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본문으로 이동

불교 용어 목록 (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뛰어난 것에서 넘어옴)

바로가기:

[편집]

(受, 산스크리트어: vedanā, 팔리어: vedanā, 영어: feeling, sensation)는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1][2]

(受)는 다른 마음작용(觸, 산스크리트어: sparśa, 팔리어: phassa)이 발생할 때 동시에 생겨나는 마음작용으로,[3][4][5][6]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대상에 대해 "괴롭다[苦], 즐겁다[樂], 괴롭지도 않고 즐겁지도 않다[不苦不樂]" 또는 "나쁘다[苦], 좋다[樂], 나쁘지도 않고 좋지도 않다[不苦不樂]"고 느끼게 하는 마음작용이다.[1][7][8][9][10][11] (受)는 5온수온(受蘊)에 해당한다.[12][13][14][15]

세친은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에서 (苦) · (樂) · 불고불락(不苦不樂)의 3수(三受)를 대지법 또는 변행심소에 속한 다른 마음작용(觸: 근·경·식의 3사의 화합)과 (欲: 욕구 또는 욕망)과의 상관관계하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樂謂滅時有和合欲。


苦謂生時有乖離欲。
不苦不樂謂無二欲。

즐겁다는 느낌[樂受]이란 [그 지각대상이] 사라질 때 [그것과] 다시 만나고 싶어하는 욕구[和合欲]가 있는 것을 말한다.
괴롭다는 느낌[苦受]이란 [그 지각대상이] 생겨날 때 [그것과] 떨어지고 싶어하는 욕구[乖離欲]가 있는 것을 말한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다는 느낌[不苦不樂受]이란 이들 2가지 욕구[欲]가 없는 것을 말한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대승오온론》, p. 8. 한문본

품류족론》 제2권에 따르면,

(受)는 수(受: 영납) · 등수(等受: 평등한 영납) · 각별등수(各別等受: 저마다 따로따로의 평등한 영납) · 이수(已受: 이미 지나간 영납) · 수류(受類: 영납의 부류)를 말한다.[16][17]

수계

[편집]

수계(受戒)는 불교 교단에 들어가는 사람들을 위한 입단 의식(入團儀式)이다.

수관

[편집]

수관(隨觀, 산스크리트어: anudarśin, sam-anu-√paś)은 자세하게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등수관(等隨觀)이라고도 하며 등수관견(等隨觀見)이라고도 한다.[18][19][20][21][22][23]

수단

[편집]

수단(修斷)은 수소단(修所斷)의 다른 말이다.

수도소단

[편집]

수도소단(修道所斷)은 수소단(修所斷)의 다른 말이다.

수릉엄삼매

[편집]

수릉엄삼매(首楞嚴三昧, 산스크리트어: śūraṃ-gama, 영어: firmly maintaining all dharmas) 또는 수능엄삼매건행삼매(健行三昧)라고도 하며, 108삼매 가운데 언급되는 순서로 제1번째 삼매이다. 제2번째 삼매는 보인삼매(寶印三昧)이다. 불설수능엄삼매경이 있다.

대지도론》 제47권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24][25]

云何名首楞嚴三昧?知諸三昧行處,是名首楞嚴三昧。

무엇을 수릉엄(首楞嚴)삼매라 하느냐 하면, 모든 삼매의 행한 곳을 아나니, 이것을 수릉엄삼매라 하느니라.

《대지도론》 제47권. 한문본 & 한글본

수면

[편집]

1. 수면(隨眠, 산스크리트어: anuśaya, 팔리어: anusaya)은 근본번뇌의 다른 말이며, 근본번뇌라는 말을 줄여서 그냥 번뇌라고도 한다. 유정을 따라[隨] 일어나며 또한 그 행상(行相: 작용하는 모습)이 미세[眠]하므로 수면이라고 한다. 또한, 유정을 쫓아다녀[隨逐] 마음이 혼미한 상태에 있게 하는 것이 잠자는[眠] 것과 같으므로 수면이라고 한다. 6수면(六隨眠) · 7수면(七隨眠) · 10수면(十隨眠) · 98수면(九十八隨眠)이 있다.[26][27][28]

수면(隨眠)의 성격 또는 본질에 대해서는 부파 또는 종파에 따라 의견이 달랐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수면(隨眠: 근본번뇌 또는 번뇌)을 마음상응하는 이라고 보아, 심소법으로 분류하였다. 반면, 부파불교분별부(分別部)와 독자부(犢子部)에서는 수면(隨眠)을 불상응행법에 속한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대중부(大眾部)와 화지부(化地部)에서는 현행하는 번뇌와 훈습에 의해 형성된 종자 상태의 번뇌를 구분하여 전자를 (纏)이라고 부르고 후자를 수면(隨眠)이라 불렀는데, 수면을 불상응행법에 속한 것으로 보았다. 경량부(經量部)에서는 번뇌가 각성되어 활동 상태에 있는 것을 (纏)이라 하고 번뇌의 종자 상태 즉 번뇌가 잠복되어 있는 상태 또는 잠자는 상태를 수면(隨眠)이라 하였는데, 수면마음상응하는 상응하지 않는 도 아니라고 하였다. 즉 심소법에 속한 것도 불상응행법에 속한 것도 아니라고 하였다.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에서도 수면번뇌가 같은 것으로 보지 않았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대체로 수면번뇌습기(習氣)인 것으로, 즉 종자인 것으로 보았는데, 이 번뇌종자유정을 따라 쫓아다니며 아뢰야식내에 잠자듯이 엎드려 있는 잠재 상태로 존재한다고 보았다.[27][28][29]

2. 수면(睡眠, 산스크리트어: middha, 팔리어: middha, 영어: torpor, sleep, drowsiness)은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가운데 하나이다.[30][31]

수면(睡眠)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으로 하여금 암매(闇昧: 흐리멍덩함, 어리석고 몽매함)해지게 하는 마음작용이다.[1][30]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제6 의식이 깊이 잠자는 것을 (睡)라 하고 전5식(前五識)이 캄캄하여 작용하지 않는 것을 (眠)이라 한다.[30] 달리 말하면, 휴식과 재충전 등의 필요상 불가피하게 수면(睡眠)과 상응해야만 하는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어둡고 자유롭지 못한 상태에 처해 있는 것이다.[32] 한편, 수면(睡眠)을 줄여서 간단히 (眠)이라고도 한다.

수명

[편집]

1. 수명(壽命)은 명자(命者, 산스크리트어: jiva, 팔리어: jīva)의 다른 말이다.

2. 수명(壽命)은 심불상응행법 가운데 하나인 명근(命根)을 말한다.

수번뇌심소

[편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산스크리트어: upakleśa-caitasa, 영어: secondary unwholesome factors)는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그룹[位]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 선심소(善心所: 11가지) · 번뇌심소(煩惱心所: 6가지) ·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 부정심소(不定心所: 4가지) 중의 하나이다.[33][34][35][36]

수번뇌심소수번뇌(隨煩惱)들로 구성된 마음작용들의 그룹이다. 수번뇌(隨煩惱)는 근본번뇌들, 즉 번뇌심소에 속한 6가지 번뇌성마음작용들, 즉 (貪) · (瞋) · (慢) · 무명(無明) · (疑) · 부정견(不正見)을 발동근거[所依]로 하여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성마음작용들을 말한다. 즉, 각각의 수번뇌는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근본번뇌의 하나 혹은 다수의 작용에 의해 동류(同類)로서 이끌려 일어난다.[37][38][39][40][41][42]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법상종에 따르면, 총 20가지의 마음작용들이 수번뇌를 구성하는데, 이들은 다시 그 성격에 따라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 ·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의 3그룹으로 나뉘며, 이 3그룹에 속한 번뇌성마음작용들은 다음과 같다.[37][38][40][42]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에서 '소'수번뇌(小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마음작용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일어나는 수번뇌(隨煩惱: 근본번뇌를 의지하여 근본번뇌와 함께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소(小)'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된 것이다. 즉, 소수번뇌(小隨煩惱)라는 말은 각기 따로 일어나는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37][38][40] 그리고, 각기 따로 일어난다는 것이란, 소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심한 번뇌, 즉 불선()으로 분류되는 번뇌들인데, 마음이 쌓은 악업에 따라 그에 상응하여 각각의 불선()이 일어난다는 것을 말한다. 소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이 중수번뇌심소대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보다 더 심한 번뇌성마음작용들, 즉 더 오염마음작용들이다. '소(小)'가 심하지 않은 번뇌 또는 덜 오염마음작용을 의미한다고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소'수번뇌(小隨煩惱)는 '덜한' 2차적인 번뇌가 아니라 '특수한 또는 심한'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43]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에서 '중'수번뇌(中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마음작용들은 모든 불선심(不善心), 즉 악한 마음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수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중(中)'이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된 것이다.[37][38][40] 여기서, 모든 불선심(不善心)을 말하고 있지 모든 염오심(染污心) 즉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을 말하고 있지 않다는 것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불선심염오심의 일부로서, 바른 지혜현현(顯現: 명백하게 나타남)하는 것을 장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악한 과보를 일으킬 정도의 심한 번뇌, 즉 심한 번뇌성마음작용상응하고 있는 상태의 마음을 말한다.[1][44] '불선심(不善心)과 언제나 함께 일어난다는 것'이란, 달리 말하면, 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에 속한 무참(無慚)과 무괴(無愧)는 각각 자신과 남에 대해 반성함 또는 수치스러워함이 없는 것인데, 이러한 성질이 모든 악한 마음에서는 언제나 발견되며 이러한 성질이 모든 악한 마음에서 언제나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중'수번뇌(中隨煩惱)는 '특수하지도 일반적이지도 않은'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43]

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에서 '대'수번뇌(大隨煩惱)라는 명칭은 이 그룹에 속한 번뇌성마음작용들은 모든 염오심(染污心) 즉 번뇌에 물든 모든 마음과 언제나 함께 일어나는 수번뇌라는 것을 뜻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대(大)'라는 낱말을 사용하여 명명된 것이다.[37][38][40] 즉, 대수번뇌심소에 속한 마음작용들은 모든 염오한 마음에서 언제나 발견되며 모든 염오한 마음에는 이들이 동시에 함께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간단히 말하자면, '대'수번뇌(大隨煩惱)는 '일반적인' 2차적인 번뇌를 뜻한다.[43] 이에 비해 '근본'번뇌(根本煩惱)는 '뿌리가 되는 1차적인[根本]' 번뇌를 뜻한다.

수번뇌심소의 근본번뇌

[편집]

성유식론》 제6권에 따르면 각각의 수번뇌(隨煩惱: 20가지)는 아래 목록에 나열된 바와 같이 근본번뇌(根本煩惱: 6가지)로부터 따라 일어난다. 한편, (覆)의 경우처럼 발동근거가 되는 근본번뇌에 대한 논사들의 의견이 서로 다른 경우가 있는데, 아래 목록에서는 콤마로 구분하며, 처음에 나오는 것이 호법의 견해이다.

  1. (忿): (瞋)
  2. (恨): (瞋)
  3. (惱): (瞋)
  4. (覆): (貪) · (癡), (癡)
  5. (誑): (貪) · (癡)
  6. (諂): (貪) · (癡)
  7. (憍): (貪)
  8. (害): (瞋)
  9. (嫉): (瞋)
  10. (慳): (貪)
  11. 무참(無慚): 별도의 자체가 있음, (貪)
  12. 무괴(無愧): 별도의 자체가 있음, (貪)
  13. 불신(不信): (信)이 뒤집어진 것으로 별도의 자체가 있는 것은 아님
  14. 해태(懈怠): (勤)이 뒤집어진 것으로 별도의 자체가 있는 것은 아님
  15. 방일(放逸): 해태(懈怠) · (貪) · (瞋) · (癡)
  16. 혼침(惛沈): (癡), (癡)에만 포함되는 것은 아님, 별도의 자체가 있음 (호법의 견해가 무엇인지는 나오지 않음)
  17. 도거(掉擧): (貪), 별도의 자체가 있음
  18. 실념(失念): (念) · (癡), (念), (癡)
  19. 부정지(不正知): (慧) · (癡), (慧), (癡)
  20. 산란(散亂): 별도의 자체가 있음, (癡), (貪) · (瞋) · (癡)

수설

[편집]

수설(隨說)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따르는 말'로, 능전의 명(能詮의 名)을 말한다.

해심밀경》 제5권에서는 관대도리(觀待道理)를 정의하면서 수설(隨說)을 언급하는데, (因)이나 혹은 (緣)이 능히 모든 (行: 유위법)을 생겨나게 하며 또한 해당 (行: 유위법)에 따르는 말[隨說] 즉 관련된 개념도 일으키는 것을 관대도리라 정의하고 있다.[45]

수수음

[편집]

수수음(受受陰)은 수취온(受取蘊)의 다른 말이다.

수소단

[편집]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수소단(修所斷, 산스크리트어: bhāvanā-heya)은 선정(禪定)을 통한 반복된 관찰, 즉 4제(諦)를 관찰하고 나서 그 후 오랜 시간 동안 자주자주 도(道)를 수습하는 것인 수도(修道)에 의해 끊어지는 (法)으로, 여기서의 법은 번뇌(煩惱)인 유루법(有漏法)들과 이것들과 상응하여 함께 발생하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들을 말한다. 수도소단(修道所斷), 수단(修斷) 또는 수혹(修惑)이라고도 한다.[46][47][48][49][50] (참고: 견소단(見所斷), 비소단(非所斷))

수소성혜

[편집]

수소성혜(修所成慧)는 수혜(修慧)의 다른 말이다.

수소인색

[편집]

수소인색(受所引色)은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극략색 · 극형색 · 수소인색 · 변계소기색 · 정자재소생색의 5가지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가운데 하나이다.[51][52][53] 수소인색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받아서 끌어들인 색'으로, 특히 수계(受戒)를 통해 형성되는 무표색(無表色) 즉 무표업(無表業), 즉 잠재력으로서의 무형의 또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을 뜻한다.[53][54][55][56]

수소인색무표색무표업을 의미한다.[51][52][53]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무표색무표업로 짓는  · 구업(口業) 또는 신업(身業)이 발동될 때 그와 동시에 신체 내부의  ·  ·  ·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생겨나는 무형의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일종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이다. 특히, 이러한 무표색 교학에 따르면, 를 지키면 즉 을 행하면 그와 동시에, 그 에 상응하는 만큼의, 을 막고 그치게 하는 작용을 하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무형의 물질 즉 무표색 ·  ·  ·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형성된다고 본다. 마찬가지로 을 행하면 그와 동시에, 그 에 상응하는 만큼의, 을 막고 그치게 하는 작용을 하는 무형의 잠재력 또는 원동력으로서의 무형의 물질 즉 무표색 ·  ·  · 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형성된다고 본다.[57][58][59]

이와 같이 설일체유부에서는 무표색4대종을 원소로 하여 신체 내에 형성되는 색이라고 보기 때문에, 무표색은 실색(實色) 즉 실재하는 이라고 본다. 즉 무표색실법(實法)이라고 본다. 이에 비해,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무표색수소인색이란 강력한 (思)의 마음작용에 의해 일어난, 즉 강한 의지에 의해 일어난, 한 것이건 혹은 한 것이건, 구업(口業) 또는 신업(身業)의 행위가 있을 때 그 의지행위아뢰야식훈습되어 새로이 생겨나는 종자나 혹은 그 의지행위에 의해 세력이 증장되는 기존의 종자를 마치 신체 내에 형성된 어떤 실재하는 인 것처럼 가립한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무표색수소인색가법(假法)이라고 본다.[53][57]

수습

[편집]

1. 수습(修習, 산스크리트어: bhāvanā, 팔리어: bhāvanā)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닦고 익힘'으로, 수행(修行)의 다른 말이다. 줄여서 (修) 또는 (習)이라고도 한다. 엄밀히 말하면, 수습수행법[行法]을 반복 실천하여 자주 자주 훈습하는 것을 뜻하는데, 이를 전통적인 표현으로 삭삭훈습(數數薰習)이라 한다.[60]

2.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자량위(資糧位) · 가행위(加行位) · 통달위(通達位) · 수습위(修習位) · 구경위(究竟位)의 5위의 수행계위 가운데 제4위인 수습위(修習位)를 뜻한다. 수습위부파불교설일체유부견도(見道) · 수도(修道) · 무학도(無學道)의 3도의 수행계위 가운데 수도에 해당한다.[61][62]

숭중현선

[편집]

숭중현선(崇重賢善)은 자법력(自法力)에 의지하여 현선(賢善, 산스크리트어: ārya) 즉 성인됨[聖, 산스크리트어: ārya]을 받들고 존중하는 것으로, 《성유식론》 제6권에 따르면, 선심소에 속한 마음작용(慚)의 본질적 성질이다.[63][64]

수증

[편집]

수증(隨增)은 수순증장(隨順增長) 즉 '따라 증가한다' · '따라 증장한다' · '계합하여 증가한다' 또는 '계합하여 증장한다'는 뜻이다. 예) 번뇌유루법반연(攀緣)하여 수증(隨增)한다.[65][66]

수취온

[편집]

수취온(受取蘊)은 유위법의 무더기 중 하나인 수온(受蘊: 지각 무더기)이 유루에 통한 경우로, (取: 번뇌)로 생겨나고 (取: 번뇌)의 부림을 받으며 (取: 번뇌)를 낳는 지각(知覺) 무더기라는 의미에서 수취온(受取蘊: 지각 번뇌 무더기)이라 부른다.[67][68][69][70] (참고: 5온, 5무루온, 5취온)

수행

[편집]

1. 수행(修行), (修) 또는 닦음4성제 가운데 도제(道諦)를 말한다. 3학(三學) · 8정도(八正道) · 37도품(三十七道品) · 4제현관(四諦現觀) · 6바라밀(六波羅蜜) 등을 말한다.[71]

2. 수행(修行), (修) 또는 닦음교법 즉 불교의 가르침을 실제로 익히고, 교법에 따라 자신을 수양하고, 교법을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71][72]

2. 수행(修行), (修) 또는 닦음은 불교의 교법대로 실천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특정한 방편 즉 수행법을 실행하는 것을 뜻한다. 수행은 처음에 발심으로 시작하는데, 뒤에 (果)를 받는 것은 수행이 가진 가치이다.[73]

3. 수행(修行), (修) 또는 닦음(善)에 전주(專注)하는 것 즉 전념(專念)하는 것을 본질[性]로 하는 행위 또는 실천이다.[74][75]

4. 수행(修行), (修) 또는 닦음은 오로지 한 생각에만 집중하여, 한결같이 그것을 잊지 않고 그것 외에 다른 생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노력을 말한다.[76]

5. 수행(隨行)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을) 따라 행한다'인데, 《아비달마구사론》 제3권에서 인용하고 있는, 아래 인용문에 나타난 고타마 붓다의 언급에 따르면, (隨)는 섭수(攝受)를 뜻하고 (行)은 이끔[導]을 뜻한다. 이에 따르면 수행(隨行)은 '(~을) 섭수하여 이끈다'는 뜻이다. (隨)의 문자 그대로의 뜻인 '(~을) 따라[隨順]'와 여기서 말하는 뜻인 '(~을) 섭수하여'에 따르면, 수번뇌(隨煩惱)는 문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근본번뇌를) 따라 일어난 번뇌'를 뜻하고 후자의 뜻으로는 '(근본번뇌를) 섭수하여 일어난 번뇌'를 뜻하는데, 실제로 수번뇌근본번뇌로부터 파생된 단순한 2차적인 번뇌가 아니라 근본번뇌가 강화된 형태의 번뇌이다.

自在隨行者。如契經言。


 心能導世間 心能遍攝受
 如是心一法 皆自在隨行

자유 자재로 섭수하고 이끈다[自在隨行: 문자 그대로는 '자유 자재로 따라 행한다']고 함은 계경에서 말한 바와 같다.
 마음이 능히 세간을 이끌며
 마음이 능히 세간을 두루 섭수하니
 이와 같이 마음이라는 일법[心一法]이
 모든 것을 자유 자재로 섭수하고 이끈다[自在隨行: 문자 그대로는 '자유 자재로 따라 행한다'].

《아비달마구사론》 제3권. 한문본 & 한글본

수혜

[편집]

수혜(修慧, 산스크리트어: bhāvanāmayī prajñā)는 3가지 뛰어난 유루혜(有漏慧), 즉 3가지 뛰어난 세간의 지혜문혜(聞慧) · 사혜(思慧) · 수혜(修慧)의 3혜(三慧)의 하나이다. 수소성혜(修所成慧)라고도 한다. 또한 3혜생득혜(生得慧)를 더한 4혜(四慧)의 하나이다. 3혜는 모두 무루성혜(無漏聖慧) 즉 무루지(無漏智)가 생겨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77][78][79][80][81][82]

수혜(修慧) 또는 수소성혜(修所成慧)는 스승이나 친구로부터 들은 교법을 바탕으로 반복적으로 선정(禪定, 等持)을 수행함으로써 생겨나는 뛰어난 지혜[勝慧]를 말하며, 사혜(思慧)를 근거 또는 바탕으로 하여 성립된다.[77][78][79][80][83][84]

수혹

[편집]

1. 수혹(修惑)은 수소단(修所斷)의 다른 말이다.

2. 수혹(隨惑)은 수번뇌(隨煩惱)의 다른 말이다.

숙업

[편집]

숙업(宿業, 산스크리트어: pūrva-karma, 팔리어: pubba-kamma)은 지난 생들에서 지은 선업악업을 말한다. 숙작업(宿作業)이라고도 한다.[85][86]

불교인과응보 사상에 따르면, 유정현재의 생의 모습은 스스로 지은 숙업에 따라 자연법칙적으로 일어나는 과보이며 또한 현재의 생에서 새로이 짓는 에 따라 숙업은 그 총체적 양태가 변화되고 그에 따른 미래의 생의 모습이 자연법칙적으로 과보로서 일어난다.[86]

숙작업

[편집]

숙작업(宿作業)은 숙업(宿業)의 다른 말이다.

순고수촉

[편집]

1. 순고수촉(順苦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불고불락수촉(順不苦不樂受觸)의 3촉(三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3수(三受) 가운데 고수(苦受) 즉 괴로운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87][88]

2. 순고수촉(順苦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5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희수촉(順喜受觸) · 순우수촉(順憂受觸) · 순사수촉(順捨受觸)의 5촉(五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5수(五受) 가운데 고수(苦受) 즉 괴로운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89][90]

순락수촉

[편집]

1. 순락수촉(順樂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불고불락수촉(順不苦不樂受觸)의 3촉(三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3수(三受) 가운데 낙수(樂受) 즉 즐거운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87][88]

2. 순락수촉(順樂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5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희수촉(順喜受觸) · 순우수촉(順憂受觸) · 순사수촉(順捨受觸)의 5촉(五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5수(五受) 가운데 낙수(樂受) 즉 즐거운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91][92]

순불고불락수촉

[편집]

순불고불락수촉(順不苦不樂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3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불고불락수촉(順不苦不樂受觸)의 3촉(三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3수(三受) 가운데 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 즉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87][88]

순사수촉

[편집]

순사수촉(順捨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5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희수촉(順喜受觸) · 순우수촉(順憂受觸) · 순사수촉(順捨受觸)의 5촉(五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5수(五受) 가운데 사수(捨受) 즉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 또는 기쁘지도 근심스럽지도 않은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93][94]

순우수촉

[편집]

순우수촉(順憂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5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희수촉(順喜受觸) · 순우수촉(順憂受觸) · 순사수촉(順捨受觸)의 5촉(五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5수(五受) 가운데 우수(憂受) 즉 근심의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95][96]

순희수촉

[편집]

순희수촉(順喜受觸)은 (觸)의 마음작용을 5가지로 나눈 순락수촉(順樂受觸) · 순고수촉(順苦受觸) · 순희수촉(順喜受觸) · 순우수촉(順憂受觸) · 순사수촉(順捨受觸)의 5촉(五觸) 가운데 하나로, 이 (觸)에 바탕하여 5수(五受) 가운데 희수(樂受) 즉 기쁜 느낌이 따라 일어나는 (觸)을 말한다.[97]

순후수업

[편집]

순후수업(順後受業)이란 현재생(제1생)에서 지은 업 중에서 미래생(제2생)이 아니라 그 다음 미래생(제3생) 혹은 그 이후에 과보를 초래하는 업을 말한다. 예를 들어, 《구사론》에 따르면, 현재생(제1생)에서 무상정을 닦으면 미래생(제2생)에 광과천(또는 무상천)에 태어나는데 무상정의 세력이 광과천(또는 무상천)에서 다하고 나고 태어나는 제3생은 반드시 욕계에서의 생이다. 이 때의 욕계에서의 생을 초래하는 제1생에서의 무상정순후수업에 해당한다.[98]

[편집]

(勝)은 수승한 것 · 수승한 법 · 뛰어난 것 · 뛰어난 법 · 나은 것 또는 나은 법이라는 뜻으로, 5온 각각이 가지는 과거(過去) · 미래(未來) · 현재(現在) · (內) · (外) · (麤) · (細) · (劣) · (勝) · (遠) · (近)의 총 11가지의 품류차별 또는 품류, 즉 11품류 가운데 '승'을 말한다.[99][100]

번뇌오염되지 않은  ·  ·  · 또는 을 뜻하며,[101][102] 혹은 에 맞는 즉 마음에 드는[可意]  ·  ·  · 또는 을 뜻한다.[103][104]

승의선

[편집]

승의선(勝義善)은 4선(四善) 중의 하나로, 진실의 해탈, 즉 열반을 말한다. 열반은 최고로 안온(安隱)하며 모든 괴로움이 영원히 적멸해 있기 때문에 승의선이라고 한다.[105]

승해

[편집]

승해(勝解, 산스크리트어: adhimokṣa, adhimoksha, adhimukti, 팔리어: adhimokkha, 영어: interest, intensified interest, decision, firm conviction, resolution)은 설일체유부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법상종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별경심소(別境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1][106] 승해(勝解)는 뛰어난 이해 또는 확실한 이해라는 뜻으로 대상을 살펴서 요해(了解: 확연히 알아서 자세히 납득함)하여, 대상의 시(是)·비(非)와 사(邪)·정(正)을 인가(印可: 확실히 이런 것이라고 확정함) · 결정(決定: 매듭을 지음, 확정적인 판단을 내림)하는 마음작용이다. 예를 들어, 어떤 교의가 옳은 지[正] 그른 지[邪]를 판정하는 것은 승해(勝解)에 속한다.[1][107][106][108]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권오민 2003, 69–81쪽.
  2. 星雲, "". 2012년 9월 21일에 확인.
  3.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T.99, 제11권, 제273경 〈수성유경(手聲喩經)〉 p. T02n0099_p0072c09 - T02n0099_p0072c10
    "如是緣眼.色。生眼識。三事和合觸。觸俱生受.想.思。"
  4.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K.650, T.99, 제11권, 제273경 〈수성유경(手聲喩經)〉 p. 394 / 2145
    "인용: 이와 같이 눈과 빛깔을 인연하여 안식이 생긴다. 이 세 가지가 화합한 것이 감촉[觸]이니, 감촉이 함께 하면 느낌[受] · 생각[想] · 의도[思]가 생긴다."
    "편집자 번역: 이와 같이 안근과 색경을 인연하여 안식이 생긴다. 이 세 가지가 화합한 것이 촉(觸)이다. 촉(觸)과 함께 수(受) · 상(想) · 사(思)가 동시에 생겨난다. "
  5.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0권. p. T29n1558_p0053a02 - T29n1558_p0053a04
    "受生與觸為後為俱。毘婆沙師說。俱時起觸受展轉俱有因故。"
  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0권. p. 468 / 1397
    "'수'는 '촉'보다 뒤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구시(俱時, 즉 동시)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비바사사(毘婆沙師)는 설하기를, "구시에 생기하니, 촉과 수는 전전 상속하며 서로에 대해 구유인(俱有因)이 되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7. 운허, "三受(삼수)". 2012년 9월 29일에 확인.
  8.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a17 - T29n1558_p0019a18
    "受謂三種領納苦樂俱非有差別故。"
  9.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2 / 1397. 수(受)
    "수(受)란 이를테면 세 가지의 종류를 말하니, 고(苦)와 낙(樂)과 양자 모두 아닌 것(즉 不苦不樂)을 영납(領納)하는 데 차별이 있기 때문이다.
    수(vedanā)란 영납(領納)의 뜻으로, 대상에 대한 고(苦, 不快의 減損) · 낙(樂, 快의 增益) · 불고불락을 감수하는 의식작용이다."
  10.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3권. p. T31n1585_p0011c11 - T31n1585_p0011c12
    "受謂領納順違俱非境相為性。起愛為業。能起合離非二欲故。"
  11.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3권. p. 123 / 583
    "‘수(受)심소’는 수순함과 거슬림, 수순도 거슬림도 아닌[俱非] 대상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을 체성으로 삼고, 애착을 일으키는 것을 업으로 삼는다. 능히 화합과 떠남 및 화합도 떠남도 아닌 것의 욕구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수(受, vedāna)심소는 ‘감수작용’ ‘느낌’의 심소이다. 여기에 고(苦) · 낙(樂) · 사(捨)의 3수(受)가 있다. 또는 3수에 우수(憂受) · 희수(喜受)를 더하여 5수(受)를 든다. 능히 수순 · 거슬림 · 중용의 대상을 받아들여서 심왕으로 하여금 기쁨이나 괴로움 등의 느낌을 일으키게 한다.
    낙수(樂受)에 있어서는 미득(未得)의 낙(樂)에는 합하기를 바라고[欲], 이득(已得)의 낙(樂)에는 떠나지 않기를 바란다. 고수(苦受)에 있어서는 미득(未得)의 고(苦)에는 합하지 않기를 좋아하고[樂], 이득(已得)의 고(苦)에는 떠나기를 좋아한다. 둘 다 아닌 것[非二]은 앞의 두 가지가 아닌 것을 말한다."
  12.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권. p. T29n1558_p0004a02 - T29n1558_p0004a04
    "論曰。受蘊謂三。領納隨觸。即樂及苦不苦不樂。此復分別成六受身。謂眼觸所生受乃至意觸所生受。"
  13.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28 / 1397. 수온(受蘊)
    "수온(受蘊)은 말하자면 세 가지로서, 촉(觸)에 따라 영납하는 것이니, 고(苦) · 낙(樂) · 불고불락(不苦不樂)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를 다시 분별하면 6수신(受身)을 성취하게 되니, 말하자면 안촉에 의해 생겨난 '수' 내지는 의촉에 의해 생겨난 '수'가 그것이다."
  14.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5, 제1권. pp. T31n1605_p0663c18 - T31n1605_p0664a02
    "云何建立受蘊。謂六受身。眼觸所生受。耳觸所生受。鼻觸所生受。舌觸所生受。身觸所生受。意觸所生受。如是六受身。或樂或苦或不苦不樂。復有樂身受苦身受不苦不樂身受。樂心受苦心受不苦不樂心受。復有樂有味受苦有味受不苦不樂有味受。樂無味受苦無味受不苦不樂無味受。復有樂依耽嗜受苦依耽嗜受不苦不樂依耽嗜受。樂依出離受苦依出離受不苦不樂依出離受。何等身受。謂五識相應受。何等心受。謂意識相應受。何等有味受。謂自體愛相應受。何等無味受。謂此愛不相應受。何等依耽嗜受。謂妙五欲愛相應受。何等依出離受。謂此愛不相應受。"
  15.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2, 제1권. p. T31n1612_p0848b26 - T31n1612_p0848b28
    "云何受蘊。謂三領納。一苦二樂三不苦不樂。樂謂滅時有和合欲。苦謂生時有乖離欲。不苦不樂謂無二欲。"
  16.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2권. p. T26n1542_p0699c08 - T26n1542_p0699c09. 수(受)
    "受云何。謂受等受各別等受已受受類。是名為受。"
  17.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2권. p. 42 / 448. 수(受)
    "수(受)는 무엇인가? 느낌[受]이고 평등한 느낌[等受]이며 저마다 따로따로의 평등한 느낌[各別等受]이요, 이미 지나간 느낌[已受]이며 느낌의 종류[類]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수’라 한다."
  18. 佛門網, "隨觀". 2013년 5월 17일에 확인
    "隨觀: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仔細觀察。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anudarśin, sam-anu-√paś.
    頁數: P.4037-P.4040"
  19. 佛門網, "等隨觀見". 2013년 5월 17일에 확인
    "等隨觀見: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解釋: sam-anu-√paś
    頁數: p.2726-2731"
  20.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samanupaz". 2013년 5월 17일에 확인
    "samanupaz: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samanupaz P. A1. %{-pazyati} , %{-te} (only pres. base) , to look well after , look at or on MBh. BhP. ; to perceive , observe MBh. SaddhP. ; to regard as , consider MBh."
  21. 佛門網, "等隨觀色乃至識有無常". 2013년 5월 17일에 확인
    "等隨觀色乃至識有無常: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七十三卷十一頁云:問:世尊依何密意,說等隨觀色乃至識有無常耶?答:依相無自性性,說如是言。何以故?欲說等隨觀常無有,故說等隨觀有無常。"
  22. 佛門網, "等隨觀色乃至識皆有苦". 2013년 5월 17일에 확인
    "等隨觀色乃至識皆有苦: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七十三卷十一頁云:問:世尊依何密意,說等隨觀色乃至識、皆有苦耶?答:依生無自性性、及勝義無自性性,說如是言。"
  23. 佛門網, "等隨觀色乃至識皆空無我". 2013년 5월 17일에 확인
    "等隨觀色乃至識皆空無我: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七十三卷十一頁云:問:世尊依何密意,說等隨觀即彼皆空?答:即依生無自性性、勝義無自性性諸法、由遠離相無自性性,說如是言。如依遠離性,說彼為空;依異相性,說為無我;當知亦爾。"
  24.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47권. pp. T25n1509_p0396c29 - T25n1509_p0397a01. 수릉엄삼매(首楞嚴三昧)
    "云何名首楞嚴三昧?知諸三昧行處,是名首楞嚴三昧。"
  25.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47권. p. 1666 / 2698. 수릉엄삼매(首楞嚴三昧)
    "무엇을 수릉엄(首楞嚴)삼매라 하느냐 하면, 모든 삼매의 행한 곳을 아나니, 이것을 수릉엄삼매라 하느니라."
  26. 星雲, "七隨眠". 2013년 1월 3일에 확인
    "七隨眠: 即將貪、瞋、癡、慢、疑、見等六隨眠中之貪隨眠分為欲貪、有貪二種,合為七隨眠。又稱七使。隨眠者,根本煩惱之異稱,隨逐有情而起,且其行相微細,故稱隨眠。欲貪者,於欲界貪著外在五欲妙境;有貪者,為上二界之貪,即貪著上二界之定及依身,故稱有貪。〔俱舍論卷十九、大乘義章卷五〕(參閱「六隨眠」)"
  27. 운허, "隨眠(수면)". 2013년 1월 3일에 확인
    "隨眠(수면): 【범】 Anuśaya (1)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늘 중생을 따라다녀 여의지 아니하므로 수(隨)라 하고, 그 작용이 아득하여 알기 어려움이 마치 잠자는 상태와 비슷하므로 면(眠)이라 함. 또 중생을 쫓아다녀 마음을 혼미하게 하는 것이 잠자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이름. (2) 번뇌의 종자. 온갖 번뇌의 종자는 항상 중생을 따라다니며 제8 아뢰야식 중에 면복(眠伏)해 있으므로 수면이라 하며, 또 중생을 따라다니며 더욱 허물을 더하게 함이 마치 사람이 잠자기를 좋아하여 오래 자는 것과 같으므로 이렇게 이름."
  28. 星雲, "隨眠". 2013년 1월 3일에 확인
    "隨眠: 梵語 anuśaya,巴利語 anusaya。為煩惱之異名。煩惱隨逐我人,令入昏昧沈重之狀態;其活動狀態微細難知,與對境及相應之心、心所相互影響而增強(隨增),以其束縛(隨縛)我人,故稱為隨眠。此有貪、瞋、慢、無明(癡)、見(惡見)、疑等六種,稱為六隨眠(六根本煩惱)。其中,貪復分為欲貪與有貪,稱為七隨眠;見分為身、邊執、邪、見取、戒禁取等五見,稱為十隨眠。此外,以此更加細分,則有九十八隨眠。
     關於隨眠之體另有異說,說一切有部認為貪等煩惱即隨眠,屬於心相應之法;大眾部、化地部等認為現起之煩惱稱為纏,另外稱熏成種子之法為隨眠,與心不相應;經部認為煩惱於覺醒活動之位為纏,對此,煩惱為眠伏狀態之種子稱為隨眠,為非心相應亦非不相應。於唯識宗,不承認煩惱即隨眠之說,蓋隨眠為煩惱之習氣,即指種子而言。此煩惱之種子隨逐我人,眠伏潛在於阿賴耶識。〔大毘婆沙論卷五十、俱舍論卷十九、卷二十、發智論卷三、品類足論卷三、成唯識論卷九、瑜伽師地論卷五十九、卷八十九〕"
  29. 星雲, "心不相應行". 2012년 12월 4일에 확인
    "心不相應行: 梵語 citta-viprayukta-sajskāra,巴利語 citta-vippayutta-dhamma。乃俱舍家、唯識家等對於一切諸法所立五位分類中之第四位。又作心不相應行蘊、非色非心不相應行法、非色不相應行蘊、心不相應法、不相應行法、不相應行、不相應。指不屬於色、心二法,與心不相應之有為法之聚集。依小乘說一切有部之義,在色、心及心所之外,另有與心不相應之實法,其體係有為法,又為五蘊中之行蘊所攝,故稱心不相應行。經部、唯識等則主張不相應行乃於色心之分位所假立者,並非實法。
     心不相應行之數,大小乘均有異說。小乘俱舍家舉出得、非得、同分、無想果、無想定、滅盡定、命根、生、住、異、滅、名身、句身、文身等十四種不相應行法。順正理論卷十二加上和合性,而立十五不相應行法之說。品類足論卷一則舉出得、無想定、滅定、無想事、命根、眾同分、依得、事得、處得、生、老、住、無常性、名身、句身、文身等十六法。此外,分別部及犢子部等,將隨眠亦計為不相應法。大乘唯識家中,瑜伽師地論卷三舉出得、無想定、滅盡定、無想異熟、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流轉、定異、相應、勢速、次第、時、方、數、和合及不和合等二十四種不相應行法,大乘阿毘達磨集論卷一除去不和合而立二十三不相應行法之說。大乘五蘊論則舉出得、無想等至、滅盡等至、無想所有、命根、眾同分、生、老、住、無常、名身、句身、文身、異生性等十四法。〔俱舍論卷四、卷十九、入阿毘達磨論卷上、顯揚聖教論卷二、卷十八、成唯識論卷一、卷二、大毘婆沙論卷二十二、卷四十五、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二、俱舍論光記卷四、成唯識論演祕卷二末〕(參閱「五位七十五法」、「五位百法」)"
  30. 운허, "[1]".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31. 星雲, "睡眠".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32. 곽철환 2003, "수면(睡眠)". 2012년 10월 14일에 확인.
  3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614, p. T31n1614_p0855b23 - T31n1614_p0855c06. 심소유법(心所有法)
    "第二心所有法。略有五十一種。
    分為六位。一遍行有五。二別境有五。三善有十一。四煩惱有六。五隨煩惱有二十。六不定有四。
    一遍行五者。一作意二觸三受四想五思。
    二別境五者。一欲二勝解三念四定五慧。
    三善十一者。一信二精進。三慚四愧。五無貪六無嗔七無癡。八輕安九不放逸十行捨十一不害。
    四煩惱六者。一貪二嗔。三慢四無明。五疑六不正見。
    五隨煩惱二十者。一忿二恨。三惱四覆。五誑六諂。七憍八害。九嫉十慳。十一無慚十二無愧。十三不信十四懈怠。十五放逸十六惛沈。十七掉舉十八失念。十九不正知二十散亂。
    六不定四者。一睡眠二惡作。三尋四伺。"
  34.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5권. p. T31n1585_p0026c25 - T31n1585_p0027a01
    "諸心所法皆於所緣兼取別相。雖諸心所名義無異而有六位種類差別。謂遍行有五。別境亦五。善有十一。煩惱有六。隨煩惱有二十。不定有四。如是六位合五十一。"
  35.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5권. p. 259 / 583. 심소법(心所法)
    "모든 심소법은 대상에 대해서 (전체적인 모습과) 겸하여 개별적인 모습을 취한다. 모든 심소는 명칭이나 개념[義]에 다른 것이 없지만, 여섯 가지 지위의 종류로 차별이 있다. 변행심소에 다섯 가지가 있고, 별경심소에 역시 다섯 가지가 있으며, 선심소에 열한 가지가 있고, 번뇌심소에 여섯 가지가 있으며, 수번뇌심소에 스무 가지가 있고, 부정심소에 네 가지가 있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지위를 합하면 쉰한 가지가 된다."
  36. 星雲, "五位百法". 2012년 10월 29일에 확인.
  37.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33a28 - T31n1585_p0033b08.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諸隨煩惱其相云何。頌曰。
      隨煩惱謂忿 恨覆惱嫉慳
     13誑諂與害憍 無慚及無愧
      掉舉與惛沈 不信并懈怠
     14放逸及失念 散亂不正知
    論曰。唯是煩惱分位差別。等流性故名隨煩惱。此二十種類別有三。謂忿等十各別起故名小隨煩惱。無慚等二遍不善故名中隨煩惱。掉舉等八遍染心故名大隨煩惱。"
  38.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6권. pp. 324-325 / 58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그러면 여러 수번뇌심소의 양상은 어떠한가? 게송(『삼십송』의 제12 · 13  · 14)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수번뇌심소는 분(忿)·
      한(恨)·부(覆)·뇌(惱)·질(嫉)·간(慳)·

      광(誑)·첨(諂)과 해(害)·교(憍)·
      무참(無慚) 및 무괴(無愧),
      도거(掉擧)와 혼침,
      불신 아울러 해태(懈怠),

      방일(放逸) 및 실념(失念),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이다.238)
    논하여 말한다. 이것은 오직 번뇌의 분위의 차이이고, 등류하는 성질이므로 수번뇌라고 이름한다. 이 스무 종류는 구분하면 세 가지가 있다. 분(忿) 등 열 가지239)는 각기 따로 일어나기 때문에 소수번뇌(小隨煩惱라고 이름한다. 무참(無慚) 등 두 가지240)는 불선(不善)에 두루하기 때문에 중수번뇌(中隨煩惱)라고 이름한다. 도거심소 등 여덟 가지241)는 잡염심에 두루하기 때문에 대수번뇌(大隨煩惱)라고 이름한다.
    238) 수번뇌심소 스무 가지를 밝힌다. 수번뇌심소는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근본번뇌심소의 작용에 의해 동류(同類)로서 이끌려 일어난다.
    239) 분(忿) · 한(恨) · 부(覆) · 뇌(惱) · 질(嫉) · 간(慳) · 광(誑) · 첨(諂) · 해(害) · 교(憍) 심소이다.
    240) 무참(無慚) · 무괴(無愧) 심소이다.
    241) 도거(掉擧) · 혼침(惛沈) · 불신(不信) · 해태(懈怠) · 방일(放逸) · 실념(失念) · 산란(散亂) · 부정지(不正知)의 심소이다."
  39. 황욱 1999, 63.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쪽
    "‘隨煩惱’란 ‘隨惑’이라고도 하는데, 곧 근본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를 가리킨다."
  40. 星雲, "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隨煩惱: 梵語 upakleśā,巴利語 upakkilesa。指隨根本煩惱而起之煩惱。與「根本煩惱」相對稱。又作隨惑、枝末惑。據俱舍論卷二十一載,隨煩惱有二義:(一)指隨心生起而惱亂有情之一切煩惱。(二)指依根本煩惱而起之其他煩惱。書中共舉出十九種隨煩惱,並總括為三類,即:(一)大煩惱地法,指放逸、懈怠、不信、惛沈、掉舉。(二)大不善地法,指無慚、無愧。(三)小煩惱地法,指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等十種,及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
     據成唯識論卷六載,隨煩惱指根本煩惱之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為三類,故又稱「三隨煩惱」。即:(一)小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小煩惱地法而立,指忿、恨、覆、惱、嫉、慳、誑、諂、害、憍等十種;此十種煩惱各別而起,故稱小隨煩惱。(二)中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不善地法而立,指無慚、無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稱為中隨煩惱。(三)大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煩惱地法而立,指掉舉、惛沈、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等八種;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與小、中隨煩惱俱生,故稱大隨煩惱。〔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品類足論卷一、成實論卷十隨煩惱品、瑜伽師地論卷五十五、華嚴經疏鈔卷三十四〕"
  41. 운허, "隨煩惱(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隨煩惱(수번뇌): 수혹(隨惑)이라고도 함. (1) 온갖 번뇌. 일체 번뇌는 모두 몸과 마음에 따라 뇌란케 하므로 수번뇌. (2) 근본 번뇌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번뇌. 구사종에서는 이를 방일(放逸)·해태(懈怠)·불신(不信)·혼침(惛沈)·도거(掉擧)·무참(無慚)·무괴(無愧)·분(忿)·부(覆)·간(慳)·질(嫉)·뇌 (惱)·해(害)·한(恨)·광(誑)·첨(諂)·교(憍)·수면(睡眠)·회(悔)의 19종이라 하고, 유식종에서는 분·한·부·뇌·질·간·광·첨·해·교(이상은 소수혹)·무참·무괴(이상은 중수혹)·도거·혼침·불신·해태·방일·실념(失念)·산란·부정지(不正知, 이상 대수혹)의 20종을 말함."
  42. 운허,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二十隨煩惱(이십수번뇌): 유식종에서 근본 번뇌에 따라서 일어나는 번뇌를 20종으로 나눈 것. 분(忿)·한(恨)·부(覆)·뇌(惱)·간(慳)·질(嫉)·광(誑)·첨(諂)·해(害)·교(憍).(이상은 소수번뇌) 무참(無慚)·무괴(無愧).(이상은 중수번뇌) 도거(掉擧)·혼침(惛沈)·불신(不信)·해태(懈怠)·방일(放逸)·실념(失念)·산란(散亂)·부정지(不正知).(이상은 대수번뇌)"
  43. 星雲, "中隨煩惱".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中隨煩惱: 又稱中隨惑。指無慚、無愧二種隨煩惱。大乘唯識家所立二十種隨煩惱中,無慚、無愧二者乃遍一切不善心而俱起,其行位之寬狹在大隨與小隨之間,故稱為中隨煩惱。〔成唯識論卷六〕"
  44. 星雲, "染污". 2012년 11월 4일에 확인. 염오(染污)
    "染污: 梵語 klista。煩惱之別稱。又作雜染、染。指有漏法中,妨礙悟道者,即不善與有覆無記之法。"
  45. 현장 한역, 김달진 번역 & K.154, T.676, 제5권. pp. 79-81 / 86. 4종도리(四種道理).
  46.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82 / 1397쪽.
  4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862 / 1397쪽.
  48.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055 / 1397쪽.
  49. 운허, "修道所斷(수도소단)". 2012년 9월 10일에 확인.
  50. 星雲, "三斷". 2012년 9월 10일에 확인.
  51. 안혜 조, 현장 한역 & T.1606, 제1권. p. T31n1606_p0696b27 - T31n1606_p0696c03.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法處所攝色者。略有五種。謂極略色.極迥色.受所引色.遍計所起色.自在所生色。極略色者。謂極微色。極迥色者。謂即此離餘礙觸色。受所引色者。謂無表色。遍計所起色者。謂影像色。自在所生色者。謂解脫靜慮所行境色。"
  52. 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 & K.576, T.1605, 제1권. p. 6 / 388.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어떠한 것이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입니까?
    간략하게 다섯 종류의 색이 있으니, 극략색(極略色)ㆍ극형색(極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변계소기색(遍界所起色)ㆍ자재소생색(自在所生色)을 가리킨다.
    [釋] ‘극략색’이란 극미색(極微色)이고, ‘극형색’이란 그 밖의 다른 장애를 여의고 접촉되는 색이고, ‘수소인색’이란 무표색(無表色)이고, ‘변계소기색’이란 영상(影像)의 색이고, ‘자재소생색’이란 해탈정려(解脫靜慮)에서 행해지는 경계의 색이다."
  53. 星雲, "法處所攝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
    "法處所攝色:  又作墮法處色、法處色。乃唯識宗所立十一色法之第十一。指意識所攀緣的法處所攝之色法。唯識宗將一切諸法概分為色法、心法、心所有法、心不相應行法、無為法等五大類,稱為五位,其中之色法,廣義而言,為所有物質存在之總稱,具有變壞、質礙之性質。色法又可分為十一類,即眼、耳、鼻、舌、身等五根,色,聲、香、味、觸等五境,及法處所攝色。法處之「處」,為生長、養育之義,意指能長養吾人之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共分為十二種,稱為十二處,亦即上記所說之五根加上第六根意根,五境加上第六境法境。法境即是法處,乃十二處之一,惟「法境」係強調其乃「意根」(主觀作用)之客觀對境,而「法處」則著重說明其與其他之十一處共為長養心與心所,且為心與心所依靠、攀緣者。於一切色法中,凡攝屬於法處者,即稱為法處所攝色。
     據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一、法苑義林章卷五末等所載,法處所攝色又可細分為五種,即:(一)極略色,亦即極微之色法;乃分析色聲香味觸等五境、眼耳鼻舌身等五根或地水火風等四大種,舉凡一切具有質礙性之實色而令至物質的最小單位「極微」。(二)極迥色,又作自礙色;即分析空界色、明、暗等不具質礙性之顯色而令至極微。(三)受所引色,即無表色;乃依身、口發動之善惡二業,而生於身內之無形色法,為一種不能表現於外之現象,例如由持戒所引起的一種防非止惡之精神作用;由於被視為是身內地水火風四大所造,故列入色法。(四)遍計所起色,意識緣五根、五境,產生周遍計度、虛妄分別之作用,而在心內所變現之影像色法,例如空中花、水中月、鏡中像等,皆攝於此色法中;此類色法,僅具有影像而並無所依托之自體本質。(五)定自在所生色,又作定所生色、定所引色、勝定果色、定果色、自在所生色;即指由禪定力所變現之色聲香味等境;此類色法係以勝定力於一切色變現自在,故稱定自在所生色。又此類色法通於凡聖所變,然凡聖所變現者有假實之別,若由凡夫之禪定力所變現者,為假色,不能實用;若由八地以上之聖者,憑威德之勝定力,能變現為可實用之實在色法,例如變土砂而成金銀魚米,可令有情眾生受用之。
     又以大乘唯識之看法而言,上記五色中,前四色均屬假色,惟第五色通於假實,而以聖者所變現者為實色,此蓋以聖者之威德勝定乃為一種無漏定,由無漏定所變現之色法即為實色;然若以小乘如說一切有部等之觀點而言,則如極略色、極迥色,乃至受所引色等,皆為具有實體之實色。〔大毘婆沙論卷七十四、卷七十五、瑜伽師地論卷三、卷三十七、順正理論卷三十五、成唯識論卷一、成唯識論述記卷三本〕 p3389"
  54. 운허, "受所引色(수소인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
    "受所引色(수소인색):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의 하나. 제6식(識)으로 반연할 경계. 5계(戒)ㆍ8계를 받았기 때문에 인발(引發)되는 무표색(無表色)이란 뜻."
  55. 곽철환 2003, "수소인색(受所引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
    "수소인색(受所引色):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원동력."
  56. 佛門網, "受所引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
    "受所引色: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受即領受,引即引取。如受諸戒品,戒是色法,所受之戒,即是受所引色。又如意識領納聲香味觸等法,乃至憶念過去曾見境界,皆名受所引色。"
  57. 星雲, "無表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
    "無表色:  梵語 avijñapti-rūpa。又作無表業、無作色、假色。或單稱無表、無作、無教。為「表色」、「表業」之對稱。俱舍七十五法之一。即於身中恆轉相續,具有防非止惡或與之相反的障妨善德之功能,而又為不可見,且無障礙性之色法。此為小乘說一切有部之宗義,即認為無表色係以身業與口業為緣,生於吾人身內的一種無形色法;以其具有防非或妨善之功能,故以之為受戒之體;然因不顯於外,故稱無表;又以其乃身內之地、水、火、風等四大所生,故謂之色;然雖屬色法,卻不如其他色法之具有可見性、物質性、障礙性等。入阿毘達磨論卷上(大二八‧九八一上):「無表色者,謂能自表諸心心所轉變差別,故名為表;與彼同類而不能表,故名無表。」
     又說一切有部以無表色皆由四大種所造,故為實色,含攝於十一種色之中。俱舍宗之看法類似,認為無表色係由四大種所造,以色業為性,故名為色;然非由「極微」所成,無見無對,故與五根五境等之色法相異。成實家則以之為非色非心,攝於不相應行蘊。經量部及大乘唯識家不認其為實有,於強勝之思的心所所發善惡表業而薰成之種子上假立。又菩薩瓔珞本業經等以心法為戒體,故不別立無表色。其他古來異說甚多。
     據俱舍論卷十三、卷十四載,無表色之類別有三:與善心等起之無表色,稱為律儀,能遮滅惡戒之相續;與不善心等起之無表色,稱為不律儀,能遮滅善戒之相續;又非此二者,稱為非律儀非不律儀。
     (一)律儀又可分為三種:(1)別解脫律儀,為欲界之戒,即由作禮乞戒之身表業、語表業所得之無表業,共有比丘、比丘尼、正學、勤策、勤策女、近事、近事女、近住等八種律儀。各以盡形壽或一日一夜為要期,隨僧伽等受得五戒、八戒、十戒、具足戒等戒。因受戒之初剎那,表色、無表色各別棄捨諸惡,故稱別解脫,又稱根本業道;第二念以後,唯有無表色相似相續,故特稱為別解脫律儀或後起。俱舍論卷十四(大二九‧七三上):「謂受戒時,初表、無表,別別棄捨種種惡,故依初別捨義,立別解脫名,即於爾時所作究竟,依業暢義,立業道名;(中略)從第二念乃至未捨,不名別解脫,名別解律儀;不名業道,名為後起。」(2)靜慮律儀,為色界之戒,乃由靜慮地之心所得之無表色。(3)無漏律儀,即所謂之無漏戒,亦即已得「無漏」之聖者所成就之無表色。上記三種律儀中,靜慮律儀與無漏律儀皆與心共生滅,故為隨心轉之戒。
     (二)不律儀,又稱惡律儀,即生於不律儀之家,依其家法,行殺生等惡法時所生起之無表色;或生於餘家,為求活命,發殺生業等之誓心所生起之無表色。此種惡律儀具有妨善止善之作用。
     (三)非律儀非不律儀,又稱處中,即非如律儀受「五、八、十、具」等戒,亦非如不律儀以活命為要期而生惡戒,但由用或重行等而得之無表色,其體不生善或不善者。〔大毘婆沙論卷一四○、俱舍論卷一、順正理論卷二、成實論卷八「九業品」、品類足論卷一、大乘義章卷七〕 p5097"
  58. 운허, "無表色(무표색)". 2013년 3월 2일에 확인
    "無表色(무표색): 3색(色)의 하나. 색법 중에서 다른 이에게 표시할 수 없는 것. 우리들이 몸과 입의 2업을 일으킬 때에, 다음에 그 업의 과보를 받을 원인을 동시에 자기 몸 안에 훈발(熏發)한다. 이 훈발한 원인은 볼 수도, 들을 수도, 감촉할 수도 없는 무형무상(無形無象)한 사물로서, 다른 이에게 표시할 수 없는 색이란 뜻으로 이같이 말한다. ⇒무표업(無表業)"
  59. 곽철환 2003, "무표색(無表色)". 2013년 3월 2일에 확인
    "무표색(無表色):
    약어: 무표(無表)
    산스크리트어 avijñapti-rūpa 겉으로 드러나지도 않고, 감각되지도 않는 작용이나 힘.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
    동의어: 무교색, 무작색(無作色)"
  60. 星雲, "修習". 2013년 3월 26일에 확인
    "修習:  梵語 bhāvanā,巴利語同。數數薰習之意。略稱修、習。即於諸行法,反覆實踐,數數薰習,以期達到成佛之目的。據梁譯攝大乘論釋卷八或俱舍論卷二十七所載,佛教之修行計有:(一)長時修,長時間修行。(二)無間修,不休不止之修行。(三)恭敬修,以虔誠恭敬心修行。(四)無餘修,完全不缺之修行。唐代善導大師即以此作為淨土宗之修行法則。〔雜阿含經卷三、成實論卷十五修定品、俱舍論卷十八、梁譯攝大乘論釋卷十〕 p4046"
  61. 운허, "修習位(수습위)". 2013년 3월 26일에 확인
    "修習位(수습위): 유식종(唯識宗)에서 일체 만법은 유식(唯識)의 변현(變現)이라고 하는 이치를 관수(觀修)하는데 5위(位)를 세운 중에 제4 계위(階位). 앞의 통달위(通達位)에서 공무아(空無我)의 진리를 관한 뒤에, 다시 수습하여 온갖 장애를 끊는 지위. 3학(見道ㆍ修道ㆍ無學) 중의 수도에 해당. 자세히 말하면 초지(初地)의 주심(住心)에서 제10지의 출심(出心)까지. 이 기간에 10바라밀의 수행을 하면서 10중(重)의 장애를 끊고, 10종의 진여를 증득하는 지위."
  62. 星雲, "五位". 2013년 3월 26일에 확인
    "五位:  指五種類別。(一)部派佛教將一切法分為五種。又作五事、五法、五品等。即:(一)色法,指物質界。(二)心法,指構成心主體之識。(三)心所法,指心之作用。(四)心不相應行法,非色法、心法而與心不相應之有為法,例如「生住異滅」,便是說明存在之現象。(五)無為法,其生滅變化並非因緣所作,亦不起作用。
     俱舍論等,更對此五位加以分類,將色法析為十一種、心法一種、心所法四十六種、不相應行法十四種、無為法三種,合計七十五種,故有「五位七十五法」之稱。大乘唯識宗則分心法為八種、心所法為五十一種、色法十一種、不相應行法二十四種、無為法六種,合計百種,故稱「五位百法」。以俱舍等宗派而言,五位之順序為:色、心等,此乃認為心外之對象實在而有,由此再起內心之心、心所。而唯識宗則提出不同之主張,即以心、心所等順序表示諸法皆唯識所變現,其本身並無實體。〔俱舍論卷四、順正理論卷十、成唯識論卷七、百法明門論疏卷上、成唯識論述記卷七末〕
     (二)指大乘五位,又作唯識五位、唯識修道五位。唯識宗將大乘菩薩之階位分為五等,即:(一)資糧位,即含攝有漏善以達佛果之位。指十住、十行、十迴向等諸位菩薩,以福德智慧為助道資糧,故稱資糧位。十住、十行、十迴向之菩薩階位又稱大乘三賢位。其中,十住偏重修理觀,十行偏重修事觀,十迴向多修理事不二觀。此類修行稱為大乘順解脫分,雖已能斷除分別二執之現行,然對於能、所取之種子依舊潛伏未除,此係唯識五位中最初伏障之階段。(二)加行位,指四加行(煖、頂、忍、世第一)位菩薩,由得福智資糧,加功用行而入見道(歡喜地),住真如位,稱為加行位。即於資糧位所積集之善,更進一步為得無漏智而加力修行之位。此位能達「無二我」而「有二無我」之境界,然心中仍變帶「如相」現前,故仍非實住之唯識境界,稱為大乘順抉擇分。(三)通達位,又作見道位。初地菩薩體會真如,智照於理,得見中道,故稱通達位。即證得初無漏智,並體得真如理之位。此係修行第一大劫之成熟階段,相當於初地之入心,故又稱見道位。(四)修習位,又作修道位。指二地至十地菩薩,得見道已,為斷除障,復修習根本智,故稱修習位。即於通達位證得真如理,再反覆修習之位。(五)究竟位,指妙覺佛證此果位,最極清淨,更無有上,故稱究竟位。即指佛果之位。〔成唯識論卷九、大乘阿毘達磨集論卷五、瑜伽師地論卷六十四、唯識三十論頌、大乘法相名目卷一中〕
     (三)指小乘五位,即:(一)資糧位,又分三位:五停心、別相念(各別觀察四念處)、總相念(總觀察四念處)。(二)加行位,其位有四:煖位(未見智火,已得煖相)、頂位(觀行轉明,如登山頂悉皆明了)、忍位(於四諦法忍可樂修)、世第一位(雖未能證理,而於世間最勝),此四位加功用行,取證道果。(三)見道位,指聲聞初果斷三界見惑,見真空之理。(四)修道位,指第二、三果修四諦道法,斷欲界思惑。(五)無學位,指聲聞第四果阿羅漢,斷盡三界見思惑,真理究竟,無法可學。〔天台四教儀集註卷下〕
     (四)對於心之狀態,禪宗亦分為五位。曹洞宗之祖洞山良价為舉示修行者,而提出五位之主張,稱洞山五位。可分為正偏五位與功勳五位二種。(一) 正偏五位,指正中偏、偏中正、正中來、偏中至、兼中到等五位。正是陰,意即真如之本體;偏是陽,意即生滅之現象。正中偏指平等中存有差別;偏中正指差別即平等。基於此,作靜中之動之修行工夫,則謂正中來;動中之靜則為偏中至。兼以上二者,達於自由自在之境界,即謂兼中到。對此,曹山本寂曾以君臣為例而說明之。(二)功勳五位,指向、奉、功、共功、功功等五者。即知眾生本具佛性,求達佛果(向),為證佛性而修行(奉),見佛性(功),雖已達自由之覺位,尚有其作用(共功),最後更超越前者,而達自由自在之境界(功功)。〔景德傳燈錄卷十七、曹山元證禪師語錄、洞上古轍卷上〕(參閱「洞山五位」3869) p1087"
  63.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 T.1585, 제6권. p. T31n1585_p0029c13 - T31n1585_p0029c16. 참(慚)
    "云何為慚。依自法力崇重賢善為性。對治無慚止息惡行為業。謂依自法尊貴增上。崇重賢善羞恥過惡。對治無慚息諸惡行。"
  64.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 K.614, T.1585, 제6권. p. 286 / 583. 참(慚)
    "무엇을 ‘참(慚)심소’12)라고 하는가? 자신과 법의 힘에 의지해서 현인(賢人)13)과 선법(善法)14)을 받들고 존중함을 체성으로 삼고, 무참(無慚)을 다스리고 악행을 멈추게 함을 업으로 삼는다. 자신과 법을 존귀하게 여기는 증상력에 의지해서, 현인과 선법을 받들고 존중하며 잘못을 부끄럽게 여겨서, 무참을 다스리고 여러 악행을 멈추게 한다.
    12) 참(慚, hrī)심소는 ‘제 부끄러움’의 작용을 하는 심소이다. 자신과 법에 의지해서 현선(賢善)을 존경하고, 자신의 잘못에 대해 뉘우치고 부끄러워하는 심리작용이다.
    13) 범부와 성인을 막론하고 누구나 현덕(賢德)이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14) 모든 유루(有漏)와 무루(無漏)의 선법을 가리킨다."
  6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7 / 1397쪽.
  66. 星雲, "有漏無漏". 2013년 5월 27일에 확인
    "有漏無漏:  為有漏與無漏之並稱。漏,為漏泄之義,即指煩惱。有煩惱而輪迴生死,稱為有漏;無煩惱而能出離生死,稱為無漏。於各種煩惱之間,具有互相隨增(隨順增長)關係者,稱為有漏法;無互相隨增關係者,稱為無漏法。在四聖諦中,苦、集二諦為有漏法,滅、道二諦為無漏法。
     關於有漏與無漏之分別,玆略述於下:世間凡夫有漏之身體,稱為有漏身;而無漏清淨之佛身,稱為無漏身。又修行有漏之六行觀,能招感人天三界之果報者,稱為有漏道、有漏路;而修行可證得涅槃道果之行法者,稱為無漏道、無漏路。以世俗之法為對象,所產生之智慧,稱為有漏智;而證知四諦之理,及見道以後的聖者之智慧,稱為無漏智。凡夫於見道之前所作之善,稱為有漏善;見道以後之聖者所作的無煩惱污穢之善,稱為無漏善。以有漏智所作之世俗行為,稱為有漏行;以無漏智所修之四諦觀行,稱為無漏行。以有漏道斷除煩惱,稱為有漏斷;以無漏道斷除煩惱,稱為無漏斷。有漏行能招感人、天等五道之有漏果,故稱為有漏因;無漏行可證得涅槃之無漏果,故稱為無漏因。又凡夫因修行六行觀,而住於四禪、四無色定、四無量心定等禪定中,稱為有漏定,或有漏禪;而聖者以無漏智所發得之禪定,稱為無漏定,或無漏禪,此無漏定生起於無漏九地(未至定、中間定、四根本定、下三無色定)中。
     此外,唯識家將佛果之淨識稱為無漏識;將未成佛以前之識,稱為有漏識。然第六、第七識於初地入見道時,稍可轉識得智,故亦可成為無漏識。至於前五識與第八識,則係於初成佛果時,方能轉變為無漏識。又無漏之覺悟,其本來寂然者,稱無漏無為;因作用而起動者,稱無漏有為。〔大毘婆沙論卷二十二、卷一七三、俱舍論卷一、卷二、卷十三、順正理論卷一、卷四十九、成唯識論卷五、卷十、成唯識論述記卷五末、卷十末〕 p2455"
  6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2 / 1397쪽.
  68. 운허, "取蘊(취온)". 2012년 9월 14일에 확인.
  69. 운허, "五取蘊(오취온)". 2012년 9월 14일에 확인.
  7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42 / 1397쪽.
  71. 佛門網, "修行". 2013년 3월 13일에 확인
    "修行: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依佛法的路線去行持實踐。
    出處: Buddhistdoor
    解釋: 修行 (1) To practice; to carry out or perform (pratipatti, prapatti, adhyācāra, adhigama, prayoga). (2) To endeavor. (3) Penance, austerities. (4) To apply oneself diligently to yoga practice. (5) To keep the precepts.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含有實習、修養、實踐之意。宗教生活中,欲實現生活上之統制、調節、規定等,則須藉修行以完成之。 宗教本即有信仰與修行雙重之要求,以佛教而言,行者自身欲實現佛陀體驗之境界,而專心精研修養,故特別重視修行方面,亦因而發展成各種詳細之戒律條文、生活規範與精神之修養方法。如戒、定、慧等三學,正見、正思惟、正語、正業、正命、正精進、正念、正定等八正道,苦、集、滅、道等四諦。此外,四禪天、四念處等修行階段亦極發達。佛教有所謂「八萬法門」之稱,然其主要者,即上述分類之修行德目。至大乘佛教,雖特別強調信仰方面,然亦以禪定、觀法,及其他密教修法作為教義與組織之基礎。實行修行功夫者,一般稱為行者。聲聞、緣覺、菩薩之修行至最後果位,其修行時間各有不同;聲聞須三生六十劫,緣覺須四生百劫,菩薩須三祇百劫。 (一)三生六十劫,聲聞至阿羅漢果,最快亦須三度生於人間,最遲則須經過六十劫(劫指刀兵等一小劫)。三生中之第一生或最初之二十劫,修順解脫分;第二生或次之二十劫,以未至定起順決擇分;第三生或最後之二十劫,以根本定再起順決擇分之慧,入於見道,而終證無學果。但亦有認為第三生始起順決擇分之慧之說。又速者乃指利根而言,遲者指鈍根而言。反之,亦可謂遲者乃是能忍耐長期之修行者,故為利根。 (二)四生百劫,緣覺至辟支佛果,最快亦須四度生於人間,最遲則須經過百劫。據俱舍論卷十二載,麟角喻獨覺必修百大劫,而不說四生。 (三)三祇百劫,又作三僧劫百大劫。三祇乃三阿僧祇劫,又作三僧劫、三祇劫;百劫乃百大劫之簡稱。菩薩於三阿僧祇劫修波羅蜜,於最後百大劫修佛所具足之三十二相、八十種好之相好業,此種修行即為三祇修行。又因須經此種修行,始可成佛,故稱為三祇成佛。 大毘婆沙論卷一七八謂,菩薩於初阿僧祇劫侍奉七萬五千佛,於第二阿僧祇劫侍奉七萬六千佛,於第三阿僧祇劫侍奉七萬七千佛,積集資糧而後於九十一劫再侍奉六佛,修異熟果生於王宮,斷結三十四心成道。大智度論卷二十七亦有三祇百劫之說;攝大乘論卷下則僅言三祇,而未說百劫。 法相宗認為,於最初阿僧祇劫為五位中之資糧、加行二位,在此於一行中修一行。於第二阿僧祇劫為通達位及修習位之一部分,即自初地至七地,在此於一行中修一切行。於第三阿僧祇劫為前修習位所剩餘之部分,即自八地至十地之滿心,在此於一切行中修一切行。而後於十地滿心登上等覺位,在此為成佛而修方便之行,相當於百劫之行。又於三祇修行之間,專心精進,可超越中間階位,而至最高之修行階位,稱為超劫。然亦有說初地以上無超劫者。 華嚴宗與天台宗認為,三祇百劫之說乃屬小乘及下根之方便教法。故兩宗均認為,若由圓教教法而言,眾生本來即佛,故三祇之長時間不成問題。又真言宗有以一念超越三劫妄執之說,而淨土教亦認為,依彌陀本願之力即可往生成佛,故不言三祇之修行。〔法華經卷三藥草喻品、新華嚴經卷五十八、修行道地經卷一〕(參閱「三賢」679、「五位」1087、「四善根位」1767)
    頁數: p4040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caryā, conduct; to observe and do; to end one's ways; to cultivate oneself in right practice; be religious, or pious.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修行者,謂既了知觀法之相,則善能修習一切妙行,無有過失也。"
  72. 佛門網, "". 2013년 3월 13일에 확인
    "修: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To put in order, mend, cultivate, observe. Translit. su, sū. Cf. 須; 蘇.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大毗婆沙論一百六十三卷四頁云:問:何故名修?答:遍修故名修。數習故名修。熏故名修。學故名修。令常淨故名修。應知此中,現在、習修所顯;未來、得修所顯。復次現在、習故名修。未來、得故名修。復次現在、受用故名修。未來、引發故名修。復次現在、辦事故名修。未來、與欲故名修。復次現在、在身中故名修。未來、得自在故名修。復次現在、現前故名修。未來、成就故名修。"
  73. 운허, "修行(수행)". 2013년 3월 4일에 확인
    "修行(수행): 교법대로 실천 궁행(躬行)함. 처음에 발심하고, 뒤에 과(果)를 받는 것은 실천 수행한 값."
  74.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4권. p. T29n1558_p0019b04 - T29n1558_p0019b06. 불방일(不放逸)
    "不放逸者。修諸善法離諸不善法。復何名修。謂此於善專注為性。餘部經中有如是釋。能守護心名不放逸。"
  7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4권. p. 164 / 1397. 불방일(不放逸)
    "불방일(不放逸)이란 온갖 선법을 닦는 것이다.21)
    [선법 그 자체가 이미 닦는 것인데,] 온갖 선법을 떠나 다시 무엇을 일컬어 닦는 것이라고 할 것인가?
    이를테면 그것은 바로 선에 대해 전념[專注]하는 것을 본질로 한다. 그런데 다른 어떤 부파의 경에서는 이와 같이 해석하는 일이 있으니, "능히 마음을 수호하는 것을 일컬어 불방일이라 한다"고 하였다.22)
    21) 오로지 자신의 이익에서 몸과 말과 마음을 방호하는 것으로서, 방일의 반대되는 것을 불방일(apramāda)이라고 한다.(『현종론』 권제5, 한글대장경200, p. 134)
    22) 여기서 다른 부파의 경이란 『증일아함경』 권제4(대정장2, p. 563하). "云何爲無放逸行. 所謂護心也.""
  76. 곽철환 2003, "수행(修行)". 2013년 3월 13일에 확인
    "수행(修行): 오로지 한 생각에만 집중하여, 한결같이 그것을 잊지 않고 그것 외에 다른 생각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는 노력."
  77. 星雲, "三慧".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78. 권오민 2003, 21–29쪽.
  79.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2권. p. T29n1558_p0116c18 - T29n1558_p0116c23.
  8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2권. p. 1015 / 1397.
  81. 星雲, "四慧".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82. 운허, "四慧(사혜)". 2012년 10월 25일에 확인.
  8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2권. p. T29n1558_p0116b29 - T29n1558_p0116c09.
  8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2권. p. 1014 / 1397.
  85. 운허, "宿業(숙업)". 2012년 12월 16일에 확인
    "宿業(숙업): 지난 세상에 지은 선ㆍ악의 행업(行業)."
  86. 星雲, "宿業". 2012년 12월 16일에 확인
    "宿業: 梵語 pūrva-karma,巴利語 pubba-kamma。過去世所造之善惡業因。又稱宿作業。即指於現世感宿業之果報,而現世之行業又成為來世招果報者。惟一般多以宿業指惡業因,另以宿善指善業因。〔長阿含經卷二十二世本緣品,俱舍論卷十八〕(參閱「宿善」)"
  87.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1권. p. T26n1542_p0693a13 - T26n1542_p0693a15. 촉(觸)
    "觸云何。謂三和合性。此有三種。謂順樂受觸。順苦受觸。順不苦不樂受觸。"
  88.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1권. p. 4 / 448. 촉(觸)
    "촉(觸)이란 무엇인가? 세 가지가 화합된 성품[三和性]이다. 여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즐거운 느낌을 따르는 접촉[順樂受觸]이요, 괴로운 느낌을 따르는 접촉[順苦受觸]이며,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따르는 접촉[順不苦不樂受觸]이다."
  89.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12 - T26n1542_p0700c14. 고근(苦根)
    "苦根云何。謂順苦受。觸所觸時。所起身苦不平等受。受所攝。是名苦根。"
  90.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8 / 463. 고근(苦根)
    "고근(苦根)은 무엇인가? 괴로움에 순응하여 느끼는 접촉[順苦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괴로움이며, 평등하지 않은 느낌[不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고근’이라 한다."
  91.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11 - T26n1542_p0700c12. 낙근(樂根)
    "樂根云何。謂順樂受。觸所觸時。所起身樂心樂平等受。受所攝。是名樂根。"
  92.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8 / 463. 낙근(樂根)
    "낙근(樂根)은 무엇인가? 즐거움을 따라 느낌을 받아 접촉[順樂受觸]하는 것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즐거움이요 마음의 즐거움이며 함께 느끼는 것[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하는 것을 이름하여 ‘낙근’이라 한다."
  93.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17 - T26n1542_p0700c19. 사근(捨根)
    "捨根云何。謂順捨受。觸所觸時。所起身捨心捨。非平等非不平等受。受所攝。是名捨根。"
  94.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9 / 463. 사근(捨根)
    "사근(捨根)은 무엇인가? 버리는 것을 따라 느낌으로 받는 접촉[順捨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몸의 평정[捨]이며 평등한 것도 평등하지 않은 것도 아닌 느낌[非平等非不平等受]으로서 이 느낌에 속한 것을 이름하여 ‘사근’이라 한다."
  95.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15 - T26n1542_p0700c17. 우근(憂根)
    "憂根云何。謂順憂受。觸所觸時。所起心憂不平等受。受所攝。是名憂根。"
  96.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 K.949, T.1542, 제3권. p. 49 / 463. 우근(憂根)
    "우근(憂根)은 무엇인가? 근심을 따라 느낌을 받는 접촉[順憂受觸]이니, 접촉할 때에 일어나는 마음의 근심이며 평등하지 않은 느낌으로서 이 느낌에 속한 것을 이름하여 ‘우근’이라 한다."
  97. 세우 조, 현장 한역 & T.1542, 제3권. p. T26n1542_p0700c14 - T26n1542_p0700c15. 희근(喜根)
    "喜根云何。謂順喜受。觸所觸時。所起心喜平等受。受所攝。是名喜根。"
  98.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5권. p. 216 / 1397.
  99.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권. pp. T29n1558_p0004c14 - T29n1558_p0005a02. 11품류(十一品類)
    "論曰。諸有為法和合聚義是蘊義。如契經言。諸所有色。若過去若未來若現在。若內若外。若麤若細。若劣若勝。若遠若近。如是一切略為一聚。說名色蘊。由此聚義蘊義得成。於此經中。無常已滅名過去。若未已生名未來。已生未謝名現在。自身名內。所餘名外。或約處辯。有對名麤。無對名細。或相待立。若言相待。麤細不成。此難不然。所待異故。待彼為麤未嘗為細。待彼為細未嘗為麤。猶如父子苦集諦等染污名劣。不染名勝。去來名遠。現在名近。乃至識蘊應知亦然。而有差別。謂依五根名麤。唯依意根名細。或約地辯。毘婆沙師所說如是。大德法救復作是言。五根所取名麤色。所餘名細色。非可意者名劣色。所餘名勝色。不可見處名遠色。在可見處名近色。過去等色如自名顯受等亦然。隨所依力應知遠近麤細同前。"
  100.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p. 35-37 / 1397. 11품류(十一品類)
    "논하여 말하겠다. 온갖 유위법의 화합·적취(積聚, rāśi)의 뜻, 이것이 바로 '온(skandha)'의 뜻이니, 계경에서 말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존재하는 모든 색으로서 혹은 과거의 것이거나, 혹은 현재의 것이거나, 혹은 미래의 것이거나, 혹은 내적인 것이거나, 혹은 외적인 것이거나, 혹은 거친 것이거나, 혹은 미세한 것이거나, 혹은 저열한 것이거나, 혹은 수승한 것이거나, 혹은 멀리 있는 것이거나, 혹은 가까이 있는 것, 이와 같은 일체의 것을 간추려 하나의 무더기[一聚]로 삼은 것을 설하여 '온'이라고 이름한다"고 하였으니, 이 같은 사실에 따라 적취의 뜻은 온의 뜻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경의 내용 중에서 무상하여 이미 멸한 색을 일컬어 '과거의 것'이라고 하였고, 아직 이미 생겨나지 않은 색을 일컬어 '미래의 것'이라고 하였으며, 이미 생겨났지만 아직 낙사(落謝)하지 않은 색을 일컬어 '현재의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자기의 소의신을 '내적인 것'이라고 이름하였으며, 그 밖의 색을 '외적인 것'이라고 이름하였는데, 혹 어떤 경우 처(處)에 근거하여 분별하기도 한다.69) 또한 유대색(有對色)을 일컬어 '거친 것'이라고 하였으며, 무대색(無對色)를 일컬어 '미세한 것'이라고 하였는데,70) 혹 어떤 경우 상대적(相待的)인 관점에 따라 설정하기도 한다.71)
    만약 '상대적인 관점에 따라'라고 말한다면, 거친 것과 미세한 것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72)
    이러한 힐난은 옳지 않으니, 상대되는 바가 다르기 때문이다. 즉 그것에 대해 거친 것은 [그것에 대해] 미세한 것이 되지 않으며, 그것에 대해 미세한 것은 [그것에 대해] 거친 것이 되지 않으니, 이는 비유하자면 아버지와 아들, 고제와 집제의 경우 등과도 같다.73)
    또한 염오(染汚)의 색을 '저열한 것'이라고 이름하였고, 불염오의 색을 '수승한 것'이라고 이름하였으며, 과거·미래의 색을 '멀리 있는 것'이라고 이름하였고, 현재의 색을 '가까이 있는 것'이라고 이름하였다.
    내 지는 식온(識蘊)의 경우에도 역시 그러함을 마땅히 알아야 할 것이나 여기에는 약간의 차별이 있다. 즉 5근을 소의로 하는 식을 '거친 것'이라고 이름하며, 오로지 의근을 소의로 하는 식을 '미세한 것'이라고 한다. 혹은 지(地, 즉 3계 9지)에 근거하여 분별하는 경우도 있으니, 비바사사(毘婆沙師)가 설하는 바가 그러하다.
    그런데 존자 법구(法救, Dharmatr ta)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5근에 의해 파악된 것을 '거친 색'이라 이름하고, 그 밖의 것(즉 5근에 의해 파악되지 않는 것)을 '미세한 색'이라 이름하며, 마음에 들지 않는 것[不可意]을 '저열한 색'이라 이름하고, 그 밖의 것을 '수승한 색'이라고 이름한다. 또한 볼 수 없는 곳에 존재하는 것을 '멀리 있는 색'이라고 이름하고, 볼 수 있는 곳에 존재하는 것을 '가까이 있는 색'이라고 이름하며, 과거 따위의 색은 그 명칭이 드러내는 바와 같다. 그리고 수(受) 등도 역시 그러하지만 다만 소의(所依)의 힘에 따라 '멀리 있는 것'이라 하고, '가까이 있는 것'이라고 함을 마땅히 알아야 하며,74) '거친 것'과 '미세한 것'의 경우는 앞에서 설한 바와 같다."
    69) 5근은 내적인 색, 6경(법경에 해당하는 것은 무표색)은 외적인 색이다.
    70) 유대색이란 질애(對礙, pratigha) 즉 공간적 점유성을 지닌 색을 말하는 것으로, 5근·5경을 가리키며, 무대색이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무표색을 가리킨다.
    71) 유견유대(有見有對)·유견무대(有見無對)·무견무대(無見無對)의 3색, 혹은 욕계계(繫)·색계계·불계(不繫)의 3색을 상대적으로 볼 때, 전자는 후자에 비해 거친 색이고 후자는 전자에 비해 미세한 색이다.
    72) 예컨대 욕계·색계·불계(不繫)의 색, 혹은 유견유대·무견유대·무견무대의 색에 있어 전자는 후자에 대해 거친 것이고, 후자는 전자에 대해 미세한 것이라고 할 경우, 색계의 색과 무견유대색은 미세한 것이면서 거친 것이라고 하는 두 가지 존재 양태를 지니게 되는 모순을 갖게 된다.
    73) 어떤 이는 그 아버지에 대해서만 아들이고 아들에 대해서만 아버지일 뿐이며, 또한 어떤 법은 집인(集因)에 대해서만 고과(苦果)이고 고과에 대해서만 집인이 될 뿐 무차별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뜻.
    74) 수(受) 등의 법은 처소가 없기 때문에 바로 원근을 분별할 수 없으며, 다만 그것들의 소의가 미치는 힘에 따라 원근을 분별할 수 있을 뿐이다."
  10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권. p. T29n1558_p0004c23 - T29n1558_p0004c24. 승(勝: 수승한 것)
    "不染名勝。"
  10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36 / 1397. 승(勝: 수승한 것)
    "불염오의 색을 '수승한 것'이라고 이름하였으며,"
  10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권. p. T29n1558_p0004c26 - T29n1558_p0004c28. 법구(法救)의 해석: 승(勝: 수승한 것)
    "大德法救復作是言。...非可意者名劣色。所餘名勝色。"
  10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37 / 1397. 법구(法救)의 해석: 승(勝: 수승한 것)
    "그런데 존자 법구(法救, Dharmatrāta)는 다시 다음과 같이 설하고 있다... "마음에 들지 않는 것[不可意]을 '저열한 색'이라 이름하고, 그 밖의 것을 '수승한 색'이라고 이름한다.""
  105.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624 / 1397쪽.
  106. 星雲, "勝解". 2012년 9월 22일에 확인.
  107.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163 / 1397쪽.
  108. 운허, "勝解(승해)". 2012년 9월 22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