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247B1 -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 hanger plate assembly - Google Patents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 hanger plate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9247B1 KR101149247B1 KR1020090106014A KR20090106014A KR101149247B1 KR 101149247 B1 KR101149247 B1 KR 101149247B1 KR 1020090106014 A KR1020090106014 A KR 1020090106014A KR 20090106014 A KR20090106014 A KR 20090106014A KR 101149247 B1 KR101149247 B1 KR 1011492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ger plate
- hanger
- plate assembly
- door
-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45—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행거 판넬의 일측에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시킬 수 있는 구속수단을 설치하여,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에 강한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에도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가 행거 판넬의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of the elevator,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restraining means that can restra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on one side of the hanger panel, strong impact energy to the elevator door When applied, the hanger plate assembly is to prevent the departure from the rail of the hanger panel and to prevent the escape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that can increase the stability.
Descriptio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에 강한 충격에너지가 가해지는 경우 행거 판넬의 레일로부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preventing departure of a hanger plate assembly of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stability by preventing the hanger plate assembl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of the hanger panel when strong impact energy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of the elevator. To a hang prevention plate assembly that can be detached.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는 개폐 동작시 승장 도어에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가 행거 판넬상에 형성된 레일과 맞물려 가이드되면서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진다.In general, the elevator door of the elevator is opened and closed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hanger plate assembly coupled to the elevator door is engaged with the rail formed on the hanger panel.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 조립체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판넬(3) 상단에 결합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0)가 행거 판넬(1)을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0)는 도어 판넬(3) 상단에 결합되는 행거 플레이트(2)와 상기 행거 플레이트(2)의 상하에 설치되는 2개의 롤러(1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1)(12)가 행거 판넬(1)에 형성된 레일(1a)과 맞물린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A, the conventional elevator boarding door assembly has a structure in which a
상기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승장 도어 조립체는 승장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에서 상기 도어에 강한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가 행거 판넬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 확보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The conventional cage door assembly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may affect safety as the hanger plate assembly may be detached from the hanger panel when strong impact energy is applied to the door from the outside while the cage door is closed.
이러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로 인한 안정상의 문제는 승장 도어 시스템 내에 구비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부품, 즉, 행거 판넬(1)의 레일(1a)과 행거 플레이트(2)의 롤러(11)(12)가 맞물려 있는 단면형상을 이용하여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0)가 레일(1a)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다.The problem of stability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is that the parts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provided in the landing door system, ie the
도 1b는 종래의 일반적인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0)에 있어서 롤러(11)(12)와 레일(1a)이 맞물린 단면구조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하고 있는바, 롤러(11)(12)의 단면 프로파일(profile)이 레일(1a)의 단면 일부를 감싸고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어의 전후방향(화살표 방향)의 움직임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었다. 여기서, 도 1b의 (a)(b)(c)는 모두 상부 롤러(11)의 단면 프로파일이 레일(1a)의 상단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각 롤러(11)가 레일(1a)의 상단을 일부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으나, 각 하부 롤러(12a)(12b)(12c)의 단면 프로파일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며 레일(1a) 하단에 단순 지지되거나 맞물린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FIG. 1B shows several examples of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그러나, 상기 도 1b에 나열된 형태와 같이 롤러(11)(12)와 레일(1a)의 단면 윤곽을 이용하여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0)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방법은 엘리베이터 승장 도어에 일정 강도 이하의 충격에는 어느 정도의 효용성이 있지만, 도어에 일정 강도 이상의 강력한 충격에너지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0)의 이탈방지 기능에 한계가 있다. 도 1c는 위와 같이 승장 도어에 일정 강도 이상의 강한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 상기 도 1b에 나열된 각 사례들에 있어서 각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0)가 레일(1a)로부터 이탈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However, the method of restrai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이와 같이, 롤러와 레일의 맞물린 단면 윤곽을 이용하여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전후방향 움직임을 구속하는 방법은 일정 강도 이상으로 가해지는 강한 충격에는 그 구조적인 기능에 한계가 있었으며, 롤러와 레일 사이의 맞물림 구조를 강화하기 위하여 롤러와 레일의 걸림 깊이를 크게 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방법 또한 롤러 및 레일의 형상 변경으로 인한 공간적인 제한성 문제를 발생하게 되고, 롤러와 레일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 됨에 따라 도어의 구동시에 소음이 많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As such, the method of restrain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by using the cross-sectional contour of the roller and the rail has a limitation in its structural function in the strong impact applied above a certain strength, and the interlocking structure between the roller and the rail In order to reinforce, the locking depth of the rollers and rails may be increased. This method also causes a space limitation problem due to the shape change of the rollers and rails, and a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ollers and rails increases, the door There was a problem that a lot of noise can be generated when driv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가 안내되는 행거 판넬에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는 구속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에 강한 충격에너지가 가해질 경우에도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가 행거 판넬의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restraining means capable of re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hanger panel is guid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er plate assembly that prevents the hanger plate assembl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of the hanger panel even when a strong impact energy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of the elevator, thereby increasing stability.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이 형성된 행거 판넬; 승장 도어와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 플레이트와, 상기 행거 판넬의 레일과 맞물리도록 상기 각 행거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행거 롤러를 구비한 좌우 한 쌍의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행거 판넬에는 상기 행거 플레이트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면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강제로 구속시키는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ger panel formed with a rail;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hanger plate assembly having a pair of hanger plates coupled to the boarding door, and a hanger roller installed on each hanger plate to engage the rails of the hanger panel, wherein the hanger panel includes: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is provided to allow the hanger plate to mov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forcibly restraining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때,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에는 승장 도어의 폐쇄시 상기 각 행거 플레이트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so that a part of each hanger plate may be inserted when the elevator door is closed.
여기서,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는 상기 좌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 사이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홈은 2개가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의 좌우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승장 도어의 폐쇄시 상기 좌,우측 행거 플레이트가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의 좌,우측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어 동시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is installed in the center between the left and right hanger plate assembly, and two insertion grooves ar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and the left and right hanger plates are closed when the landing door is closed. Is inserted into the left and right insertion grooves of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may be configured to engage at the same tim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 이탈 방지 구조에 따르면, 승장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좌우 행거 플레이트는 행거 판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를 통해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승장 도어에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에 부착된 행거 롤러가 행거 판넬의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anger plate assembly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left and right hanger plate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s constrained by at least on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installed on the hanger panel while the landing door is closed. Therefore, even if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boarding door from the outside, the hanger roller attached to the hanger plate assembly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ail of the hanger panel, thereby improving stabilit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를 위한 부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FIG.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 조립 체(110a)(110b)는 엘리베이터의 승장 도어(미도시)와 대응하여 좌우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바, 각 승장 도어 상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행거 플레이트(111a)(111b)와, 상기 각 행거 플레이트(111a)(111b)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행거 판넬(100)의 레일(102)과 맞물리는 행거 롤러(112)(114)가 구비되어 있다.2 to 4, hanger plate assembly (110a) (110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corresponding to the elevator door (not shown) of the elevator, coupled to the top of each landing
상기 좌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a)(110b) 사이의 중앙에 위치된 행거 판넬(100) 측에는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시 상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a)(110b)의 전후방향(Y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시켜 주는 하나의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side of the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의 강판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행거 판넬(100) 측에 고정되는 고정부(122)와, 상기 고정부(122)와 수직으로 연결되며 상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a)(110b)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는 구속부(123)로 이루어져 있다.The hanger
여기서,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는 상기 고정부(122)를 소정의 용접수단을 통해 행거 판넬(100)상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행거 판넬(100)상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Here, the hanger
상기 구속부(123)의 좌우 측면에는 좌우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a)(110b)에 구비된 각 행거 플레이트(111a)(111b)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로 삽입홈(124)이 마련되어 있다.Inserting
이때, 상기 구속부(123) 좌우에 형성되는 2개의 삽입홈(124)은 상기 구속 부(123)의 좌,우측에 상호 대칭을 이루며 배치되는바, 도어의 폐쇄시 좌우 행거 플레이트(111a)(111b)의 일부분이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의 좌,우측 삽입홈(124)에 각각 삽입되게 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two
그리고, 상기 삽입홈(124)의 전후방향(Y방향)의 폭은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a)(110b)가 상기 삽입홈(124) 내면에 간섭하지 않고 좌우방향(X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데, 설치되는 행거 플레이트(111a)(111b)의 두께 및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삽입홈(124)의 좌우 및 전후방향 폭을 적절한 폭으로 산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또한, 상기 삽입홈(124)의 내측 모서리 부분은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좌우 행거 플레이트(111a)(111b)가 상기 삽입홈(124) 내부로 초기 진입이 용이하도록 완만하게 라운드(round) 처리되거나 모따기 처리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도어의 폐쇄시 진동 등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111a)(111b)에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상기 삽입홈(124) 내부로 용이하게 안내되며 진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로 인하여 평상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a)(110b)의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은 간섭받지 않고 자유롭게 유지되는 반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강한 충격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a)(110b)의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강제적으로 구속시키게 된다.Due to the hang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의 설치된 단면모습과 승장 도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is prevented by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when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pact is applied to the landing door.
먼저, 도 5의 (a)는 평상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행거 플레이트(111)는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의 삽입홈(124)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행거 플레이트(111)는 삽입홈(124) 내에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가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First, Figure 5 (a) shows a normal state,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에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F)이 가해질 경우, 도 5의 (b)에서 처럼, 도어가 충격에 의해 변형되면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가 승강로측 방향(도면의 F 방향)으로 이탈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110)는 행거 플레이트(111)가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의 삽입홈(124)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의 강제적인 구속력에 의해 레일(10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완전하게 구속되어 제 위치상에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In such a state, when a strong impact F is applied to the door from the outside, as shown in FIG. 5 (b), the door is deformed by the impact and th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어 개폐 구동방식이 사이드 오픈(슬라이딩 오픈) 타입일 경우에 적용되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applied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rive type is a side open (sliding open) type, Figure 7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illustrated in FIG. 6.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승장 도어의 개폐 방식이 쌍미닫이 문과 같은 사이드 오픈(슬라이딩 오픈) 방식일 경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220) 2개를 행거 판넬(200) 상에 설치하여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210a)(210b)의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다.6 and 7,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the landing door is a side open (sliding open) method such as a sliding door, two hanger
여기서, 상기 2개의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220)는 도어가 닫힌 상태의 행거 플레이트(211a)(211b)가 위치된 행거 판넬(200) 부분에 각각 고정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220)의 형상은 전술된 제1실시 예의 형태와 달리 삽입홈(124)이 일측면(도면에서는 우측면)에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Here, the two hanger
이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각 행거 플레이트(211a)(211b)의 일부분이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220)의 삽입홈(224) 내에 삽입되어 행거 플레이트(211a)(211b)의 전후방향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일정 이상의 강한 외부 충격시에도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210a)(210b)가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220)의 강제적인 구속력에 의해 레일(20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상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 portion of each hanger plate (211a) (211b) is inserted into the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를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상단 부분에 적용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320)의 형상이 전술된 제1 및 제2실시 예에서 보인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120)(220)와 달리 삽입홈(124)(224)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320)는 얇고 긴 직사각형 막대 형상을 갖는 강판을 도면에 보인 형상과 같이 다수 회 절곡하여 제작한 구조로서, 상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320)의 절곡된 일측 끝단부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310a)(310b)가 위치된 행거 판넬(300)의 상단부 측에 고정되고, 절곡된 타측 끝단부는 행거 플레이 트(311a)(311b) 상단을 비접촉 상태로 감싸며 구속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hanger
따라서, 도어의 개폐 과정에서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310a)(310b)가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320)와 서로 간섭되지 않고 자유로운 좌우이동이 이루어지는 한편,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강한 충격이 가해져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310a)(310b)가 이탈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 행거 플레이트(311a)(311b)가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320)의 절곡된 끝 단부를 통해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강제로 구속되어 레일(30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상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opening / closing process of the door, the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1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종래의 롤러 및 레일의 단면 윤곽을 이용한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방지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Figure 1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using the cross-sectional contour of the conventional roller and rail.
도 1c는 도 1b에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너지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가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Figure 1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hanger plate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rail by the external impact energy in Figure 1b.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를 위한 부품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ponent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사시도.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shown in FIG.
도 4는 도 2의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의 설치된 단면모습과 승장 도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에 의해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by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and the landin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어 개폐 구동방식이 사이드 오픈 타입일 경우에 적용되는 행거 플레이트 조립체의 이탈 방지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Figure 6 i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applied whe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thod is a side open typ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행거플레이트 구속부재가 행거 플레 이트 조립체의 상단 부분에 적용한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Figure 8 is an exemplary embodiment showing a hanger plate restraint member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ger plate assembly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200,300 : 판 스프링 스위치 100a,200a,300a : 절곡부100,200,300: Leaf spring switch 100a, 200a, 300a: Bending part
110,210,310 : 고정부 130,230,330 : 평판부110,210,310: Fixed part 130,230,330: Flat part
132,232,332 : 장홀 160,260,360 : 설치단132,232,332: Janghole 160,260,360: Installation stag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6014A KR101149247B1 (en) | 2009-11-04 | 2009-11-04 |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 hanger plate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6014A KR101149247B1 (en) | 2009-11-04 | 2009-11-04 |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 hanger plate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9146A KR20110049146A (en) | 2011-05-12 |
KR101149247B1 true KR101149247B1 (en) | 2012-05-25 |
Family
ID=4436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6014A Active KR101149247B1 (en) | 2009-11-04 | 2009-11-04 |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 hanger plate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92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877Y1 (en) * | 2012-11-19 | 2014-05-27 |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 Door open-close apparatuus of elevator |
KR102331751B1 (en) * | 2020-02-04 | 2021-11-26 | 주식회사 이노에스템 | Elevator door detaching prevention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7745A (en) * | 2000-09-12 | 2002-03-27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Elevator door adjustment jig |
KR20080013833A (en) * | 2007-09-21 | 2008-02-13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Door guide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elevator doors and 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080084104A (en) * | 2007-03-15 | 2008-09-19 |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Door seal structure to prevent deviation of door guide shoe |
KR100904919B1 (en) * | 2009-03-23 | 2009-06-29 | 주식회사 한테크 | Lifting device of upper part of elevator door |
-
2009
- 2009-11-04 KR KR1020090106014A patent/KR1011492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7745A (en) * | 2000-09-12 | 2002-03-27 |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 Elevator door adjustment jig |
KR20080084104A (en) * | 2007-03-15 | 2008-09-19 |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 Door seal structure to prevent deviation of door guide shoe |
KR20080013833A (en) * | 2007-09-21 | 2008-02-13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Door guide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elevator doors and lock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100904919B1 (en) * | 2009-03-23 | 2009-06-29 | 주식회사 한테크 | Lifting device of upper part of elevator do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9146A (en) | 2011-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12354A (en) | Elevator threshold | |
KR20100032027A (en) | Elevator door construction | |
KR101149247B1 (en) |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a hanger plate assembly | |
JP4819530B2 (en) | Plug door device for vehicle | |
JP2009242039A (en) | Elevator device and its entrance device | |
JP4410223B2 (en) | Structural channel member, elevator using the same, and molding method and molding apparatus | |
KR101579956B1 (en) | manhole of water tank | |
JP7122877B2 (en) | Architectural shutter device | |
JP2018002375A (en) | Door shoe for elevator door | |
JP3925972B2 (en) | Elevator door equipment | |
KR20170116751A (en) | Anti-separating device of an elevator door | |
KR100926956B1 (en) | Outer door departure prevention structure of elevator | |
JP4596818B2 (en) | Switchgear | |
JP4092712B1 (en)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101009872B1 (en) |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 |
KR20230125879A (en) | Elevator landing plaform having meterial separator with easily replaceable door sill | |
KR100754284B1 (en) |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 |
KR101305949B1 (en) | Seat track for automobile | |
KR20100006592U (en) | Safety Device For Hatch Door Of Elevator | |
JP7435858B1 (en) | landing door | |
KR20110032452A (en) |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Device | |
KR20100076203A (en) | Sliders for preventing derailment in elevator doors | |
CN113966309B (en) | Elevator door | |
JP5842638B2 (en) | Emergency elevator sill equipment | |
JP2010208745A (en) | Elevator do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