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273B1 - 차량용 마찰 클러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마찰 클러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2273B1 KR100572273B1 KR1020007013313A KR20007013313A KR100572273B1 KR 100572273 B1 KR100572273 B1 KR 100572273B1 KR 1020007013313 A KR1020007013313 A KR 1020007013313A KR 20007013313 A KR20007013313 A KR 20007013313A KR 100572273 B1 KR100572273 B1 KR 100572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cover plate
- support member
- friction
- wo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75—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 F16D13/757—Features relating to adjustment, e.g. slack adjusters the adjusting device being located on or inside the clutch cover, e.g. acting on the diaphragm or on the pressur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마찰 클러치, 특히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 또는 복수의 마찰 라이너의 마모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응 플레이트,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101)를 구비하여 피동샤프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찰 디스크(100), 계합 해제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커버 플레이트(12) 및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서 제 2 접촉 수단(17) 및 제 1 접촉 수단을 통해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클러치 계합 수단(13)을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로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를 커버 플레이트(12)를 향해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클러치는 램프 수단(14)을 구비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램프 수단의 램프(16)는 원주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 수단(17)과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카운터램프 수단(15)에 맞물리게 되어 있고, 워엄(23)에 치합하는 복수의 치(19), 상기 복수의 치(19)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램프 수단(14), 상기 클러치의 계합상태에서 상기 워엄(23)을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마찰 라이너 또는 복수의 마찰 라이너(101)의 마모시 작동하도록 된 구동 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워엄 구동 수단은 워엄(2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탄성 부재(32)의 일부인 제어텅(36)을 통해 제어되는 래칫휠로 구성되고, 상기 워엄(23) 및 래칫휠(20)은 지지 부재(22)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22) 및 탄성 부재(32)는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됨과 동시에 이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22)는 워엄(23)과 래칫휠(20)을 장착하는 스핀들(27)을 지지하도록 된 하나의 스파인(24)과 2개의 윙(25)에 의해 U자형을 이루는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2)는 상기 지지 부재의 커버 플레이트에의 고정에 독립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22)의 스파인(2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마찰 클러치, 특히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 또는 복수의 마찰 라이너의 마모에 응답하여 작동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마찰 클러치는 일반적으로 엔진의 플라이휠의 일부인 반응 플레이트를 구비하는데, 이 반응 플레이트는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구동샤프트로서 그 둘레부에 적어도 하나의 압력 플레이트가 부착된 커버 플레이트를 장착하고 있는 제 1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댐핑 플라이휠 또는 가요성 플라이휠을 구성하도록 2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커버 플레이트 및 반응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계합 해제 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클러치 계합 수단의 축방향 가압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위한다. 상기 클러치 계합 수단은 헬리컬스프링 또는 직렬 또는 병렬 장착된 하나이상의 접시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계합 해제 수단을 구성하는 계합 해제 레버의 작용을 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계합 수단 및 계합 해제 수단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는 금속 다이어프램과 같은 단일 부품 내에 수용된다.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계합 해제력을 보조하기 위해 접시 스프링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장착된다.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라이너를 구비하여 기어박스의 입력샤프트와 같은 피동샤프트인 임의의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마찰 디스크는 상기 클러치의 계합 해제 조건시 압력 플레이트와 반응 플레이트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클러치 계합 수단은 상기 계합 해제 수단을 통해 클러치 해제 베어링에 의해 동작될 때 압력 플레이트의 축방향 변위를 제어한다.
상기 마찰 디스크는 통상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함과 동시에 양면상에 2개의 마찰 라이너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 디스크를 구비한다. 지지 디스크의 다른 형태로는 강체이고, 예로써 그 외주부에 마찰 라이너가 피복되어 있는 형태의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러치는 사용중에 마찰 라이너 또는 복수의 마찰 라이너 및 압력 플레이트 및 반응 플레이트와 같은 반력요소에 마모가 발생하고, 이와 같이 마모가 발생하면 압력 플레이트 및 축방향 동작하는 클러치 계합 수단 및 클러치 계합 해제 베어링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와 같이 위치가 변하면 클러치 계합 수단의 작동조건의 변동에 따라 마찰 디스크 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 및 압력 플레이트 및 반응 플레이트 상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변하게 되고, 계합에 요구되는 힘의 크기에 영향을 주게 된다. 클러치에 마모 보상 장치를 설치하면 계합 해제 수단 상에 일정한 계합력을 가하게 되므로 클러치는 일정한 계합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결점들은 해소되고, 클러치의 축방향 치수도 감소된다.
구동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응 플레이트,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를 구비하여 피동샤프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찰 디스크, 계합 해제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커버 플레이트 및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제 2 접촉 수단 및 제 1 접촉 수단을 통해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클러치 계합 수단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마찰 클러치로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를 커버 플레이트를 향해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클러치는 램프 수단을 구비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램프 수단의 램프는 원주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 수단과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카운터램프 수단에 맞물리게 되어 있고, 워엄에 치합하는 복수의 치, 상기 복수의 치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램프 수단, 상기 클러치의 계합상태에서 상기 워엄을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마찰 라이너 또는 복수의 마찰 라이너의 마모시 작동하도록 된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워엄 구동 수단은 워엄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탄성 부재의 일부인 제어텅을 통해 제어되는 래칫휠로 구성되고, 상기 워엄 및 래칫휠은 지지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 및 탄성 부재는 커버 플레이트에 고정됨과 동시에 이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워엄과 래칫휠을 장착하는 스핀들을 지지하도록 된 하나의 스파인과 2개의 윙에 의해 U자형을 이루는 마찰 클러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형식의 클러치의 예로는 FR-A-2 753 503에 개시된 것을 들 수 있다.
종래, 클러치의 탄성 부재는 탄성 부재의 2개의 이어부(ears)에 형성된 홀에 스핀들을 삽입하여 지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탄성 부재가 복잡하고, 제어텅(control tongue)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응력의 감소에 따른 수명단축의 원인이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마찰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는 그 탄성 부재가 지지 부재의 고정과 별도로 지지 부재의 스파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지지 부재의 스파인과 커버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텅의 길이는 증가될 수 있고, 응력도 적게 받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지지 부재의 윙에 접촉되는 윙이 없으므로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탄성 부재는 대체로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축방향을 지향하는 윙을 구비한다. 2개의 윙 중 하나의 윙에는 이 윙을 리베팅 또는 클리핑 등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윙은 제어텅으로서 상기 클러치의 축선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스파인은 스파인과 윙에 대해 대체로 직각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플랜지에 의해 상기 윙보다 더 연장되고, 탄성 부재를 지지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 부재의 윙은 고정된 U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수직한 텅에 의해 연장되고, 지지 부재의 플랜지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의 횡방향 플랜지에 지지된다.
상기 클러치의 계합 해제동작 중의 래칫휠에 대한 제어텅의 운동경로는 상기 지지 부재 상에 프레스 가공된 적어도 하나의 러그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어 접촉부에 의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부재의 스파인의 에지부의 중앙부에는 상기 탄성 부재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슬롯을 형성하여 탄성 부재가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베이스에는 립(lip)이 형성되며, 이 립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의 윙의 내측을 향해 연장하는 라운딩부 및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어텅은 작동시 상기 립의 둘레에서 롤링됨으로써 변형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사용 수명이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윙들이 상호 결합된 탄성 부재의 스파인은 제어텅으로서의 상기 윙과의 접합부에 대해 동일선상에 상기 지지 부재의 제어 접촉부와 접촉하는 확장영역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클러치 계합 수단은 다이어프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 수단은 연속 또는 비연속의 원형의 프레스가공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래칫휠은 다이어프램의 제어텅으로 제어되고, 다이어프램의 외주부상의 부속물로 구성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액츄에이터의 통로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분리되어 있는 2개의 러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 수단은 그 일축선상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경사램프를 구비하고, 타축선 상에 제 2 접촉 수단을 구비하는 원형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운터 램프 수단은 상기 램프 수단의 복수의 램프들과 협동하도록 된 패드로 구성하는 것일 바람직하다.
상기 워엄은 소위 탄성 권취 수단의 작용을 받을 때 축선을 따라 변위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마모 보상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 방향에서 본 부분절제도,
도 3은 지지 부재 및 이 지지 부재 상에 장착된 부품을 구성하는 서브조립체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지지 부재 자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는 도 5의 VI-Vl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화살표 VI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8은 피봇핀의 측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일체형 워엄 및 래칫휠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9는 입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9의 X-X선 단면도 및 XI-XI선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탄성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2는 입면도,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화살표 XIV에서 본 도면.
도 1 내지 도 4는 차량용 마찰 클러치 기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마찰 클러치 기구는 도 1에 도식적으로 도시한 외주연 상에 마찰 라이너(101)를 구비하는 지지 플레이트 또는 디스크로 구성된 마찰 디스크(100)와 계합하도록 된 압력 플레이트(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마찰 디스크는 반응 플레이트와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반응 플레이트(도시생략)는 내연 기관의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구동샤프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엔진플라이휠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마찰 디스크(100)는 지지 플레이트의 내주연 상에 장착된 허브를 통해 기어박스의 입력샤프트와 같은 피동샤프트에 고정되어 이 피동샤프트와 함께 회동한다.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는 주조가 가능한 재료로 제작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캐스팅으로 되어 있다. 이 압력 플레이트(11)는 주지의 방법으로 접촉텅(도시생략)에 의해 중공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이것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접촉텅은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여 프레스 성형된 금속으로 구성된 중공 커버 플레이트(12)측으로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를 가압하는 리턴 수단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2)는 중공 접시형으로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부(42)와 반응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방사상 플랜지에 연결되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 스커트부(41)를 구비한다.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는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어 함께 회동하는 한편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수단은 커버 플레이트(12)의 베이스부(42)의 내주연으로부터 돌출한 러그(10)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베이스부(42)에 원호형으로 프레스 성형되어 제 1 접촉부를 형성하는 요소(18)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2) 상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13)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치는 푸시투릴리즈형(push-to-release type) 클러치로서, 이 클러치의 계합 해제동작은 도 1의 화살표 F방향으로 상기 다이어프램(13)의 핑거 단부상에 작용함으로써 실행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러그(10)는 링크라운 상에 지지되어, 상기 다이어프램(13)이 제 1 접합부(18)와 링크라운의 외주연 사이에서 굴곡되고,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은 상기 제 1 접합부(18)에 대해 탄성적으로 클램핑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가 계합상태에 있을 때,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 수단(13)이 마찰 디스크(100)의 라이너(101)가 마모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압력 플레이트(11) 및 반응 플레이트의 마모량을 감소시키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디스크(100)의 라이너(101)에 접촉하여 마모되는 소위 마찰면에 마모 보상 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마모 보상 장치는 주연부에 배치된 복수의 램프(16)를 구비하는 램프 수단(14)을 구비한다. 즉, 이들 램프 수단(14)은 압력 플레이트(11)에 접하는 면상에 복수의 램프(16)를 구비하는 환상 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환상 링의 반대측면은 제 2 접촉영역(17)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접속영역(17)은 연속형 또는 비연속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접촉부(18)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한다.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베이스부(42)를 향하는 면상에 카운터램프(15)를 구비하는 카운터램프 수단을 장착한 횡방향 계합면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운터램프는 패드로 이루어져 있고, 2개의 연속되는 램프(16)를 원주방향으로 분리하는 거리만큼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각 카운터램프(15)는 램프(16)와 협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램프 수단(14)은 다이어프램(13)과 카운터램프 사이에 개재되므로 상기 카운터램프(15)는 램프(16)를 수용하고, 상기 다이어프램(13)은 제 2 접촉영역(17)과 협동함으로써 접촉 수단을 구성한다. 이 접촉 수단에 의해 다이어프램(13)은 압력 플레이트(11) 상에 작용한다.
상기 램프 수단(14)의 외주연에는 일련의 치(19)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19)는 램프 수단(14)을 구성하는 금속판 가장자리에 스탬핑 및 밴딩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패드(15)가 형성된 압력 플레이트(11)의 계합면은 원통상 에지(28)를 구비한다. 이 에지(28)의 외주면에는 램프 수단(14)이 외삽된다. 이를 위해 상기 램프 수단(14)은 상기 에지(28)와 긴밀하게 접촉하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환상플랜지가 구비되고, 램프(14)의 일련의 치(19)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환상 링 프레스성형 금속플레이트의 일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모 보상 장치는 또한 복수의 치(ramp teeth)를 구비하는 래칫휠(20)을 구비한다. 이 래칫휠(20)은 워엄(23)을 장착하고 있는 스핀들(27)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워엄(23)의 나사산과 피치는 상기 램프 수단(14)의 치(19)에 일치한다. 상기 워엄(23)은 후술하는 조건하에서 상기 치(19)와 치합한다.
상기 스핀들(27)은 프레스성형 및 벤딩가공된 판금재로 구성된 지지 부재(2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지지 부재(22)는 스파인(24) 및 스핀들(27)을 지지하는 2개의 윙(25)을 구비하여 대체로 U자형을 이루고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 부재(22)는 스파인(24)과 윙(25)에 의해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된다. 즉, 상기 스파인(24)에는 홀(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스파인(24)과 윙(25)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홀(31)을 구비하는 횡방향 플랜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파인(24)은 상기 연장부의 반대측 상에 슬롯(37)을 구비하고, 이 슬롯의 베이스부에는 단부가 라운딩되고 윙(25)의 내측을 향하는 요홈을 가지는 립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37)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각 윙(25)의 단부는 2개의 러그, 즉 접촉러그(33) 및 고정러그(34, 34')가 절삭가공되어 있다. 상기 2개의 고정러그(34, 34')는 윙(25)의 외측으로 연장하고, 2개의 접촉러그(33)는 내측으로 연장한다. 상기 2개의 고정러그(34, 34')는 상기 스파인(24)과 윙(25)에 대해 대체로 직각을 이루는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 상기 2개의 접촉러그(33)는 고정러그(34, 34')의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된 면상에 위치한다.
상기 각 윙(25)에는 각각 홀(43, 44)이 형성되어 있고, 홀(44)의 직경이 홀(43)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스핀들(27)은 직경이 큰 원통상 헤드부를 구비하는 원통체(45)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에는 직경이 더 큰 원통상 플랜지(4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원통체(45)의 헤드부(47)의 반대측 단부에는 요홈(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2)의 윙(25)의 홀(44)은 상기 헤드부(47)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다른 윙(25)의 홀(43)은 스핀들(27)의 원통체(45)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핀들(27)이 지지 부재(22)에 장착되면 상기 홀(4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플랜지(48)는 윙(25)의 외면에 밀착하고, 원통체(45)는 타측의 윙(25)을 초과하여 연장한다. 상기 요홈(49)에 스냅링(50) 또는 스탑링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스핀들(25)은 지지 부재(22)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엄(23) 및 래칫휠(20)은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축방향 보어(56)에 의해 스핀들(27)에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워엄(23)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횡방향 홀(57)은 워엄(23)의 인덱스마크로서 워엄의 초기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상기 워엄(23)과 래칫휠(20)은 별도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보어와 스핀들(27)은 워엄(23)과 래칫휠(20)이 스핀들(27) 상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들 두 부품(20) 또는 (23)은 상기 스핀들(27)과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보다 박판의 금속재로 구성되는 탄성 부재(32)는 대체로 U자상 종단면을 구비하고, 2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윙(35, 36)을 구비한다. 상기 하나의 윙(35)은 고정용 홀(51)을 구비하고, 상기 U자부로부터 외측으로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텅(52)을 구비하고, 이 텅(52)에는 리벳(26)을 이용하여 지지 부재(22)를 통해 커버 플레이트(12)의 횡방향 플랜지(2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홀(5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플랜지(21)는 스커트부(41)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42)와 대체로 평행을 이루고, 상기 홀(58)과 텅(52)은 지지 부재(22)의 스파인(24)의 플랜지(30)의 홀(31)에 대응한다. 탄성 부재(32)의 타측 윙(36)은 제어텅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의 축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도 12 내지 도 14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텅(36)의 단부는 그 폭이 래칫휠(20)의 치에 부합하는 폭이 되도록 좁게 되어 있다. 탄성 부재(32)는 그 폭이 지지 부재(22)가 삽입되는 슬롯(37)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32)의 윙(35, 36)을 연결하는 스파인(53)에는 상기 제어텅(36)과의 접합부와 동일선상에 러그(33) 상에 탄성계합되는 광폭영역(54)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 부재(32) 및 래칫휠(20)을 커버 플레이트(12)에 장착하면 제어텅(36)은 래칫휠(20)의 치근(tooth root)에 탄성적으로 치합한다.
상기 스핀들(27)의 외주에는 헬리컬 압축스프링이 배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 복귀 수단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46)은 래칫휠(20)과 지지 부재(22)의 하나의 윙(25)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워엄(23), 래칫휠(20), 스프링(46), 스핀들(27) 및 탄성 부재(22)를 장착하는 상기 지지 부재(22)는 클러치의 커버 플레이트(12) 상에 장착되는 서브조립체를 구성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탄성 부재(32)는 고정윙(35)과 텅(52)이 스파인(24)과 플랜지(30)의 외면 상에 밀착하도록 가압하고, 지지 부재(22)의 홀(40)과 탄성 부재(32)의 홀(51)은 상호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탄성 부재(32)는 리벳(55)을 통해 지지 부재(22)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클리핑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2)의 립(38)은 그 단부에 상기 지지 부재(22)의 윙(25)의 내측을 향하는 요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32)는 제어텅(36)이 상당한 길이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조건하에서 손상되지 않고 탄성변위할 수 있다.
상기 래칫휠(20), 워엄(23) 및 헬리컬스프링(46)이 장착된 지지 부재(22)는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되므로 상기 다이어프램(13)은 클러치의 계합 해제작동 및 계합작동 중에 커버 플레이트(12) 및 제어텅(36)에 대해 변위된다. 도 1 및 상기 다이어프램(13)은 그 외주에 반경방향의 부속체인 액츄에이터(2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액츄에이터는 다이어프램(13)의 접시 스프링의 외측 상에 반경방향으로 연장하여 탄성 부재(32)의 제어텅(36)에 맞물린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클러치의 재계합 작동 중의 다이어프램(13)의 틸팅시 상기 다이어프램은 래칫휠(20)의 치와 치합하여 제어텅(36)을 도 1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어텅(36)의 단부는 래칫휠(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클러치의 계합 해제 동작중 상기 탄성 부재(32)의 탄성력과 래칫휠(20)의 치의 경사에 의해 제어텅(36)은 래칫휠의 치에 치합한다.
도 1은 상기 클러치가 계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마찰 디스크(100)의 라이너(101)는 반응 플레이트(도시생략)와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 협지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제어텅(36)은 그 단부가 래칫휠(20)의 치근에 위치한다.
상기 클러치가 계합 해제될 때, 다이어프램(13)의 핑거부의 단부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베이스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인 화살표(F)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3)은 크라운링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제 1 접촉부(16)에 대해 경사를 이룬다, 이와 같은 변위가 발생하는 동안 다이어프램(13)의 외주부는 점차적으로 압력 플레이트(11)를 해방하고, 액츄에이터(29)는 제어텅(36)을 해방한다. 상기 제어텅(36)의 단부는 치에 형성된 경사진 램프를 추종한다. 래칫휠(20)의 치는 새로운 라이너에 대한 계합 해제작동 중에 제어텅(36)의 단부가 치를 건너뛰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현상은 탄성 부재(32) 및 제어텅(36)이 상기 지지 부재(22)의 제어 접촉러그(33)에 접촉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러그(33)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있고, 그 사이에 액츄에이터(29)가 연장되어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라이너는 마모되므로 다이어프램(13)에 의해 항상 축방향 압력을 받고 있는 압력 플레이트(11)는 커버 플레이트(12)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반응 플레이트 측으로 점점 접근하게 되고, 다이어프램(13)의 액츄에이터(29)는 반응 플레이트 측으로 점점 접근함으로써 제어텅(36)을 가압한다. 상기 래칫휠(20)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의해 워엄(23)도 회동한다. 상기 램프 수단(14)은 다이어프램(13)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동이 금지되고, 치(19)와 치합되어 있는 워엄(23)은 치(19)를 회동시키고, 이에 의해 헬리컬스프링(46)이 가압되고, 상기 워엄(23)의 회동방향도 결정된다.
전술한 마모가 발생한 이후의 계합 해제 동작 중에 압력 플레이트(11)는 라이너(101)를 해방하여 커버 플레이트(12)의 베이스부(42)를 향해 가압력을 발휘하는 접촉텅의 작용에 의해 더욱 벌어지도록 하고, 압력 플레이트(11) 및 램프 수단(14)은 제 2 접촉영역(17)을 통해 다이어프램(13)에 접촉하고 패드(15)를 통해 램프(16)에 접촉한다. 상기 헬리컬스프링(46)은 워엄(23)을 지지 부재(22)의 윙(25)에 대해 가압함으로써 마모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즉 도 3의 우측에서 좌측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다이어프램(13)의 하중은 더 이상 램프 수단(14)에 가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접촉텅의 복귀력만 극복하면 램프 수단(14)을 압력 플레이트(1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헬리컬스프링(46)의 부하가 이 힘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다면 상기 스프링(46)은 제어텅(35)의 압력에 의해 회동이 금지되어 있는 워엄(23)을 변위시키고 치(19)를 구동시킬 수 있다. 패드(15)에 맞물려 있는 램프(16)의 작용에 의해 압력 플레이트(11)는 커버 플레이트(12)의 베이스부(42)로부터 더욱 이격되고, 이에 의해 압력 플레이트(11)의 작용면과 램프 수단(14)의 제 2 접촉영역(17) 사이의 축방향 거리가 증가하고, 라이너(101)의 마모에 기인되는 압력 플레이트(11)의 변위는 흡수된다. 상기 헬리컬스프링(46)의 부하는 마모현상의 발생중의 워엄(23)에 의해 가압되는 양의 함수이므로 상기 마모 보상 장치가 마모보상작용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클러치의 계합 및 계합 해제작용이 수차례 반복되어야 한다.
마모량이 충분하여 상기 래칫휠(20)이 제어텅(36)에 대해 충분히 작용하면 제어 접촉러그(33)에 의해 복귀거리가 제한되어 리턴 시에 하나의 치를 건너뛰게 되고, 차회의 클러치 계합작동 중에 상기 제어텅(36)은 더 이상 다이어프램(13)에 지지되지 않는 래칫휠(20)과 램프 수단(14)을 회동시켜 마모량을 흡수하고, 마모량 보상작용의 말미에 클러치가 계합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어프램(13), 래칫휠(20) 및 제어텅(36)은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러그 및 크라운링 대신 상기 제 1 접촉부(18)에 면접촉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길이가 짧은 포스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19)는 램프 수단과 독립된 부품의 일부로 구성한다. 이 중간부품은 그 내주연에 제 2 접촉부(17)를 초과하여 형성된 램프 수단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환형 플랜지 내에 형성된 개구 내에 삽입되는 치를 구비한다. 이 플랜지(도면부호 생략)는 원통상 에지(28)와 맞물린다. 따라서, 복수의 치들은 상기 램프 수단(14)에 대해 고정됨과 동시에 장부이음(tenon and mortice)에 의해 램프 수단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품은 압력 플레이트(11)를 커버 플레이트(12)에 축방향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2개의 축방향 탄성텅의 연장부를 이용하여 커버 플레이트 상에 축방향으로 장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축방향 탄성텅은 상기 중간부품을 램프 수단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32)는 지지 부재의 윙(25)에 접촉이 방지되므로 가해지는 응력도 감소된다. 상기 탄성 부재(32)는 상기 스파인(24)의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의 고정에 독립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22)의 스파인(24)에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2)의 스커트부의 일부(141)가 변형됨으로써 U자형 단면부의 시이트부를 형성하고, 이 시이트의 베이스부에는 러그(34, 34')를 커버 플레이트(12)에 리벳고정하기 위한 홀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러그(24, 24')는 형태를 달리함으로써 양호한 성능 및 적은 마찰력으로 상기 워엄(23)이 복수의 치(19)에 접촉상태로 연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시이트의 베이스에 형성된 고정 홀은 복수의 치(19) 또는 이 복수의 치(19)에 접촉하지 않는 워엄을 장착하는 지지 부재에 연장하는 워엄(23)을 장착하는 지지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 1의 경우, 상기 러그(34, 34')는 서로 다른 형태이고, 제 2의 경우는 러그(34, 34')가 서로 동일한 것이다.
전술한 고정 홀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러그(34)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치(19)에 접촉하는 워엄(23)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2)의 스파인(24)에는 하우징의 스파인에 결합하도록 배설된 보스(138)가 장착되어 지지체를 안정하고 원심력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상기 보스(138)는 시이트(141)의 스파인에 접촉을 이룬다.
또, 전술한 구조의 반대구조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보스는 상기 시이트(141)의 스파인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의 경사도는 충분히 확보된다.
Claims (16)
- 구동샤프트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반응 플레이트,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마찰 라이너(101)를 구비하여 피동샤프트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찰 디스크(100), 계합 해제 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커버 플레이트(12) 및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서 제 2 접촉 수단(17) 및 제 1 접촉 수단을 통해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클러치 계합 수단(13)을 구비하는 마찰 클러치로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커버 플레이트(12)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고 상기 압력 플레이트(11)를 커버 플레이트(12)를 향해 축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복귀 수단의 작용을 받으며, 상기 클러치는 램프 수단(14)을 구비하는 마모 보상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램프 수단의 램프(16)는 원주방향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접촉 수단(17)과 압력 플레이트(11)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어 카운터램프 수단(15)에 맞물리게 되어 있고, 워엄(23)에 치합하는 복수의 치(19), 상기 복수의 치(19)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램프 수단(14), 상기 클러치의 계합상태에서 상기 워엄(23)을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마찰 라이너 또는 복수의 마찰 라이너(101)의 마모시 작동하도록 된 구동 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워엄 구동 수단은 워엄(23)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탄성 부재(32)의 일부인 윙 또는 제어텅(36)을 통해 제어되는 래칫휠(20)로 구성되고, 상기 워엄(23) 및 래칫휠(20)은 지지 부재(22)에 장착되고, 상기 지지 부재(22) 및 탄성 부재(32)는 커버 플레이트(12)에 고정됨과 동시에 이 커버 플레이트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부재(22)는 워엄(23)과 래칫휠(20)을 장착하는 스핀들(27)을 지지하도록 된 하나의 스파인(24)과 2개의 윙(25)에 의해 U자형을 이루는 마찰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32)는 상기 지지 부재의 커버 플레이트에의 고정에 독립적으로 상기 지지 부재(22)의 스파인(2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부재(32)는 상기 지지 부재(22)의 스파인(24)과 커버 플레이트(12) 사이에서 상기 지지 부재(22)에 고정되는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부재(32)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2개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윙(35, 36)을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윙(35)에는 그 윙을 상기 지지 부재(22)에 리벳이나 클립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홀(51)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윙(36)은 제어텅으로서 상기 클러치의 축선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부재(22)의 스파인(24)은 상기 스파인(24)과 윙(25)에 대해 대체로 직각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플랜지(30)에 의해 상기 윙(25)을 초과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32)를 지지 부재(22)에 고정하는 상기 탄성 부재(32)의 윙(35)은 고정된 U자형부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대체로 수직한 텅(52)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22)의 플랜지(30)에 의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횡방향 플랜지(21)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클러치의 계합 해제 작동시 상기 래칫휠(20)에 대한 상기 제어텅(36)의 운동 경로는 상기 지지 부재(22)에 프레스 성형된 적어도 하나의 러그에 의해 형성되는 제어 접촉러그(33)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 부재(22)의 스파인(24)의 에지부는 그 중앙부에 상기 탄성 부재(32)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슬롯(37)이 형성되고, 이 슬롯(37)에 상기 탄성 부재(32)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슬롯(37)의 베이스에는 립(38)이 형성되고, 상기 립은 그 단부가 라운딩 가공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 부재(22)의 윙(25)의 내측을 향해 오목한 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탄성 부재(32)의 상기 윙(35, 36)을 연결하는 스파인(53)은 제어텅인 윙(36)과의 접합부와 동일선상에 상기 지지 부재(22)의 제어 접촉러그(33) 상에 접촉하게 되는 광폭영역(5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축방향으로 작동하는 클러치 계합 수단은 다이어프램(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접촉 수단(18)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2)의 베이스부(42)에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프레스 성형된 환형 요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9 항에 있어서,상기 래칫휠(20)은 상기 다이어프램(13)에 의해 제어텅(36)을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래칫휠(20)은 상기 다이어프램(13)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부속물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제 12 항에 있어서,2개의 러그(33)가 구비되고, 상기 2개의 러그는 상기 액츄에이터(29)의 통로만큼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램프 수단(14)은 일측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경사 램프(16)를 구비하고 타측에는 제 2 접촉 수단(17)을 구비하는 환상 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카운터램프 수단(15)은 상기 램프 수단(14)의 램프(16)와 맞물리도록 된 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워엄(23)은 소위 탄성 흡수 수단(46)의 작용을 받을 때 축선을 따라 변위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마찰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9903879A FR2791746B1 (fr) | 1999-03-29 | 1999-03-29 |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
FR99/03879 | 1999-03-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3850A KR20010043850A (ko) | 2001-05-25 |
KR100572273B1 true KR100572273B1 (ko) | 2006-04-24 |
Family
ID=954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13313A KR100572273B1 (ko) | 1999-03-29 | 2000-03-28 | 차량용 마찰 클러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460675B1 (ko) |
EP (1) | EP1082549B1 (ko) |
KR (1) | KR100572273B1 (ko) |
BR (1) | BR0005573A (ko) |
DE (1) | DE10080939T1 (ko) |
FR (1) | FR2791746B1 (ko) |
WO (1) | WO200005864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16683B1 (fr) * | 2000-11-10 | 2003-01-10 | Valeo | Dispositif de rattrapage automatique d'usure dans un embrayage a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
FR2847626B1 (fr) | 2002-11-25 | 2005-08-19 | Valeo Embrayages | Embrayages a friction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
FR2847625B1 (fr) | 2002-11-25 | 2005-01-07 | Valeo Embrayages | Embrayages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
KR101010669B1 (ko) * | 2008-08-04 | 2011-01-24 | 형제테크(주) | 차량용 프론트 캐리어 검사구 |
KR101010670B1 (ko) * | 2008-08-04 | 2011-01-24 | 형제테크(주) | 차량용 프론트엔드 조립체 검사구 |
DE102009035225A1 (de) * | 2008-08-21 | 2010-02-25 |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 Reibungskupplung |
CN104736872B (zh) * | 2012-10-24 | 2018-11-06 |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 用于磨损补偿调节的摩擦离合器的驱动棘爪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739159B1 (fr) * | 1995-09-21 | 1997-11-28 | Valeo | Moyens a rampes pour dispositif de rattrapage de jeu destine a equiper un embrayage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
FR2753503B1 (fr) | 1996-09-17 | 1998-12-04 | Valeo |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
FR2784150B1 (fr) * | 1998-09-23 | 2001-01-19 | Valeo |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
FR2787847B1 (fr) * | 1998-12-29 | 2001-02-09 | Valeo | Embrayage a friction a dispositif de rattrapage d'usure des garnitures de frict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
-
1999
- 1999-03-29 FR FR9903879A patent/FR2791746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
- 2000-03-28 US US09/701,484 patent/US646067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3-28 WO PCT/FR2000/000772 patent/WO2000058641A1/fr active IP Right Grant
- 2000-03-28 DE DE10080939T patent/DE10080939T1/de not_active Withdrawn
- 2000-03-28 KR KR1020007013313A patent/KR100572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0-03-28 EP EP00915230A patent/EP1082549B1/fr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3-28 BR BR0005573-5A patent/BR0005573A/pt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3850A (ko) | 2001-05-25 |
WO2000058641A1 (fr) | 2000-10-05 |
DE10080939T1 (de) | 2001-06-13 |
FR2791746A1 (fr) | 2000-10-06 |
BR0005573A (pt) | 2001-03-06 |
EP1082549B1 (fr) | 2002-12-11 |
EP1082549A1 (fr) | 2001-03-14 |
US6460675B1 (en) | 2002-10-08 |
FR2791746B1 (fr) | 200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22356B1 (ko) | 자동차용의마모보상장치를구비한마찰클러치 | |
JP3086848B2 (ja) | クラッチ解除力を補助するための補助バネを有する摩擦クラッチ | |
US4228883A (en) | Automatic wear adjuster for Belleville spring clutches | |
EP0693631B1 (en) | Automatically adjusting friction torque device | |
KR100326408B1 (ko) | 마찰클러치 | |
KR101032199B1 (ko) | 마찰 클러치 | |
US6161670A (en) | Friction clutch with wear take-up device,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 |
KR100495561B1 (ko) | 마모보상장치를구비한자동차용마찰클러치 | |
JPH0461208B2 (ko) | ||
US5944157A (en) | Friction clutch,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including a wear compensating device | |
JP2000205297A (ja) | 過度調節保護の付いた自動調節摩擦クラッチ | |
KR100572273B1 (ko) | 차량용 마찰 클러치 | |
JPH09504355A (ja) | 特に自動車用の摩擦クラッチ | |
EP0789154B1 (en) | Stopless self adjusting diaphragm clutch | |
KR100588926B1 (ko) | 마찰 클러치 | |
JP2002501597A (ja) | 平衡手段を備える摩耗調整装置付きクラッチ機構 | |
US6161669A (en) | Clutch mechanism for clutch friction with low declutching effort | |
JP4582913B2 (ja) | クラッチカバーにダイヤフラム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 |
KR101032163B1 (ko) | 마찰 클러치 | |
JP3510291B2 (ja) | クラッチ機構 | |
US6253897B1 (en) | Clutch mechanism comprising a wear take-up module | |
EP1630438B1 (en) | Clutch device for vehicle | |
KR102441583B1 (ko) | 마모 보정 클러치 메카니즘 | |
KR20010041373A (ko) | 마찰 클러치 | |
JPH09507561A (ja) | 摩耗補償手段を備えたダイヤフラムクラッチアセンブリ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