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8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e-헬스 리터러시, 정서 및 웰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여대 보육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 30명에게 6차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 2번의 설문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SPSS 26.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e-헬스 리터러시는 수업 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부정적 정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건강증진 프로그램 적용 후, 예비보육교사의 웰니스 지표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웰니스를 제외하고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직업적 웰니스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학 정규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온라인 건강증진 교육 수업은 건강한 보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업전략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on e-health literacy, affect, and wellness i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30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at the K women’s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online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 for 6 week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paired t-test conducted using SPSS 26.0 program based on the pre and post data. After participating in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program, e-health literacy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nd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negative affec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hysical wellness, emotional wellness, cognitive wellness, job wellness with the exception of social wellnes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health-promoting education classes in regular college class curriculum a useful teaching strategy for fostering healthy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요약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692-001548658