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81273B1 -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1273B1
KR100581273B1 KR1020030044201A KR20030044201A KR100581273B1 KR 100581273 B1 KR100581273 B1 KR 100581273B1 KR 1020030044201 A KR1020030044201 A KR 1020030044201A KR 20030044201 A KR20030044201 A KR 20030044201A KR 100581273 B1 KR100581273 B1 KR 100581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p joint
exercise
movement
hip
kne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5069A (ko
Inventor
허영백
Original Assignee
허영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백 filed Critical 허영백
Priority to KR102003004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1273B1/ko
Publication of KR2005000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2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부하장치를 채택하고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여 재활이나 단련용으로 운동을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진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관절을 중심으로 상,하체를 이용하여 재활 및 단련을 위하여 운동을 행하되, 운동시 대항근의 긴장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운동시 운동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운동을 행하는 신체부위와의 사이에서 유동곡선, 회동각도, 변위 거리 등에서 상호간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때 그때마다 그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원활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동상 제한요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으며, 하체를 이용하여 고관절을 중심으로 운동을 행하되 무릎부위를 펼친 상태에서 양측 다리를 교번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고관절을 중심으로 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하체의 대칭성에 의한 기본적인 고관절 운동의 효과를 보다 증진시킬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고관절, 재활, 운동

Description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Hip Joint Exercis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요부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 다른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있어서 요부구성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 생략 측면도,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인 실시예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신체운동측과 이에 대칭되는 대항측이 서로 선택적으로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9는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11은 그 적용예로서의 일부 생략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일부 생략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판, 2: 무릎걸이,
10: 하지운동체, 30: 무하중구조,
31: 대칭추, 60: 가변수용기구,
70: 과부하방지기구
본 발명은 과부하장치를 채택하고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여 재활이나 단련용으로 운동을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진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여 신전 또는 굴절 운동을 행할 수 있게 이루어진 운동장치의 경우에는 운동시에 신체적으로 나뉘어지는 관절의 위치변위, 예를 들면 회동각도나 유동하는 곡선 등에 따라 실제로 운동장치의 작동상 불일치 현상을 가져와 운동상 제약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관절을 중심으로 상,하체 상호간 대칭을 이루는 구조적인 특성과 상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하체에 의한 운동시에 상체의 대항근에 긴장이 발생하는 근원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목, 등, 어깨 부위에 무리가 가해져 이상이 발생하는 취약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고관절운동이 상,하체의 중심운동임에도 불구하고 하체의 운동 힘과 동일한 힘이 상체에도 발생하여 상체 대항근을 긴장시키게 되어 운동상 제한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더우기, 종래에 있어서 상체는 움직이지 않고 하체를 이용하여 고관절을 중심으로 운동을 행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무릎부위를 굽히고 펼치는 동작으로만 작동 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상,하체의 대칭성에 의한 기본적인 고관절 운동의 효과가 반감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관절을 중심으로 상,하체를 이용하여 재활 및 단련을 위하여 운동을 행하되, 운동시 대항근의 긴장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시 운동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운동을 행하는 신체부위와의 사이에서 유동곡선, 회동각도, 변위 거리 등에서 상호간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그때 그때마다 그 변위를 수용하여 보다 원활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동상 제한요소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체는 하체를 이용하여 고관절을 중심으로 운동을 행하되 무릎부위를 펼친 상태에서 양측 다리를 교번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고관절을 중심으로 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하체의 대칭성에 의한 기본적인 고관절 운동의 효과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 있는 자세, 앉아 있는 자세 또는 누워 있는 자세 등 적절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하체를 이용하여 고관절 연관 부위를 재활 또는 단련을 위하여 운동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무게대항측이 고관절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하지운동체의 중량과 평형이 되도록 대칭추의 위치를 이동 조절하거나 하지의 운동체 중량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여 하지부위를 무하중상태로 유지하는 구조인 무하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운동시에 상,하체간 대칭구조를 가지되 상,하체 중 어느 일측에 의한 신체운동측과 이와 대칭되는 대항측이 서로 선택적으로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고관절 운동시에 하체의 운동힘에 대등하여 발생되는 상체힘의 반력을 차단하도록 상체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운동시 발생되는 상체 대항근의 반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항근반응차단장치를 부가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고관절 운동시에 인체의 발목관절, 무릎관절 및 고관절이 함께 회동되는 신체시스템 분절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동편차를 수용하는 가변수용기구를 운동장치의 변위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더우기, 고관절 운동시에 인체의 고관절과 운동장치의 회동부위 중심을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동부위를 중심으로 작동되는 하지운동체를 양쪽이 서로 교차하여 연동하도록 각각 분리 구성하되 시소의 원리로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시소의 원리에 의한 상기 하지운동체가 굴절, 신전운동시 유로구를 조절하거나 마찰저항을 이용하여 운동강도를 선택하고 회동공간 내의 스토퍼를 설치하여 가동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예시한 여러 실시예들은 모두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서 있는 자세, 앉아 있는 자세 또는 누워 있는 자세 등 적절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고관절을 중심으로 상,하체를 이용하여 재활 또는 단련을 위하여 운동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지운동체(10)의 중량과 대응하도록 상기 하지운동체(10)와 연동되고 대칭추(31)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지를 지지하여 하지부위의 무하중상태로 유지하는 구조인 무하중구조(30)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앉거나 누워 있는 자세에서 운동을 행하기 위하여는 발판(1), 좌판(4) 및 등판(5)을 필요로 하게 되고, 특히 누운 자세에서 운동을 행하는 경우에는 머리받침(6)이 설치되게 되며, 어깨 부위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어깨걸이(7)를 설치하되, 이들은 기대(8)의 상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프레임에 지지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하지운동체(10)의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발판(1)과 무릎걸이(2)가 서로 연동되게 설치하되, 연동부위는 발판프레임(11)의 일측이 발판지지대(12)상에 회전 가능하게 스프로켓휘일(13,14)이 고정 설치된 발판축(15)과 무릎걸이프레임(21)의 일측이 무릎지지대(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스프로켓휘일(23,24)이 고정 설치된 무릎축(25)이 체인(26,27)에 의하여 양측 스프로켓휘일(13,14)(23,24)이 서로 연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이들 하지운동체(10)에 가해지는 운동하중력은 무릎걸이프레임(21)과 외측 고정 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된 상,하부 유압실린더(28,29)에 의하여 조절 및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무하중구조(30)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상기 무릎축(25)의 스프로켓휘일(23)에 외팔보 형태의 조절프레임(32)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조절프레임(32)의 내측에는 위치의 변위가 가능하게 대칭추(31)를 설치하되, 변위 방식은 상기 조절프레임(32)에 상기 대칭추(31)와 나사결합되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나사봉(33)을 설치하고 나사봉(33)의 회전구동은 상기 조절프레임(32)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4)에 의하여 벨트(35)를 경유 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프로켓휘일(23,24)과 체인(26,27)을 거쳐 발판(1)을 포함하는 하지운동체(10)에 가해지는 중량을 무하중구조(30)로서 외팔보 형태인 조절프레임(32)의 내부에서 변위가 이루어지는 대칭추(31)의 위치에 따라 서로 대응된 중량으로서의 무하중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물론, 하지운동체(10)의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기대(8)의 상부에 별도로 마련한 전방 지지프레임(16)에 지지체(17)를 상체프레임과 연동이 가능하게 링크 연결 설치하고, 상기 지지체(17)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가변수용체(18)의 양측에 각각 나누어 발판(1,1)을 설치하며, 무릎걸이(2)는 전술한 예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다음은, 도 9 내지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운동시에 상,하체간 대칭구조를 가지되 상,하체 중 어느 일측에 의한 신체운동측과 이와 대칭되는 대항측이 서로 선택적으로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하지운동체(10)중 무릎걸이(2)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고관절 부위의 운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부 유압실린더(28)에 가해지는 운동하중력이 유압라인(51)을 거쳐 상부프레임(52)에 고정 설치된 유압실린더(53)로 전달되어 등판(5)과 머리받침(6)이 설치되어 있던 배면프레임(54)을 전진시켜 머리와 등이 위치한 상체를 전방으로 강제적으로 전진시켜 상체중 등부위에 위치한 대항근의 작용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행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유압실린더(53)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등판(5) 및 머리받침(6)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은 스프링과 같은 복귀부재(55)에 의하여 그 작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등판(5)과 머리받침(6)을 포함하는 상체고정부에 운동시 발생되는 신체 대항근의 반응을 차단하기 위한 대항근반응차단장치로서 상부프레임(52)에 설치된 유압실린더(28)를 부가 설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운동시에 인체의 발목관절, 무릎관절 및 고관절의 신체관절과 함께 회동되는 신체시스템 분절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동편차를 수용하는 가변수용기구(60)를 운동장치의 변위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예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발판프레임(11)의 일측에 구동모터(61)에 의하여 암나사봉(62)이 회전하고 이 암나사봉(62)의 회전시에 암나봉(62)과 나사결합되어 있던 수나사봉(63)의 전,후진에 의하여 발판(1)이 레일(64)을 타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진 이동이 이루어지되, 상기 수나사봉(63)과 발판(1)의 고정부(65)사이에 탄성여유를 갖도록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6)를 설치하여 발목, 무릎 및 고관절에 의한 유동편차를 수용할 수 있게 가변수용기구(60)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가변수용체(18)의 내부에는 다수의 공전로울(67)을 지그재그로 설치하고, 벨트(68)가 지지체(17)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공전로울(67)을 지그재그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거친 다음에 나머지 일측은 무릎걸이(2)에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지되, 일측 로울(67)과 가변수용체(18)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9)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여유있게 움직이는 가변수용기구(60)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모터(34,61)에 의하여 나사봉(33,62)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대응부위가 전,후진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대응부위의 양측 끝단 여유부위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아니한 공회전 부위(72)를 마련하여 구동모터(34,61)가 연속하여 작동이 이루어져 전,후진이 허용범위 이상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더 이상 전,후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계적인 과부하방지기구(70)를 채택하여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여 인체의 고관절과 운동장치의 회동부위가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동부위를 중심으로 작동되는 하지운동체(10,10)를 각각 분리 구성하되 시소의 원리로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경우에는 하지운동체(10,10)를 분리구성하되, 양측의 분리 구성된 하지운동체(10,10)가 각각 그 중량과 대응하도록 상기 하지운동체(10,10)가 서로 연동되고 하지를 지지하여 하지부위의 무하중상태로 유지하는 구조인 무하중구조(30)를 갖추어 이루어지게 된다.
시소의 원리로 서로 연동되도록 하는 구성부위의 예로서 각각의 하지운동체(10,10) 각각은 하부에 유압실린더(16,17)를 하부의 링크지지체(18)와 각각 힌지 결합되고, 이들 유압실린더(16,17)는 서로 유압라인으로 연결 구성되어 회동부위를 중심으로 일측의 하지운동체(10)를 상승시키면 다른 일측의 하지운동체(10)는 하강하게 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상,하향운동이 이루어지는 연동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요시에 상기 유압실린더(16,17)을 서로 연결하는 유압라인상에 유량제어밸브를 설치하거나 각각의 유압실린더(16,17)가 가지고 있는 왕복 스트로크의 범위를 조절하여 시소의 원리에 의한 상기 하지운동체(10,10)가 굴절, 신전운동시 저항력과 가동범위를 조절,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경우에 고관절 운동이나 단련시에는 다음과 같이 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 내지 도 11에 예시한 각각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좌판(4)에 앉고 등판(5)에 등을 기댄 상태에서 발판(1)에는 발을 올려 놓고 무릎걸이(2)의 하부에는 무릎이 위치한 상태로 하되, 초기 위치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발판(1)의 위치를 전,후진시켜 적절한 위치로서 운동장치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하여 초기위치를 설정한다.
다음, 하체와 함께 발판(1)을 포함하는 하지운동체(10)에 가해지는 중량과 대응되도록 무하중구조(30)로서 구동모터(34)를 가동시켜 외팔보 형태인 조절프레임(32)의 내부에 위치하는 대칭추(31)의 위치를 변위시키고 하체에는 무하중상태에 이르도록 조절을 행한다.
이와 같이 발판(1)에 얹어진 발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체의 중량감을 없앤 상태에서 무릎에 힘을 가하여 상향 각도변위가 이루어지도록 서서히 고관절을 중심으로 한 운동 내지 단련을 행하게 되면 무릎지지대(12)를 통하여 무릎축(25)의 스프로켓휘일(23,2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 스프로켓휘일(23,24)은 체인(26,27)에 의하여 스프로켓휘일(23,24)을 회전시켜 발판축(15)을 회전시켜 발판지지대(12)를 경유 발판(1)도 함께 연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벨트(68)에 의하여 무릎걸이(2)와 발판(1)이 함께 연동되게 되고, 좀 더 상세하게 표현하면 발판(1)이 설치된 가변수용체(18)이 연동되어 결국 발판(1)과의 연동이 함께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고관절을 중심으로 무릎에 의한 상향 각도회전 운동과 발에 의한 하향각도회전 운동의 경우에 발판(1)과 무릎걸이(2)의 연동이 이루어지되, 별도로 설치된 상,하부 유압실린더(28,29)에 의하여 운동하중력은 적절하게 조절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이와 같은 상,하향 각도회전에 의한 고관절을 중심으로 한 운동이 서서히 이루어지는 경우에 도 9 내지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대항근의 작용을 방지하는 구성을 채택하게 되면, 상,하체 중 어느 일측에 의한 신체운동측과 이와 대칭되는 대항측이 서로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항근의 작용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하지운동체(10) 중 무릎걸이(2)를 상향으로 가압하여 고관절 부위의 운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부 유압실린더(28)에 가해지는 운동하중력이 유압라인(51)을 거쳐 상부프레임(52)에 고정 설치된 유압실린더(53)로 전달되어 등판(5)과 머리받침(6)이 설치되어 있던 배면프레임(54)을 전진시켜 머리와 등이 위치한 상체를 전방으로 강제적으로 전진시켜 상체중 등부위에 위치한 대항근의 작용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일방향 작동이 이루어진 이후엔 복귀부재(55)에 의하여 유압실린더(53)를 원위치로 서서히 복귀시켜 반대 반향의 작동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변수용기구(60)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66)나 탄성부재(69)에 의하여 운동시에 인체의 발목관절, 무릎관절 및 고관절의 신체관절과 함께 회동되는 신체시스템 분절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동편차를 수용하여 운동장치와 신체가 보다 일체감을 가지고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과하중방지기구(70)을 채택하여 활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구동모터(34,61)에 의하여 나사봉(33,62)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나사결합이 이루어진 대응부위의 양측 끝난 여유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아니한 공회전 부위(72)를 마련하는 경우에 구동모터(34,61)가 연속하여 작동이 이루어져 전,후진이 허용범위 이상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관련 구성이 더이상 전,후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기계적으로 과하중를 미리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인체의 고관절과 운동장치의 회동부위가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하체를 하지운동체(10,10) 상부에 각각 올려 놓고 초기에 양측이 균형을 잡은 무중량 감각 상태에서 그 중 어느 일측을 하향으로 가압하면 그 부위는 하향 각도변위가 이루어지고 반대로 다른측은 상향 각도변위가 이루어지면서 이를 교번 및 반복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시소원리에 의한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는 재활 및 단련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관절을 중심으로 상,하체를 이용하여 재활 및 단련을 위하여 운동을 행하되, 운동시 대항근의 긴장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운동시 운동장치의 작동과정에서 운동을 행하는 신체부위와의 사이에서 유동곡선, 회동각도, 변위 거리 등에서 상호간 불일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때 그때마다 그 변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원활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운동상 제한요소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으며, 때로는 하체를 이용하여 고관절을 중심으로 운동을 행하되 무릎부위를 펼친 상태에서 양측 다리를 교번적으로 움직이는 동작으로 고관절을 중심으로 한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체의 대칭성에 의한 기본적인 고관절 운동의 효과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서 있는 자세, 앉아 있는 자세 또는 누워 있는 자세 등 적절한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상,하체를 이용하여 고관절 연관부위를 중심으로 재활 또는 단련을 위하여 운동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고관절을 중심으로 하지운동체(10)의 중량과 평형이 되도록 상기 하지운동체(10)와 연동되고 대칭추(31)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지를 지지하여 하지부위를 무하중상태로 조정하는 구조인 무하중구조(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운동체(10)는 발판(1)과 무릎걸이(2)가 서로 연동되게 설치하되, 연동부위는 발판프레임(11)의 일측이 발판지지대(12)상에 회전 가능하게 스프로켓휘일(13,14)이 고정 설치된 발판축(15)과 무릎걸이프레임(21)의 일측이 무릎지지대(2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스프로켓휘일(23,24)이 고정 설치된 무릎축(25)이 체인(26,27)에 의하여 양측 스프로켓휘일(13,14)(23,24)이 서로 연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지운동체(10)에 가해지는 운동하중력은 무릎걸이프레임(21)과 외측 고정 프레임 사이에 각각 설치된 상,하부 유압실린더(28,29)에 의하여 조절 및 제어가 이루어지게 구성되고,
    상기 무하중구조(30)는 상기 무릎축(25)의 스프로켓휘일(23)에 외팔보 형태의 조절프레임(32)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조절프레임(32)의 내측에는 위치의 변위가 가능하게 대칭추(31)를 설치하되, 상기 조절프레임(32)에 상기 대칭추(31)와 나사결합되고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나사봉(33)을 설치하고 나사봉(33)의 회전구동은 상기 조절프레임(32)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4)에 의하여 벨트(35)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프로켓휘일(23,24)과 체인(26,27)을 거쳐 발판(1)을 포함하는 하지운동체(10)에 가해지는 중량을 무하중구조(30)로서 외팔보 형태인 조절프레임(32)의 내부에서 변위가 이루어지는 대칭추(31)의 위치에 따라 서로 대응된 중량으로서의 무하중 상태를 유지하도록 그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관절 운동시 하지운동체(10)에 의한 하체운동에 대응하여 상체에서 발생되는 상체 대항근의 반력을 차단하기 위한 대항근반응차단장치를 상체고정부에 부가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관절 운동시에 인체의 발목관절, 무릎관절 및 고관절이 함께 회동되는 신체시스템 분절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동편차를 수용하는 가변수용기구(60)를 운동장치의 변위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고관절 운동시 인체의 고관절과 운동장치의 회동부위 중심을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회동부위를 중심으로 작동되는 하지운동체(10,10)를 양쪽이 서로 교차하여 시소의 원리로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의 원리에 의한 상기 하지운동체(10,10)가 하부에 유압실린더(16,17)를 하부의 링크지지체(18)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16,17)는 서로 유압라인으로 연결구성되어 굴절, 신전운동시 저항력과 가동범위를 조절,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관절 재활운동장치.
  7. 삭제
KR1020030044201A 2003-07-01 2003-07-01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581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01A KR100581273B1 (ko) 2003-07-01 2003-07-01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4201A KR100581273B1 (ko) 2003-07-01 2003-07-01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069A KR20050005069A (ko) 2005-01-13
KR100581273B1 true KR100581273B1 (ko) 2006-05-17

Family

ID=37219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4201A Expired - Lifetime KR100581273B1 (ko) 2003-07-01 2003-07-01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1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111A3 (en) * 2009-01-23 2010-10-28 Young-Baek Hur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243B1 (ko) * 2013-12-17 2015-12-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관절 운동기기
WO2022080519A1 (ko) * 2020-10-14 2022-04-21 경상대학교병원 고관절 골절환자에서의 무중력 트레드밀을 이용한 재활치료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111A3 (en) * 2009-01-23 2010-10-28 Young-Baek Hur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KR101065892B1 (ko) 2009-01-23 2011-09-19 허영백 재활운동장치
CN102292060A (zh) * 2009-01-23 2011-12-21 许英伯 康复运动装置
US9079064B2 (en) 2009-01-23 2015-07-14 Young-Baek Hur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9199118B2 (en) 2009-01-23 2015-12-01 Young-Baek Hur Strengthening and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5069A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8573A (en) Stretch therapy apparatus for physical fitness, rehabilitation and medical treatment
US5611758A (en) Recumbent exercise apparatus
US20210113877A1 (en) Leg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US4674740A (en) Exercise machine for simulating swimming motions
KR101204809B1 (ko) 운동 보조 장치
RU2606944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тренажер
US20160151660A1 (en) Exercise machine
US5277677A (en) Stepping exercise machine
US4169589A (en) Leg exercising apparatus
KR101494685B1 (ko) 하지 훈련 운동기구
KR100658981B1 (ko) 중력보상이 이루어지는 하지재활운동기구
US6036624A (en) Physical training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training of the shoulder rotators
KR101869978B1 (ko) 재활운동기구
US5507711A (en) Leg stretcher
WO2009122557A1 (ja) 運動補助装置
KR101525225B1 (ko) 하체 및 몸통 운동기구
KR100581273B1 (ko) 고관절 재활 운동장치
KR101661534B1 (ko) 능동형 발목재활기구
CA2545646A1 (en) Exercise apparatus for exercising lower limbs
JP2003116940A (ja) 足筋肉関節トレーニング装置
JP4802336B2 (ja) 重力負荷運動装置
EP2345460A1 (en) Saddle for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equipment
KR101868334B1 (ko) 전신운동기구
JP2008237785A5 (ko)
KR101476989B1 (ko) 하체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101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