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42202B1 -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202B1
KR101142202B1 KR1020100100888A KR20100100888A KR101142202B1 KR 101142202 B1 KR101142202 B1 KR 101142202B1 KR 1020100100888 A KR1020100100888 A KR 1020100100888A KR 20100100888 A KR20100100888 A KR 20100100888A KR 101142202 B1 KR101142202 B1 KR 10114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ra
rubber bushing
holding part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9268A (ko
Inventor
박지홍
양준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2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20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수용하며 PRA의 고정부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 부싱과, 상기 유지부와 결합되어 PRA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PRA 장착 기구로, 상기 고무 부싱은, 상기 유지부를 수용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상부 개구에 상기 제1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는 제2홀과, 상기 제1홀의 상부 개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의 홀 둘레를 끼우도록 형성된 환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Power Relay Assembly}
본 발명은 릴레이를 자동차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중에 릴레이 동작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릴레이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 PRA)는 전기 수송 장치(Electric Vehicle : EV)에 사용되는 대용량 고전압 배터리와 모터 구동 장치 사이에 위치하며 그 연결을 담당하는 장치로 릴레이(Relay), 대용량 저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터 구동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큰 커패시터가 사용되는데 배터리와 커패시터를 직접 연결하게 되면 매우 큰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기 때문에 초기에 저항으로 전류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차량의 운전이 완료되었을 때 모터 구동 장치와 배터리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PRA를 자동차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착 장치가 필요한데,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RA 장착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PRA 장착 장치는, 배터리 팩 등의 차량 부품 또는 차체에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용접 고정되는 유지부(120)와, 상기 유지부(120)를 수용하며 PRA의 고정부(130)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 부싱(140)과, 상기 PRA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무 부싱(140)은 유지부(120)를 수용하기 위해 중앙에 홀(1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중앙홀(145)에는 상기 유지부를 감싸는 스틸재인 마운팅 부싱(160)이 끼워져 있다. 또한, 고무 부싱(140)의 외주면에는 PRA의 고정부(130)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환형 홈(1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고무 부싱(140)을 도 1에서와 같이 설치하게 되는데, 먼저 고무 부싱(140)의 중앙 홀에 마운팅 부싱(160)을 끼운 상태에서 유지부(120)에 끼워넣는다. 이와 같이, 고무 부싱(140)에 유지부(120)가 끼워지면, 고무 부싱(140)의 외부면에 형성된 환형 홈(144)이 상기 환형 홈(14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PRA 고정부(130)의 홀에 끼워서 결합시킨다.
한편, 상기 고무 부싱(140)의 길이는 유지부(1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고무 부싱(140)의 상부 개구(146) 위로 유지부(120)의 상부(125)가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돌출된 유지부(120)의 상부(125)와 상기 체결 부재(150)가 나사 체결되도록 하여 PRA의 고정부(130)를 마운팅 플레이트(110)에 장착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PRA 장착 장치는, 유지부(120)의 상부(125)와 상기 체결 부재(150)를 나사 체결함에 따라, 고무 부싱(140)이 압축된다. 압축된 고부 부싱(140)은 탄성력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압축된 고무 부싱(140)을 통해 PRA 동작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유지부(120)로 전달되고, 유지부(120)로 전달된 소음 및 진동이 마운팅 플레이트(110)를 통해 전체 차량에 전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PRA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차량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PRA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PRA 고정부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 부싱의 부분이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PRA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무 부싱과 PRA 고정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PRA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PRA를 마운팅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PRA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PRA 장착 기구는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수용하며 PRA의 고정부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 부싱과, 상기 유지부와 결합되어 PRA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PRA 장착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싱은, 상기 유지부를 수용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상부 개구에 상기 제1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는 제2홀과, 상기 제1홀의 상부 개구보다 높은 위치의 외주면에 상기 고정부의 홀 둘레를 끼우도록 형성된 환형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지부는 스터드 볼트이며, 상기 체결 부재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홀에는 상기 유지부를 감싸는 마운팅 부싱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고무 부싱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지부의 하측 둘레는 상측 둘레보다 직경이 큰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홀 내에는 상기 단차부를 수용하는 단턱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무 부싱에 PRA 고정부의 홀 둘레를 끼우도록 형성된 환형 홈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유지부를 수용하는 제1홀의 상부 개구보다 높은 위치의 형성되도록 하여, PRA 고정부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의 고무 부싱의 압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되지 않은 고무 부싱은 PRA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하여 차량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 부싱의 상단 가장 자리에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를 형성하여, PRA 고정부를 고무 부싱에 끼우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지부의 하측 둘레를 상측 둘레보다 직경이 큰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PRA가 마운팅 플레이트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PRA 장착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PRA 장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정용 고무 부싱을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사용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PRA 장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PRA 장착 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PRA 장착 장치는, 배터리 팩 등의 차량 부품 또는 차체에 형성된 마운팅 플레이트(210)에 용접 고정되는 유지부(220)와, 상기 유지부(220)를 수용하며 PRA의 고정부(230)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 부싱(240)과, 상기 PRA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무 부싱(240)은 유지부(220)를 수용하기 위해 중앙에 홀(242a, 242b)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직경이 각각 상이한 두 개의 홀이 형성된다. 즉, 고무 부싱(240)의 중앙을 관통하여 하단에 위치하는 제 1 홀(242a)은 상기 유지부(220)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홀(242a)의 상부 개구(246)에 형성되는 제 2 홀(242b)은 상기 유지부(220)와 나사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240)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홀(242a)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 2 홀(242b)이 제 1 홀(242a)보다 큰 직경을 갖는 이유는 체결 부재(2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 및 체결 부재(250)를 결합시키기 위한 공구 사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무 부싱(240)에는 외주면에 PRA의 고정부(230)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환형 홈(244)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환형 홈(244)은 상기 제1홀(242a)의 상부 개구(246)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환형 홈(244)을 제 2 홀(242a)의 상부 개구(246)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는 이유는 환형 홈(244)이 위치하는 영역의 고무 부싱(240)의 압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고무 부싱(240)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248)가 형성된다. 이는 PRA 고정부(230)의 홀을 환형 홈(244)에 끼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지부(220)는 소위 스터드 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스터드 볼트의 한 단부는 수직으로 마운팅 플레이트(210)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 볼트의 다른 단부는 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유지부(220)는 고무 부싱(240)의 제 1 홀(242a)에 대응되도록 그 길이가 종래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지부(220)의 하측 둘레는 상측 둘레보다 직경이 큰 단차부(228)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무 부싱(240)의 제1홀(242a) 내에는 상기 단차부(228)를 수용하는 단턱 홈(249)가 형성된다. 이는 유지부(220)와 마운팅 플레이트(210)의 접촉력을 강화하여, PRA 고정부(230)를 마운팅 플레이트(210)에 좀 더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체결 부재(250)는 너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너트의 내부 나사는 유지부(220)의 나사에 대응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체결 부재(250)의 지지측은 예컨대 와셔(washer) 또는 나사식 고정 와셔(toothed lock washer)와 같은 받침 수단에 의해 보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RA 장착 장치는 이중 부싱(double bushing)으로 형성되는데, 외부 슬리브(sleeve)인 고무 부싱(240)의 제1홀(242a)에는 내부 슬리브인 마운팅 부싱(260)이 삽입된다. 상기 마운팅 부싱(260)은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내폭은 나사의 영역에 있는 유지부(220)의 횡단면보다 작동 유격만큼 더 크다. 즉, 마운팅 부싱(260)은 PRA 고정부(230)를 통해 전달되는 PRA 동작 진동에 따라 유지부(220)의 나사 영역에 의해 고무 부싱의 제 1 홀(242a)의 둘레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스틸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마운팅 부싱(260)의 길이는 제 1 홀(242a)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부싱(240)을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설치하게 되는데, 먼저 고무 부싱(240)의 제 1 홀(242a)에 마운팅 부싱(260)을 끼운 상태에서 유지부(220)에 끼워넣는다. 그러면, 내폭이 유지부(220)의 횡단면보다 더 큰 고무 부싱(240)는 단부면이 마운팅 플레이트(210) 상에 놓인다.
이와 같이, 고무 부싱(240)에 유지부(220)가 끼워지면, 상기 고무 부싱(240)의 제 1 홀(242a)의 상부 개구(246) 위로 돌출된 유지부(220)의 상부(225)에 상기 체결 부재(250)가 삽입되어 제 1 홀(242a)의 상부 개구(246)에 접촉할 때까지 나사 체결된다. 이로써, 고무 부싱(240)이 마운팅 플레이트(210)에 고정된다. 이때 제 1 홀(242a)의 둘레 영역에 해당하는 고무 부싱(240a)만이 압축되고, 제 2 홀(242b)의 둘레 영역에 해당하는 고무 부싱(240b)은 압축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 2 홀(242b)의 둘레 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 홈(244)에 상기 환형 홈(244)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PRA 고정부(230)의 홀에 끼워서 결합시킨다.
그러면, PRA 동작에 의해 PRA 고정부(230)에 의해 전달되는 진동 및 소음은 제 2 홀(242b)의 둘레 영역에 해당하는 고무 부싱(240b)에 의해 흡수되어 유지부(220) 또는 마운팅 플레이트(210)를 통해 차량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110, 210 : 마운팅 플레이트
120, 220 : 유지부
125, 225 : 돌출부
228 : 단차부
130, 230 : PRA 고정부
140, 240 : 고무 부싱
142 : 중앙홀
242a : 제 1 홀
242b : 제 2 홀
144, 244 : 환형 홈
146, 246 : 상부 개구
150, 250 : 체결 부재
160, 260 : 마운팅 부싱

Claims (5)

  1. 마운팅 플레이트에 형성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수용하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ower Relay Assembly : PRA)의 고정부의 홀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 부싱과, 상기 유지부와 결합되어 PRA를 고정시키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PRA 장착 기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싱은,
    상기 유지부를 수용하는 제1홀과, 상기 제1홀의 상부 개구에 상기 제1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를 수용하는 제2홀과, 상기 제1홀의 상부 개구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고정부의 홀 둘레를 끼우도록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A 장착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스터드 볼트이며, 상기 체결 부재는 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A 장착 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에는 상기 유지부를 감싸는 마운팅 부싱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A 장착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부싱의 상단 가장자리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A 장착 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하측 둘레는 상측 둘레보다 직경이 큰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홀 내에는 상기 단차부를 수용하는 단턱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RA 장착 기구.
KR1020100100888A 2010-10-15 2010-10-15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Active KR10114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888A KR101142202B1 (ko) 2010-10-15 2010-10-15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888A KR101142202B1 (ko) 2010-10-15 2010-10-15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268A KR20120039268A (ko) 2012-04-25
KR101142202B1 true KR101142202B1 (ko) 2012-05-07

Family

ID=4613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888A Active KR101142202B1 (ko) 2010-10-15 2010-10-15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94Y1 (ko) * 2012-06-14 2017-0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터리 차단 유닛을 위한 완충장치
KR20200019446A (ko) 2018-08-14 2020-02-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쉬 고정장치
CN111293240A (zh) * 2018-12-10 2020-06-16 北京宝沃汽车有限公司 电池包箱体和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644Y1 (ko) 1997-10-10 2000-03-02 배길성 밀폐형 압축기의 진동 방지장치
KR100343573B1 (ko) 1999-12-29 2002-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의 기어 박스 마운팅 구조
KR100424979B1 (ko) 2001-08-21 2004-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임 고정부의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644Y1 (ko) 1997-10-10 2000-03-02 배길성 밀폐형 압축기의 진동 방지장치
KR100343573B1 (ko) 1999-12-29 2002-07-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의 기어 박스 마운팅 구조
KR100424979B1 (ko) 2001-08-21 2004-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레임 고정부의 체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268A (ko)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890B1 (ko) 절단휠 고정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마장치
KR101142202B1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KR20030017724A (ko) 자동차용 파스너구조
KR200468704Y1 (ko) 오토바이용 가변형 짐받이의 고정장치
KR101382717B1 (ko) 진동절연장치
KR101149245B1 (ko) 호이스트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라이너 리벳팅용 지그
CN104948654B (zh) 降低噪音结构
KR20140002596U (ko) 빔클램프
JP2015024755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CA2733490C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subassembly on a motor vehicle body
JP6414169B2 (ja) 締結構造
KR101899955B1 (ko) 차량용 정션박스
CN209551592U (zh) 螺母安装工具
KR20090118537A (ko)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KR101888134B1 (ko) 캡핑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20110058539A (ko) 위치 조정이 쉬운 범퍼장치
CN101709736B (zh) 一种螺母
JP2007162878A (ja) 締結機構及び締結装置
JPWO2020054664A1 (ja) 電磁弁ユニット
FR3026237A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connexion electrique pour batterie
KR20180063872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200359730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200482394Y1 (ko) 배터리 차단 유닛을 위한 완충장치
KR20160116154A (ko) 전동공구의 진동방지 구조
JP2014237388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