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18027B1 -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 - Google Patents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8027B1
KR101118027B1 KR1020090090811A KR20090090811A KR101118027B1 KR 101118027 B1 KR101118027 B1 KR 101118027B1 KR 1020090090811 A KR1020090090811 A KR 1020090090811A KR 20090090811 A KR20090090811 A KR 20090090811A KR 101118027 B1 KR101118027 B1 KR 101118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der
curve
slit
needle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053A (ko
Inventor
에카르트 페렌바허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10003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8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80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멘더 바늘(meander needle)로서 설계되는 편물기 바늘(1)은 텅 슬릿(tougue slit)과 평행한 수직 슬릿의 형상을 구비한 멘더 곡선부 슬릿(18)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멘더 곡선부(12)를 포함한다. 편물기 바늘은 양호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개방 중간 공간과 외접하는 두개의 측벽(19,20)에 의해서 한정된다.
편물기 바늘, 생크, 멘더 곡선부, 멘더 곡선부 슬릿, 상부 좁은 측부 및 하부 좁은 측부

Description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Knitting machine needle with meandering slit curve}
본 발명은 편물기 바늘에 관한 것이다.
내마모성의 관점뿐아니라 작동 속도의 관점에서 편물기 바늘에 대한 요구사항은 점차 커지고 있다. 작동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개별 바늘들은 그 길이방향으로 더욱 강하게 가속되고 감속된다. 이것은 편물기 바늘들에서 결함의 위험, 특히 후크 파손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사실, 편물기의 작동 속도는 증가해야 하지만, 이 속도 증가는 개별적인 편물기 바늘들의 사용 수명을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감쇄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문헌 DE 103 33 172 Al호는 래치형 바늘(latch-type needle)이 바늘의 멘더 곡선부(meander curve)를 통해서 횡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가지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 슬릿은 멘더 곡선부를 상부 브랜치 및 하부 브랜치로 분할하고 바늘에 추가 탄력성을 제공한다. 이 해결방안은 입증되었지만, 증가한 작동 속도에서 편물기의 사용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선택사항들을 찾고 있다.
멘더 바늘에 관하여, DE 197 40 985 C2호는 플랭크(flank)들에 윤활유용 공간(room)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리고 바늘 채널벽을 따라 바늘들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유형의 바늘이 부분적으로 측방향의 평탄한 리세스들을 가지는 것을 제안하였다.
문헌 36 12 316호는 평탄한 연속 길이방향 홈들이 바늘에 횡단면의 I형 프로파일을 부여하기 위하여, 멘더 바늘의 측면들(lateral surfaces)에 제공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편물기 바늘의 기하학적 형태들과, 장기간 피로 저항성, 후크 파괴 및 잠재적인 작동 속도들에 미치는 그 영향 사이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제조 안전성 및 제조 단순성에 대한 관점들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요구들을 만족시키는 편물기 바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편물기 바늘로써 달성된다.
편물기 바늘은 후크와 발형상체(foot)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멘더 곡선부를 구비한 바늘 몸체를 가진다. 슬릿이 멘더 곡선부에 제공되며, 상기 슬릿은 적어도 상부 좁은 측부 및 하부 좁은 측부를 통해서 연장된다.
멘더 곡선부 슬릿은 편물기 바늘의 두개의 평탄한 측부들 또는 플랭크(flank)들과 평행하게 생크 안으로 또는 상기 생크를 통해서 연장된다. 멘더 곡선부 슬릿은 비어있거나 또는 필요하다면, 바늘 몸체의 잔여부 또는 바늘 몸체의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바늘 몸체가 강철로 이루어지면, 멘더 곡선부 슬릿은 상이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 빈 상태로 있을 수 있고 예를 들어 작동하는 동안 오일 또는 닳은 직물로 충전될 수도 있다. 이 효과는 멘더 곡선부의 슬릿 영역에 완충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편물기 바늘의 전달 조건에서, 멘더 곡선부 슬릿은 뚜렷한 개방성(clear patency)을 나타내는 것이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바늘은 증가한 사용 수명을 나타낸다. 멘더 곡선부 슬릿은 특히 고속 동작에서도 바늘 파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바늘 생크는 편물 동작 동안 후크의 위치설정이 또한 고속 동작 속도에서도 정확하게 달성될 정도로 큰 안정성을 나타낸다.
멘더 곡선부는 길이방향에 대해서 횡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section)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섹션에 인접하고 바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섹션을 포함한다. 멘더 곡선부 슬릿은 상기 섹션들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은 상기 섹션들중 두개 또는 상기 섹션들중 3개 모두와 교차하고, 그에 의해서 편물기 바늘의 하나의 좁은 측부에서 다른 좁은 측부로 연속될 수 있다. 또한, 멘더 곡선부 슬릿이 상기 섹션들의 하나만 또는 두개를 완전히 분할하거나, 또는 단지 절단하지만, 상기 섹션들의 단지 하나만 또는 두개를 완전히 분할하지 않는 방식으로 멘더 곡선부 슬릿을 구성하는 것이 실용적일 수 있다.
멘더 곡선부 슬릿은 후크측 단부와 발형상체측 단부를 가진다. 양 단부들은 직선이거나 또는 둥글 수 있는 좁은 표면들에 의해서 표시된다. 이 과정에서, 영향을 받는 표면은 편물기 바늘의 종축에 대해서 경사진 상태로 배열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 과정에서, 바늘의 안정성 및 완충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고유의 진동이 억제되거나 또는 흡수될 수 있다. 또한, 그 결과로 제조 선택사항이 단순해진다.
멘더 곡선부 슬릿을 래치 슬릿이 있는 평면에 또는 래치 슬릿과 정렬 상태로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멘더 곡선부 슬릿이 래치 슬릿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멘더 곡선부 슬릿은 일치된 단일의 균일 폭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상이한 폭을 갖는 슬릿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또한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편물기 바늘을 고속 동작 속도에 적합하게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선택사항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이러한 선택사항들중 일부가 도면 및 실시예에 예시된다. 여기서, 설명은 본 발명의 핵심 형태와 다양한 상황에 국한된다. 도면은 추가 상세구성을 도시하며 보충의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은 내마모성의 관점뿐아니라 작동 속도의 관점에서 편물기 바늘에 대한 요구사항을 중촉시키고, 편물기의 작동 속도가 증가할 때에도, 개별적인 편물기 바늘의 사용 수명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래치형 바늘(latch-type needle)로서 구성되는 편물기 바늘(1)을 도시한다. 편물기 바늘은 발형상체(foot)(3)를 갖는 바늘 몸체(2)를 구비한다. 편물기는 예를 들어, 편물 실린더 또는 편물기 다이얼과 같은 침상(needle bed)의 채널에서 지지되는 편물기 바늘(1)을 구동하도록 배치된다. 바늘 몸체(2)는 단부 상에 후크(5)를 구비한 길이방향 연장 생크(4)를 나타낸다. 후크(5)는 이 후크(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래치(6)와 연계된다. 래치 슬릿(7)은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6)를 수용하도록 배치된다. 도 2는 래치형 바늘(1)의 상부 좁은 측부(8)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생크(4)는 하부 좁은 측부(9)를 구비하고 추가로 두개의 측면들(11,10)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측면들은 양호하게는 평탄한 형상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바늘 몸체(2) 및/또는 생크(4)는 적어도 하나, 그러나 양호하게는 여러 개의 멘더 곡선부(meander curve)(12, 13, 14)를 구비한다. 특히,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멘더 곡선부(12)는 발형상체(3)와 후크(5) 사이에 제공된다.
각 멘더 곡선부는 바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개의 직선 바아형 섹션(15, 16)과, 바늘의 횡단방향, 즉 발형상체(3)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두 섹션(15, 16) 사이에 개재된 제3섹션(17)으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각 멘더 곡선부(12, 13, 14)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계단부(step)를 형성하고, 상기 계단부에서 섹션들(15, 16)은 서로에 대해서 오프셋된다. 이 과정에서, 섹션들(15, 16)은 각각 양호하게는 직사각형 단면[선택적으로 둥근 코너들을 가짐]과 높이 H를 각각 구비한다. 양호하게는, 도 1에서 수직 즉, 발형상체(3)와 평행하게 측정된 높이는 상부 좁은 측부(8)의 가장 높은 고도에서 하부 좁은 측부(9)의 최하위 위치까지 측정된 전체 높이 NH의 절반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바늘(1)의 특수한 형태는, 바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멘더 곡선부(12) 뿐 아니라 선택적으로 다른 멘더 곡선부들(13, 14)에도 배열되는 멘더 곡선부 슬릿(18)이다. 도 2에 따라서,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래치 슬릿(7)이 있는 동일 평면 E에 위치하고 좁은 측부들(8, 9)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연장된다. 그러나, 멘더 곡선부 슬릿은 두개의 측면(10, 11)을 향하여 폐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슬릿은 평행한 얇은 측벽들(19,20)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측벽들 사이에서 멘더 곡선부 슬릿(18)을 형성하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특히 명확한 바와 같이, 벽들(19, 20)은 양호하게는 균일하고 동등한 두께(matching thickness)를 가지며, 이 두께는 바늘의 길이방향에서 볼 때, 이 길이방향에 수직한 수직방향으로 변화되며,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멘더 곡선부 슬릿(18)의 폭에 대응한다.
양호하게는,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래치 슬릿(7)과 동일 폭을 가지며, 그에 의해서 이 폭은 멘더 곡선부 슬릿(18)의 각각의 측벽들(19, 20) 또는 래치 슬릿(7)의 각각의 측벽들 사이의 거리이고 바늘의 길이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측정된다.
도 4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3개의 모든 섹션(15,16,17)을 통해서 연장될 수 있다. 발형상체와 대면하는 측부 뿐 아니라 후크와 대면하는 측부에서,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평탄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 수 있는 단부면들(21, 22)에서 종결된다. 평탄하거나 또는 둥근 단부면들(21, 22)은 양호하게는 생크(4)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대각선으로 배향된다. 바늘의 길이방향 L과 함께 단부면들은 도 4에 부호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예각 w1, w2으로 마주본다.
멘더 곡선부 슬릿의 길이는 폭보다 확실히 크다. 단부면들의 경사도 및/또는 곡률로 인하여, 상부 좁은 측부(8) 상의 멘더 곡선부 슬릿(18)의 길이 L1은 하부 좁은 측부(9) 상의 멘더 곡선부 슬릿(18)의 길이 L2와 상이하다. 주어진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L1은 L2보다 크다, 추가로 이 실시예에서,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연속적으로 개방된다. 즉,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단부면들(21, 22) 사이에서 비어있고 측벽들(19, 20) 사이에 연결부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부들은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충전재 형태 또는 측벽들(19, 20) 사이의 단일 부재의 이음매없는 재료 형태로, 예를 들어, 섹션들(15 내지 17)의 한 지점 또는 여러 지점들에 제공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측벽들(19, 20)은 외부 측면들(10, 11)뿐 아니라 내부 측부들에서 평탄한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측벽들은 또한 서로를 향하여 굽혀질 수 있으므로,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하나 이상의 위치들로 한정될 수 있다. 측벽들(19, 20)은 서로 이웃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점용접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술한 편물기 바늘(1)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작동하는 동안, 편물기 바늘(1)은 침상의 바늘 채널에 위치한다. 발형상체(3)는 바늘을 길이방향 L로 전후로 이동시키는, 즉, 바늘을 추진하거나 또는 후퇴시키는 탭핏(tappet)과 연결된다. 이 과정에서, 후크(5)는 스레드(thread)들을 픽업하여 현재의 루프(loop)들을 통과하도록 당기기 위하여 신속한 전후 운동을 실행한다. 이 과정에서, 래치(6)는 연속적으로 전후로 진동한다. 발형상체(3)에 전달된 바늘의 운동 동안 발생한 충격들은 생크(4)를 통해서 후크(5)의 방향으로 그리고 후크(5)로 이동한다.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한편으로 발형상체(3)의 구동 운동이 적절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후크(5)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과정에서, 후크는 정확한 방식으로 위치된다. 멘더 곡선부 슬릿은 다른 한편으로 후크(5)에 손상을 줄 수 있었던 충격들을 상기 후크와 멀리 유지하거나 또는 상기 충격들을 흡수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바늘(1)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편물기 바늘은 멘더 곡선부 슬릿(18)의 형상을 제외하면, 상술한 편물기 바늘(1)에 대응한다. 도 5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멘더 곡선부(12)의 섹션들(15,17)을 완전히 통과하며 그리고 단지 부분적으로만 섹션(16)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또한, 이 경우 길이 L2는 길이 L1보다 확실히 크다.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상부 좁은 측부(8)보다 하부 좁은 측부(9)에서 더 긴 길이를 가진다. 그러나, 멘더 곡선부 슬릿은 다시 래치 슬릿(7)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또한, 멘더 곡선부 슬릿은 양호하게는 래치 슬릿의 폭과 대응하는 균일 폭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폭은 또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가능한 변형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분할된 단부면 섹션들(21a, 21b, 22a, 22b)을 가진다. 단부면 섹션들(21a, 21b)은 서로를 향하여 예각으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단부면 섹션들(22a, 22b)도 서로를 향하여 예각으로 연장된다. 이 단부면들은 각각 멘더 곡선부 슬릿(18)의 가장 좁은 내부 지점을 마크하는 멘더 곡선부 슬릿(18) 내부 지점에서 만나고 거리 L3를 한정한다. 이 거리 L3는 거리들 L1, L2중 적어도 하나보다 작다.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일관된 균일 폭을 가지거나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계단부에서, 멘더 곡선부 슬릿(18)의 폭은 작은 값에서 큰 값으로 변화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상기 계단부는 단부면(21b)과 매끄럽게 접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또한 하부 좁은 측부(9) 또는 상부 좁은 측부(8)와 경계를 형성하는 단부면 섹션들(21a, 22a)과 매끄럽게 접한다.
거의 어떤 방식으로도 서로 조합될 수 있는 상술한 형태들을 사용하여, 생크(4)의 가요성, 안정성, 충격 흡수성, 감쇠 효과 및 피로 강도는 특정 목적을 위하여 그리고 넓은 한계값 내에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멘더 바늘로서 설계되는 편물기 바늘(1)은 텅 슬릿과 평행한 수직 슬릿의 형상을 구비한 멘더 곡선부 슬릿(18)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멘더 곡선부(12)를 포함한다. 편물기 바늘은 양호하게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개방된 중간 공간과 외접하는 두개의 측벽(19,20)에 의해서 한정된다.
도 1은 편물기 바늘의 축척되지 않은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편물기 바늘의 상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편물기 바늘의 라인 III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따른 편물기 바늘의 부분적인 수직 단면의 상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 바늘의 변형 실시예의 부분 수직 단면의 측면도.

Claims (14)

  1. 편물기 바늘(1)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형상체(3)와, 바늘 몸체(2)와 상부 좁은 측부(8) 및 하부 좁은 측부(9)를 가지며 일단부 상에 후크(5)를 지지하는 생크(4)를 구비하는 바늘 몸체(2)를 포함하고,
    상기 생크(4)가 상기 후크(5) 및 상기 발형상체(3)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멘더 곡선부(12)를 구비하며, 상기 멘더 곡선부가 적어도 하나의 멘더 곡선부 슬릿(18)을 구비하며,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상기 상부 좁은 측부(8), 상기 하부 좁은 측부(9), 또는 상기 상부 좁은 측부(8) 및 상기 하부 좁은 측부(9)를 통해서 연장되고,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섹션(15), 또한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섹션(16) 및, 몸체의 횡단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섹션(17)에 의해서 한정되고, 상기 제3섹션(17)은 상기 제1섹션(15)과 상기 제2섹션(16)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1섹션 및 상기 제2섹션과 필수적으로 직각으로 마주보며(subtend),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적어도 상기 제3섹션(17)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섹션(15)과 상기 제2섹션(16)은 동등한 높이 H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상기 생크(4)의 상부 좁은 측부(8)뿐 아니라 하부 좁은 측부(9)를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균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둥근 단부면들(21,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적어도 상기 제1섹션(15)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적어도 상기 제2섹션(16)을 통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물기 바늘은 래치형 바늘(1)로 구성되고,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열된 래치 슬릿(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슬릿(7)과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서로 정렬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상기 상부 좁은 측부(8) 상에서 길이(L1)를 가지며, 상기 길이(L1)는 상기 하부 좁은 측부(9)의 길이(L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상기 하부 좁은 측부(9) 상에서 길이(L2)를 가지며, 상기 길이(L2)는 상기 상부 좁은 측부(8)의 길이(L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멘더 곡선부 슬릿(18)은 일단부 상에 평탄한 또는 굽혀진 단부면(21)을 가지며, 상기 단부면은 상기 상부 좁은 측부(8) 또는 상기 하부 좁은 측부(9)와 예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물기 바늘.
KR1020090090811A 2008-10-02 2009-09-25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 Active KR101118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5777.7 2008-10-02
EP08165777A EP2172584B1 (de) 2008-10-02 2008-10-02 Strickmaschinennadel mit geschlitztem Mäanderbo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053A KR20100038053A (ko) 2010-04-12
KR101118027B1 true KR101118027B1 (ko) 2012-02-27

Family

ID=4021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811A Active KR101118027B1 (ko) 2008-10-02 2009-09-25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74183B2 (ko)
EP (1) EP2172584B1 (ko)
JP (1) JP5819038B2 (ko)
KR (1) KR101118027B1 (ko)
CN (1) CN101724975B (ko)
TW (1) TWI3994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5043A1 (de) 2010-07-06 2012-01-11 Groz-Beckert KG Stricksystem mit abgeflachten Führungskanälen
EP2927360B1 (de) * 2014-04-03 2017-03-08 Groz-Beckert KG Strickwerkzeug für Strickmaschinen
EP3124664B1 (en) * 2015-07-30 2020-01-08 Groz-Beckert KG Loop-forming method and device
EP3418434B1 (de) * 2017-06-19 2019-05-01 Groz-Beckert KG Maschinenstrickwerkzeug, insbesondere maschinenstricknadel
EP4263925A1 (de) * 2020-12-16 2023-10-25 Groz-Beckert KG Strickwerkzeu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0985A1 (de) * 1997-09-18 1999-04-01 Groz Beckert Kg Gestanztes Strickwerkzeug
US6860121B2 (en) * 2003-01-10 2005-03-01 Groz-Beckert Kg Kni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1591A (en) * 1918-08-28 1923-01-09 Pope Machine Company Knitting machine and needle therefor
JPS61239065A (ja) * 1985-04-12 1986-10-24 福原ニ−ドル株式会社 丸編機用のメリヤス板針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8913293U1 (de) * 1989-11-10 1989-12-28 Theodor Groz & Sö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Gestanztes Strickwerkzeug für Textilmaschinen
DE19604954C1 (de) * 1996-02-10 1997-02-27 Groz & Soehne Theodor Gestanztes Strickwerkzeug
DE19822862C2 (de) * 1998-05-22 2001-05-17 Sipra Patent Beteiligung Strickmaschinennadel und damit ausgerüstete Strickmaschine
DE10333172B4 (de) 2003-07-22 2006-01-19 Groz-Beckert Kg Strickmaschinennadel
DE10341630B4 (de) * 2003-09-10 2006-11-16 Groz-Beckert Kg Zungennad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40985A1 (de) * 1997-09-18 1999-04-01 Groz Beckert Kg Gestanztes Strickwerkzeug
US6860121B2 (en) * 2003-01-10 2005-03-01 Groz-Beckert Kg Knitt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30201A (en) 2010-08-16
CN101724975B (zh) 2012-11-14
JP2010090527A (ja) 2010-04-22
JP5819038B2 (ja) 2015-11-18
EP2172584B1 (de) 2013-01-09
CN101724975A (zh) 2010-06-09
US20100083707A1 (en) 2010-04-08
TWI399468B (zh) 2013-06-21
KR20100038053A (ko) 2010-04-12
EP2172584A1 (de) 2010-04-07
US7874183B2 (en) 201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8027B1 (ko) 멘더링 슬릿 곡선부를 갖는 편물기 바늘
US7726156B2 (en) Sinker for knitting system and knitting system showing reduced wear
KR102607933B1 (ko) 루프 형성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구성 요소
KR20070003670A (ko) 야안 보호 종광
US7334436B2 (en) Component for a knitting system
KR100605242B1 (ko) 편직기 니들
KR102285359B1 (ko) 경편기용 복합침
CA1231845A (en) Knitting machine element
US20240052537A1 (en) Knitting tool
US20160160411A1 (en) Slide Needle
CN116648534A (zh) 编织工具
KR102689171B1 (ko) 편물기 공구, 특히 편물기 바늘
KR102416661B1 (ko) 기계 편직 도구, 특히 기계 편직 바늘
KR20030001279A (ko) 개선된 슬라이더를 구비한 복합 바늘
HK40017865B (en) Machine knitting tool, in particular machine knitting needle
HK40017865A (en) Machine knitting tool, in particular machine knitting needle
CN105821577A (zh) 织针以及针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2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