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03010B1 -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 Google Patents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3010B1
KR101203010B1 KR1020120068486A KR20120068486A KR101203010B1 KR 101203010 B1 KR101203010 B1 KR 101203010B1 KR 1020120068486 A KR1020120068486 A KR 1020120068486A KR 20120068486 A KR20120068486 A KR 20120068486A KR 101203010 B1 KR101203010 B1 KR 10120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emitter
signal
resistor
coll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김현진
이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알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알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알디텍
Priority to KR102012006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3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30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4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 H03F3/343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3432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bipolar transistors
    • H03F3/3435DC amplifiers in which all stages are DC-coupled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bipolar transistors using Darlington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bipolar transist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99A parallel resonance being added in shunt in the output circuit, e.g. base, gate, of an amplifier s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는, 베이스로 RF신호를 입력받으며 에미터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1)가 흐르게 하여 에미터로 상기 베이스에 입력된 RF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컬렉터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2)가 흐르게 하여 컬렉터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변화에 반대하는 역방향 전압으로 동작하여 전류변화를 방지하는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의 접속노드에 병렬연결로 결합하는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과전압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압 방지 저항소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달링톤 증폭기를 구성하는 복수개 트랜지스터 사이에 그라운드와 연결된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를 병렬로 연결시켜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선형성을 향상시킨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 LINEARITY IMPROVED DARLINGTON AMPLIFIER CIRCUIT }
본 발명은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미터 전류가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입력되는 구조를 가지며 RF신호를 증폭시키는 달링톤 증폭기를 구성하는 복수개 트랜지스터 사이에 선형화기 LC공진회로를 병렬로 연결시켜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선형성을 향상시킨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달링톤 증폭기는 2개의 NPN형 트랜지스터(Q1,Q2)와 4개의 저항(R1~R4)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달링톤 증폭기를 구성하는 2개의 NPN형 트랜지스터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RF신호가 입력되고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가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가 RF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저항 R1, R4는 전압 분배의 역할을 수행하여 바이어스 지점을 결정하고 임피던스 매칭과 이득 및 선형성을 결정하는 피드백 효과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저항 R2는 NPN형 제 1 트랜지스터(Q1)과 NPN형 제 2 트랜지스터(Q2)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며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저항 R3은 NPN형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과전압 발생시 NPN형 트랜지스터(Q2)를 보호하며 출력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달링톤 증폭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들어오는 입력RF신호를 통해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로 베이스-에미터 전류(Ibe1)가 흐르고,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는 컬렉터-에미터 전류(Ice1)가 흐른다. 이때, 상기 입력RF신호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을 통해 1차로 증폭되고 1차 증폭된 RF신호는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에미터로 거의 동시에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흐르는 컬렉터-에미터 전류(Ice1)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입력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로 베이스-에미터 전류(Ibe2)가 흐르게 하고 제 2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2)가 흐르게 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로 흐른 1차 증폭된 RF신호가 제 2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를 통해 2차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그러나, 종래의 달링톤 증폭기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를 통해 1차 증폭된 RF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왜곡신호(IMD:Intermodulation)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를 통해 2차 증폭되면서 결과적으로 종래의 달링톤 증폭기로 구성된 전력증폭회로의 선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턴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활용도가 높은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KR 10-0556192호 2006.03.03 , 2쪽 27 ~ 3쪽 19줄, 도면 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달링톤 증폭기를 구성하는 복수개 트랜지스터 사이에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를 병렬로 연결시켜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선형성을 향상시킨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는, 베이스로 RF신호를 입력받으며 에미터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1)가 흐르게 하여 에미터로 상기 베이스에 입력된 RF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컬렉터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2)가 흐르게 하여 컬렉터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변화에 반대하는 역방향 전압으로 동작하여 전류변화를 방지하는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의 접속노드에 병렬연결로 결합하는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과전압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압 방지 저항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달링톤 증폭기를 구성하는 복수개 트랜지스터 사이에 그라운드와 연결된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를 병렬로 연결시켜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선형성을 향상시킨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IM3신호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OIP3값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AM-AM 및 AM-PM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출력전력, 이득, 및 전력 부가효율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구성하는 각각의 트랜지스터는 NPN형 트랜지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는 RF신호가 입출력되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직류블러킹 커패시터(2)를 구비하고, RF신호의 출력포트에 결합되는 직류블러킹 커패시터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부 사이에 노이즈 제거용 인덕터(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는 RF신호의 출력포트측에 공급전압의 강하를 발생시키는 저항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는 RF신호를 전력증폭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제 1 트랜지스터(10) 및 제 2 트랜지스터(20)를 포함하고, RF신호가 피드백되는 궤환회로부(60)와, 전체전압을 능동적으로 조절하는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30),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 사이의 접속노드에 병렬로 연결되는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는 베이스로 RF신호를 입력받으며 에미터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로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궤환회로부(60)는 RF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 3 트랜지스터(31)에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전압분배용 제 1 저항(61)과 상기 제 1 내지 제 2 트랜지스터 출력측으로 부터 입력측으로 피드백 되어지는 피드백 RF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2 저항(62)이 직렬로 연결되고, RF신호가 피드백되는 RF피드백 커패시터(63)가 상기 제 1 저항(61)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저항(62)은 상기 제 1 저항(61)과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나 실제 저항의 크기가 매우 커서 RF신호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저항(62)과 상기 RF신호가 피드백되는 RF피드백 커패시터(63)가 실질적인 궤환회로부(60)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저항(61)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31)의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는 저항소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궤환회로부(60)는 달링톤 증폭기의 안정도 및 주파수응답특성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파수변화에 따른 게인의 변화를 적게한다. 즉, 제 1 저항(61)과 제 2 저항(62)이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면서 RF신호가 피드백되는 RF피드백 커패시터(63)를 포함하는 회로를 구성하여 DC전압의 주파수변화에 따른 발진을 방지하고 주파수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30)는 상기 제 1 저항(61)과 상기 제 2 저항(62)의 접속노드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전압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류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제 3 트랜지스터(31)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31)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신호를 저지하여 격리도를 확보하는 제 3 저항(32)과, 상기 제 1 저항(61)에 의하여 조절되는 제 3 트랜지스터(31)의 바이어스 전압을 추가로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트랜지스터(31)의 에미터에 결합되는 제 4 저항(33),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와 상기 제 3 저항(32)의 접속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는 제 5 저항(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의 에미터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20)터에 과전압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압 방지 저항소자(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30)는 RF신호를 전력증폭하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변화에 반대되는 역방향 전압으로 동작하여 전류변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40)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 사이의 접속노드에 병렬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인덕터(L2)와 커패시터(C4)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공진주파수대역에서의 대역통과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를 통과하여 증폭되는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40)는 달링톤 증폭기의 RF신호를 전력증폭하기 위해 구성되는 상기 제 1 내지 제 2 트랜지스터(Q1,Q2) 사이에 그라운드와 연결된 채 병렬로 연결되어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선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에 기재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40)를 이용하여 선형성을 향상시킨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력단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30)에 의해 일정전압이 유지되는 안정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에 들어오는 입력RF신호를 통해 제 1 트랜지스터(10)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로 베이스-에미터 전류(Ibe1)가 흐르고, 제 1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는 컬렉터-에미터 전류(Ice1)가 흐른다. 이때, 상기 입력RF신호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를 통해 1차로 증폭되고 1차 증폭된 RF신호는 제 1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와 에미터로 거의 동시에 출력되어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로 출력되는 RF신호는 상기 궤환회로부(60)에 의하여 피드백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흐르는 컬렉터-에미터 전류(Ice1)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로 입력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로 베이스-에미터 전류(Ibe2)가 흐르게 하고 제 2 트랜지스터(20)의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2)가 흐르게 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에미터로 흐른 1차 증폭된 RF신호가 제 2 트랜지스터(20)의 컬렉터를 통해 2차로 증폭되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0)의 컬렉터로 출력되는 RF신호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의 컬렉터로 출력되는 RF신호와 마찬가지로 상기 궤환회로부(60)에 의하여 피드백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10)를 통해 1차 증폭된 RF신호에 포함된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40)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선형화특성을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IM3신호의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IM3는 3차 IM(Intermodulation) 또는 IMD(Intermodulation Distortion: 상호변조왜곡)를 나타내며, 값이 작을수록 달링턴 증폭기의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에 관한 특성이 개선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력 값이 -10dBm 일 때 선형화기의 유무에 따라 약 5dBc의 개선효과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OIP3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OIP3는 (Output Third Order Intercept Point: 3차 교차점 출력전력값) 선형성을 가늠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값으로서 입력전력값이 -10dBm일 때 약 2.5dBm의 개선효과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AM-AM(진폭 대 진폭 왜곡) 및 AM-PM(진폭 대 위상 왜곡)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증폭기가 비선형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입력전력에 따른 출력전력의 차로 계산되는 전력 이득값이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고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AM-AM(진폭 대 진폭) 왜곡현상이라 한다.
또한, AM-AM 왜곡현상과 마찬가지로 입력신호와 증폭되어 출력되는 출력신호와의 위상변화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나 증폭기가 비선형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그 위상 변화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현상을 AM-PM(진폭 대 위상) 왜곡현상 이라고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화기의 유무에 따라 AM-AM 왜곡현상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입력전력에 따른 증폭기 이득의 변화폭이 약 1dB정도 개선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AM-PM왜곡 현상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위상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는 약 3도 정도의 변화에서 1도 정도로 위상변화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선형성이 개선 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기 전과 적용된 이후의 입력전력에 대응되는 출력전력, 이득, 및 전력 부가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화기의 유무에 따라 출력전력, 게인, 전력부가효율의 특성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달링톤 증폭기를 구성하는 복수개 트랜지스터 사이에 그라운드와 연결된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를 병렬로 연결시켜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킴으로써 선형성을 향상시킨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노이즈 제거용 인덕터 2 : 직류 블러킹 커패시터
10 : 제 1 트랜지스터 20 : 제 2 트랜지스터
30 :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 31 : 제 3 트랜지스터
32 : 제 3 저항 33 : 제 4 저항
34 : 제 5 저항 40 :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
50 : 과전압 방지 저항소자 60 : 궤환회로부
61 : 제 1 저항 62 : 제 2 저항
63 : RF피드백 커패시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베이스로 RF신호를 입력받으며 에미터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1)가 흐르게 하여 에미터로 상기 베이스에 입력된 RF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베이스로 입력받아 컬렉터로 컬렉터-에미터 전류(Ice2)가 흐르게 하여 컬렉터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부터 출력되는 RF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 2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의 변화에 반대하는 역방향 전압으로 동작하여 전류변화를 방지하는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의 접속노드에 병렬연결로 결합하는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과전압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압 방지 저항소자; 및
    주파수변화에 따른 게인의 변화를 줄이기 위하여 RF신호가 피드백 되도록 RF신호가 입력되는 입력포트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 사이에 연결되어 결합되는 궤환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궤환회로부는, 상기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에 구비되는 제 3 트랜지스터에 입력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제 1 저항과 출력 단자와 연결되어 출력측으로 부터 입력측으로 피드백 되어지는 피드백 RF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 2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고, RF신호가 피드백되는 RF피드백 커패시터가 상기 제 1 저항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바이어스 회로부는,
    상기 제 1 저항과 상기 제 2 저항의 접속노드에 컬렉터가 연결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전압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전류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제 3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신호를 저지하여 격리도를 확보하는 제 3 저항과, 상기 제 1 저항에 의하여 조절되는 제 3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전압을 추가로 미세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결합되는 제 4 저항, 및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제 3 저항의 접속노드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전압을 조절하는 제 5 저항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선형화기 LC공진회로부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사이의 접속노드에 병렬로 결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공진주파수대역에서의 대역통과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를 통과하여 증폭되는 상호변조왜곡신호성분을 바이패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KR1020120068486A 2012-06-26 2012-06-26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120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486A KR101203010B1 (ko) 2012-06-26 2012-06-26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486A KR101203010B1 (ko) 2012-06-26 2012-06-26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3010B1 true KR101203010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4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03010B1 (ko) 2012-06-26 2012-06-26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30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2857A (zh) * 2020-06-23 2020-09-18 西安博瑞集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宽带放大器
CN112187195A (zh) * 2020-10-10 2021-01-05 西安博瑞集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的射频增益模块放大器芯片
CN114928336A (zh) * 2022-06-01 2022-08-19 电子科技大学 具有优化低频噪声功能的达林顿放大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W.K. High Linearity-Wideband PHEMT Darlington Amplifier with +40 dBm IP3, Proceedings of Asian-Pacific Microwave Conference 2006, 12-15 Dec. 2006, pp. 1035-1038*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2857A (zh) * 2020-06-23 2020-09-18 西安博瑞集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宽带放大器
CN112187195A (zh) * 2020-10-10 2021-01-05 西安博瑞集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的射频增益模块放大器芯片
CN114928336A (zh) * 2022-06-01 2022-08-19 电子科技大学 具有优化低频噪声功能的达林顿放大器
CN114928336B (zh) * 2022-06-01 2023-04-25 电子科技大学 具有优化低频噪声功能的达林顿放大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88177B2 (ja) バイアス電流供給回路及び増幅回路
US7605655B2 (en) Highly linear differential amplifier with a novel resistive source degeneration network
CN106877826B (zh) 栅偏置网络的自偏置分布式放大器的功率增强装置和方法
US6529080B1 (en) TOI and power compression bias network
CN107171647A (zh) 具有低损耗和温度补偿的自适应偏置电路及无线发射系统
US7855603B1 (en) Temperature compensated self-bias darlington pair amplifier
US8310307B2 (en) Amplifying circuit
KR101203010B1 (ko) 선형성이 향상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CN111200408A (zh) 线性补偿功率放大器
US20100019852A1 (en) Bias Circuit with a Feedback Path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iasing Signal
US8552802B2 (en) Amplifying circuit and current-voltage conversion circuit
JP2018098766A (ja) バイアス回路
JP2005101733A (ja) バイアス回路
KR102075951B1 (ko) 전력 증폭 회로
US10931239B2 (en) Amplification circuit
KR101687756B1 (ko) Rf 신호의 선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능동 바이어스 회로를 채용하는 rf 증폭기
JP2008047978A (ja) バイアス回路、増幅器、および携帯端末
US775073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mplifiers
JP2008004987A (ja) 信号増幅回路
JP2021005818A (ja) 電力増幅回路
JP5374452B2 (ja) パススルー付き増幅器
KR101203011B1 (ko) 임피던스 조절부를 구비한 달링톤 증폭기의 전력증폭회로
KR101891619B1 (ko) 질화갈륨 집적회로 증폭기의 선형화 바이어스 회로 기술
US8604872B2 (en) Highly linear, low-power, transconductor
US8248166B2 (en) Triplet transcondu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