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2370B1 - Robot Cleaner Combination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Combination Air Conditio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12370B1 KR100812370B1 KR1020070044929A KR20070044929A KR100812370B1 KR 100812370 B1 KR100812370 B1 KR 100812370B1 KR 1020070044929 A KR1020070044929 A KR 1020070044929A KR 20070044929 A KR20070044929 A KR 20070044929A KR 100812370 B1 KR100812370 B1 KR 1008123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bot cleaner
- cleaner
- air conditioner
- unit
- indoor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2—Mobile autonomous air conditioner, e.g. rob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the robot vacuum cleaner composi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robot vacuum cleaner composi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콘 전면 패널을 도시한 도면. 3 illustrates an air conditioner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실내기측 블럭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of the indoor unit side of the robot vacuum cleaner composi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블럭 구성도. 5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실내기 11: 패널10: indoor unit 11: panel
110: 마이컴 120: 키입력부110: microcomputer 120: key input unit
130: 청소기 연결부 140: 실내기 마이컴130: cleaner connection 140: indoor unit microcomputer
160: 청소기 충전부 170: 청소기 감지센서160: cleaner charging unit 170: cleaner detection sensor
20: 로봇청소기 220: 청소기 마이컴20: robot cleaner 220: vacuum cleaner microcomputer
230: 실내기 연결부 240: 키입력부230: indoor unit connection unit 240: key input unit
250: 충전량 감지부 210: 충전부250: charging amount detection unit 210: charging unit
211: 충전단자 260: 흡입모터 구동부211: charging terminal 260: suction motor drive unit
270: 공간감지 센서 280: 무빙운전 구동부270: space sensor 280: moving driving unit
본 발명은 에어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청소기를 충전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composite air conditioner capable of charging and controlling a robot cleaner.
최근 들어, 로봇제어기술을 이용한 로봇청소기의 수요가 폭발적이다. Recently, the demand for the robot cleaner using the robot control technology is exploding.
로봇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를 말한다.The robot cleaner refers to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an area to be cleaned by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itself in the area to be cleaned without a user's operation.
이러한 로봇청소기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미리 설정된 청소경로를 주행하면서 청소동작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기설정된 청소 경로를 자동적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로봇청소기의 위치와 주행거리 및 장애물 등을 감지하기 위해 많은 수의 센서들이 사용된다.The robot clean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cleaning operation while driving a predetermined cleaning path according to a built-in program. In order to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while automatically driving the preset cleaning path, the position, the driving distance, and the obstacle of the robot cleaner are A large number of sensors are used to detect the back.
또한, 충전 등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도킹대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도킹대는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관련 제어용 리로콘 및 제반 부품 등이 별도로 요구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가격부담이 크고 거실 공간 등의 활 용도가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dock is provided with a docking stand that can automatically perform the charging, such docking stand is required for a separate space, and the related control rerocon and all the components required separately to provide convenience, but the price burden is larg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 of the living room is not goo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에어콘의 실내기 하부에 로봇청소기의 도킹이 가능한 도킹대를 구비하고, 이 도킹대를 통해서 로봇청소기를 충전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has a docking stand that can dock a robot cleaner under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a robot cleaner combined air conditioner that can charge and control the robot cleaner through the docking st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은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팬을 구비하여 상기 응축기를 통해 실외공기를 응축시키는 실외기와, 증발기와 팬을 구비하여 실내공기가 상기 실외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된 후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실내기를 구비한 에어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로봇청소기가 도킹될 수 있도록 하는 도킹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e robot cleaner hybrid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unit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 fan to condense outdoor air through the condenser, and an outdoor air including an evaporator and a fan to condense the indoor air and pass through the evaporator. In the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nit to be discharged back to the room after heat exchange with,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cking table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so that the robot cleaner can be docked.
상기 도킹대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ck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robot cleaner.
상기 실내기는 상기 로봇청소기를 충전시키는 청소기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eaner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robot cleaner.
상기 청소기 충전부는 상기 도킹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leaner charging unit is installed on the dock.
상기 도킹대에 설치되어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는 청소기 연결부와, 상기 로봇청소기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청소기가 상기 도킹대에 도킹되면 상기 청소기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와 상기 로봇청소기와의 각종 신호를 통신하는 실내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leaner connection unit installed at the docking station to transmit and receive various signals, and a robot cleaner installed at the docking station and connected to the cleaner connection unit when the robot cleaner is docked at the docking station to communicate various signals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robot clean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door unit connection.
상기 실내기의 마이컴은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로봇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로봇청소기의 청소기 마이컴으로 상기 로봇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청소기 마이컴은 상기 로봇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로봇청소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is input from a key input unit, the microcomputer of the indoor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the cleaner microcomputer of the robot cleaner, and the cleaner microcomputer controls the robot cleaner. The robot cleaner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상기 실내기는 상기 도킹대에 상기 로봇청소기의 도킹여부를 감지하는 청소기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may include a cleaner detection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robot cleaner is docked on the dock.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청소기 충전부와 연결되어 상기 로봇청소기를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es a charging unit connected to the cleaner charging unit to charge the robot cleaner.
상기 로봇청소기는 상기 충전부에 충전된 충전량을 감지하여 충전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충전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bot cleaner may further include a charge amount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output a charge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charge amount charged in the charging unit.
상기 실내기의 마이컴은 상기 충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에 설치된 패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로봇청소기의 충전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icrocomputer of the indoor unit may display the charging amount of the robot cleaner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panel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when the charging detection signal is inpu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콘 전면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the robot vacuum cleaner composi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robot vacuum cleaner composi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air conditioner front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combin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은 로봇청소기(20)가 도킹(docking)되고 이와 함께 로봇청소기(20)를 충전시키는 것으로서, 도 1 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의 하부에 도킹대(30)가 설치된다. The robot cleaner combin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도킹대(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로봇청소기(20)가 실내기(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도킹되는 것으로서, 로봇청소기(20)가 도킹될 수 있도록 실내기(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로봇청소기(20)의 외형에 대응되게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ocking table 30 is docked so that the
또한, 도킹대(30)의 내부에는 청소기 충전부(160)가 형성되어 로봇청소기(20)가 도킹대(30)에 도킹되었을 경우 충전단자(211)가 청소기 충전부(160)에 접속되어 로봇청소기(20)의 방전상태에 따라 로봇청소기(20)에 설치된 충전부(210)가 충전된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실내기(10)의 전면 패널에는 리모콘(미도시)과 같은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신부(12)가 설치된다. 수신부(12)로 입력된 제어명령은 마이컴(110)으로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panel of the
이와 같이, 마이컴(110)으로 입력된 제어신호는 이 제어신호가 에어콘의 동작에 관련된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실내기 마이컴(140)으로 입력되고, 로봇청소 기(20)의 동작에 관련된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로봇청소기(20)의 청소기 마이컴(220)으로 입력된다. As such, the control signal input to the
로봇청소기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신호는 실내기 연결부(230)와 같은 커넥터 포트(connector port)를 통해 청소기 마이컴(220)으로 입력된다.The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robot cleaner is input to the
이에 따라, 로봇청소기(20)는 상기한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Accordingly, the
한편, 도 3 은 실내기의 전면에 설치되는 패널(11)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패널(11)은 에어콘의 동작 및 실내 온도 등과 로봇청소기(20)의 동작상태 및 청소기 충전상태를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Meanwhile, FIG. 3 illustrates a
아울러, 에어콘 및 로봇청소기(20)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에어콘 수신부(12)가 설치되는데, 이 에어콘 수신부(12)로 입력된 제어신호는 실내기 마이컴(110)으로 입력된다.In addition, the ai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실내기측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 연결부(130)와, 마이컴(110), 청소기 충전부(160), 및 청소기 감지센서(170)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4, a cleaner cleaner 130, a
먼저, 청소기 연결부(130)는 마이컴(110)으로부터 출력되는 로봇청소기 제어신호를 청소기 마이컴(220)으로 입력하는 것으로서, 로봇청소기(20)가 도킹대(30)에 도킹되면, 후술한 로봇청소기(20)의 실내기 연결부(230)와 접속되어 로봇청소기 제어신호를 포함한 각종 신호를 통신하도록 한다.First, the cleaner connection unit 130 inputs the robot cleaner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청소기 충전부(160)는 상기한 도킹대(30)에 설치되어 로봇청소기(20)가 도킹 대(30)에 도킹되면, 로봇청소기(20)의 충전부(210)를 충전시킨다. The
청소기 감지센서(170)는 도킹대(30)에 도킹된 로봇청소기(20)의 도킹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로봇청소기(20) 도킹시 로봇청소기(20)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마이컴(110)으로 출력하고, 마이컴(110)은 감지신호 입력에 따라 로봇청소기(20)의 도킹을 판단할 수 있다.The
한편, 로봇청소기(20)는 키입력부(240), 충전량 감지부(250), 충전단자(211), 흡입모터 구동부(260), 공간감지 센서(270), 무빙운전 구동부(280), 실내기 연결부(230) 및 청소기 마이컴(220)을 구비한다. Meanwhile, the
키입력부(240)는 리모콘과 같이, 사용자의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키입력부(240)는 상기한 실내기측의 키입력부(120)와 별도로 로봇청소기 제어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The key input unit 240 inputs various control commands of the user like the remote controller. The key input unit 240 may be provided for the robot cleaner control separately from the
실내기 연결부(230)는 로봇청소기(20)가 도킹대(30)에 도킹시 상기한 청소기 연결부(130)와 접속되어 각종 신호 등이 입출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입력부(120)를 통해 로봇청소기(20)가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이 제어신호가 마이컴(110)으로부터 청소기 제어신호에 입력되도록 전송한다. 아울러, 청소기 마이컴(220)으로부터 마이컴(110)으로 입력되는 충전신호를 전송한다. The indoor unit connection unit 230 is connected to the cleaner connection unit 130 when the
충전량 감지부(350)는 충전부(210)에 충전된 충전량을 감지하고, 충전부(210)는 청소기 충전부(160)와 접속된 충전단자(211)를 통해 충전된다.The charging amount detecting unit 350 detects the charging amount charged in the
흡입모터 구동부(260)는 실내 등의 바닥에 먼지 등을 흡입하는 흡입모터(미 도시)를 청소기 마이컴의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구동시키고, 무빙운전 구동부(280)는 로봇청소기(20)에 설치된 바퀴(21) 등을 통해 로봇청소기(20)가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공간감지 센서(270)는 상기한 무빙운전 구동부(280)에 의해 주행하는 실내 공간의 구조 등을 감지하여 벽면과의 충돌 또는 돌출된 바닥의 턱부 등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청소기 마이컴(220)으로 출력한다. The
청소기 마이컴(220)은 로봇청소기(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청소기 복합식 에어콘의 동작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obot cleaner composit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120 또는 240)을 통해 로봇청소기 동작명령을 입력하면, 청소기 마이컴(220)은 무빙운전 구동부(280)를 제어하여 로봇청소기(20)가 주행하도록 하며, 이와 함께, 공간감지 센서(270)로부터 입력되는 벽면 또는 턱부 등의 공간 구조에 따라 주행 방향 등을 조정하고 흡입모터 구동부(260)를 제어하여 실내 바닥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 등을 흡입하도록 한다. First, when the user inputs the robot cleaner operation command through the
한편, 로봇청소기 자체의 키입력부(240)를 통해 동작명령이 입력되면, 청소기 마이컴(220)으로 그 제어신호가 입력되나, 에어콘의 키입력부(120)를 통해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110)이 청소기 연결부(130)를 통해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청소기 마이컴(220)은 실내기 연결부(230)를 통해 그 제어신호를 수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240 of the robot cleaner itself, the control signal is input to the
상기한 바와 같은 로봇청소기(20)의 동작이 완료되면, 로봇청소기(20)는 도킹대(30)에 도킹되는데, 도킹시 실내기 연결부(230)와 청소기 연결부(130)가 서로 접속되고, 충전단자(211)가 실내기(10)의 청소기 충전부(160)와 접속되어 충전 부(210)가 충전되고, 이와 함께 충전량 감지부(250)가 충전부(210)에 충전된 충전량을 감지하여 그 충전 감지신호를 청소기 마이컴(220)으로 출력한다. When the operation of the
청소기 마이컴(220)은 충전량 감지부(250)로부터 충전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 충전 감지신호를 실내기 연결부(230)를 통해 마이컴(110)으로 전송하고, 마이컴(110)은 청소기 연결부(130)를 통해 충전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전면 패널(11)을 통해 충전량을 디스플레이한다. When the charge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charge amount detecting unit 250, the
한편, 청소기 감지센서(170)는 로봇청소기(20)를 도킹대(30)에 도킹되었는 지를 감지하여 그 도킹 감지신호를 마이컴(110)으로 출력한다.Meanwhile, the
마이컴(110)은 청소기 감지센서(170)로부터 도킹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도킹대(30)에 로봇청소기(20)가 도킹되었음을 판단하여, 키입력부(120)로부터 동작 제어명령 입력시 상기한 과정을 수행한다.When the docking dete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콘의 실내기 하부에 로봇청소기의 도킹이 가능한 도킹대를 구비하고, 이 도킹대를 통해서 로봇청소기를 충전 및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docking table capable of docking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und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nd the robot cleaner can be charg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docking table.
또한, 실내기 하부에 도킹대를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king table is provided below the indoor unit to improve space utilization to the user.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4929A KR100812370B1 (en) | 2007-05-09 | 2007-05-09 | Robot Cleaner Combination Air Conditio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4929A KR100812370B1 (en) | 2007-05-09 | 2007-05-09 | Robot Cleaner Combination Air Condition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12370B1 true KR100812370B1 (en) | 2008-03-11 |
Family
ID=39398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49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12370B1 (en) | 2007-05-09 | 2007-05-09 | Robot Cleaner Combination Air Conditio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12370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03964A (en) * | 2015-06-29 | 2015-10-28 | 哈尔滨工业大学 | Air conditioner with fresh air exchange and purification functions |
CN109394099A (en) * | 2018-11-19 | 2019-03-0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Cabinet air conditioner, combined electrical apparatus and furniture |
KR20210110427A (en) | 2020-02-28 | 2021-09-08 |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Docking Station with Air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with it |
CN113541223A (en) * | 2020-04-22 | 2021-10-22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Electrical equipment, charging con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07953A (en) * | 1990-01-10 | 1991-09-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ccommodating device of remote-controller for air-conditioner |
KR20050014521A (en) * | 2003-07-31 | 2005-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60134367A (en) * | 2005-06-22 | 2006-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Vacuum Cleaner |
KR20060134368A (en) * | 2005-06-22 | 2006-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Vacuum Cleaner |
-
2007
- 2007-05-09 KR KR1020070044929A patent/KR10081237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207953A (en) * | 1990-01-10 | 1991-09-11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ccommodating device of remote-controller for air-conditioner |
KR20050014521A (en) * | 2003-07-31 | 2005-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KR20060134367A (en) * | 2005-06-22 | 2006-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Vacuum Cleaner |
KR20060134368A (en) * | 2005-06-22 | 2006-1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obot Vacuum Clean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003964A (en) * | 2015-06-29 | 2015-10-28 | 哈尔滨工业大学 | Air conditioner with fresh air exchange and purification functions |
CN109394099A (en) * | 2018-11-19 | 2019-03-0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Cabinet air conditioner, combined electrical apparatus and furniture |
KR20210110427A (en) | 2020-02-28 | 2021-09-08 |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Docking Station with Air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with it |
CN113541223A (en) * | 2020-04-22 | 2021-10-22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Electrical equipment, charging control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886128B2 (en) | Robot cleaner system having external charging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robot cleaner to external charging device | |
TWI603699B (en) | Mobile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 |
US10188255B2 (en) |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US7274167B2 (en) | Position-recognizing system for self-moving robot | |
KR100815545B1 (en) | How to charge the service robot | |
KR100197676B1 (en) | Robot cleaner | |
CN100506141C (en) | External charging unit for charging robot cleaners | |
KR102118051B1 (en) | robot cleaning system and charge method of the same | |
EP1265119A2 (en) | Self-moving vacuum cleaner | |
KR100812370B1 (en) | Robot Cleaner Combination Air Conditioner | |
CN110545967A (en) | Mobile robot and its control method | |
CN105877607A (en) | Horizontal dust collector | |
KR100437159B1 (en) | External charging apparatus and robot cleaner system employing and method of rejoining the same | |
KR101297194B1 (en) | Robot cleaner system having external charging apparatus | |
KR102320560B1 (en) | A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moving robot | |
KR100899409B1 (en) | Robot cleaner device and control method accordingly | |
KR100471140B1 (en) | Robot cleaner system having external charging apparatus | |
KR100437362B1 (en) | External charging apparatus of robot cleaner and system employing the same | |
KR102063160B1 (en) | Robot Cleaner with Multi-usedmodule | |
KR20030013008A (en) | Robot cleaner | |
KR20090007906A (en) | Robot vacuum cleaner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 |
US20240118708A1 (en) | 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2781823B1 (en) | Robot Cleaner | |
KR100726199B1 (en) | robotic vacuum | |
KR20090098139A (en) | Sensing Structure of Automatic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