 위치한 사용자도 제1기판(1)의 외측에서 제2기판(2)의 외측으로 투과되는 제2외광(62)을 통해 제1기판(1)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외광(61)은 화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오는 외광이며, 제2외광(62)은 제1외광(61)과 방향이 반대인 외광이다.
또한, 표시장치(100)가 광을 투과하지 않는 블랙모드(black mode)일 때, 화상이 구현되는 측에 위치한 사용자는 제2기판(2)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다. 한편, 화상이 구현되는 반대측에 위치한 사용자도 제1기판(1)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10)에 포함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화소는 복수개의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적색 서브화소(Pr), 녹색 서브화소(Pg), 청색 서브화소(Pb)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서브화소들(Pr)(Pg)(Pb)은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을 구비한다. 화소영역(31)에는 화소회로부(311)와 발광부(312)가 포함되며, 화소회로부(311)와 발광부(312)는 중첩하지 않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래야만, 발광부(312)가 제1기판(1)의 방향으로 배면발광할 때, 화소회로부(311)에 의해 광 경로의 방해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화소영역(31)에 인접하게는 외광을 투과하는 투과영역(32)이 배치된다.
투과영역(32)은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서브화소들(Pr)(Pg)(Pb) 별로 독립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서브화소들(Pr)(Pg)(Pb)에 걸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 전체로 볼 때, 화소는 공통의 투과영역(32) 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화소영역(31)들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외광이 투과되는 투과영역(32)의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 전체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적색 서브화소(Pr), 녹색 서브화소(Pg) 및 청색 서브화소(Pb)의 투과영역(32)이 모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색 서브화소(Pr), 녹색 서브화소(Pg) 및 청색 서브화소(Pb) 중 서로 인접한 어느 두 서브 화소들의 투과영역(32)들만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서브화소들(Pr)(Pg)(Pb) 중 어느 한 서브 화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화소영역(31)의 화소회로부(311)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가 배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R)가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박막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 픽셀 회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이 화소 회로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 외에도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들과 연결된 스캔 라인, 데이터 라인 및 Vdd 라인 등의 배선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화소영역의 발광부(312)에는 발광 소자인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이 유기발광소자(EL)는 픽셀 회로의 박막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먼저, 제1기판(1) 상에는 버퍼막(211)이 형성되고, 이 버퍼막(211)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한 픽셀 회로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버퍼막(211) 상에는 반도체활성층(212) 이 형성된다.
상기 버퍼막(211)은 불순 원소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버퍼막(211)은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알루미늄옥사이드, 알루미늄나이트라이드, 티타늄옥사이드 또는 티타늄나이트라이드 등의 무기물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유기물 또는 이들의 적층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막(211)은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활성층(212)은 다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G-I-Z-O층[(In2O3)a(Ga2O3)b(ZnO)c층](a, b, c는 각각 a≥0, b≥0, c>0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실수)일 수 있다. 이렇게 반도체활성층(212)을 산화물 반도체로 형성할 경우에는 화소영역(31) 중 화소회로부(311)에서의 광투과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전체의 외광 투과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반도체활성층(212)을 덮도록 게이트절연막(213)이 버퍼막(211) 상에 형성되고, 게이트절연막(213) 상에 게이트전극(214)이 형성된다.
게이트전극(214)을 덮도록 게이트절연막(213) 상에 층간절연막(215)이 형성되고, 이 층간절연막(215) 상에 소스전극(216)과 드레인전극(217)이 형성되어 각각 반도체활성층(212)과 콘택홀을 통해 콘택된다.
상기와 같은 박막트랜지스터(TR)의 구조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박막트랜지스터의 구조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도록 패시베이션막(218)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막(218)은 상면이 평탄화된 단일 또는 복수층의 절연막이 될 수 있다. 이 패시베이션막(218)은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18)은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시베이션막(218)은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투과영역(32)의 외광 투과 효율을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18)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EL)의 제1전극(221)이 형성된다. 제1전극(221)은 모든 서브 픽셀들 별로 독립된 아일랜드 형태로 형성된다. 제1전극(221)은 화소영역(31) 내의 발광부(312)에 위치하며, 화소회로부(311)와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패시베이션막(218) 상에는 유기 및/또는 무기 절연물로 구비된 화소정의막(219)이 형성된다.
화소정의막(219)은 제1전극(221)의 가장자리를 덮고 중앙부는 노출시키도록 제3개구부(219a)를 갖는다. 한편, 이 화소정의막(219)은 화소영역(31)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반드시 화소영역(31) 전체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부, 특히, 제1전극(22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하면 충분하다. 이 화소정의막(219)은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구부(219b)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219)이 투과영역(32)에는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투과영역(32)의 외광 투과 효율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18)과 화소정의막(219)은 모두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절연막이 투명한 물질로 구비됨으로써, 투명표시소자(10)의 외광 투과 효율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3개구부(219a)를 통해 노출된 제1전극(221) 상에는 유기막(223)과 제2전극(222)이 순차로 적층된다. 제2전극(222)은 제1전극(221)과 대향되어, 유기막(223)과 화소정의막(219)을 덮으며 화소영역(31) 내에 위치한다. 제2전극(222)은 적어도 화소영역(31)에 형성되고,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개구부(222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전극(222)이 투과영역(32)에는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투과영역(32)의 외광 투과 효율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1개구부(222a)와 제2개구부(219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유기막(223)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다. 저분자 유기막을 사용할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저분자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은 공통층으로서, 적, 녹, 청색의 픽셀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1전극(22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제2전극(222)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데, 물론, 이들 제1전극(221)과 제2전극(222)의 극성은 서로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전극(221)은 투명 전극이 될 수 있고, 상기 제2전극(222)은 반사 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221)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한 도전성물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전극(222)은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또는 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EL)는 제1전극(221)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이 된다. 이 경우 제2전극(222)도 디스플레이부 전체에 전압 강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충분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대면적 표시장치(100)에 적용하기에 충분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표시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100)와 상이하게, 투명표시소자(10)가 전면발광(top emission)하는 유기발광표시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투명표시소자(10)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리타더(41) 및 제1편광기(51)는 투명표시소자(10)가 광을 방출하는 제2기판(2)의 외측에 배치된다. 한편, 투명표시소자(10)로부터 순차적으로 패턴리타더(42) 및 제2편광기(52)는 투명표시소자(10)가 광을 방출하지 않는 쪽인 제1기판(1)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200)가 광을 투과하는 투과모드(transparent mode)일 때, 화상이 구현되는 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제1기판(1) 외측으로부터 제2기판(2) 외측으로 투과되는 제1외광(61)을 통해 제1기판(1)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한편, 화상이 구현되는 반대측에 위치한 사용자도 제2기판(2)의 외측으로부터 제1기판(2)의 외측으로 투과되는 제2외광(62)을 통해 제2기판(2)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외광(61)은 화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오는 외광이며, 제2외광(62)은 제1외광(61)과 방향이 반대인 외광이다.
또한, 표시장치(200)가 광을 투과하지 않는 블랙모드(black mode)일 때, 화상이 구현되는 측에 위치한 사용자는 제1판(1)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다. 한편, 화상이 구현되는 반대측에 위치한 사용자도 제2기판(2) 외측의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10)에 포함된 화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화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화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화소와 달리, 화소영역(31)에 포함되는 화소회로부(311)와 발광부(312)가 서로 중첩하도록 배치된다. 발광부(312)가 제2기판(2)의 방향으로 전면발광하므로, 화소회로부(311)와 발광부(312)가 서로 중첩하여도 무방하다. 이에 더하여, 발광부(312)가 픽셀 회로를 포함하는 화소회로부(311)를 가려줌으로써, 픽셀 회로에 의한 광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투과영역(32)은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서브화소들(Pr)(Pg)(Pb) 별로 독립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서브화소들(Pr)(Pg)(Pb)에 걸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서브화소들(Pr)(Pg)(Pb) 중 어느 한 서브 화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화소회로부(311)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가 배치되고, 발광부(312)에는 발광 소자인 유기발광소자(EL)가 배치된다.
제1기판(1) 상에, 버퍼막(211)이 형성되고, 버퍼막(211) 상에 반도체활성층(212)이 형성되며, 반도체활성층(212) 상에 게이트절연막(213), 게이트전극(214), 층간절연막(215)이 형성된다. 층간절연막(215) 상에는 소스 드레인전극(216, 217)이 형성된다.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TR)를 덮도록 절연막의 일종인 패시베이션막(218)이 형성된다. 패시베이션막(218)은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패시베이션막(218)은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투과영역의 외광 투과 효율을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18)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소자(EL)의 제1전극(221)이 형성된다. 제1전극(221)은 화소영역(31) 내의 발광부(312)에 위치하며, 화소회로부(311)와 중첩되어 화소회로부(311)를 가리도록 배치된다.
패시베이션막(218) 상에는 유기 및/또는 무기 절연물로 구비된 화소정의막(219)이 형성된다.
화소정의막(219)은 제1전극(221)의 가장자리를 덮고 중앙부는 노출시키도록 제3개구부(219a)를 갖는다. 한편, 이 화소정의막(219)은 화소영역(31)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는 데, 반드시 화소영역(31) 전체를 덮도록 구비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일부, 특히, 제1전극(221)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하면 충분하다. 이 화소정의막(219)은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구부(219b)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219)이 투과영역(32)에는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투과영역(32)의 외광 투과 효율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218)과 화소정의막(219)은 모두 투명한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절연막이 투명한 물질로 구비됨으로써, 투명표시소자(10)의 외광 투과 효율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제3개구부(219a)를 통해 노출된 제1전극(221) 상에는 유기막(223)과 제2전극(222)이 순차로 적층된다. 제2전극(222)은 적어도 화소영역(31)에 형성되고, 투과영역(32)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개구부(222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전극(222)이 투과영역(32)에는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투과영역(32)의 외광 투과 효율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제1개구부(222a)와 제2개구부(219b)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제1전극(221)은 투명한 도전체와 반사막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전극(222)은 반반사 반투과 전극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한 도전체는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반사막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Mo 및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전극(221)은 화소영역(31) 내에 형성된다.
제2전극(222)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Mo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전극(222)은 투과율이 높도록 100 내지 300Å 두께의 박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EL)는 제2전극(222)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300)는 태블릿 컴퓨터, 미디어 저장장치, 휴대폰, 개인휴대단말 등의 영상을 처리 및 표시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표시장치(300)는 제1편광기(51), 제1리타더(41), 투명표시소자(10), 패턴리타더(42) 및 제2편광기(52)를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표시장치(300)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표시장치(100, 200)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시장치(300)는 제어부(70) 및 위치 변경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7의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투명표시소자(10)는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이 열 방향(y축)으로 반복 배열된 패턴을 갖는다. 패턴리타더(42)는 제2리타더(421)와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에 대응하여 열 방향으로 반복 배열된 패턴을 갖는다.
제어부(70)는 투명표시소자(10)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 IC(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버 IC는 투명표시소자(10)의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다수의 스캔 라인(S)으로 스캔 신호를 인가하는 스캔 드라이버,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D)으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0)는 외광의 투과율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위치 변경부(80)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 변경부(80)는 제어 신호에 따라, 패턴리타더(42)를 소정 거리 기계적/물리적으로 이동시켜, 투명표시소자(10)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화시킨다. 예를 들어, 위치 변경부(80)는 패턴리타더(42)를 수직 방향(y축)으로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투명표시소자(10)를 투과하는 외광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패턴리타더(42)의 위치 변화량(이동 거리)은 대략 화소 피치(pitch)의 절반(1/2)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패턴리타더(42)의 위치 변화량은 약 200㎛일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도 11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의 점선은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위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패턴리타더(42)는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장치(300)는 위치 변경부(80)를 이용하여, 패턴리타더(42)를 수직 방향(y축)으로 상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시켜 외광의 투과율을 제어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리타더(42)는 아래로 소정 거리 이동되거나,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리타더(42)는 위로 소정 거리 이동되어, 패턴리타더(42)의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기에 패턴리타더(42)는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리타더(42)를 위 또는 아래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패턴리타더(42)는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표시장치(400)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장치(300)와 달리, 투명표시소자(10)는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이 행 방향(x축)으로 반복 배열된 패턴을 갖고, 패턴리타더(42)는 제2리타더(421)와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과 투과영역(32)에 대응하여 행 방향으로 반복 배열된 패턴을 갖는다. 따라서, 위치 변경부(80)는 제어부(70)가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패턴리타더(42)를 수평 방향(x축)으로 좌우 이동시킴으로써, 투명표시소자(10)를 투과하는 외광의 투과율을 제어할 수 있다. 패턴리타더(42)의 위치 변화량(이동 거리)은 대략 화소 피치(pitch)의 절반(1/2)에 대응한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11의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도 13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의 점선은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위치 대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에, 패턴리타더(42)는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표시장치(300)는 위치 변경부(80)를 이용하여,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리타더(42)를 왼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거나,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리타더(42)를 오른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패턴리타더(42)의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초기에 패턴리타더(42)는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패턴리타더(42)를 좌 또는 우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패턴리타더(42)는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 대응하고, 입사광을 -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과 리타더의 조합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광 투과율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 화상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즉 전면입사광인 제2외광(62)과, 화상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즉 후면입사광인 제1외광(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2a 또는 14a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광 투과율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어된다. 제1리타더(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위상지연기이다. 따라서, 제1리타더(41)와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는 입사광을 절대값의 크기는 같으나 방향이 상이하도록 위상 지연시킨다. 이에 더하여, 제1편광기(51)와 제2편광기(52)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제2외광(62)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2a외광(62a)이 된다. 제2a외광(62a)은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b외광(62b)이 된다. 제2b외광(62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c외광(62c)이 된다. 제2c외광(62c)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2d외광(62d)이 된다.
제1외광(61)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1a외광(61a)이 된다. 제1a외광(61a)은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b외광(61b)이 된다. 제1b외광(61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c외광(61c)이 된다. 제1c외광(61c)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1d외광(61d)이 된다.
결과적으로, 도 15와 같이, 제1편광기(51) 및 제2편광기(52)가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고, 패턴리타더(42)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는 리타더가 제1리타더(41)와 서로 상이한 위상 지연값을 가지도록 패턴리타더(42)의 위치가 제어되는 경우, 제1외광(61) 및 제2외광(62)은 투과된다. 즉, 패턴리타더(42)의 위치 제어에 의해 투과되는 외광의 위상 지연값을 결정함으로써 표시장치의 투과모드(transparent mode)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16은 도 12b, 12c, 14b 또는 14c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광 투과율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어된다. 제1리타더(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위상지연기이다. 따라서, 제1리타더(41)와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는 입사광을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방향으로 위상 지연시킨다. 이에 더하여, 제1편광기(51)와 제2편광기(52)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제2외광(62)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2a외광(62a)이 된다. 제2a외광(62a)은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b외광(62b)이 된다. 제2b외광(62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c외광(62c)이 된다. 제2c외광(62c)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제1편광기(51)와 같은 방향으로 선형편광되어 제2c외광(62c)은 차단된다.
제1외광(61)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1a외광(61a)이 된다. 제1a외광(61a)은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b외광(61b)이 된다. 제1b외광(61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c외광(61c)이 된다. 제1c외광(61c)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제2편광기(52)와 같은 방향으로 선형편광되어 제1c외광(61c)은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도 16과 같이, 제1편광기(51) 및 제2편광기(52)가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고, 패턴리타더(42)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는 리타더가 제1리타더(41)와 서로 동일한 위상 지연값을 가지도록 위치 제어되는 경우, 제1외광(61) 및 제2외광(62)은 차단된다. 즉, 패턴리타더(42)의 위치 제어에 의해 투과되는 외광의 위상 지연값을 결정함으로써 표시장치(300)의 블랙모드(black mode)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 화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5 및 도 16과 같이, 제1편광기(51) 및 제2편광기(52)가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고, 패턴리타더(42)의 물리적 이동에 의해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표시장치(300)의 투과모드(transparent mode)와 블랙모드(black mode) 스위칭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과 리타더의 조합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광 투과율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에서, 화상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즉 전면입사광인 제2외광(62)과, 화상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즉 후면입사광인 제1외광(6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2a 또는 14a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광 투과율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어된다. 제1리타더(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위상지연기이다. 따라서, 제1리타더(41)와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는 입사광을 절대값의 크기는 같으나 방향이 상이하도록 위상 지연시킨다. 이에 더하여, 제1편광기(51)와 제2편광기(52)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제2외광(62)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2a외광(62a)이 된다. 제2a외광(62a)은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b외광(62b)이 된다. 제2b외광(62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패턴리타더(42)의 제2리타더(421)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c외광(62c)이 된다. 제2c외광(62c)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제1편광기(51)와 다른 방향으로 선형편광되어 제2c외광(62c)은 차단된다.
제1외광(61)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1a외광(61a)이 된다. 제1a외광(61a)은 제2리타더(421)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b외광(61b)이 된다. 제1b외광(61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c외광(61c)이 된다. 제1c외광(61c)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제2편광기(52)와 다른 방향으로 선형편광되어 제1c외광(61c)은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도 16과 같이, 제1편광기(51) 및 제2편광기(52)가 서로 수직인 편광축을 가지고, 패턴리타더(42)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는 리타더가 제1리타더(41)와 서로 상이한 위상 지연값을 가지도록 패턴리타더(42)의 위치가 제어되는 경우, 제1외광(61) 및 제2외광(62)은 차단된다. 즉, 패턴리타더(42)의 위치 제어에 의해 투과되는 외광의 위상 지연값을 결정함으로써 표시장치(300)의 블랙모드(black mode)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 화상을 볼 수 있다.
도 18은 도 12b, 12c, 14b 또는 14c에 도시된 투명표시소자와 패턴리타더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광 투과율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인 위치가 제어된다. 제1리타더(4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사광을 +1/4파장(+λ/4) 만큼 지연시키는 위상지연판이다. 따라서, 제1리타더(41)와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는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방향으로 위상 지연시킨다. 이에 더하여, 제1편광기(51)와 제2편광기(52)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다.
제2외광(62)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2a외광(62a)이 된다. 제2a외광(62a)은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b외광(62b)이 된다. 제2b외광(62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2c외광(62c)이 된다. 제2c외광(62c)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제1편광기(51)와 다른 방향으로 선형편광되어 제2d외광(62d)이 된다.
제1외광(61)은 제2편광기(52)를 지나면서 선형편광된 제1a외광(61a)이 된다. 제1a외광(61a)은 패턴리타더(42)의 제3리타더(422)를 지나면서 위상이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b외광(61b)이 된다. 제1b외광(61b)은 투명표시소자(10)의 투과영역(32)을 통과하고, 제1리타더(41)를 지나면서 위상이 다시 +1/4파장(+λ/4)만큼 지연된 제1c외광(61c)이 된다. 제1c외광(61c)은 제1편광기(51)를 지나면서 제2편광기(52)와 다른 방향으로 선형편광되어 제1d외광(61d)이 된다.
결과적으로, 도 18과 같이, 제1편광기(51) 및 제2편광기(52)가 서로 수직인 편광축을 가지고, 패턴리타더(42)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는 리타더가 제1리타더(41)와 동일한 위상 지연값을 가지도록 위치 제어되는 경우, 제1외광(61) 및 제2외광(62)은 투과된다. 즉, 패턴리타더(42)의 위치 제어에 의해 위상 지연값을 결정함으로써 표시장치(300)의 투과모드(transparent mode)를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투명표시소자(10)의 화소영역(31)에서 방출되는 광에 의해, 화상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7 및 도 18과 같이, 제1편광기(51) 및 제2편광기(52)가 서로 수직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고, 패턴리타더(42)의 물리적 이동에 의해 투명표시소자(10)와 패턴리타더(42)의 상대적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표시장치(300)의 블랙모드(black mode) 및 투과모드(transparent mode)의 스위칭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의 표시장치(500)는 투명표시장치(10)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제1원편광기(71)를 배치하고, 투명표시장치(10)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제2원편광기(72)를 배치한다. 제1원편광기(71)는 전술된 표시장치들(100 내지 400)의 제1리타더(41) 및 제1편광기(51)의 조합을 대체하고, 제2원편광기(72)는 패턴리타더(42) 및 제2편광기(52)의 조합을 대체한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들(100 내지 400)의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 및 동작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원편광기(71)는 입사되는 광을 +1/4파장(+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며 원형편광시킨다. 제2원편광기(72)는 제1원편광기(72)와 동일 또는 수직 방향의 편광축을 가지고, 입사되는 광을 -1/4파장(-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1지연영역과 입사되는 광을 +1/4파장(+λ/4)만큼 위상 지연시키는 제2지연영역이 반복 형성된 패턴을 갖는다. 제1지연영역과 제2지연영역은 서로 연신축이 수직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500)는 제2원편광기(72)의 패턴 방향에 따라 제1지연영역 또는 제2지연영역이 투명표시소자의 투과영역(32)에 대응하도록, 위치 변경부(80)에 의해 제2원편광기(72)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표시장치(500)의 외광을 투과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도 19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500)는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 내지 400)들이 리타더와 선편광기를 배치하는 2회의 공정을 원편광기를 배치하는 1회의 공정으로 줄여 표시장치(5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리타더의 AR(Anti-Reflect) 특성을 별도로 맞출 필요가 없이, 원편광기에서 AR 특성을 맞춤으로써 공정이 간소화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표시장치
10: 투명표시소자 31: 화소영역 (제1영역)
32: 투과영역 (제2영역) 41: 제1리타더
42: 패턴리타더 421: 제2리타더
422: 제3리타더 51: 제1편광기
52: 제2편광기 61: 제1외광
62: 제2외광 70: 제어부
80: 위치변경부

Claims (30)

  1.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의 위상을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 및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와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가 교대로 배열된 패턴리타더;를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타더는 상기 외광의 파장을 상기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투과시키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2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차단하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차단하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며,
    상기 제2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의 위치가 조절되면,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외광을 투과하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패턴리타더의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가 상기 투명표시소자에 대응하여 수직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리타더를 위 또는 아래 방향으로 화소 피치의 절반만큼 이동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패턴리타더의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가 상기 투명표시소자에 대응하여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리타더를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화소 피치의 절반만큼 이동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의 연신축이 서로 수직인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타더의 개수와 상기 제3리타더의 개수의 합은 상기 제2영역의 개수의 2배보다 1이 많은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타더의 개수가 상기 제3리타더의 개수보다 1이 많거나, 상기 제3리타더의 개수가 상기 제2리타더의 개수보다 1이 많은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6.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이 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며 원형편광시키는 제1원편광기; 및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을 상기 제1위상으로 지연시키는 제1지연영역과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지연영역이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상기 외광을 상기 제1위상 또는 상기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며 원편광시키는 제2원편광기;를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편광기는,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와, 제1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의 파장을 상기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원편광기는,
    상기 투명표시소자가 방출하는 광 경로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의 파장을 상기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와 상기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가 교대로 배열된 패턴리타더를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고,
    상기 제1원편광기와 상기 제2원편광기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원편광기의 상기 제1지연영역 또는 제2지연영역이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원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하고,
    상기 제1원편광기와 상기 제2원편광기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원편광기의 상기 제1지연영역 또는 제2지연영역이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원편광기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을 갖고,
    상기 제2원편광기의 제1지연영역과 제2지연영역이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패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을 갖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1.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을 밀봉하는 제2기판을 구비하는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1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2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 및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와 제3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를 교대로 반복 배열한 패턴리타더;를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동일하고,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3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한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리타더 또는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리타더 또는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을 갖고,
    상기 패턴리타더의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패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패턴을 갖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6. 광을 방출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영역과 인접하여 외광을 투과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화소가 형성된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을 밀봉하는 제2기판을 구비하는 투명표시소자;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2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1편광기;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제1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1리타더;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기판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외광을 선형편광시키는 제2편광기; 및
    상기 제2편광기와 상기 제1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외광의 파장을 제2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2리타더와 제3위상만큼 지연시키는 제3리타더를 교대로 반복 배열한 패턴리타더;를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2위상은 동일하고,
    상기 제1위상과 상기 제3위상은 절대값은 같고, 회전방향은 상이한 것인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리타더 또는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차단 또는 투과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기와 상기 제2편광기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편광축을 갖고,
    상기 제2리타더 또는 상기 제3리타더가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패턴리타더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상대적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외광을 투과 또는 차단시키는 위치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패턴을 갖고,
    상기 패턴리타더의 제2리타더와 제3리타더가 상기 투명표시소자의 패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패턴을 갖는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KR1020120061081A 2012-06-07 2012-06-07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KR101338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81A KR101338250B1 (ko) 2012-06-07 2012-06-07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US13/765,816 US9164211B2 (en) 2012-06-07 2013-02-13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transmittance
TW102108482A TWI580026B (zh) 2012-06-07 2013-03-11 能控制透光率之顯示設備
EP13165955.9A EP2672541A3 (en) 2012-06-07 2013-04-30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light transmittance
CN201310198817.XA CN103489891B (zh) 2012-06-07 2013-05-24 能控制透光率的显示设备
JP2013115057A JP2013254734A (ja) 2012-06-07 2013-05-31 光透過率制御の可能な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081A KR101338250B1 (ko) 2012-06-07 2012-06-07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250B1 true KR101338250B1 (ko) 2013-12-09

Family

ID=4832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081A KR101338250B1 (ko) 2012-06-07 2012-06-07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4211B2 (ko)
EP (1) EP2672541A3 (ko)
JP (1) JP2013254734A (ko)
KR (1) KR101338250B1 (ko)
CN (1) CN103489891B (ko)
TW (1) TWI580026B (ko)

Cited B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241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60032763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6197019A1 (en) * 2015-06-04 2016-12-08 Jian Li Transparent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controlled one-side emissive displays
KR20170079933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0033003B2 (en) 2014-11-10 2018-07-2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metal complexes with carbon group bridging ligands
US10158091B2 (en) 2015-08-04 2018-12-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and palladium (II) complexes, devices, and uses thereof
US10177323B2 (en) 2016-08-22 2019-01-0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and palladium (II) complexes and octahedral iridium complexes employing azepine functional groups and their analogues
US10263197B2 (en) 2010-04-30 2019-04-16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nthesis of four coordinated palladium complexes and their applications in light emitting devices thereof
US10414785B2 (en) 2011-04-14 2019-09-17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Pyridine-oxyphenyl coordinated iridium (III) complex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0804476B2 (en) 2011-05-26 2020-10-13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nthesis of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es as narrow-band phosphorescent emitters for full color displays
US10822363B2 (en) 2016-10-12 2020-11-0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Narrow band red phosphorescent tetradentate platinum (II) complexes
US10886478B2 (en) 2014-07-24 2021-01-0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complexes cyclometalated with functionalized phenyl carbene ligands and their analogues
US10991897B2 (en) 2014-11-10 2021-04-2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mitters based on octahedral metal complexes
US10995108B2 (en) 2012-10-26 2021-05-0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 complexes, methods, and uses thereof
US11011712B2 (en) 2014-06-02 2021-05-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cyclometalated platinum complexes containing 9,10-dihydroacridine and its analogues
US11063228B2 (en) 2017-05-19 2021-07-1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assisted delayed fluorescent emitters employing benzo-imidazo-phenanthridine and analogues
US11101435B2 (en) 2017-05-19 2021-08-2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es based on biscarbazole and analogues
US11114626B2 (en) 2012-09-24 2021-09-0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 compounds, methods, and uses thereof
US11183670B2 (en) 2016-12-16 2021-11-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split emissive layer
US11189808B2 (en) 2013-10-14 2021-11-3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Platinum complexes and devices
US11329244B2 (en) 2014-08-22 2022-05-1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fluorescent and phosphorescent emitters
US11335865B2 (en) 2016-04-15 2022-05-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OLED with multi-emissive material layer
US11472827B2 (en) 2015-06-03 2022-10-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and octahedral metal complexes containing naphthyridinocarbazole and its analogues
US11594688B2 (en) 2017-10-17 2023-02-2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Display and lighting devices comprising phosphorescent excimers with preferred molecular orientation as monochromatic emitters
US11594691B2 (en) 2019-01-25 2023-02-2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Light outcoupling efficiency of phosphorescent OLEDs by mixing horizontally aligned fluorescent emitters
US11647643B2 (en) 2017-10-17 2023-05-09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Hole-blocking material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11708385B2 (en) 2017-01-27 2023-07-2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assisted delayed fluorescent emitters employing pyrido-pyrrolo-acridine and analogues
US11785838B2 (en) 2019-10-02 2023-10-1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Green and r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employing excimer emitters
WO2023219457A1 (ko) * 2022-05-13 2023-1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US11878988B2 (en) 2019-01-24 2024-01-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Blue phosphorescent emitters employing functionalized imidazophenthridine and analogues
US11917862B2 (en) 2021-08-02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US11930698B2 (en) 2014-01-07 2024-03-1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 emitters containing phenyl-pyrazole and its analogues
US11945985B2 (en) 2020-05-19 2024-04-0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 assisted delayed fluorescent emitter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12037348B2 (en) 2018-03-09 2024-07-16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Blue and narrow band green and red emitting metal complexes
US12043611B2 (en) 2014-08-15 2024-07-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Non-platinum metal complexes for excimer based single dopant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12091429B2 (en) 2018-07-16 2024-09-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Fluorinated porphyrin derivatives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44228B (zh) * 2014-04-21 2016-08-01 王仁宏 光學模組及用於光學裝置之光學功能膜
US10615376B2 (en) * 2014-07-31 2020-04-07 Basf Coatings Gmbh Encapsulation structure for an OLED display incorporating antireflection properties
CN105336759B (zh) * 2014-08-06 2018-06-29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
CN105353533B (zh) * 2014-08-20 2019-11-1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使用其的显示设备
CN104201292B (zh) 2014-08-27 2019-02-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2254582B1 (ko) 2014-10-02 2021-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8907B1 (ko) 2015-02-13 2021-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319689B1 (ko) * 2015-05-07 2021-11-0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돔 카메라 시스템
US10576081B2 (en) * 2015-08-20 2020-03-03 Apple Inc. Self-emissive display with switchable retarder for high contrast
US10230048B2 (en) * 2015-09-29 2019-03-12 X-Celeprint Limited OLEDs for micro transfer printing
CN105259708B (zh) * 2015-11-20 2018-09-1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透明显示器
KR102416742B1 (ko) * 2015-12-21 2022-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JP6716913B2 (ja) * 2015-12-25 2020-07-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機能層付カラーフィルタ基材
CN105510999B (zh) * 2016-01-28 2019-05-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减反射结构及其制造方法、显示器及其制造方法
KR102651055B1 (ko) * 2016-03-24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11137641B2 (en) 2016-06-10 2021-10-05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structure with polarized light emission
JP6719558B2 (ja) * 2016-06-30 2020-07-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10505145B2 (en) * 2016-07-26 2019-12-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JP2018073761A (ja) * 2016-11-04 2018-05-1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CN106997931A (zh) * 2017-03-29 2017-08-01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以及oled显示装置
CN111869325B (zh) * 2018-03-16 2023-06-16 富士胶片株式会社 电致发光显示装置
KR20200097871A (ko) * 2019-02-08 2020-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752249B (zh) * 2019-11-20 2022-08-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显示面板
CN111312774A (zh) * 2020-02-25 2020-06-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220169518A (ko) * 2021-06-18 2022-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275B1 (ko) 1997-12-26 2001-03-02 마찌다 가쯔히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64293A (ko) * 1999-09-28 2002-08-07 샤프 레버러토리즈 오브 유럽 리미티드 액정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JP2005114983A (ja) 2003-10-07 2005-04-2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060847A (ko) * 2003-12-17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광학 필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403092D0 (en) * 1984-02-06 1984-03-07 Gardner H I Polarshade
US6295109B1 (en) * 1997-12-26 2001-09-25 Sharp Kabushiki Kaisha LCD with plurality of pixels having reflective and transmissive regions
US6835504B2 (en) * 2002-05-13 2004-12-28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Photomask with illumination control over patterns having varying structural densities
KR100518426B1 (ko) 2003-03-27 2005-09-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GB2403023A (en) * 2003-06-20 2004-12-22 Sharp Kk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4316960B2 (ja) * 2003-08-22 2009-08-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装置
KR101259685B1 (ko) 2004-11-12 2013-05-02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셀 내 패턴화된 1/4-파장 지연판을 갖는 반투과성 수직정렬 액정 디스플레이
KR101197759B1 (ko) 2005-08-30 2012-1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반사투과형 횡전계 모드 액정표시장치
WO2007063782A1 (en) * 2005-11-30 2007-06-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2007180024A (ja) * 2005-11-30 2007-07-12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TW200732733A (en) * 2006-02-17 2007-09-01 Ind Tech Res Inst Hybrid display
EP2159610B1 (en) * 2007-06-15 2015-06-10 Kaneka Corporation Optical element, display device, and optical device
KR20110101980A (ko) * 2010-03-10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07586B1 (ko) 2011-04-25 2014-06-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드에 따라 광반사율을 변화시키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85698B1 (ko) 2011-06-27 2018-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3275B1 (ko) 1997-12-26 2001-03-02 마찌다 가쯔히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64293A (ko) * 1999-09-28 2002-08-07 샤프 레버러토리즈 오브 유럽 리미티드 액정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JP2005114983A (ja) 2003-10-07 2005-04-28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50060847A (ko) * 2003-12-17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광학 필름 어셈블리

Cited B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7422B2 (en) 2010-04-30 2020-07-2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nthesis of four coordinated palladium complexes and their applications in light emitting devices thereof
US10263197B2 (en) 2010-04-30 2019-04-16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nthesis of four coordinated palladium complexes and their applications in light emitting devices thereof
US10414785B2 (en) 2011-04-14 2019-09-17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Pyridine-oxyphenyl coordinated iridium (III) complex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US11121328B2 (en) 2011-05-26 2021-09-1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nthesis of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es as narrow-band phosphorescent emitters for full color displays
US10804476B2 (en) 2011-05-26 2020-10-13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ynthesis of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es as narrow-band phosphorescent emitters for full color displays
US11114626B2 (en) 2012-09-24 2021-09-0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 compounds, methods, and uses thereof
US12043633B2 (en) 2012-10-26 2024-07-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 complexes, methods, and uses thereof
US10995108B2 (en) 2012-10-26 2021-05-0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 complexes, methods, and uses thereof
US11189808B2 (en) 2013-10-14 2021-11-3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Platinum complexes and devices
US11930698B2 (en) 2014-01-07 2024-03-1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 emitters containing phenyl-pyrazole and its analogues
KR102160157B1 (ko) * 2014-01-13 2020-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84241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1839144B2 (en) 2014-06-02 2023-12-0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cyclometalated platinum complexes containing 9,10-dihydroacridine and its analogues
US11011712B2 (en) 2014-06-02 2021-05-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cyclometalated platinum complexes containing 9,10-dihydroacridine and its analogues
US10886478B2 (en) 2014-07-24 2021-01-0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complexes cyclometalated with functionalized phenyl carbene ligands and their analogues
US12082486B2 (en) 2014-07-24 2024-09-0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complexes cyclometalated with functionalized phenyl carbene ligands and their analogues
US12043611B2 (en) 2014-08-15 2024-07-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Non-platinum metal complexes for excimer based single dopant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11329244B2 (en) 2014-08-22 2022-05-1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fluorescent and phosphorescent emitters
KR102166502B1 (ko) 2014-09-16 2020-10-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32763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033003B2 (en) 2014-11-10 2018-07-2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metal complexes with carbon group bridging ligands
US10944064B2 (en) 2014-11-10 2021-03-09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metal complexes with carbon group bridging ligands
US11653560B2 (en) 2014-11-10 2023-05-16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metal complexes with carbon group bridging ligands
US11856840B2 (en) 2014-11-10 2023-12-26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mitters based on octahedral metal complexes
US10991897B2 (en) 2014-11-10 2021-04-2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Emitters based on octahedral metal complexes
US11472827B2 (en) 2015-06-03 2022-10-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and octahedral metal complexes containing naphthyridinocarbazole and its analogues
US11930662B2 (en) 2015-06-04 2024-03-1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ransparent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controlled one-side emissive displays
WO2016197019A1 (en) * 2015-06-04 2016-12-08 Jian Li Transparent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controlled one-side emissive displays
US10930865B2 (en) 2015-08-04 2021-02-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and palladium (II) complexes, devices, and uses thereof
US10158091B2 (en) 2015-08-04 2018-12-1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and palladium (II) complexes, devices, and uses thereof
KR20170079933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90627B1 (ko) * 2015-12-31 2023-0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11335865B2 (en) 2016-04-15 2022-05-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OLED with multi-emissive material layer
US10177323B2 (en) 2016-08-22 2019-01-0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II) and palladium (II) complexes and octahedral iridium complexes employing azepine functional groups and their analogues
US10822363B2 (en) 2016-10-12 2020-11-0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Narrow band red phosphorescent tetradentate platinum (II) complexes
US11183670B2 (en) 2016-12-16 2021-11-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split emissive layer
US11708385B2 (en) 2017-01-27 2023-07-2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assisted delayed fluorescent emitters employing pyrido-pyrrolo-acridine and analogues
US11063228B2 (en) 2017-05-19 2021-07-1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assisted delayed fluorescent emitters employing benzo-imidazo-phenanthridine and analogues
US11101435B2 (en) 2017-05-19 2021-08-24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es based on biscarbazole and analogues
US11974495B2 (en) 2017-05-19 2024-04-3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Tetradentate platinum and palladium complexes based on biscarbazole and analogues
US12010908B2 (en) 2017-05-19 2024-06-11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assisted delayed fluorescent emitters employing benzo-imidazo-phenanthridine and analogues
US11594688B2 (en) 2017-10-17 2023-02-2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Display and lighting devices comprising phosphorescent excimers with preferred molecular orientation as monochromatic emitters
US12120945B2 (en) 2017-10-17 2024-10-1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Display and lighting devices comprising phosphorescent excimers with preferred molecular orientation as monochromatic emitters
US11647643B2 (en) 2017-10-17 2023-05-09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Hole-blocking material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12037348B2 (en) 2018-03-09 2024-07-16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Blue and narrow band green and red emitting metal complexes
US12091429B2 (en) 2018-07-16 2024-09-17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Fluorinated porphyrin derivatives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US11878988B2 (en) 2019-01-24 2024-01-2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Blue phosphorescent emitters employing functionalized imidazophenthridine and analogues
US11594691B2 (en) 2019-01-25 2023-02-28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Light outcoupling efficiency of phosphorescent OLEDs by mixing horizontally aligned fluorescent emitters
US12082490B2 (en) 2019-01-25 2024-09-03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Light outcoupling efficiency of phosphorescent OLEDs by mixing horizontally aligned fluorescent emitters
US11785838B2 (en) 2019-10-02 2023-10-10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Green and r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employing excimer emitters
US12120946B2 (en) 2019-10-02 2024-10-15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Green and r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employing excimer emitters
US11945985B2 (en) 2020-05-19 2024-04-0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al assisted delayed fluorescent emitter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11917862B2 (en) 2021-08-02 2024-02-2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WO2023219457A1 (ko) * 2022-05-13 2023-11-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01500A (zh) 2014-01-01
JP2013254734A (ja) 2013-12-19
EP2672541A3 (en) 2016-09-14
US9164211B2 (en) 2015-10-20
EP2672541A2 (en) 2013-12-11
CN103489891B (zh) 2017-10-24
TWI580026B (zh) 2017-04-21
US20130329288A1 (en) 2013-12-12
CN103489891A (zh) 2014-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250B1 (ko)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KR101885698B1 (ko)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KR102080007B1 (ko)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장치
KR102283456B1 (ko) 광투과율 제어가 가능한 표시 장치
KR101407586B1 (ko) 모드에 따라 광반사율을 변화시키는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896312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1564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3503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146418B2 (en) Display device
US20160365401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KR2012005291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3032894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60084005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87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